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자존감을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비행경험 청소년과 일반청소년 비교

        임선아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9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group compariso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wrongdoing and normal adolescents in effects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n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used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middle school students data and conducted multi-group comparis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The major findings were follows: First, the result showed that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self-esteem to wrongdoing and normal adolescents in a same way. That is parent's direction and affection affected self-esteem for wrongdoing and normal adolescents. Seco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ffects school adjustment in a different way: for normal adolescents parent's direction affects school adjustment, but for wrongdoing adolescents parent's ratinal explanation affects school adjustment. Third, for normal adolescents parent's direction and affection affects school adjustment by means of adolescent's self-esteem. On the other hand, for wrongdoing adolescents parent's affection affects school adjustment, mediating self-esteem. 본 연구는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자존감을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와 영향력의 차이를 비행경험 청소년과 비행경험을 하지 않은 일반청소년들을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중학교 1학년 패널을 사용하여 비행경험 청소년과 비행을 경험하지 않은 일반청소년 두 집단을 비교하는 다집단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청소년과 비행경험 청소년 모두 부모가 애정과 감독하는 양육태도를 보일 때 자존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청소년은 부모가 자녀의 생활을 감독할 때 학교생활적응을 잘하게 된데 반해, 비행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부모가 합리적 설명을 할 때 학교생활적응을 더 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청소년의 경우에는 부모가 애정적이고 감독하는 양육태도를 보일 때 자존감을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비행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부모의 애정적인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자존감을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성취정서를 매개하여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차이

        임선아,이귀숙,류다정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어 성취정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더해, 사회적 지지가 성취정서를 매개하여 자기조절학습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학생 851명의 자료를 사용해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의 다집단 비교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는 성취정서와 자기조절학습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지지는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를 매개하여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가 성취정서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경로에서 학업성취 하집단과 학업성취 상집단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사회지지에서 자기조절학습의 경로, 긍정정서에서 자기조절학습으로의 경로, 부정정서에서 자기조절학습의 경로에서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early adolescent self-regulated learning, mediated by achievement emotion (i.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In addition to thi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low- and high- achievement group differences in structural model. To this end, 851 middle schoolers were analyzed to examine social support as a predictor of self-regulated learning, via the mediation of achievement emotion, and whether the pathway differs by achievement lev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achievement emo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Second, students' achievement emotion (positive and negative) played significant medi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regulated learning. Third, the pathways from social support to self-regulated learning did differ by achievement level. Specifically, there were the group differences in a path from social support to self-regulated learning and paths from achievement emotion (positive and negative) to self-regulated learning.

      • KCI등재

        잇솔질 압력에 따른 잇솔강모의 탄력손실도 측정

        임선아,서은주,강성귀,성진효 조선대학교 구강생물학연구소 2002 Oral Biology Research (Oral Biol Res) Vol.26 No.2

        To investigate the elasticity loss of toothbrush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pressure. the shape of brushing plane and the duration of use, thirty toothbrushes of five models were used for this examination among the toothbrushes for adults which have been marketed in the Republic of Korea. After 200g/㎠. 300g/㎠, or 400g/㎠ for 1, 2 or 3 month were loaded on toothbrushes, in rolling method the effect of the duration and strength of pressure and the change of the shape of brushing plane on the elasticity loss of toothbrushes was determined using Toothbrush Stroke Testen(CHUMDAN SYSTEM,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elasticity loss of toothbrushes according to 200, 300, or 400g/㎠ pressure was 11.11%, 25.21%, 30.84%, respectively. The elasticity loss of toothbrushe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strength of the pressure (p<0.001) 2. The elasticity loss of the toothbrushes according to 1, 2, or 3months of the duration of use was in 15.60%, 22.09%, 29.47%, respectively. The elasticity loss of the toothbrushe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duration of the pressure(p<0.001). 3. The elasticity loss of toothbrushes of convex plane according to 1, 2 or 3 month of the durate of use was 10.36% 18.29% and 24.20% respectively, that of toothbrushes of flat brushing plane according to 1, 2 or 3 months of the duration was 20.08%. 25.87% and 34.74%. respectively. The elasticity loss of the toothbrushes or flat brushing plane was higer than that of convex brushing plane(p<0.05).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roperty of the KS is optimal according to the pressure of toothbrushing, the shape of toothbrushos and the duration of toothbrushes using must be checked, and the further studies are needed about that.

      •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에 대한 융합연구

        임선아 중소기업융합학회 2018 융합정보논문지 Vol.8 No.5

        대학생의 구강건강신념에 대한 융합연구로 G지역 S대학교 융복합 과목을 수강한 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3월 26일부터 6월 11일까지 설문지를 배포하여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동의한 학생을 168명을 최종분석하였다. 구강건강신념에서 유익성이 3.99점으로 가장 높았고, 심각성이 2.01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구강건강증진행위와 구강건강신념간의 차이에서 치석제거경험은 감수성(p<0.05), 유익성(p<0.001), 중요성(p<0.05)에서 치과방문은 유익성(p<0.05)과 중요성(p<0.05)에서, 구강관리용품 사용은 중요성(p<0.05)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구강건강의 신념이 매우 중요하며, 올바른 구강건강신념을 갖을 수 있도록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을 배워나가고 행동과 태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대학내에서 구강보건교육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The study was implemented the convergence research on oral health beliefs G area S university convergence course. The final analysis of 168 students agreed to research purpose and method was conducted from March 26 to June 11, 2018. The benefits was highest at 3.99 points, and the severity was lowest at 2.01 about oral health belief. The t-test and ANOVA outcome about oral health improvement behavior and oral health belief were dental clinic visit was benefits and importance, scaling experience was sensitivity, benefits and importance, use of auxiliary oral care products was importance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mported oral health beliefs for oral health improve and a variety of programs for oral health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within university to learn knowledge of oral health behavior and attitude changed for correct oral health beliefs.

      • KCI등재

        고등학생의 수학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기대와 참여, 학생의 자아-효능감과 학업적 관여도의 효과

        임선아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2

        부모의 기대와 참여가 학생의 동기 및 학업적 관여에 영향을 미치므로 학생의 학업적 태도 및 행동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부모의 효과를 함께 종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기대와 참여, 고등학생의 자아-효능감과 학업적 관여가 상호작용하여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구조방정식 모형(SEM)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미국 고등학생 종단적 자료(ELS: 02-06)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모기대와 학생의 수학적 자아-효능감은 수학성취도에 직․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참여와 학업적 관여는 수학성취도에 직접적인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전 수학성취도(고1)는 부모의 기대와 수학적 자아-효능감을 매개해 2년 후의 수학성취도(고3)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수학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와 학생요인들의 관계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종단적 자료를 사용하여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인과관계를 규명한데 그 의의가 있다. Previous research has posited several factors which influence the math achievement. Researchers found that family socioeconomic status, students' attitudes and behaviors, to parents' attitudes and behaviors, such as parental involvement have the direct/indirect effects on math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end existing research on math achievement by developing and testing a model of math achievement in high school. Using the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ELS), findings from this study hope to shed light salient predictors that may contribute to the math achievement versus the effects of those predictors. This study found that prior math score, math self-efficacy, parent expectation have direct/indirect effects versus academic engagement, parental involvement have no direct/indirect effects on math achievement. In addition to this, self-efficacy and parental expectation mediated the effects of prior achievement on subsequent math achievemen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math achievement and subsequent math achievement operated with the relationship of parent and student factors. By identifying the attitudes and behaviors that may impede or facilitate student performance, educators could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

      • KCI등재

        초등교사의 교사 자율성에 대한 인식구조 분석: 의미연결망 분석 방법의 사용

        임선아,정윤희 한국초등교육학회 2019 초등교육연구 Vol.32 No.2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utonomy. To achieve this, this study used data from 127 surveys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analyzed the data with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autonomy is primarily needed for the class management.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at autonomy plays an important role in schol organization and administration.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 that teacher autonomy is related to professionalism.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 autonomy should be protected and extended by the law and social system for instructional or learning activities. In addition to this,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should develop the ability of teaching skills and knowledge for oneself as a teacher based on expertise.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교사 자율성에 대한 인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127명의 초등교사들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내용을 의미연결망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사들은 무엇보다 수업 운영 영역에서 자율성을 가지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에 따라 수업 운영 영역에서 자율성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들은 학교조직과 행정 영역에서의 자율성 또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들은 교사 자율성과 관련하여 전문성이 신장될 때 교사의 자율성이 확보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교사의 교육활동을 위해 자율성이 법제적으로 보호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함과 더불어 교사 스스로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사로서의 전문적 능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메타분석을 통한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검증

        임선아,정윤정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3

        Self-efficacy is known to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Lots of the studies about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have been conducted and reported that self-efficacy is the main factor to have th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study, 1,458 correlation effect sizes from 175 studies were analyzed by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Program. The relationship was analyzed by correlation effect size and moderator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has a higher effect size than medium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self-regulatory, and task difficulty among six subscales of the self-efficacy have high levels of relationship with academic achievement. Third, self-efficacy has high levels of relationship with main subjects such as reading, math, English, social study, and science. Fourth,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ubscales of the self-efficacy and sub-subjects of academic achievement.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힌 많은 선행연구들을 객관적으로 정리하여 자기효능감의 학업성취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75개 관련연구로터 1,458의 효과크기를 CMA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에 큰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으며 중간보다 높은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했을 때, 남자 표본과 혼성의 표본보다 여자 표본의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별로는 중학생의 효과크기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초등학생, 대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효능감을 측정하는 측정도구 중 ‘Sherer 등(1982)’의 측정도구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을 분석한 결과, 학업적 효능감과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기효능감은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의 주요 과목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 결과와의 논의 및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진로정체감이 성취목표, 몰입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관계의 경로분석

        임선아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1

        Assessing the responses of career identity, achievement goal,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from 455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examined a model of the pattern of influences through which career identity acting in concert with achievement goal-orientation,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concurrently. Path analysis supported a model in career identity was accompanied by mastery-approach goal orientation directly and by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indirectly. Mastery -approach goal impacted cognitive learning flow directly. Achievement goal-orientation essentially operated mediationally through the academic motivation rather than directly on academic achievement. Cognitive learning flow functioned as a contributor to academic achievement directly, whereas emotional flow and behavioral flow did not.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진로정체감을 형성하였을 때 이 진로정체감이 청소년들의 향후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경로모형을 가정하였다. 이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권에 위치한 5개 고등학교 학생 455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로분석 결과, 진로정체감이 숙달접근 목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인지적 몰입과 감성적 몰입, 행동적 몰입과 학업성취에는 간접적인 효과를 미침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는 숙달접근목표가 인지적 몰입, 감성적 몰입, 행동적 몰입 각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를 보였으며 수행접근목표는 인지적 몰입에는 영향을 미치나 감성적 몰입과 행동적 몰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성취지향목표의 어떠한 유형도 학업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았으나 숙달접근목표는 학업성취에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숙달접근목표가 인지몰입, 감성몰입, 행동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이 몰입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매개효과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진로정체감, 학습동기와 학업성취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여 진로정체감을 획득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의 휴대전화사용 잠재계층 분류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 검증

        임선아,정윤선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들이 사용하는 휴대전화의 사용 유형을 탐색하고, 각 유형에 따른 학교적응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Korean Youth Panel Survey) 초등학교 4학년 패널의 4차년도∼6차년도(중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 자료를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 : LCA)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학생들은 휴대전화 사용 빈도와 용도에 따라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유형은 6가지 기능(친구통화, 친구문자, 게임오락, 사진촬영, 동영상감상, 음악감상)을 모두 자주 이용하는 ‘모두사용형’이었으며, 게임오락, 동영상 감상, 음악감상, 사진촬영과 같은 개인활동을 주로 하는 ‘개인활동형’이 그 다음 비율을 차지하였다. 가장 낮은 비율을 보인 유형은 게임과 오락을 주로 사용하는 ‘게임오락형’이었으며, 다음은 친구와의 통화나 문자를 주로 사용하는 ‘통화문자형’으로 나타났다. ‘모두사용형’은 학교적응이 우수하여 교우관계나 교사와의 관계도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인활동형’은 학교적응이 다른 유형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화문자형’은 학교적응이 우수한 집단으로 특히 학습활동에 잘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게임오락형’은 학교적응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유형별 특성은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다소 수치의 변화가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특성들이 유지되는 모습을 보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classical latent classes of adolescents’ cell phone usage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among profile groups. To achieve this, this study used three-year data that was collected when respondents were attending middle school, drawn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KYPS) and applied to latent class analysis to derive latent classes to categorize types of participants based on the adolescents’ responses. The results were follow as. First, four distinct classes of adolescents’ cell phone usage were identified; users for using all cell phone utility functions, users for individual activities and fun, users for gaming, and users for communicating. Users for all cell phone utility function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than other three groups. Users for communicating also showed higher levels in school adjustment, specially in learning activities. Users for individual activities and fun showed low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compared to the others. Lastly, users for gaming showed the lowest level in school adjustment. The characteristics of cell phone usage in each class were maintained, though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rate of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