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주의 성향과 자기효능감이 역할 외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라미진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9

        In recent years, as it has been found that members with strong individualistic tendencies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organization and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performance improvement, organizations are paying attention to the role of members of the individualistic gener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Reflecting this trend,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individualistic tendencies on extra-role behavior through self-efficacy in the aviation service industry, and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 of rank in these relationships. To this en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are derived based on theoretical discussions on related variables. The concept of individualism, which is an independent variable, is defined as a viewpoint that emphasizes individual autonomy, independence, and self-determi- nation and related theoretical discussions are conducted based on this. In addition, extra-role behavior is set as a dependent variable of individualism, and self-efficacy is set as a medi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ath that individualistic tendencies influence on extra-role behavior through self-efficacy. For an empirical analysis of this research model,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in domestic and foreign airlines, and the data answered by 252 people were applied to the analysis. Looking at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mod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 ship between Hypothesis 1 and Hypothesis 3, individualism in the organization was found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of the employee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high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s’ extra-role behavior. In the case of Hypothesis 4, it was found, it was found that individualism indirectly contributes to extra-role behavior only for low-ranking employees, through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Through this relationship, it was found that the individualistic tendencies of the employees indirectly improved extra-role behavior through self-efficacy, and consequently contributed to the improve- ment of the organization’s productivity, which is characteristic of low-ranking employees.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in that it provides an argument for the importance of individualistic employees in the organization by verifying that individualistic tendencies affect behavior outside of roles within the 최근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구성원들이 조직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며, 조직의 효과성과 성과증진에도 기여하는 것이 밝혀짐에 따라 개인주의 성향이 강한 세대의 구성원들의 조직 내 역할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향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항공서비스 산업에서 구성원들의 개인주의 성향이 자기효능감을 통해 역할 외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 직급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 변수들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도출한다. 독립변수인 개인주의 성향을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 자기결정을 중시하는 관점으로 개념을 정의하고, 사회인지이론(Social Cognition Theories)을 토대로 관련 이론적 논의를 한다. 또한 개인주의 성향의 종속변수로서 역할 외 행동을 설정하고, 자기효능감은 매개변수로 설정한다. 이에 개인주의 성향이 자기효능감을 통해 역할 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모형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외 항공사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52명이 응답한 데이터를 분석에 적용하였다. 연구모형에 따른 실증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가설1 ~가설3의 인과관계 분석결과 객실 조직에서의 개인주의 성향은 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으면 구성원들의 역할 외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설4의 경우 개인주의는 직급이 낮은 직원에게만, 자기효능감의 증진을 통해 역할 외 행동에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관계를 통하여 객실 조직 내 구성원들의 개인주의 성향은 자기효능감을 통해 간접적으로 역할 외 행동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조직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며 이는 직급이 낮은 구성원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개인주의 성향이 자기효능감을 통해 조직 내 역할 외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개인주의 성향의 구성원들의 조직 내 중요성에 대한 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의 문화성향에 관한 메타분석: 집단주의와 개인주의를 중심으로

        박혜경,김상아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지역과 세계 Vol.42 No.3

        In this paper, we meta-analyzed empirical studies that have examined the cultural self-orientation of Koreans along the dimension of collectivism-individualism. Through this meta-analysis, we investigated whether and to what extent Koreans' cultural self-orientation was collectivistic rather than individualistic. Furthermore, we looked at whether the level of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in Koreans differed as a function of time of data collection, gender and age of study participants as well as scale reliability and content. A total of 41 studies published in Korean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N=12,925).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the level of collectivism in Korean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level of individualism in Koreans, but the difference was small to medium in size.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collectivism and that of individualism became larger with age of study participants. Third, the higher the scale reliability, the small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collectivism and that of individualism became. In addition, the effect size for the difference between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varied as a function of scale content. Fourth, gender of study participants and time of data collection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Koreans' cultural self-orientation. Finally, publication bias was not detect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meta-analysi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empirical research as well as meta-analysis were suggested.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의 문화성향을 집단주의-개인주의 차원에서 살펴보았던 경험적 연구들을 메타분석 하였다. 이 메타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문화성향이 개인주의적이라기보다 집단주의적이라고 할 수 있는지, 만약 그렇다면 개인주의 성향에 비하여 집단주의 성향이 어느 정도 강한지 알아보았다. 더 나아가, 한국인의 집단주의 및 개인주의 수준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구참가자들의 성별 및 연령에 따라, 그리고 측정의 신뢰도와 척도의 내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에는 총 41개의 국내 연구들(N=12,925)이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개인주의 성향보다 집단주의 성향이 상대적으로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차이는 작은 크기에서 중간 크기 범위에 속하였다. 둘째, 연구참가자들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집단주의 성향이 개인주의 성향보다 더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척도의 신뢰도가 높을수록 집단주의 성향과 개인주의 성향 간의 차이는 작아졌으며, 측정에 사용된 척도에 따라 문화성향 간의 차이가 달라졌다. 넷째, 연구참가자들의 성별과 자료 수집 시점은 문화성향의 차이와 관련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출판 편의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 및 제한점을 논하고, 한국인의 문화성향에 대한 후속 경험적 연구와 메타분석 연구의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조직구성원들의 가치성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윤형(Cho, Yoon Hyung),최우재(Choi, Woo Jae)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개인의 가치성향인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으며, 가치성향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의 매개역할을 밝힘으로써 개인의 가치성향이 어떠한 프로세스를 거쳐 조직시민행동으로 이어지는 지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주효과 가설과 매개효과 가설을 설정하였는데 개인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이 낮은 반면에, 집합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조직신뢰가 매개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총 18개 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59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효과 가설에 있어서 조직구성원들의 개인주의 성향은 조직시민행동 중 전체, 예의, 공익성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집합주의 성향은 조직시민행동 전체와 각각의 하위 요소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가설에 있어서 조직신뢰는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매개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개인주의 성향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개인의 가치성향인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조직신뢰가 이를 매개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개인의 가치성향이 행동으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orienta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Thus a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was established to examine about how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fluences OCB. It was based on the existing knowledge that individualism-oriented people are likely to be low in OCB, while collectivism-oriented people are likely to be high in OCB. A total of 259 questionnaires from 18 companie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ism- orienta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OCB(in particular courtesy, civic virtue, and the OCB including both courtesy and civic virtue). Second, collectivism-orienta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OCB,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knowledge as well as our hypothesis.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that organizational trus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ism and OCB. In all, these results highlighted that individual orientation influences organizational behavior, in particular OCB.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he difference of individual orientation has impact on OCB, and how organizational trust influenc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orienation and OCB.

      • KCI등재

        관리자 리더십 유형이 조직원의 집단주의 및 개인주의 성향과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카지노산업의 여성인력을 중심으로 -

        김지영,윤태환 동북아관광학회 2017 동북아관광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카지노 산업의 여성 인력을 대상으로 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집단주의적 성향과 개인주의적 성향과 같은 조직원 개인의 성향이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검증하고, 관리자의 리더십의 유형이 조직원의 개인 성향을 매개로 하여 이직의도에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실증 조사는 총 6곳의 카지노에 종사하는 여성인력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지 중 유효한 242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원의 집단주의적 성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주의적 성향에는 부(-)의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적 리더십은 개인주의적 성향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주의적 성향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직원의 개인주의적 성향은 이직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wo leadership styl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members’ collectivism values, individualism values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context of female workers in the gaming industry. To achieve this goal, an empirical study involving female workers of six Korean casinos was conducted. From a total of 300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distributed, 242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further analysis using IBM SPSS statistics 23. The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member’s collectivism values and a negative influence on member’s individualism value, while transactional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dividualism values and a negative impact on collectivism values. In addition to that, member’s individualism valu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while collectivism valu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concluded by suggesting that an applica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uld be an effective way of reducing female workers’ turnover issues in the gaming industry

      • KCI등재

        조직구성원의 문화성향에 따른 조직시민행동의 차이: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와 매개효과

        김혜진,김비아,이재식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25 No.2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의 문화성향을 수평-개인주의, 수직-개인주의, 수평-집단주의, 그리고 수직-집단주의로 구분하고 측정한 후, 각 문화성향의 점수에 따라 조직지원인식(POS)이 조직시민행동(OCB)의 두 차원인 개별성원 지향 조직시민행동(OCBI)과 조직전체 지향 조직시민행동(OCBO)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OCB를 두 차원으로 구분하여 문화성향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선행 연구결과와 달리 수평/수직-개인주의 성향 점수가 높은 경우에도 수평/수직-집단주의 성향 점수가 높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OCBO 수행과 유의한 정적 관련성을 보였다. 둘째, 수직-개인주의 성향과 OCBI 사이의 관계, 그리고 수평-개인주의 성향과 OCBI/OCBO 사이의 관계를 제외한 문화성향에서 POS는 OCB에 대한 문화성향의 영향을 조절하기 보다는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문화성향의 유형에 따라 OCBI/OCBO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과, OCBI/OCBO에 대한 문화성향의 효과가 조직구성원의 POS 수준에 따라 문화성향별로 차별적으로 조절되기보다는 대부분의 문화성향에서 POS를 매개로 OCBI/OCBO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함의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년세대의 집단주의 성향과 호감 및 행동 평가의 관계에 미치는 세대의 조절효과

        안세진(Sejin Ahn),도보람(Boram Do) 한국인사조직학회 2023 인사조직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과 관련하여 해당 구성원의 세대별로 형성된 고정관념이 있음을 가정하고, 이에 부합하거나 반대되는 성향을 보이는 구성원(대상자)에 대해 사람들은 어떠한 평가를 하는지 기대위반이론(expectancy violation theory)을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대위반이론은 한 개인이 보여주는 긍정적인 성향이 해당 개인이 속한 사회적 범주의 고정관념을 위반하는 경우, 동일한 성향이 자신이 속한 사회적 범주의 고정관념에 부합하는 개인의 경우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된다는 이론이다. 이를 세대의 맥락에 적용하면 청년세대의 구성원이 소속된 세대의 고정관념에 반하는 긍정적 성향인 집단주의 성향을 보여줄 때, 기성세대가 동일한 집단주의 성향을 보일 때 보다 더욱 호의적인 평가를 받을 것이라는 가설을 상정할 수 있다. 실증적으로 먼저 277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한 예비연구 설문을 통하여 청년세대(20-30대 초반)가 기성세대(40대 후반 이상) 대비, 집단주의 성향이 낮고 개인주의 성향이 높다는 고정관념이 한국 사회에 존재한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280명의 추가 패널참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참가자는 집단주의 또는 개인주의 성향을 가진 청년세대(29세) 혹은 기성세대(50세) 대상자를 묘사하는 시나리오를 읽고 대상자를 동료로 상상하여 질문에 응답하도록 했다. 연구결과, 대상자가 집단주의 성향일 때(개인주의 성향일 때보다) 평가자의 대상자에 대한 호감을 매개로 대상자의 도움행동 및 역할내행동 예측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러한 집단주의-개인주의 조건 영향의 차이는 대상자가 청년세대일 때(기성세대일 때 보다) 더욱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구성원과 관리자에게 세대 갈등 및 관리에 대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고정관념 연구 확장을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Assuming the stereotypes attached to younger and older generation employees regarding their individualistic and collectivistic traits in organizations, this study draws from expectancy-violation theory to examine how organizational members showing counter-stereotypical behaviors are perceived and reacted to in organizational contexts. In the preliminary study, a questionnaire completed by 277 panelists confirmed the assumed stereotypes that respondents believed the younger generation has stronger individualistic traits (compared to the older generation). In the main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n additional 280 panelists. Each participant read a scenario describing a younger or older protagonist with individualistic or collectivistic traits and was asked to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imagining the protagonist as a co-worker. Our findings showed that the protagonist's collectivistic traits are positively related to respondents' liking of the protagonist, higher expectations of the protagonist's in-role behaviors, and helping behaviors. In addition, these positive effects of collectivistic traits were stronger when the protagonist in the scenario belonged to the younger generation, thus showing counter-stereotypical traits, than in the case of the older generation showing stereotype-confirming traits. These results contribute to the stereotype literature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managers interacting with others from different social categories.

      • KCI등재

        무역갈등 해소를 위한 이문화 가치인식과 협상 유형 차이의 실증적 연구 : 한국, 미국, 중국 청년을 중심으로

        이제홍 한국무역보험학회 2022 무역금융보험연구 Vol.23 No.1

        국제간 분쟁해결은 이문화 이해를 통한 유연한 협상이다. 한국, 미국 그리고 중국간 무역분쟁 해결을 위해서 이문화의 이해를 통한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야 하며, 긍정적인 협상결과를 기대하기 위해서 이문화 요인에 대한 연구와 이문화 커뮤니케이션은 필수적이다. 한국, 미국, 중국의 이문화 연구를 통해 이문화의 수렴과 다양성을 연구하여, 각국 문화들이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유사해고 있는가? 또한 협상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문화적 변화의 동태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여, 협상 유형의 차이를 연구한다. 본 연구는 동양과 서양을 대표하는 한국, 미국 그리고 중국의 젊은 청년인 20대와 30대를 표본으로 하여, 국제 분쟁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협상이며, 이는 이문화 관점에서 찾기 위해 설문지 조사방법으로 연구하였다. 한국, 미국과 중국 청년의 이문화 요인인 개인주의/집단주의, 고불확실성회피/저불확실성회피, 현시주의성향/미래지향성향, 평등주의성향/위계주의성향 그리고 SNS 적극적 활용성의 차이와 커뮤니케이션 유형인 논리적 커뮤니케이션/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이 협상유형인 분배적 협상/결합적 협상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Excell과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 방법으로 가설을 검증하여 미국, 중국의 이문화에 변화 추이와 커뮤니케이션, 협상유형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문화 차이분석 결과 한국은 개인주의적, 집단주의적 성향의 이문화가 높으며, 높은 불확실성 회피, 현실주의적 성향, 위계주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청년은 SNS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국은 개인주의 성향, 낮은 불확실성 회피 성향, 현실주의적 성향, 그리고 평등주의적 성향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런데 미국은 집단주의 성향과 SNS 적극적 활용성향은 낮게 나타났다. 중국의 이문화 성향은 집단주의 성향과 미래지향성 성향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평등주의적 성향이 높게 나타났으나, 반면 개인주의 성향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높은 불확실성회피 성향, 현실주의적 성향, 위계주의 성향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

      • KCI등재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제주지역 개인기부자를 중심으로-

        서영숙 ( Seo Young Suk ),진관훈 ( Jin Gwan Hu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2

        본 논문은 제주도내 기부경험이 있는 정기기부자와 비정기기부자를 대상으로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여 기부지속성 유지 및 기부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타 지역에 비해 개인기부 비율이 월등히 높은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에 있어 문화성향을 독립변인으로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제주도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기부경험자(n=530명)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응답자의 문화성향, 기부지속성의 인식수준과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수직적 개인주의와 수평적 집단주의는 기부 특성에 따른 문화성향의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수평적 개인주의의 경우, 정기적 기부여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수직적 집단주의의 경우, 월평균 기부액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7만 원 이상 기부자가 7만원 미만 기부자에 비해 기부지속성, 기부횟수, 기부금액, 기부지속의향, 기부추천의향 모두 높게 나타났다. 셋째, 문화성향이 기부지속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집단주의에 비해 개인주의 성향일수록 기부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집단주의에 비해 개인주의 성향일수록 기부금액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주의 성향일수록 기부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continuity of individual donations by utilizing the cultural inclination that can represent local society`s unique lifestyle and culture.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fact that individual donations can be influenced by not only individual factors such as donation intention and donation motives, but also by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s, including cultural inclin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general residents of Jeju, who are at least 18 years of age and who have donated before. I distributed 550 surve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530 data, except for 20 unanswered and incomplete questionnair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cultural inclination factors, vertical individualism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have statistically positive influences on donation continuity. This fact does not fit preceding research that the stronger the collectivist tendency, the higher the chance of altruistic expression. And, if donations are altruistic sharing to social value, collectivist tendency highly influences the continuity of donations. It can be said that the result is caused by Jeju`s own unique cultural inclination, but this may be the point that needs further investig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other factor that can explain cultural inclination and donation continuity. This research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vertical individualism and horizontal individualism, the higher the donation continuity. This result suggests that cultural inclination is the influencing factor on donation continuity. Especially, as it is confirmed that cultural inclination is a useful variable in explaining donation continuity, individual cultural inclin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encourage donation continuity.

      • KCI등재

        직무수행과 관련한 학교조직문화와 교사의 문화성향의 상호작용 효과 연구

        김지은 한국교원교육학회 200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3 No.1

        조직에서 업무 수행의 결과는 개인의 성향과 그가 일하는 조직의 특성이 상호작용한 결과이다. 이를 기초로 학교조직에서 교사의 성향과 학교조직문화의 일치성이 교사의 직무수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우선 교사들이 인식하는 자신이 속한 학교문화와 자신의 문화성향 및 직무수행에 대한 분석 결과, 교사들은 현재 학교조직문화가 보존적 문화의 속성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교사 자신들은 개인주의 성향보다는 집단주의 성향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직무수행수준에 대해서는 상당히 긍정적이고 높게 평가하고 있다. 교사개인의 성향에 따라 학교조직문화가 교사의 직무수행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이원변량분석 해 본 결과, 개인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합리적 문화와 보존적 문화가 강한 곳에서 직무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집단주의 성향이 강한 경우에는 집단주의 성향이 낮은 경우에 비해 학교조직문화수준의 정도에 따른 직무수행에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친화적 문화수준이 높을수록 직무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보존적 문화에서도 인간관계와 상호작용을 나타냈다. 단편적으로 학교조직문화에 따른 직무수행의 정도에 대한 상관과 회귀분석에서는 보존적 문화는 어떠한 직무수행과도 유의한 상관과 유의값을 보여주지 못했지만, 개인의 문화성향과의 상호작용에 따라서는 보존적 문화 내에서도 직무수행에 효과가 달라짐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절차적 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정호(Jeon, Jeong Ho),설현도(Seol, Hyun Do)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6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절차적 공정성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재검증하는 한편, 개인의 문화적 성향인 권력거리 성향과 개인주의가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와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조절하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6개 대기업에 근무하는 327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첫째, 절차적 공정성은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둘째, 권력거리성향은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해서는 유의한 부(-)의 조절효과가 입증되었으나,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개인주의는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절차적 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유의한 부(-)의 조절 효과가 있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권력거리성향이 낮은 구성원들이 높은 구성원들보다 조직의 절차적 공정성에 대해 더욱 민감하게 증가된 조직몰입으로 보답하였다. 한편, 개인주의성향이 낮은 구성원들은 높은 구성원들보다 조직의 절차적 공정성에 대해서 더욱 민감하게 증가된 조직시민행동으로 보답하였다. 이와 같은연구결과는 조직이 절차적으로 공정하다면 채용, 승진과 같은 인적자원관리제도의 운용에 있어서 권력거리성향이 낮고 개인주의가 낮은 구성원들을 우선시하는 것이 조직에 더욱 바람직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procedur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center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mployee’s power distance orientation and individualism. A total of 327 Korean employe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Hierarchical regressions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procedural just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bo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wer distance orientation was significant, sugges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tronger when employee’s power distance orientation was low than high.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ism was significant, suggest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stronger when individualism was low than high.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individuals low in power distance orientation react to procedural justice more positively with their increase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individuals high in power distance orientation. Also, individuals low in individualism more positively react to procedural justice with increase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an individuals high in individualism.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fair organization had better give priority to individuals low in power distance orientation and individualism over individuals high in power distance orientation and individualism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