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친구관계 : 친구의 지원, 갈등해결전략 및 만족감

        강성구,임경원 국립특수교육원 2006 특수교육연구 Vol.13 No.2

        이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대학 진학이 점차 확대되면서 이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 대학생들의 친구의 지원, 갈등해결전략 및 만족감의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장애인과 같은 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145명을 대상으로 친구의 지원, 갈등해결전략 및 만족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① 장애대학생 친구의 장애유형, ② 성별, ③ 장애인을 접한 이전경험에 따른 친구관계의 질과 갈등해결전략 및 만족감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장애대학생과의 친구관계에서 친구의 지원은 주로 '도움' , '교재의 즐거움' 순으로 나타났으며, 갈등해결방식은 '지배' , '양보' 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을 접한 경험은 장애대학생의 친구관계의 질적 측면에서 큰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친구의 지원, 갈등해결방식, 만족감에 차이가 있으며, 남학생들은 '회피' 와 '지배' 전략 순으로 사용하고, 여학생들은 '양보' 와 '지배' 전략 순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examined that friendship supports, conflict-resolution styles, and friendship satisfaction in college student and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 revised McGill Friendship Questionnaires for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were completed by 145 college student with non-disabiliti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by and large They acquired more 'helping', 'the pleasure of relationship' and tend to use 'dominating ' and 'avoiding' way of conflict resolution. second, In terms of sex differences, female students reports lower friendship supports than did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tend to use 'giving in' and 'dominating' way of conflict resolution evade on the other hand, male students tend to use 'dominating' and 'avoiding' way of conflict resolution third, The experience that participant met person who have disabilities in past were not helpful to friendship in college student and college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내시경적 점막절제술로 치험한 식도 과립상 세포종 1례

        강혁주,김성욱,최석진,이중현,장재식,서영범,윤병구,박건욱,김성자,김용섭,강승완,이구,양창헌,이창우,김욱년,이광헌,서정일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東國醫學 Vol.7 No.-

        과립상 세포종은 Schwann 세포 기원으로 생각되며 인체에 비교적 드물게 발생한다. 과립상 세포종은 전신 어느 곳에서나 발견될 수 있으나 주로 혀, 구강, 피부 혹은 유방 등에서 호발하며 드물게 위장관에서 발견된다. 위장관에서는 식도에서 가장 호발하며 다음으로 위, 대장 순이다. 과립상 세포종은 대부분, 특히 위장관에서는 양성이며 소수의 악성 병변이 보고되었다. 이러한 이유와 함께 수술 전의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과립상 세포종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는 현재까지 외과적 절제술이다. 최근에 시도되는 치료방법들로는 내시경적 레이저 치료, 용종절제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 등이 있다. 저자들은 상부 소화관 내시경검사를 시행하여 식도 과립상 세포종을 진단하고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을 시행하여 합병증 없이 퇴원하여 현재 재발없이 경과 관찰중인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Granular cell tumors, which occur infrequently, are probably of Schwann cell origin. They can occur almost anywhere in the body but usually affect the tongue, oral cavity, skin, or breasts and are rarely found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The esophagus is the most frequent gastrointestinal site, followed by the stomach and the colon. Granular cell tumors are generally benign, especiall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some malignant lesions have been reported. For this reason, and also because preoperative diagnosis is difficult, the standard treatment for granular cell tumor has until now been surgical excision. In recent years, other therapeutic methods is endoscopic laser therapy (ELT), polypectiomy,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We report a case of esophageal granular cell tumor which was diagnosed by an endoscopy and managed using an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without complication.

      • 주기 변동 부하시 유도 전동기의 속도제어

        김덕구,강경보,오성보 제주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0 尖端技術硏究所論文集 Vol.11 No.1

        In this paper, we describes the speed control of induction motor by vector control using DSP TMS320F240 that has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motor control. We use a space voltage vector PWM inverter and a PI controller that is stable of transient response characteristics in a speed controller and a current controller of d-axis and q-axis. We try computer simulation about the speed control including clock wise and counter clock wise in induction motor using direct drive system attached the arm on shaft when it works by periodic variation load. So that, we verify the validity of speed control by the experiment.

      • 주기 변동 부하시 유도 전동기의 속도제어

        김덕구,강경보,오성보 濟州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0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1 No.1

        In this paper. we describes the speed control of induction motor by vector control using DSP TMS320F240 that has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s of motor control. We use a space voltage vector PWM inverter and a PI controller that is stable of transient response characteristics in a speed controller and a current controller of d-axis and q-axis. We try computer simulation about the speed control including clock wise and counter clock wise in induction motor using direct drive system attached the arm on shaft when it works by periodic variation load. So that. we verify the validity of speed control by the experiment.

      • Ti-6Al-4V합금의 열처리가 피로균열진전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종형,강용구,황은하,최성대 金烏工科大學校 産業技術開發硏究院 1999 産業技術開發硏究 Vol.15 No.-

        The fatigue crack growth test under constant amplitude loading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fatigue crack growth of a forged Ti-6Al-4V alloy. Prepared with different heat treatment i.e.annealed at 850˚C(AN), 1100˚C(β-AN) and solution treated and aged(STA). Emphasis was placed on the effect of microstructure on fatigue behaviour, in particular, fatigue crack growth and crack closure and crack deflection and roughness of fatigue fracture surface. Fractographic observation was perform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for fatigue fracture surface.

      • KCI등재

        분사처리 후 산부식 표면처리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골유착능에 관한 연구

        전미선,강윤구,모성서,이근혜,국윤아,김성훈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5

        본 연구에서는 교정 치료 시 골내 고정원으로 사용되는 교정용 임플랜트의 표면처리 여부가 골유착능에 있어서 어떠한 효과를 보이는지 제거회전력의 측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교정력 적용의 확장과 임상적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분사처리 후 산부식(Sand-blasted Large grit, and Acid etched, SLA) 표면 처리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인 C-implant (Cimplant, Seoul, Korea)를 사용하였으며 대조군은 같은 디자인이지만 표면 처리를 하지 않은 평활면 C-implant를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을 각각 2개씩 11마리의 가토 경골에 식립하였고 식립 후 6주에 가토를 희생시켜 제거회전력을 측정하여 t-test를 통하여 두 군의 제거회전력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알아보았으며 조직표본을 만들어 조직소견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제거회전력은 SLA 처리한 C-implant 군이 평활면 C-implant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p < 0.05). 평활면 C-implant 군의 평균 제거회전력 값은 4.614 Ncm이고, SLA C-implant 군의 평균 제거회전력 값은 6.286 Ncm로, SLA 군이 평활면 군보다 73% 더 높은 제거회전력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SLA 표면처리가 C-implant의 골유착능을 증가 시켰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표면 처리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는 기존의 임플랜트에 비해 좀 더 강한 힘에 저항할 수 있으며 탈락률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orque resistance to removal of sandblasted large grit and acid etched (SLA) surface treated orthodontic mini-implants and smooth surface orthodontic mini-implants as well as performing histologic observations. Methods: Two groups of custom screw shaped orthodontic mini-implants (C-implant, 1.8 mm outer diameter × 9.5 mm length, Cimplant, Seoul, Korea) were designated. 22 SLA treated C-implants (SLA group) and 22 machined surface C-implants (machined group) were placed in the tibia metaphysis of 11 adult New Zealand white rabbits. Following a 6-week healing period, the rabbits were sacrificed. Subsequently, the C-implants were removed under reverse torque rotation with a digital torque measuring device and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Selected tissue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 observation. Results: The SLA group presented a higher mean removal torque value (6.286 Ncm) than the machined group (4.491 Ncm)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5). Histologic observation revealed a trend of more new bone formation in contact with the screw surface in the SLA group than the smooth group.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SLA surface treatment can enhance the osseintegration potential for C-orthodontic mini-implants.

      • 전기자동차 운전을 위한 쵸퍼장치에 관한 연구

        김용주,이훈구,이승환,강승욱,한경희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6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15 No.-

        Electric vehicle which drives a motor using the battery of DC source on the car has several driving methods. The driving methods of electric vehicle are largely classified as the DC motor driving method using DC/DC converter and AC motor driving method using DC/AC converter. In this paper, several DC motor driving methods using various DC/DC converters are surveyed for the driving of electric vehicle which repeats driving and breaking frequently.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bilateral variable ratio chopper system for DC separately excited motor experimentally represents the best performance for the electric vehicle.

      • KCI등재

        Sandblasted large grit, acid etched 표면처리에 따른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의 제거회전력에 관한 연구

        오남희,김성훈,국윤아,이근혜,강윤구,모성서 대한치과교정학회 200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6 No.5

        Sandblasted large grit, acid etched(SLA) 표면처리 된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와 평활면을 가진 교정용 미니 임플랜트 사이에 제거회전력과 조직학적 소견을 통해 표면처리된 교정용 임플랜트의 임상적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로는 길이가 9.5 mm, 외경이 1.8 mm인 custom made, screw shaped, titanium implants가 사용되었다. 미니 임플랜트는 두개의 군으로 분류되었는데 SLA군은 20개의 SLA 표면처리된 미니 임플랜트이었고, 평활면군은 크기와 형태가 같지만 SLA처리공정이 생략되어 제작된 20개의 미니 임플랜트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10마리 가토의 경골에 식립되었다. 각각의 가토의 우측 경골에는 SLA군의 미니 임플랜트 2개가 식립되었고, 좌측 경골에는 평활면군의 미니 임플랜트 2개가 식립되었다. 각 군에는 식립 직후 Ni-Ti coil spring에 의해 약 150 g의 지속적인 견인력이 주어졌다. 식립 6주 후에 10마리의 가토를 희생하였고, 안정된 상태에서 Ni-Ti coil spring을 제거하였으며 digital torque gauge를 이용하여 제거 회전력을 측정하였다. 식립 6주 후에 SLA군의 경우 (8.29 Ncm) 평활면군 (3.34 Ncm)에 비해 더 높은 평균 제거회전력을 나타내었고 조직학적 소견에서도 screw 하방에서의 신생골 형성이 관찰되었다. SLA 표면처리된 미니 임플랜트는 평활면 미니 임플랜트에 비해 좀 더 강한 교정력에 저항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Objecti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sand blasted, large grit and acid-etched (SLA) treated mini-implants and smooth surface orthodontic mini-implants in relation to the removal torque as well as the histologic analysis. Methods: Custom-made, screw-shaped, titanium implants with a length of 9.5 mm and an outer diameter of 1.8 mm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e SLA group (20 SLA treated orthodontic mini-implants) and the smooth surface group (20 smooth surface mini-implants), and placed in the tibia metaphysis of 10 rabbits. Each rabbit had 4 mini-implants placed, 2 in each tibia. The right tibia were implanted with the SLA group mini-implants and the left tibia had the smooth group mini-implants placed. Each mini-implant group were immediately applied with a continuous traction force of 150 g using a Ni-Ti coil spring. The rabbits were sacrificed 6 weeks post-surgically. Subsequently, the legs were stabilized, the Ni-Ti coil springs were removed and the mini-implants were removed under reverse torque rotation with a digital torque gauge. Results: 6 weeks after placement, the SLA group presented a higher mean removal torque value (8.29 Ncm) than the smooth group (3.34 Ncm) and histologic analysis revealed a higher new bone formation aspect along the screw in the SLA group.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SLA treated mini-implants may endure higher orthodontic forces without loosening.

      • KCI등재

        성견에서 표면처리된 교정용 마이크로임플랜트의 골 접촉률 및 동요도

        박승현,김성훈,류준하,강윤구,정규림,국윤아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obility and ratio of the bone-implant contact (BIC) of a sandblasted, large grit and acid-etched (SLA) orthodontic micro-implant. Methods: Ninety-six micro-implants (48 SLA and 48 machined) were implanted in the upper and lower buccal alveolar bone, and palatal bone of four beagle dogs. Two weeks after surgery, orthodontic force (150 - 200 g) was applied. Two beagles were sacrificed at 4-weeks and the other two at 12-weeks. Histomorphometric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the SLA experimental group and the machined micro-implant as a control group to determine the ratio of contact between the bone and implant. Micro-implant mobility was also evaluated using Periotest. Results: Periotest value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pper alveolar and palatal bone between groups except for the lower buccal area. BIC in the upper buccal are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both at 4-weeks and 12-weeks. However, both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IC ratio in the rest of the experimental areas between 4 weeks and 12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ctive bone remodeling around the bone-implant interfa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IC and the Periotest values between the surface-treated and machined micro-implants according to bone quality in the early stage. 본 연구는 비글견에 식립된 sandblasted, large grit and acid-etched (SLA) 표면처리된 교정용 마이크로임플랜트와 평활면 마이크로임플랜트에 교정력을 가한 후 시간 경과에 따른 동요도와 골접촉률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비글 성견 네 마리를 이용하여 상, 하악 협측과 구개측 골에 대해 SLA 표면처리된 표면처리군 48개, 평활면의 비처리군 48개의 마이크로임플랜트 96개를 식립하고 2주의 치유기간 후 교정력(150 - 200 g)을 지속적으로 가했으며 식립 4주 후에 두 마리를 희생시키고, 12주 후에 나머지 2마리를 희생시켰다. 표면처리군과 비처리군 간의 마이크로 임플랜트의 동요도와 골과 임플랜트 간 접촉률을 조직학적인 측면에서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상악 협측과 구개측에서는 표면처리군과 비처리군의 동요도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나 하악협측에서는 표면처리군이 유의하게 안정적인 동요도를 보였다. 마이크로임플랜트와 인접골 간 접촉률은 상악 협측에서는 4주와 12주 모두 표면처리군과 비처리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악 협측과 구개측의 경우 4주와 12주 모두 표면처리군이 비처리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접촉률을 보였다. 표면처리군은 비처리군에 비해 임플랜트 주변에서 활발한 골개조가 관찰되었으며 모든 군에서 이물반응은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SLA 표면처리된 마이크로임플랜트는 평활면 마이크로임플랜트에 비하여 식립 초기에는 식립 부위에 따라 유의하게 높은 인접골 간 접촉률과 동요도의 안정성을 보임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방향의 교정력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