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임영관,고미애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3 산업혁신연구 Vol.39 No.1
ABSTRACT In this study,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necessity of new competitiveness for Korea to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increasing global medical tourism market. In order for Korea to have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industry, it needs to develop new medical technologies and services and infrastructure rather than relatively cheap medical water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Based on this research,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experts in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and derived data on the necessity, development plan, and expected effect of food treatment in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Based on the need for development in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in terms of prevention and management, an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development into one content, the government will unify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customize patients and users, and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medical tourism industry.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food therapy in the Korean medical tourism industry has been conducte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and through such research, it can be expected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evaluation of the Korean medical tourism industry. 본 연구에서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세계의료관광시장에서의 한국이 경쟁우위를 갖기 위한 새로운 경쟁력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국이 국제의료관광산업에서 경쟁우위를 갖기 위해서는 기존의 높은 기술력을 앞세운 의료기술과 상대적으로 선진국대비 저렴한 의료수가가 아닌 서비스 및 인프라적 부분에서의 새로운 개발이 필요하고, 여기에 음식치료는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 이후 치료 중심의 관점인 예전의 건강관리가 아닌 예방차원의 건강관리로의 인식의 변화에 적합한 건강관리에 대한 접근방식으로, 단기치료 중심의 의료관광서비스에서 중장기적인 관리와 치료 이전과 이후에도 꾸준히 소비를 촉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으로 한국의 새로운 의료관광상품으로서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진행 중인 음식을 이용한 건강관리에 대한 추세와 세계적인 음식치료에 대한 인식을 연구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를 토대로 의료관광산업에서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의료관광산업에서의 음식치료에대한 필요성, 개발 방안, 기대효과에 대하여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시대의 흐름에 맞게 예방 및 관리 측면에서의 음식치료에 대한 의료관광산업에서의 개발 필요성과 한국의 의료관광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음식치료 및 하나의 콘텐츠로의 개발 확장에 대한 가능성을 기반으로 개발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이와 같은 개발에 대하여 현재의 한국 의료관광산업에서의 정부부처 통일, 환자 및 이용자 대상의 맞춤화, 한국형 음식치료 개발 모델에 대한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의 의료관광산업의 경쟁력 및 차별화가 강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 의료관광산업에서의 음식치료 개발에 대하여 실무적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낮아지는 한국 의료관광산업 평가에 대하여 다시 경쟁력 확보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노영진,조윤애,성열용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8 산업혁신연구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산업기술 분야에서의 정부 연구개발투자가 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 로 분석하였다.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의 자료를 활용하여 산업기술 분야의 연구개 발투자와 성과자료를 구축한 후, 과제의 연구개발투자가 국내외 특허, 기술료 수입, 사업화 여부 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NTIS 자료는 국가연구개발 차원에서 수행된 과제별 미시적 정 보와 특징, 그리고 성과를 보유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자료로, 정부의 연구개발예산으로 진행되 는 모든 사업들을 포괄하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분석 결과 산업기술 분야의 연구개발투자가 국 내외 특허 성과와 기술료 수입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사업화 여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은 과제 특성별로 상이하게 나타났 는데, 연구개발단계가 개발단계인 경우, 연구수행 주체가 기업인 경우, 산학연협력 과제가 아닌 경우에, 국내외 특허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기술료 수입과 사업화 성공 여부에는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 산업기술 R&D가 보다 사업화의 성공에 초점 을 두어야 하며, 국내 산업기술 분야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사업화를 성공적으로 이끌 기 위한 다양한 환경 조성과 수요자 중심의 산학연협력 등이 보다 필요함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government R&D on its performance in the area of industrial technology. Using the raw data from the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we construct the R&D investment and its outcome data by project level in industrial technology area, and estimate how R&D investment of project affects its outcome variable such as patent, income from royalty, and the possibility of being commercialized. Our estimation suggests that R&D investment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domestic and foreign patent, yet a negative effect on the commercialization. Also, we found that this relationship would depend on the project specification. As the project would be performed in the stage of development, or by firms, or by an industry-academy-research cooperation, R&D investment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its patents, yet negative effects on royalty income and the possibility of commercializat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rime purpose of public R&D in industrial technology should be more focused on commercialization, and industry-academy-research cooperation should be led by a firm that needs a technology the most.
남종석,홍장표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7 산업혁신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대중소기업간 거래관계가 중소기업 연구개발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비협력기업의 연구개발투자를 표준으로 하여 대중소기업간 거래관계에 참여하는 협력중소기업의 연구개발투자를 비교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중소기업간 거래관계에 참여하는 협력기업의 연구개발집중도는 비협력기업의 연구개발집중도 보다 1% 유의 수준에서 더 적었다. 둘째, 거래단계별로 보면, 연구개발집중도는 비협력기업, 1차 협력기업, 2차 협력기업 순으로 나타났다. 1차 협력기업보다 2차 협력기업의 연구개발집중도가 더 낮았다. 이는 거래단계의 아래로 내려갈수록 기업규모가 작아지고 협력기업에 대해서는 높은 기술수준을 요구하지 않는 중간재의 납품을 외주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셋째 산업별로 보면, 고위기술산업, 중위기술산업, 첨단 기술산업에서는 1차 협력기업과 2차 협력기업 모두 비협력기업보다 유의한 수준에서 연구개발집중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기업들의 연구개발투자가 줄어든다면 장기적으로 대기업에 대한 중소기업들의 협상력을 약화될 것이며 중소기업의 성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협력 중소기업들의 연구개발투자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이유이다. This study compares the R&D Investment of the SMEs participating in supplier networks with the R&D Investment of the non-supplier companie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upplier networks on the RDI of SM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RDI of the sub-contracters participating in the suppliers networks is smaller than that of non-participants. Second, in terms of transaction stages, the RDI was in the order of non-cooperating companies, primary sub-contracters and secondary sub-contractors. The R&D Investment of secondary suppliers was lower than that of the primary suppliers. Third, in the high-tech industry, the medium high-tech industry and the medium low-tech industry, both the primary sub-contracters and the secondary sub-contractors showed a lower level of RDI than that of the non-cooperating firms. If the R&D Investment of SMEs is reduced, the bargaining power of the suppliers will be weakened in the long run and the growth of SMEs will be negatively affected. This is why we need the new industrial networks to promote SMEs' R&D Investment.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기술혁신패턴과 기업성과에 관한 연구
류희숙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0 산업혁신연구 Vol.26 No.2
기술혁신연구는 주로 제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1990년대 이후 서비스 산업에서 기술혁신을 통해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는 과정과 R&D 투자 행태, 서비스 기업의 신기술 도입과 활용, 그리고 서비스 산업의 혁신이 제조업과 다른 차이점들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산업의 기술혁신에 대한 연구가 주로 서비스 업종별 횡단적 분석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산업 발전에 따라 서비스의 유형이 어떻게 변화되는 지에 관한 종단적 분석은 시도되지 않았던 것을 보완하여 한국 이동통신 서비스 산업의 시장규모 성장에 따른 이동통신사업자의 기술개발활동의 발전과정을 사례로 기술혁신패턴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사업자의 기술혁신을 서비스제품혁신과 서비스공정혁신으로 구분하고, 신규 서비스 출시를 기술기반서비스와 시장기반서비스로 구분하여 혁신패턴을 분석하였는데, 여기에는 특허데이터와 서비스 출시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특허데이터는 한국특허정보원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고 서비스 출시 데이터는 각 사업자가 발표한 자료를 토대로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기술혁신과정에서 기술공급자인 단말기 업체의 기술발전과 정부의 통신사업자 추가 도입, 단말기보조금 지급, 번호이동성 보장에 대한 규제에 따라 기술혁신과 서비스 출시가 변화함을 볼 수 있었다. 특히 선두기업은 기술혁신과 신규 서비스 출시에 있어서 우위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경영성과가 좋은 기업이 기술혁신에 자원을 투입하고 그 결과로 활발한 기술혁신이 일어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이동통신 서비스 기업의 혁신과정에 대해 특허자료를 통해 실증적 분석을 했다는 것과 정부규제가 완화되고 경쟁이 증가하는 정보통신 산업에서 기업의 향후기술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이동통신 서비스 산업만을 대상으로 기술혁신패턴을 분석한 것이므로, 향후 금융, 소매업, 교통 서비스 등 타 서비스 산업에 대한 기술혁신패턴 연구로 확장하여 일반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강언비,황혜원,김아름,전정환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2 산업혁신연구 Vol.38 No.4
디지털 뉴딜 정책은 전 산업 분야에서의 연계 및 통합을 통한 융합적 산업 생태계 도래를 촉구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며 이후 정상화를 위해 디지털 전환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함께 DNA 생태계 강화, 비대면 산업 육성 등 다양한 뉴딜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세부 실행 방안의 선제적 제시가 필요하다. 코로나19로 인해 주력산업을 중심으로 제주경제의 어려움이 가중되어 경제산업 구조를 보다 지속가능한 구조로 구축하는 등 위기에 대한 적극적 대응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의 디지털 뉴딜의 정책 방향성과 연계하여 제주 산업에 적용가능한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비대면 산업 가속화로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이 빨라짐에 따라 제주형 디지털 뉴딜 정책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론과 4차 산업혁명 기술에 기반한 산업 생태계 활성화 전략을 제시한다. SWOT과 STEEP 분석 방법을 활용해 제주 산업 생태계 현황을 파악하고 최신 ICT 기술을 바탕으로 한 연계 방안과 이를 활용한 제주 문화․관광 재도약 방안을 모색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주 맞춤형 디지털 전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여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제주지역 특성에 맞는 신산업 발굴 및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규모에 따른 R&D 효과에 대한 연구 : 한국의 제조업을 중심으로
김원규,김진웅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7 산업혁신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연구개발투자가 생산성 증가율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그리고 정부의 연구개발지원이 민간의 연구개발투자를 촉진하는지 등에 대한 분석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분석결과들이 기업규모별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토하여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연구개발의 생산성 향상효과는 소기업군과 중기업군 순으로 컸으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었다. 그러나, 동 효과는 중견기업군 및 대기업군에서 통계적으로 비유의적이었다. 한편 정부 지원의 민간 연구개발 투자 촉진효과를 보면, 중기업군을 제외하고는 모든 규모의 기업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었으며, 효과의 단순 크기면에서는 소기업군, 대기업군 그리고 중견기업의 순서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using empirical analysis the effect of R&D investment on productivity growth, the promotion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for R&D on the R&D investment in private sector, and the differences in those effects among different firm size groups.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the significant effects of R&D investment on productivity growth, in order of coefficient size, are small-size enterprises and medium-size enterprises. Those effects in enterprises of middle standing and large-size enterprises are all insignificant. Meanwhile, the promotion effects of government support for R&D on the R&D investment in private sector are significant in all type enterprises except medium-size enterprises. The promotion effects, in order of coefficient size, are small-size enterprises, enterprises of middle standing, and large-size enterprises.
국제 비교를 통해 살펴본 국내 철강 산업의 문제점 : 산업연관분석을 중심으로
임상수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0 산업혁신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6대 철강 수출국인 독일, 일본, 벨기에, 미국, 프랑스, 한국의 철강 산업에 대한 국제 비교를 통해 국내 철강 산업의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철강 산업은 전산업에서 차지하는 생산과 부가가치 비중이 크며, 또한 전후방연쇄효과가 크고 수출 비중 및 고용 비중이 커 중요한 산업으로 분류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철강 산업의 무역수지는 악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철강 산업의 무역수지가 악화되고 있는 것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OECD에서 제공하는 산업연관분석표를 활용했다. 분석 결과 노동생산성은 높은 수준이지만, 순 생산유발효과는 6대 수출국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산업연관효과가 미약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 철상산업의 순 부가가치 유발효과 역시 낮았으며, 생산 1단위당 부가가치 창출 효과도 낮은 수준을 보였다. 철강 산업의 수입 투입률이 분석대상 6개국 중 가장 높았으며, 이 때문에 외화가득률이 낮은 수준을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 전산업 중 철강 산업 피용자 보수 비중과 노동 비용 비중이 분석대상 6개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요약할 때, 6대 주요 수출국과 비교한 한국 철강 산업의 문제점은 산업연관효과 미약, 부가가치 창출이 미흡, 외화 가득률 저조, 고임금 등 4가지를 들 수 있다.
송원근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3 산업혁신연구 Vol.29 No.2
최근 들어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출 등으로 중소기업 경영환경이 악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대기업과의 상생이나 동반성장, 혹은 양극화 해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관심도의 제고가 아니라 하더라도 중소기업은 경제 성장과 고용 창출에 핵심적인 부분을 이루고 있다. 특히 산업구조 고도화와 함께 기술 융합화나 복합화 현상이 가속화되고,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기업간 경쟁보다는 협력에 기초한 동반성장이 기업이나 산업의 성과뿐만 아니라 경제성장에도 더 효과적이라는 인식에는 대체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런 점에서 지난 정부도 대·중소기업 간 동반성장을 촉진하기 위하여 동반성장위원회를 정부 산하에 설치하고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중소기업간 갈등요인 발굴 및 사회적 합의 도출, 기업별 동반성장지수 산정‧공표, 중소기업 적합 업종‧품목의 지정, 동반성장 성공모델발굴 및 확산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노력들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이익공유제와 성과공유제이다. 그러나 일부 가시적인 성과에도 불구하고 대·중소기업간 동반성장을 통해 그동안의 거래관행을 개선하고 새로운 기업문화를 정착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논문은 대·중소기업간 동반성장을 위한 기존의 정책적 노력과는 별개로, 현행 개별기업별 기업연금체제와 동시에 각 산업별로 산업연금펀드를 조성함으로써 이익공유를 실현하고 이를 통하여 대·중소기업간 동반성장의 실질적인 토대를 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동반성장 방법으로서 성과공유제 및 이익공유제 관련 개념들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정책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본다(Ⅱ장). 다음으로는 집합연금의 하나인 산업연금 펀드에 대한 개략적인 소개를 바탕으로 산업연금펀드를 조성함에 있어서 대기업인 모기업이 사업상 연관이 있는 계열사 혹은 거래 중소기업들과 공동으로 참여하는 퇴직연금펀드를 조성하거나 또는 협력기업 종업원 연금 펀드적립금의 일정 부분을 추가로 매칭하는 형식으로 펀드를 조성할 것을 제안해본다. 이어서 이러한 정책 제안 시 펀드의 독립성, 대표사용자의 과도한 권한 행사 방지 등 고려 사항들을 검토하였다(Ⅲ장). 마지막은 논문의 한계와 결론이다(Ⅳ장).
김동남,홍금석,고진환,전정환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17 산업혁신연구 Vol.33 No.4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첨단과학기술 산업인 항공우주산업도 발전하고 있으며, 항공우주산업 분야에서의 산업간 융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항공우주산업은 대표적인 첨단과학기술산업으로써, 원자재 투입대비 고부가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항공우주기술은 자동차, 조선, 전자·통신분야뿐만이 아닌 타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오는 선진국형 지식기반사업이다. 국내의 경우 항공우주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국가 차원의 항공우주산업의 육성과 발전을 위해 각종 지원 조치를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항공우주산업의 융합 활성화를 위하여, 항공우주 논문을 사용하여 연구분야의 동향분석을 통해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지는 주요 연구주제를 살펴보고, 연구분야의 연관관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분석을 위해 2002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항공우주학회, 한국항공진흥협회, 한국표면공학회 등 166개의 저널에서 등재한 항공관련 논문자료 1,169개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논문은 Topic modeling과 Network analysis을 통해 기술을 추출하고 산업간 연관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기술 전략 수립 시 참고자료로 사용함으로써 시간 및 비용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국가차원에서도 기술 정책 수립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dvances in scientific technology have also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aerospace industry, the aerospace industry, and the increasing convergence of industrial space in the aerospace sector. The aerospace industry is a leading high-tech technology industry that has a high value added value for raw materials, and aerospace technology is an advanced country in the advanced world, which brings about rapid development of other industries, including automobiles, shipbuilding,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In Korea, various support measures are provided for the promotion and development of the aerospace industry in order to facilitate the activation of the aerospace industry. Therefore, the study aims to determine the research trends in the aerospace industry. The collection of theses for analysis is collected, and the collected paper extracts topic techniques through topic modeling and network analysis and analyzes the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industry.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nvigoration of the aerospace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