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5,6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분석 연구 -학급 내 발표 상황에서 생성된 담화를 중심으로-

        서현석 ( Hyun Seok Seo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5 청람어문교육 Vol.56 No.-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의 경험적 내러티브 담화를 분석하고, 양적·질적인 면에서 해석함으로써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연구자는 경험적 내러티브가 지니는 초등교육, 국어 교육, 인성 교육적 측면에서의 의의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서울, 경기, 대구 등 세 개 지역의 5,6학년이 생성한 내러티브 담화를 수집하였다. 최종 선정된 104개의 담화를 분석한 결과, 학급 내 발표 상황에서 5·6학년 학습자의 경험적 내러티브 평균 발화 시간은 36.87(초)이 었으며, 내러티브 당 에피소드는 평균 1.9개, 평균 2.34개의 문장과 4.26개의 C-unit을 포함하였다. 경험적 내러티브 구조의 발달 수준은 평균 3.84(SD=1.791)로 분석되었다. 5·6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담화를 서현석 외(2013)에서 분석한 1·2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담화와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6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에서 좀 더 많은 부가 관계의 말하기 양상이 포착되었다. 이는 인과관계를 효과적으로 구사하여 내러티브를 구성하는 능숙한 화자의 말하기로 볼 수 없는 것이다. 둘째, 5·6학년 학습자의 경험적 내러티브의 구조 발달 수준은 1·2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구조의 발달 수준(평균 5.39 /SD=1.743)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차 늘어나는 학습량을 일정한 수업 시간 내에 다루어야 하기에 좀 더 교사 중심적인 수업이 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즉, 5·6학년 학생들은 진정한 자기표현이 기회 대신에 자신의 경험과 멀어지는 추상적인 학습 내용에 집중하게 되어 오히려 1·2학 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구조 발달 수준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personal narrative discourse of elementary fifth and sixth graders and seeking educative implication by interpre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ide. To achiev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er considers personal narrative’s meaning on aspect of elementary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Researcher also analyzes 104 narrative discourses generated from elementary fifth and sixth graders of Seoul, Gyeonggi, Daegu. The analysis shows that at presenting context in class, the average speaking time of the learner’s personal narrative is 36.87 seconds and the average number of the stories per one narrative is 1.9. It also includes 2.34 sentences and 4.26 C-units on average. And the level of development of personal narrative structure is 3.84(SD = 1.791) on average. Researcher compares the fifth and sixth grader’s personal narrative discourse with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analyzed by Seo, Hyun-Seok et al(2013). First of all, in the fifth and sixth grader’s personal narrative, more modes of telling with additive relation are detected. This is rather far from telling of skillful narrator that constructs narrative by expressing causal relation efficiently. Secondly, the fifth and sixth learner’s level of development of personal narrative structure is analyzed lower than the first and second learner’s(5.39 on average /SD=1.743). This result shows that the higher grade students move, the more teacher-centered class is. Because more quantity of learning must be treated in fixed class hour. In other words, the fifth and sixth students concentrate abstract learning contents instead of true self-expression. This rather influences the result that the fifth and sixth learner’s level of personal narrative fulfillment is lower than the first and second learner``s.

      • KCI등재후보

        Hexabromobenzens 농후 배양에 따른 해면(Axinella sp.) 공생 미생물의 군집구조 변화

        서현석,양성현,배승섭,이정현,권개경,Seo, Hyun-Seok,Yang, Sung-Hyun,Bae, Seung Seob,Lee, Jung-Hyun,Kwon, Kae Kyoung 한국해양바이오학회 2014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Vol.6 No.2

        할로겐화 또는 탈할로겐화에 관여하는 미생물을 특정하고자 해양의 주된 할로겐화합물 생산자인 해면 공생미생물의 군집구조에 미치는 HBB (hexabromobenzene)의 영향을 밝히고자 했다. 혐기 marine broth 2216에서 100ppm HBB첨가 유무에 관계없이 검출된 균주들은 산호나 해면에서 유래한 클론들과 높은 유사도를 보였으며 그 중 Deltaproteobacteria에 속하는 Desulfovibrio marinisediminis와 99% 유사도를 보이는 클론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ostridia계통의 Fusibacter paucivorans와 유사도가 높은 클론과 Lentisphaerae에 속하는 균주들은 HBB에 의해 감소하는 반면 Clostridia계통의 Vallitalea guaymasensis와 유사도가 높은 균주들은 HBB가 있는 경우에만 검출되었다. 알려진 균주들과의 비교 결과로 볼 때 D. marinisediminis 및 V. guaymasensis 계통의 균주들이 할로겐화 및 탈할로겐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Bacteria associated with marine sponges seemed to be concerned in halogenation/dehalogenation process of natural compounds.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hexabromobenzene (HBB) on the community structure of bacteria associated with a marine sponge Axinella sp. from Chuuk State under anaerobic condition was investigated. Regardless of 100 ppm HBB, most of detected microorganisms displayed high similarity with clones reported from coral or sponges. Amongst, Desulfovibrio marinisediminis like clones were dominant. Clones affiliated with Lentisphaerae and Fusibacter paucivorans (Clostridia) were detected at the conditions without HBB but clones affiliated with Vallitalea guaymasensis (Clostridia) increased its proportion with HBB. From these results and previous reports clones affiliated with D. marinisediminis and V. guaymasensis seemed to be concerned in halogenation/dehalogenation process.

      • KCI등재

        MOCVD로 제작한 ZnO의 성장온도에 따른 특성 변화

        서현석,정의혁,조중열,최연익,서오권,Seo Hyun-Seok,Jeong Eui-Hyuk,Jo Jung-Yol,Choi Yearn-Ik,Seo O-Gweon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 2005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Vol.4 No.4

        Characteristics of ZnO films grown on $Si-SiO_2$ substrates at temperatures of $200\sim400^{\circ}C$ by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were investigated. The growth rates and mobilities of ZnO films were dependent on growth temperatures. The field-effect mobilities measured in thin-film transistor structure were $15cm^2/Vsec$.

      • KCI등재

        국어교육을 위한 가정,학교,지역사회 연계의 필요성과 가능성 탐색

        서현석 ( Hyun Seok Seo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4 청람어문교육 Vol.52 No.-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를 둘러싼 중요한 학습 환경인 가정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을 학교의 국어 교육과 연계하는 접근법과 필요성을 논의하고 문식성 향상을 위한 가정·학교·지역사회가 협력하는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그 실천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생태학적 인간발달 체계이론에 근거한 생태학적 관점의 국어교육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고 최근 우리나라 가정환경과 교육의 변화, 학부모의 학교 참여에 대한 요구, 우리 사회의 청소년들의 국어환경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현재 국내외에서 실시되는 가정과 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한 다양한 문식성 함양을 위한 사례들을 살피고 그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앞으로 국어 교육 연구자들은 좀 더 넓은 안목으로 학습자를 둘러 싼다양한 국어 현상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가정과 사회의 풍부한 국어사용 현상에 대한 실제 자료와 자원들을 파악하고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necessity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partnership from family, school and community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leading research insight and some case study searches were applied in terms of how we make learners improve the authentic Korean language ability. There were recent changes in family and educational environment, have been requirements for Parental Engagement in Korean society. Korean language education academia just have focused on effici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But it is needed to seriously consider families and communities which are the important factors surrounding learners and learning environmen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Now, researchers have to look at the surrounding of Korean language learner. And they have to take advantage of and apply the actual materials and resources from the partnership of Family·School·Community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말 문화 개선을 위한 학부모교육 프로그램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서현석 ( Hyun Seok Seo ) 한국화법학회 2013 화법연구 Vol.0 No.22

        이 연구는 최근 사회적 관심을 불러 온 학교폭력의 문제와 관련하여 가정 내 가족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청소년의 언어문화 실태를 살 펴본 후, 자녀의 말 문화를 이해하고, 부모와 자녀 사이의 의사소통을 좀 더 바람직하게 이끌어 갈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 말 문화의 특성으로는 무관심한 반응과 유행어, 비속어, 폭력적 언어 표현 사용의 증가 경향을 논의하였다. 또한 가정 내 가족의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부모들이 자녀들에게 무심코 행하는 협박이나 무시하는 말 등 가정 내 언어폭력은 자녀뿐 아니라 부모의 삶의 질까지도 떨어뜨리며 자칫 민감한 청소년기 자녀의 공격성을 자극하고 학교 폭력을 초래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청소년의 말 문화를 개선하기 위하여 학부모의 협력을 촉구하고 구체적인 실행을 독려하는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은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 구성 방안으로 첫째, 가족 의사소통의 점검 및 중요성 인식 제고, 둘째, 올바른 의사소통 방법의 내면화할 수 있는 장기적인 프로그램 구성, 셋째, 가정에서의 실천을 유도하는 체제 및 방안 마련, 넷째, 부모와 자녀가 함께 활동할 수 있는 가족공유시간 확보 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말 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학부모교육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그 구체적인 실행 방안으로써 학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사회와 정부의 관심을 촉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directions of the parental education program. This program concerns the verbal culture of our youth, which has received great care and interest these days. There are trends within the youth verbal culture, concerning a lack of responsiveness and an over-usage of buzzwords, slang and verbal abuse. Domestic verbal abuse stimulates the aggressiveness of young people, which causes school violence and hinders the quality of family life. In order to improve adolescent verbal culture, we need to make the best use of the parents' education system. The following principles will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first realiz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the family, second internalizing of the right way to communicate, third putting the idea into practice, fourth forming the program to develope parent-child interac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mphasize the need for parental engagement and a concrete parental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the verbal culture of Adolescent.

      • KCI등재

        초,중등 학생의 화법 양성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담화 유형을 중심으로 ; 초등학교 1,2학년의 경험적 내러티브 양상 연구 -학급에서의 발표 상황을 중심으로-

        서현석 ( Hyun Seok Seo ),이주섭 ( Ju Seop Lee ) 한국화법학회 2013 화법연구 Vol.0 No.23

        초등학생들의 말하기 능력에 대하여 연구자들은 늘 관심과 의문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그 실체에 쉽게 접근하지 못하여 왔다. 이 연구에서는 1·2학년 국어 교실의 발표 상황에서 생성된 학습자의 경험적 내러티브 담화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여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에서의 발표 상황에서 학습자가 수행한 경험적 내러티브의 평균 발화 시간은 32.13초였으며, 내러티브 당 평균 에피소드는 1.73개이고, 평균 3.57개의 문장과 4.15개의 C-unit을 포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발화시간, 에피소드 수, 문장 수, C-unit 수 등에 대하여 각각 t검증을 실시하였는데, 각각의 항목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의 차이나, 학년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좀 더 많은 수의 담화를 종적, 횡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지속적으로 살펴본 후 확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실제적 연구를 바탕으로 말하기·듣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Researchers have not accessed to the core of the speaking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even they always have interest and doubt about it. This research is about the aspect focused on personal narrative discourse of learners generated on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Korean class. First of all, at the presentation context in class, the average speaking time of the learner`s personal narrative is 31.13 seconds, the average number of the stories per one narrative is 1.73. It also includes 3.57 sentences and 4.15 C-units average. Secondly, we performed t-verification about speaking time, the number of stories, sentences, and C-units for checking whether there is some difference by sex, and grade. However, it is not found statistically meaningful data on this research. These outcomes could be determined after we analyze more conversation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keep studying them. Also, there will be needed some efforts to make many contents and instructions of spe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based on this practical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아동,청소년의 인성함양을 위한 화법교육의 내용과 방법 탐구

        서현석 ( Hyun Seok Seo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3 국어교육 Vol.0 No.14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a proper content and method of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regarding cultivating good character of youth in terms of reflecting changes in Korean family lives· I tried to seek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regarding family communication· Family literacy is an specific way of communication and a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ways that people learn and use literacy in their home and community lives· The concept of it has roots that extend far into the past and stretches that touch both present and future trends in educ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is not only a concern for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but also a concern for relationship in their daily lifes· Therefore we should make our society collaborative when instruct students the way of listening and speaking· We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keep relationships for a lifetime· To improve the quality of our lives, it is important to help a person be able to use their oral language in the right way which is a vital method for understanding others and expressing themselves· That is the reason why interpersonal communication skills is importance regarding school education system as well as family education· Fortunately, Korean curriculum covers and extends about family communication in these days such as a dialogue of care and an empathy dialogue· But it is needed to have great care and should be taken with systematic approach int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education more and more· We expend much effort to attract voluntary engagement from family, school and community on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for cultivating character of the youth·

      • KCI등재

        국어 표준 화법의 현황과 개선 방안 ; 표준 화법 개선을 위한 인사말 사용 실태와 개선 방안

        서현석 ( Hyun Seok Seo ) 한국화법학회 2009 화법연구 Vol.0 No.15

        이 연구에서는 `인사말` 사용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10~20대 180명을 대상으로 앙케이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 대상자들은 일상생활에서 가족과 같이 가까운 관계의 사람들에게 인사말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 안에서 부부 간의 인사말 사용이 미미하다는 지적이 있는데, 이것은 다음 세대의 인사말 사용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젊은 세대들이 자신의 일 외에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을 보이지 않는 개인주의적 경향과 맞물려 올바른 인사말을 사용했느냐를 따지기 전에 인사말 사용자체의 무재를 초래하고 있다. 연구 대상인 젊은 세대들의 `인사말` 표현에서 다음과 같은 사용 양상이 드러났다. 첫째, 인사말의 격식체보다는 비격식의 두루높임(해요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명령형의 인사말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셋째, 외국어나 전자 통신 언어의 사용에서 비롯된 인사말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대화상에서 진행되는 구두 언어 표현으로서 `인사말`은 `시작하는 말, 받는 말, 비언어적 행동`의 세 가지 모두가 포함된 형식으로 제시되어야 실제 국어생활에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한편에서는 오프라인의 대면 상황에서의 인사말뿐 아니라, 온라인 상황, 전화, 편지글 등 매체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 인사말도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듬어 나가야 하겠다. 앞으로 `인사말`의 표준을 정하는 작업에는 각계각층의 충분한 사회적인 합의와 심도있는 학문적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며, `인사말`의 표준을 정하고 언중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서는 학계와 언론계, 그리고 정부 차원의 협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 and propose the improvement of standardized of greeting expressions of the Korean spoken language. In order to get the actual condition of greeting expressions of the Korean spoken language, a questionnaire was asked to the younger generation about their daily expressions of greeting. In addition I researched preceding studies were carried out. This study revealed some interesting results of Korea`s younger generation greeting expression. Most of all the notable finding was that they didn`t often use greeting expressions in their daily life. They prefer informal to formal expressions of greeting. They prefer the imperative expression when they said `hello`. And they frequently used greeting expressions from the English language or the internet communications language. The standardization of greeting expressions of Korean spoken language should be included all three organic expressions, `Initiate`, `Response`, these ate verbal language, and `Nonverbal language`. And we should refined the standardization of greeting expressions on-line as well as off-line. Furthermore, the other greeting expressions of types of conversations should be studied.

      • KCI등재

        국어교육에서 “배려” 연구의 동향과 전망

        서현석 ( Hyun Seok Seo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4 No.-

        이 연구는 국어과 교육에서 논의되는 ‘배려’의 개념과 내용을 ‘상생화용’과 ‘인성교육’의 측면에서 고찰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생화용의 관점은 그 동안 국어교육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졌던 온 상대를 ‘배려’하는 언어 사용에 관심을 둔 것으로, 서구 중심의 의사소통 이론을 적용해왔던 국어교육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이다. 학습자의 ‘인성’을 함양하기 위한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바른 언어사용’을 위한 내용 성취기준으로 ‘배려하는 표현’을 제시하고,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며 소통하는 교수·학습 운용 방법을 명시한 바 있다. 이는 최근 고시된 2015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도 이어져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 능력’에 기여하는 국어과 교육의 목표 및 내용과 관련을 맺는다. 그 동안 국어교육에서 ‘배려’ 교육에 관한 연구들은 ‘배려적 국어 표현’에 대한 개념을 모색하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논의하면서 진행되어 왔다. ‘말’과 ‘글’을 통한 배려적 삶의 구체화와 실천은 근본적인 국어 교육의 목표라 할 수 있으며, 현행 교육과정의 정신에 비추어 볼 때에 좀 더 강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어교육 연구자들은 ‘배려하는 국어사용’이 교실을 비롯하여 가정과 사회 등 다양한 국어 학습 공동체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국어 교육의 내용을 확장하고 구체화함으로써 공교육을 통한 국어 교육의 실천 방안에 좀 더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the meaning and ways of ``Caring`` in ter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views it with aspects of ‘Sang-saeng language utility`` and ‘Character Education’, considers the trend of Korean education studies for ``Using the Korean under Caring`` and searches for the goal of future Korean education. 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 have been neglec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about Sang-saeng language utility specially attend to communication education for care in verbal communication field, raise question on Korean education that has just reflected Western communication theory and find the alternative plan. Korean language department curriculum revised in 2012 for learner``s cultivation of character suggests ‘right language utility``as standard of accomplishment, refers to ‘caring Korean expression``, emphasizes respect about each other``s opinion in teaching·learning management method. Results of consideration about ‘care`` education notify that studies about ‘care``education constantly have been progressed through various aspects, finding conception of ‘caring Korean expression``, discussion about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s and etc. The fundamental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refine and practice of Caring in life using ``Verbal language`` and ``language``. ‘Using the Korean under Caring’ should be realized in every Korean community including Korean classroom, small ecosystem of real Korean language utility. Future Korean language education need to concretize it and have much attention to practical problem through schoo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