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20대 여성의 건강 행동 실천에 대한 식생활 지침과전통 식생활의 건강신념 수준 비교 분석: 식습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형주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4 산업혁신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20대 여성의 건강 행동 실천에 대한 식생활 지침과 전통 식생활의 건강신념 수준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식습관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2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접 사전조사를 실시한 후, 이를 토대로 선행연구와 함께 서울 지역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5일부터 10월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생활 지침(골고루, 싱겁게, 칼로리 낮게) 건강신념 수준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활 지침(체중조절) 건강신념 수준(인지된 장애, 식이 자아효능감)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생활 지침(건강기능식품) 건강신념 수준(식이자아효능감)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전통 식생활 건강신념 수준(인지된 이익, 식이 자아효능감)은 건강 행동 실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습관(식품선택 습관)은 식생활 지침(골고루, 싱겁게, 칼로리 낮게) 건강신념 수준(인지된 장애, 식이 자아효능감)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식생활 지침(체중조절) 건강신념 수준(식이 자아효능감)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습관(식 행동)은 식생활 지침(체중조절) 건강신념 수준(식이 자아효능감)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통 식생활 건강신념 수준과 건강 행동 실천 간에 식습관(식품선택습관, 식 행동)은 조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20대 여성들을 위한 건강 행동 실천력을 향상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etary life guidelines and traditional Korean foods of health belief levels for health behavior practices of 20s’ women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eating habits. After we ha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two 20s’ women in Seoul area,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5th to October 15th, 2021 20s’ women in Seoul.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ealth belief level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evenly, not salty, low calori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The health belief level(perceived barriers, 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weight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The health belief level(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health functional foo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Second, health belief level(perceived benefits, dietary self-efficacy) of the traditional Koran foo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behavior practices. Third, Eating habits(food selection habits)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perceived barriers, 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evenly, no salty, low calorie) and healthy behavior practices. Eating habits(food selection habits)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weight control) and healthy behavior practices. Also, Eating habits(eating behavior)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dietary self-efficacy) of the dietary life guidelines(weight control) and healthy behavior practices. Forth, Eating habits had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health belief levels of the traditional Korean foods and health behavior pract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gave basic data to improve health behavior practices for 20s’ women.

      • KCI등재

        구강건강신념이 주관적 구강건강을 매개하여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최유진,엄숙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는 구강건강신념이 주관적 구강건강을 매개로 하여 전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성인 2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의 구강건강신념은 평균 3.75점, 구강건강신념의 구성요인 중 민감성 3.41, 심각성 3.73, 중요성 4.22, 유익성 4.19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구강건강은 3.77점, 전신건강은 3.06점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신념과 주관적 구강건강은 부의 상관(r=-0.54, p<0.001)을 가지며, 구 강건강신념과 전신건강도 부의 상관(r=-0.30, p<0.001)을 가지며, 주관적 구강건강과 전신건강은 정의 상관 (r=0.47, p<0.001)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강건강신념은 주관적 구강건강을 완전 매개하여 전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인의 구강건강신념 대한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을 개발하여 올바른 지식과 태도를 바탕으로 구강건강관리를 포함한 포괄적 개념의 전신건강관리를 위한 기초 자 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249 adults to determine the effect of oral health beliefs on total body health by mediating subjective oral heal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bject's oral health belief averaged 3.75 points, the component of oral health belief was 3.41, the severity 3.73, the importance 4.22 and the benefit 4.19, and the subjective oral health was 3.77 points and the overall health was 3.06. Oral health belief and subjective oral health were found to have a correlation of wealth (r=-0.54, p<0.001), oral health belief and total body health also had a correlation of wealth(r=-0.30, p<0.001), subjective oral health and total body health had a relationship of justice(r=0.47, p<0.001). It was also found that oral health beliefs affect total body health by fully mediating subjective oral health.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thought that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for adult oral health beliefs can be developed and utilized as basic data for comprehensive general health care, including oral health care, based on correct knowledge and attitudes.

      • KCI등재

        일부대학 외국인 유학생의 건강행태 및 칫솔질 행태에 따른 건강신념

        윤성욱,권연숙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4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 건강의 유지 및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건강행태와 칫솔질행태의 실태를 분석하고 건강신념과의 관계를 SPSS WIN 12.0 분석해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었다(p<.05). 건강신념의 전체적인 총 평균은 3.71이며 지각된 민감성은 2.99, 지각된 심각성은 3.47, 지각된 이익성은 4.35로 가장 높았다. 건강행태와 칫솔질행태에 따른 건강신념은 비음주가 건강신념과 지각된 민감성이 높았고 금연에서 건강신념과 지각된 이익성이 높았다. 칫솔질범위에서 지각된 민감성이 높았으며 칫솔질 교체시기에서 건강신념, 지각된 심각성과 이익성에서 높았다. 회귀분석 결과 비흡연(p=.009), 칫솔질 교환시기가 1-3개월(p=.000)이 건강신념이 높았다. 총괄적으로 유학생의 건강증진을 위해 올바른 건강 및 칫솔질행태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actual behavior of foreign students health behavior and toothbrush behavior, analyze the relationship with health beliefs, and prepare basic materials for maintaining and promoting foreign students health. Analyzed with the SPSS WIN 12.0 program and gained meaningful results(p<.05). The gross average of health beliefs was 3.71.Perceived sensitivity mean was 2.99, perceived seriousness mean was 3.47 and perceived profitability mean was the highest at 4.35.In the case of Health beliefs according to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behavior, perceived sensitivity and health beliefs was high in non-drinking. Perceived profitability and health beliefs was high in non-smoking. Health beliefs, perceived importance and profitability were high at the replacement time of brushing where the crust was sensitive in the range of brushing. In the brushing range, perceived sensitivity was high. In the brushing exchange cycle, health beliefs, perceived seriousness and perceived profitability were high.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non- smoking(p=.009), brushing exchange time was 1-3 months (p=.000), health belief was high. A comprehensive systematic education of appropriate health and brushing behavior will be carried out for international student health promotion

      • KCI등재후보

        건강신념모델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 국내 건강신념모델 관련 연구 분야 현황과 모델 설명력을 중심으로

        ZHOU NAN,김현미 강원대학교 사회통합연구센터 2023 사회통합연구 Vol.4 No.2

        개인의 건강 행위를 설명하는 데 있어 건강신념모델(health belief model; HBM)은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을 적용한 국내논문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연구들의 양상, 추세, 그리고 이론 자체의 설명력과 예측력을 살펴보았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10년동안 발간된 111편의 KCI 학술지 논문에 대해 코딩 및 분석을 진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신념모델을 이용한 연구 수량은 증가 중인 것으로확인되었다. 둘째, 건강신념모델은 대중의 질병예방행위를 예측하기 위해만들어진 이론 틀로, 질병예방행위, 건강검진행위, 위생습관행위, 건강증진행위, 운동참여행위 등 건강 계열에 진행된 연구가 대다수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HBM의 발전과정에서 추가된 개념으로 관련 연구 중 가장 적게 언급되었으나, 다른 요인에 비해 높은 예측력을 갖고 있다. 넷째, 건강신념모델을 사용한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델은 상대적으로 단순한 양상인 것을 시사하였으며, 건강신념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탐색이 부족한 것으로보인다.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델 연구 분야의 현황과 추세를 파악했으며, 향후 연구의 방향과 모델의 발전 방향에 대해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음에 의미가 있다. Health Belief Model has been widely used to explain individuals’ health behavior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of the research field,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theory itself by conducting a content analysis on Korean researches to which the health belief model was applied. We coded and analyzed 111 published in Korea Citation Index(KCI) between 2011 and 2020. Analysis results are as below: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studies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is increasing. Second, the health belief model is a theoretical framework created to predict the public's disease prevention behavior, due to which most of th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health field such as disease prevention behavior, health checkup behavior, personal hygien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exercise behavior ect. Third, although self-efficacy was added to HBM during its developing process and has been mentioned least among related studies, it has a stronger predictive power than other factors. Fourth, the study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suggested that the presented research model was generally simple. A lack of exploration of predictors affecting factors of Health Belief Model was mentioned as one of our conclusions. This study looked into the current status and trends in the field of Health Belief Model, and we look forward to our study serving as a reference of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model development.

      •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에 대한 융합연구

        임선아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5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에 대한 융합연구로 G지역 S대학교 융복합 과목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26일부터 6월 11일까지 설문지를 배포하여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동의한 학생을 168명을 최종분석하였다. 구강건강신념에서 유익성이 3.99점으로 가장 높았고, 심각성이 2.0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구강건강신념간의 차이에서 치석제거경험은 감수성(p<0.05), 유익성(p<0.001), 중요성(p<0.05)에서 치과방문은 유익성(p<0.05)과 중요성(p<0.05)에서, 구강관리용품 사용은 중요성(p<0.05)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건강의 신념이 매우 중요하며, 올바른 구강건강신념을 갖을 수 있도록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을 배워나가고 행동과 태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대학내에서 구강보건교육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e study was implemented the convergence research on oral health beliefs G area S university convergence course. The final analysis of 168 students agreed to research purpose and method was conducted from March 26 to June 11, 2018. The benefits was highest at 3.99 points, and the severity was lowest at 2.01 about oral health belief. The t-test and ANOVA outcome about oral health improvement behavior and oral health belief were dental clinic visit was benefits and importance, scaling experience was sensitivity, benefits and importance, use of auxiliary oral care products was importance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orted oral health beliefs for oral health improve and a variety of programs for oral health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within university to learn knowledge of oral health behavior and attitude changed for correct oral health beliefs.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운동가치, 건강신념, 운동지속의 인과관계에서 건강증진행동의 조절효과: LPA와 MGA의 혼합적용

        심영균,서은철 한국특수체육학회 2022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ulating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exercise value, health beliefs and exercise continuity of physical disability. For this purpose, data from 290 people were collect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fter selecting as a population the physical disability who live in Seoul, Gyeonggi, Incheon, Gangwon, Chungbuk, Chungnam, Jeonbuk and Gwangju regions and participate in daily sports. A total of 268 data were used as the final valid sample after excluding the data of 32 subjects whose responses were omitted or inconsistent among the collected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atent profile analysis, and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jamovi 2.0, Mplus 8.1, and Amos 23.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lassification latent profiles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health promoting behavio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low, medium, and high). Second, the exercise value of the low group had a negative(-)effect on disability, a sub-factor of health belief, Benefit a sub-factor of health belief,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continuity, exercise value was found to had a positive(+)effect on exercise continuity. and the exercise value of the middle group had a negative(-)effect on sensitivity and positive(+)effect on benefit of health belief, exercise value was found to had a positive(+)effect on exercise continuity. Also the exercise value of the high group had a positive(+)effect on benefit, which was a sub-factor of health belief, and exercise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continuity. third. the three groups classified as potential profiles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Third, the path effect of exercise value → exercise continuation of the three groups of latent profiles of classified health-promoting behaviors was found to be the same. 이 연구는 지제장애인의 운동가치, 건강신념, 운동지속의 인과관계에서 건강증진행동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북, 충남, 전북, 광주지역에 거주하고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지체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편의표본추출법을 활용하여 29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중 응답내용이 누락되거나 일관성이 결여되는 32명의 자료를 제외한 후 총 268명의 자료를 최종유효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처리는 jamovi 2.0, Mplus 8.1,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잠재프로파일분석, 다집단 구조방정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건강증진행동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한 결과, 건강증진행동은 세 가지 유형화된 집단(low, middle, high)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low집단의 운동가치는 건강신념의 하위요인인 장애성에 부(-)적인 영향, 건강신념의 하위요인인 유익성은 운동지속에 정(+)적인 영향, 운동가치는 운동지속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iddle집단의 운동가치는 건강신념의 하위요인인 민감성에 부(-)적인 영향, 유익성에 정(+)적인 영향, 건강신념의 하위요인인 유익성은 운동지속에 정(+)적인 영향, 운동가치는 운동지속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middle집단의 운동가치는 건강신념의 하위요인인 유익성에 정(+)적인 영향, 운동가치는 운동지속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강증진행동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된 세 집단의 운동가치→운동지속의 경로효과가 동일함을 의미한다. 즉, 세 집단 간 조절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동일성 모형의 운동가치→운동지속의 경로효과는 세 집단 모두 동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여성의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구강보건교육인식도 조사 - 일부 농어촌지역 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

        구인영,가경환,천종애,문선정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4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marriages and the influx of foreigners increase with its economic development, improved international status and deepened imbalance of marriage supply-demand, and the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ies increases fast with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s.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eline data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a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by comparing oral health behaviors and oral health education needs with oral health beliefs or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through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belief and oral health recognition with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 Rural Area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interview method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with 256 married immigrant women who were using a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mmigrant support center or immigrant women-related centers of those living in agricultural and fishing areas of the Yeongnam region from January 27 through March 31, 2017. With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18.0 statistical softwar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oral health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x-2 test was conducted, and for the sensitivity, severity, disorder degree, benefit, and importance of the sub-factors of oral health belief, the average values were presen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oral health belief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ne-way ANOVA and Sheffe’s posthoc test were conducted, and to analyze the impacts of the sub-areas of oral health belief on effects of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education need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p<.05. As a result of the study, as for the variables having significant impacts benefit(β=1.232)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gular oral examination. Sensitivity(β=2.787) and severity(β=.568) had significant impacts on scaling experience. Severity(β=.214) and benefit(β=.190)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awareness of the need of scaling. Severity(β=.214) and benefit(β=.155)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need of oral health educat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would compare the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belief and oral health recognition in the married immigrant women and seek a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oral health in connection to the sub-areas of oral health belief in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oral health in the future.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hat it provides the baseline data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a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married immigrant women’s recognition of oral health and a plan for its utilization. 우리나라는 경제발전과 국제적 지위 향상, 혼인수급 불균형의 심화로 국제결혼과 외국인 유입이 증가하고 있으며, 국제결혼의 양적증가로 다문화가정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국제결혼의 증가로 여성 결혼 이민자들의 건강은 다문화 가족 전체의 건강과 안녕에 직결되며 우리사회 전체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일부농어촌 지역의 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구강보건교육인식도와 구강건강신념의 관련성 연구를 통하여 구강건강관리 행위를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7년 1월27일부터 3월 31일까지 일부 영남지역 농어촌에 거주하는 결혼 이주여성 중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이주민지원센터, 이주여성 관련센터를 이용하는 대상자 256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방법과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인식도는 항목 간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x-검정을 실시하였고, 구강건강신념 하위요소의 감수성, 심각성, 장애도, 유익성, 중요성은 평균값을 제시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신념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One-way ANOVA, sheffe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고, 구강건강신념 하위영역이 구강관리행태와 구강보건교육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하였다. 연구결과 정기구강검진 유무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유익성이 β=1.232, 스켈링 경험에는 감수성 β=2.787, 심각성 β=.568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켈링 필요성 인지도는 심각성 β=.214, 유익성 β=.190, 구강보건교육 필요도는 심각성 β=.214, 유익성 β=.155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결혼 이주여성의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구강보건교육인식도와 구강건강신념의 관련성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에서 구강건강신념의 하위영역과 연계한 구강건강증진 프로그램을 모색하고자 한다. 또한 결혼 이주여성의 구강건강 인식개선 프로그램 및 활용방안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2016년 건강영향평가 사업 운영 - 노화 관련 건강결정요인과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및 건강영향평가의 제도적 도입 지원 연구

        김정선,서미경,최은진,오미애,이난희,윤시몬,강아람,정진욱,손애리,김성민,송기민,김민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건강영향평가는 공공정책 수립을 위한 정보 제공 및 건강 결과를 예측하는 사업으로, 우리 원에서 하는 건강영향평가 사업의 목표는 건강영향 평가를 우리나라에서 제도화하는 것임. 이를 위한 준비 과정으로 다음의 세 가지 방향에 따라 연구 사업을 수행하고 있음. 첫째, 건강영향평가 도입 분위기 조성을 위해 지방자치단체, 중앙단위 정책에 대한 평가시범사업을 실시하고, 둘째, 건강영향평가 인프라 구축을 위해 건강결정요인별, 지역별 특성에 따라 건강영향평가 시범사업을 선정해 실시하고, 건강결정요인별 건강영향평가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며, 셋째, 정책연구 수행을 통한 제도화 방안을 제시하고, 아시아태평양지역 건강영향평가의 중심 역할을 수행함. 특히 공공정책의 현장에 있는 지방자치단체에서 건강영향평가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음. 이에 따라 2016년도에는 지자체의 제도화를 위해 서울시 서초구와 긴밀하게 공동연구를 수행하였고, 반딧불센터 운영사업과 양재천 종합정비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를 수행해 긍정적 영향을 극대화하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권고사항들을 제시함. 또한 초고령 사회로 치닫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고려해 고령자와 같은 취약인구집단 또는 잠재적 취약인구집단의 건강결정요인과 관련한 지표를 생산할 수 있는 조사를 실시하여 고령자의 건강 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기초자료와 건강의 형평성과 관련한 지표를 생산함. 한편 고령자 관련 보행환경 개선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를 수행하고 대상사업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함. 2. 주요 연구 결과 및 시사점 우리나라는 환경보건법에 따라 건강영향평가를 실시하기는 하나, 이는 일부 개발사업에 제한적으로 적용되며, 중앙 및 지방정부에서 수행하는 정책, 사업에 포괄적으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임. 아직 정부 차원에서 독립적인 건강영향평가 법률 제정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전북 무주군과 서울 서초구 등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자체적으로 포괄적이고 독립적인 건강영향평가 조례를 만들고, 제도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지방자치단체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의 원칙은 첫째, 환경영향평가의 일부가 아??독립적인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로, 건강증진에 직접적인 효과를 많이 도출하고자 하는 것임. 두 번째는 포괄적인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로서 포괄적인 건강 요인(건강, 사회, 물리적 요인)을 포함하며, 법, 제도, 계획, 사업을 대상으로 하고, 건강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범위를 포함해야 실질적으로 건강친화적 정책이 수행되고 시민의 건강증진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임. 건강영향평가 지자체 모형 개발의 최종 목표는 지속가능한 건강영향평가 법제화 모형 개발 및 수행이 용이하고, 확산이 쉬운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며, 이번 연구 결과로 개발된 모형은 2017년 시범사업을 거쳐 수정 보완 후, 지방자치단체에 확산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중앙단위의 법제화를 목표로 함. 건강영향평가 인프라 구축을 위한 연구로써 성공적 노화와 관련한 건강결정 요인의 설문 도구는 싱가포르국립대학과 공동으로 개발하여 2012년 서울시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1차 조사를 추진한 바 있음. 중고령자 대상 양적인 조사에서는 연령별 차이, 성별 차이, 교육수준의 차이, 소득수준의 차이 등에서 성공적 노화와 건강 관련 요인, 사회적 자본 등의 요인이 관련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음. 본 조사를 통해서 건강영향평가의 건강결정 요인의 지표를 개발함으로써 개인의 건강 유지 및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요인을 다양한 차원에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보고서에 나타난 유럽의 동향 분석에 의하면 횡단면 연구를 기준으로 볼 때 지역 수준의 사회적 자본과 건강 수준은 긍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관련성이 없는 연구보고도 있음. 사회적 참여를 포함한 사회적 자본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개인의 건강관리 행동 또는 건강생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된 바 있음. 따라서 정책이나 사업의 계획단계에서 사회적 자본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방향으로 개발해야 할 것임. 건강영향평가에서 사회적 건강결정 요인을 고려할 때 사회적 자본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영역을 검토해야 하며, 인구학적 특성과 같은 고정적 요인이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개발하고 추진해야 함. 이를 위해 사회적 자본을 증가시키는 방향의 정책요인을 개발해야 하고 건강영향평가를 통해 고려할 수 있도록 해야 함.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노력에는 저소득층의 소득이나 사회활동 지원을 위한 사회적 정책이 해당함. 우리나라는 인구학적 특성으로 인한 건강 불평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민건강 증진 종합계획의 정책 목표에 인구집단별 건강증진 목표와 세부사업이 개발된 바 있으나, 노인 건강과 관련한 사업은 만성질환의 예방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어 사회적인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과제를 더 개발해야 할 것임. 우리나라 정부의 노인복지 측면 정책으로는 노인소득보장, 요양 및 건강보장의 정책이 대표적임. 사회적인 측면의 정책으로는 노인 일자리 정책이 대표적인데, 외국의 정책 사례에서 보면 정부의 사회경제적 지원 정책이 취약계층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한다는 점이 특징임. 모니터링 지표는 건강의 다양한 차원을 고려하여 사회적 취약계층의 건강 불평등과 관련한 지표로 개발되고 있음. 사회적 자본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참여를 증대시킬 수 있는 사회적 기회를 마련해야 함. 또한 중년 이후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사회적 자본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교육 기회도 더 늘려야 함. 건강영향평가를 시행할 때 성공적 노화 및 사회적 자본의 요인을 고려함으로써 이러한 정책요인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임. 고령자 대상 정책사업들 중 건강영향평가 대상사업을 선정하기 위해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고령자의 인식을 파악한 결과, 고령친화산업에 대한 중고령자의 인지도는 전체 1000명 중 43%가 인지하고 있고, 이용경험이 있었음. 그러나 향후 이용 의향은 13.8%로 낮게 나타났으며, 남성보다는 여성이 높았음. 고령친화산업 분야별 인지도는 요양산업, 주거산업, 의료기기산업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이어 용구용품산업, 금융자산관리산업, 의약품, 식품, 화장품, 여가문화산업 순으로 나타남. 또한 고령친화산업의 전반적인 우선순위 평가 결과 전체적으로 의약품, 요양, 주거, 식품이 우선순위 중 상위를 차지함. 이들 고령친화산업 중 우선순위가 높은 주거분야에서 운영위원회의 전문가 자문을 통해 고령자 보행환경 개선사업이 평가 대상으로 선정됨. 고령자 보행환경 개선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사업에 대한 권고사항이 도출됨. 긍정적인 건강영향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으로는 첫째, 교통안전활동 강화를 위해 농촌지역의 국도 통과 도로변 마을입구에 표지판, 가로등을 추가 설치해 운전자의 속도 조절을 지원할 필요가 있음. 둘째, 횡단보도의 길이에 대한 인식은 연령이 많을수록 짧다고 느끼고 있어 장애인용 횡단보도의 점자보도와 알람 등과 같이 횡단보도 시간 연장 욕구가 있을 시에 조절할 수 있는 시설 설치가 유용할 것임. 셋째, 고령자들의 교통안전교육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는 91.3%가 필요하다고 응답함. 이에 비춰 볼 때 고령자 교통안전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따라서 경찰 내에 노인교통안전교육 전문가를 육성하고 체계적이고 통일된 고령자용 교통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노인교통안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음. 넷째, 교통안전교육의 콘텐츠로는 횡단보도의 녹색 점멸등에서도 건넌다는 응답률이 높아 점멸등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줘야 할 것임. 야간 외출 시 밝은 색상의 옷을 입을 것을 포함하여야 할 것이며, 야광 띠 사용도 적극 권장하며, 건강 형평성 차원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부담이 되는 시설 개보수와 같은 사업보다는 자원봉사자 또는 고령자의 자발적인 협조가 필요한 사업을 발굴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임. 결론적으로 교통 환경은 고령자들의 건강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현재의 보행환경은 조사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고령자들에게는 불편한 면이 있음. 따라서 보행환경 조성사업과 교통안전교육을 통해 고령자들 스스로 교통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함. 1. Background and purposes Health impact assessment (HIA) provides information to establish a health orientated policy and predict the health impacts of different policy alternatives. This study aims to institutionalize HIA in Korea.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3 different research projects were carried out as a ground work. First, introduction of HIA was prepared by conducting a pilot project against local and central governmental policies. The second research was the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for HIA. Pilot project was also executed and HIA guideline was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determinants of health and regional factors. Third, the policy research was performed to suggest strategies for institutionalization of HIA. This is intended to play a central role of HIA in Asia-Pacific region. Local governments are especially in need for implementation of HIA system, as they are first at the scene of public policy. Therefore, a collaborative research was conducted closely with Seocho-gu in Seoul for institutionalization in local government in 2016. HIA was implemented for Firefly center operation and Yangjae-stream integrated improvement projects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maximize the positive impacts while minimizing negative effects. As Korea is becoming a super-aged societ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create an index related to the health determinants of vulnerable populations such as senior citizens or the potentially vulnerable population. Required basic information for analysis of the health determinants of the aged group and the equity-focused health index were created. Further, HIA was executed on pedestrian improvement project for old age population and recommendations were drawn. 2. Results and Implications Based on Environmental Health Act, HIA should be conducted in Korea. However, its application is limited to certain development projects, and is not applied comprehensively to local and central governmental projects. There is no independent enactment of an Act regarding HIA at a governmental level. However, some local governments such as Muju-gun in Jeonbuk and Seocho-gu in Seoul implemented a comprehensive and independent HIA regulations and attempted its institutionalization. The first fundamental for development of a local governmental HIA institutionalization model is to develop an independent model, which is not a par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objective is to induce more direct impacts on health improvement through this model. Second,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HIA institutionalization model that encompasses all-inclusive determinants of health(health, social, physical factors), subjected to laws, systems, plans and projects. All direct and indirect health impact factors should be included to execute a realistic health promoting policy, consequently the citizens can experience health improvement effects. The final goal of local governmental HIA model development is to create a sustainable HIA institutionalization model that transfer and implementation are easy. The model that has been developed as an outcome of this research, would be improved after pilot studies in 2017. This model will be distributed to local governments with a long-term goal of institutionalization at the central government. In 2012, the first survey on determinants of health that are related to successful aging was conducted against senior citizens in Seoul as a part of the infrastructure building research for HIA. A quantitative analysis subjected to senior citizens showed that a successful aging was associated with health and social related factors such as age, gender, and income level differences. An index for determinants of health was created for HIA. This index is expected to enable a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factors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personal maintenance and health. A trend analysis of Europe in OECD report showed that local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level of health when transversal data were observed.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ome studies showing no relationship between them. Social capital including social participation revealed to influence the personal health management behavior or health life, directly or indirectly. Thus, policies and projects should be developed in such a way that it impacts positively on social capital during the planning stage. Whe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are considered during HIA, areas where it can influence the social capital should be examined.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in a way that the influence of fixed factors on health inequality, such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s minimized. To obtain this, the elements of the policies that increase social capital should be generated, and this should be reviewed during HIA. As an effort to minimize the impacts on health inequality, social policies should support income and social activities for the low-income population. In Korea, to minimize health inequalities caus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promotion goal by population group and a sub project were created as a part of the comprehensive plan for national health promotion. However, Korea`s senior wellness program focuses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ronic illnesses. Thus, further project development is needed for social health improvement policies. Korea`s major senior wellness program includes guaranteed income supplement, illness recuperation, and health insurance. Whereas the main social wellness program is an employment policy for seniors. Reviewing overseas`cases, their main characteristics are continuous governmental monitoring that ensures the penetration of their socio-economical support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s. Monitoring index is also developed considering multi-dimensional aspects of health inequalities of socially vulnerable population. To expand social capital, social opportunities should be created to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For the middle age and older populations to increase their social capital with diverse methods, their education opportunities should also be boosted. When HIA is conducted, successful aging and social capital factors should be reflected to the elements of the policies. To select the policies for seniors to apply HIA, awareness of senior friendly program amongst old age population was investigated. Amongst 1000 middle/old age group, 43% were aware of the senior friendly programs and have used the service. However, only 13.8% were willing to use the service again in the future, where females were more eager than males. Illness recuperation, housing, and medical equipment projects were the most recognized services, which are followed by supplies or an article, financial asset management,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food, toiletries, and leisure and cultural services projects. Priority analysis revealed that medicine and medical supplies, illness recuperation, housing and food were at the top of the priority list. As part of the housing project, which has a high priority, pedestrian improvement project for seniors was selected for an evaluation through the expert advice from operating committee. Based on the results of HIA of pedestrian improvement project for seniors, recommendations were drawn. First recommendation to produce positive health impact is enforcing road traffic safety. This is achieved by means of regulation of traffic speed through implementing traffic signs and street lights at the entrance of the rural villages where a national highway passes. Second, as people get older, their perception of the length of the pedestrian crossing becomes shorter. Therefore, installation of a facility that can control the crossing time would be useful such as tactile paving and an alarm system implemented for the disabled. Third, 91.3% responded that a road safety education is required for elderly people, confirming that the majority agrees that the road safety education is necessary. Therefore, it is essential for police department to train professional elderly road safety educators to operate a systematic and unified road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senior citizens to promote the road safety for elderly people. Forth, precaution for green flickering light must be added to the road safety program, since high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stated that they cross at the flickering light. Further, wearing bright color cloths should also be added to the program1) and wearing reflective safety gear should also be encouraged. For health equity, it is more suited to create and develop projects that are based on volunteers and voluntary corporation of elderly people, in contrast to high cost projects such as facilities renovation and maintenance. In conclusion, the road and traffic environment influences the health of senior citizens directly and indirectly. The survey showed that the current pedestrian environment is inconvenient for elderly people. Therefore, self-protection should be encouraged for the senior citizens from the road hazard via implement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and road safety education projects.

      • KCI등재

        지체장애인의 건강신념이 운동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영혁,박수경,이현수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2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5 No.2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health belief of the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as different from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and thereby how health beief of the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affected exercise behavior change in order to provide significant data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health belief necessary to enhance the health of the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and predict and identify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379 people participating in sports for the disabled. In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of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change by Hye-ja Jeon and Jae-hyun Park(2005) and the health beliefs by Kyung-man Son(2008). MANOVA,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s used by SPSS 14.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belief by sex, the degree of disability, the presence of a family sports participants, and sports participants of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Secondly,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ges of exercise behavior by sex,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the presence of a family sports participants. Thirdly, the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recognized obstacles among a sub-primary factor in health. The tests showed that negative significance influence on exercise behavior changed a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clue of action. The benefits and sensibility that were beneficial were significance effect on the change of the exercise behavior on a people with physical impairments. On the other hand, the recognition was acute and was not significance influence on their changes. 본 연구는 지체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신념과 운동행동변화단계에 대한 특성과 지체장애인의 건강신념과 운동행동변화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체장애인 37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손경남(2008)이 사용한 건강신념 설문지와 전혜자, 박재현(2005)의 운동행동단계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일원다변량 분산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성별, 장애등급, 가족 중 생활체육 참여자 유무, 생활체육 참가 유무에 따라 건강신념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지체장애인, 장애등급, 가족 중 생활체육 참여자 유무에 따라 운동행동단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체장애인의 건강 신념이 운동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 결과 건강신념의 하위요인 중 행동계기, 인지된 이득, 인지된 민감성은 지체장애인의 운동행동변화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장애는 지체장애인의 운동행동변화에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지된 심각성은 지체장애인 운동행동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 감염에 대한 건강신념 및 위생행위 간의 관계

        신선화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s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health beliefs about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hygien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and 252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an university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November, 2018. As result, health promoting lifestyle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gender and perceived health status. Hygiene behavior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major,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health beliefs about emerging infectious disease. In providing health-related education to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include content that can establish health beliefs about emerging infectious disease, and to develop a program that comprehensively deals with hygiene activities that can prevent these diseas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 및 위생행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서울에 소재한 일개 대학에서 252명 대학생이 건강증진 생활양식,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 및 위생행위에 관한 질문을 포함하는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성별과 지각된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신종전염병 예방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대학생과 그렇지 않은 대학생에서 위생행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생의 위생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 건강증진 생활양식 및 신종전염병에 대한 건강신념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건강관련 교육을 적용함에 있어서 신종전염병에 관한 건강신념을 확립할 수 있는 교육내용을 포함할 필요가 있으며, 신종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는 위생행위를 포괄적으로 다루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