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획된 행동 이론을 활용한 창원시 불법 주차의식 구조분석

        전상민(Sang-Min Jeon),박기준(Ki-Jun Park),송기욱(Ki-Wook So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5

        과거 주차공간 부족의 문제를 주차시설을 공급함으로써 해결하려 하였으나, 최근에는 환경적 문제·지속가능한 교통적 측면에서 주차수요를 관리해 나가는 형태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효율적 주차수요 관리를 위해서는 승용차 이용자의 차량 이용실태, 주차의식 조사 등을 통하여 맞춤형 주차관리 정책 수립이 바람직하고, 불법주차에 미치는 운전자의 심리적 변수가 불법주차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대해 ‘계획된 행동 이론(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불법주차 근절 의지에는 ‘행동에 대한 태도(Attitude)’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통제감(Perceived behavioural control)’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행동에 대한 태도(Attitude)’ 보다는 ‘지각된 통제감(Perceived behavioural control)’이 불법주차 근절 의지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불법주차 근절을 위해서는 운전자 심리적 의지를 제어할 수 있는 규범의식, 즉 불법주차로 인한 타인의 피해 정도를 시각화 혹은 계량화할 수 있는 정책홍보 및 상시 주차단속과 같은 강력한 규제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manage the demand for parking,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a customized parking management policy through vehicle usage and parking awareness surveys,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s used to establish a structural equ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Attitud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to eradicate illegal parking,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has a negative impact.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Perceived behavior control has a greater impact on the willingness to eradicate illegal parking than Attitude. In order to eradicate illegal parking in the future, it is believed that strong regulatory policies such as standard awareness that can control drivers psychological will, i.e., policy promotion and regular parking crackdown that can visualize or quantify the extent of damage caused by illegal parking.

      • KCI등재

        한강시민공원의 이용자 활동 특성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송지연(Song, Ji-Yeon),박진아(Park, Jin-A)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4

        본 연구는 한강시민공원을 이용하는 시민들의 특성 및 이용행태를 분석하고 초기 조성방향과 실질적인 이용행태 간의 차이를 확인하여 향후 공원계획과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둔다. 대상지별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여의도한강공원은 주변 지역에 업무, 상업지구가 분포하고 문화 및 축제 프로그램이 많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상관없이 인근 주민이나 업무, 상업 지구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휴식이나 산책, 가벼운 운동 등을 위해 한강시민공원을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반포한강공원은 주변이 주거지역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으로 시설이 조성되어있다. 그러나 시설 이용을 목적으로 하기보다 자전거 이용 중에 휴식을 취하기 위해 공원을 찾거나 휴식 및 산책 또는 가벼운 운동을 하는 행태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강시민공원의 실질적인 이용행태를 알 수 있으며 생활권 공원으로서의 한강공원의 활용도가 높았음을 확인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Han-Gang Park, Seoul?s representative and iconic public places is dedicated to the role of the theme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d the current user behavior and purpose of the composition in past, and derived the implications for planning and management for Han-Gang Park. The results of analysis target area shows that, firstly, Yeoido Han-Gang Park is surrounded by commercial and business district. That area has the many cultural, festival programs. But, without specific purpose, Yeoido Han-Gang Park has been used for resting or walking, and light exercise. And vicinity residents, office worker, or commercial area worker were using regularly. In case of Banpo, environs have a property of residential area and Banpos ? facilities were made by Han-Gang Renaissance Project. But most people use the park to take a rest in the way riding a bicycle rather than use facilities. On these results, we can recognize the practical usage behavior. An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Han-Gang Park appeared to show higher utilization level of the citizens as a neighborhood space.

      • KCI등재후보

        군사시설 이전부지 공원화 사례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박준영,이은엽,송선영,엽정식,Park, Joon-Young,Lee, Eun-Yeob,Song, Sun-Young,Yeob, Jung-Sik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4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5 No.4

        군사시설 이전부지는 근본적으로 공공 시설적 성격을 띄고 있어 공공 복리를 위한 활용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공원으로 조성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군사시설 이전부지에 대한 공원조성 사례를 분석한 결과 몇가지의 시사점을 도출하게 되었다. 공원조성의 목표는 도시재생의 개념 및 지역활성화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전부지를 전면 개조하는 방식보다는 기존 시설들을 최대한 재활용하여 경제적 이득을 취하고 동시에 지역정체성과 역사성을 재현할 필요가 있다. 공원의 규모가 대형화 되고 있어 단일시설 및 프로그램 보다는 복합공간으로 조성해 줄 필요가 있으며, 공원조성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단계적으로 공원을 조성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군사시설이 지니고 있는 특수한 상황으로 공원조성 과정에서 현장조사가 미흡하여 설계변경 또는 오염처리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사전에 이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민간사업자에게 일부 부지에 대해 개발권을 위임하고 개발이익으로 공원조성과 운영관리비를 충당하는 방안도 검토가 필요하다. 군사시설 이전기지는 다양한 이해관계에 놓여 있으므로 사업추진과정에서 민관협치의 의사결정기구를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재원조달과 수익사업 확대, 봉사 및 후원 활성화, 트러스트 및 비영리 단체의 공원운영 관리 참여 확대 등을 위해서는 도시공원 관련제도의 보완이 요구된다. Because of their nature as public facilities, demands that former military facilities be utilized for the public welfare are increasing, thereby leading to an increase in cases in which these military facilities are reestablished as parks. Cases in which former military bases were reestablished as public parks were analyzed; as a result, several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the objectives of public park projects should b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and regional revitaliz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hat profits are yielded and that regional identity and history are reproduced through reusing existing facilities as much as possible rather than entirely remodeling former military sites. As parks become larger in size, bases should be reorganized into complexes rather than single facilities or programs. It is also necessary that parks be established in stages considering the enormous expenses required for building public parks. Consequently, because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military facilities can lead to insufficient on-site investigatio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parks, thereby incurring a vast amount of costs for design adjustment and contamination disposal, this should be considered in advance. A method of delegating the development rights to partial sites to private businesses and supplementing the costs of park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with development benefits should be examined. In addition, given that there are various interests and stakes in former military bases, a method of operating a public-private cooperative decision-making organization during project execution should be considered. Finally, policies related to urban parks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to raise funds, expand profitable businesses, facilitate social services and sponsorship, and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trusts and non-profit organizations in park operation and management.

      • KCI등재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지역공원의 관광자원 가치 추정

        박찬열(Park, Chanyul),송화성(Song, Hwasu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18 지방정부연구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공원이 지닌 다양한 가치를 관광자원의 관점에서 추정하여, 지역공원 개발·운영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도심공원은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휴식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각종 공연과 행사들이 진행되는 문화공간이기에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적인 공원의 기능부터 여가·관광지로서의 기능까지 다양한 속성에 대한 가치를 선택실험법(Choice Experiment: CE) 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조사는 광교호수공원 방문객 652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일반 이용실태파악을 위해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고, 조건부 로짓 모형을 통해 각 대안에 대한 선택확률과 한계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공원조성수준에 대한 지불의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편의정도, 다양한 활동 제공에 대한 지불의사도 상당히 높았다. 또한 세부 속성 및 수준별 지불의사의 차이, 지역주민과 외지인의 지불의사 차이 등을 밝혀내 향후 지역공원 관리 정책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values of various attributes on the regional park as tourism resources and to suggest the management policies. The city park acts a complex space with various functions because it provides beautiful scenery and relaxation as well as a variety of performances and events. Thus, this study aims to estimate the value of various attributes from the functions of traditional parks to the tourism sites using Choice Experiment. A survey was conducted for 652 visitors in the Gwanggyo Lake Park. Frequency and cross tab analysis were employed to identify the using pattern of visitors. The marginal willingness to pay (MWTP) was estimated by the conditional logit model. As a result, the infrastructure of park is most preferred among the attributes and the rest of them, various activities and services, also have positive MWTP. As comparison results, this study found the differences of MWTP between the attributes and levels, and between local residents and non-residents. These outcomes will be contribute for policy-making in regional park management.

      • KCI등재

        서식지 적합성 평가를 통한 국립공원 탐방로 관리 방안 연구 - 무등산 국립공원 내 담비 서식지를 중심으로 -

        임치홍,이창석,정성희,박용수,Lim, Chi-Hong,Lee, Chang-Seok,Jung, Song-Hie,Park, Yong-Su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17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0 No.4

        This study carried out for establishing the synthetic restoration plan to improve ecological quality of Mt. Mudeung National Park based on the results of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for yellow-throated marten habitats. Yellow-throated marten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as umbrella species for the wildlife habitats conservation, therefore, this species could be used to ecological restoration plan of the damaged forest ecosystem in Mt. Mudeung National Park. In this study, we diagnosed the quality of yellow-throated marten habitats in Mt. Mudeung National Park based on five natural and two artificial factors.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integrity of each zone divided by trails quantitatively based on land use intensity. As a result, forest landscape quality in Mt. Mudeung National Park was influenced greatly by human activity and the degree was depended on the intensity of trails. Therefore,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closing of trails composed of the illegal and 36 legal trails. And then, we modeled the changes of habitats quality of Yellow-throated marten for each closing step. As a result the area of core habitats increased by two times and wildlife habitats quality improved in the whole area of the Mt. Mudeung National Park.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an-made linear landscape elements play a key role in the quality of habitats for predators, which require large habitats area like the Yellow-throated marten.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an ecological restoration plan in the mountainous area, we recommend the concept of the linear landscape should be applied with the concept of area landscape.

      • KCI등재

        Park's 벡터 패턴의 왜곡률을 이용한 고정자 권선 고장 자동진단

        宋明現(Myung-Hyun Song),朴奎南(Kyu-Nam Park),韓東奇(Dong-Gi Han),梁哲午(Chul-Oh Yang) 대한전기학회 2008 전기학회논문지 P Vol.57 No.2

        In this paper, an auto-diagnosis method of the stator winding fault for small induction motor is suggested. 3-phase stator currents are sampled, filtered, and transformed with Park's vector transformation. After then Park's vector patterns are obtained. To detect the stator winding fault automatically, a distortion ratio is newly defined and compared with the one of healthy motor, and the threshold levels of distortion ratio are suggested. The 2-turn, 4-tum, 8-turn winding fault are tested with no load, 25%, 50%, 75%, and 100% rated load. The distortion ratio of the Park's vector patterns are increased as the increase of the faulted turns. but are same as the increase of the load.

      • KCI등재

        MODIS NDVI 및 기후정보 활용 산림생태계의 기후변화 민감성 분석

        송봉근 ( Bong-geun Song ),박경훈 ( Kyung-hun Park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1 No.3

        본 연구는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6개 국립공원지역을 대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산림생태계 민감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공간해상도 1km×1km와 16일 단위의 MODIS NDVI와 기상청 남한상세 기온자료를 활용하여 시계열 분석 및 상관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기후변화에 가장 민감한 지역은 평균 상관계수가 가장 높은 지리산 국립공원(r=0.434)과 설악산 국립공원(r=0.415)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의한 산림생태계의 민감성은 국립공원 내 식생유형 및 서식지의 특성 등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라산 국립공원의 구상나무 군락지에서는 기온이 증가하는 반면, 식생지수는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구상나무가 기후변화에 취약한 종임을 선행연구와 비교를 통해 증명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산림생태계 보호를 위한 기후변화 대응 및 적응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nsitivity of forest ecosystem to climate change using spatial analysis methods focused on 6 national parks. To analyze, we constructed MODIS NDVI and temperature of Korea Meteorologic Administration based on 1km spatial resolution and 16 days. And we conducted time-series and correlation analysis using MODIS NDVI and temperature. A most sensitive region to climate change is Jirisa National Park(r=0.434) and Seoraksan National Park(r=0.415), there is the highest mea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sensitivity of forest ecosystem varied according to habitat characteristics and forest types in national park. In Abies koreana of Hallsan Nation Park, temperature has raised, but NDVI has decreased. these results will be based data of climate change adaption policy for protecting forest ecosystem.

      • KCI등재

        논문 : 국립공원 탐방로 내 위험 급경사지 유지관리 방안 연구

        김홍균 ( Hong Gyun Kim ),김태호 ( Tae Ho Kim ),김재학 ( Jae Hak Kim ),곽재환 ( Jae Hwan Kwak ),박성욱 ( Sung Wook Park ),최수원 ( Soo Won Choi ),송영갑 ( Young Karb Song ) 대한지질공학회 2016 지질공학 Vol.26 No.1

        국립공원은 주로 산악 지형 내 조성되어 있으므로 산사태에 의한 피해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사태 연구의 일환으로 국립공원 탐방로 내 위험 급경사지를 체계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국립공원에 특화된 자체 체크리스트를 제작하였으며, 전국 19개 국립공원 183개소 급경사지에 대한 실태조사가 이루어졌다. 실태조사의 최종 목적은 위험 급경사지에 대한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는 것으로 현장조사와 안정해석의 과정을 거친다. 일부 급경사지에서는 위험성 판단을 위해 지상라이다 등 특수 장비를 이용한 조사를 시도하였다. 중장기 정비계획을 위한 투자우선순위 공식을 개발하였으며, 현장자료를 이용한 순위 및 위험등급을 산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위험 급경사지의 향후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국립공원 급경사지 유지관리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모든 현장자료들은 시스템 내 DB화 되었다. National parks, which are located mainly in mountainous areas, are always at risk of damage by landslid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ethod for systematically maintaining hazardous steep slopes along trails in national parks. We produced a checklist suitable for each of the 19 national parks nationwide and investigated 183 slopes. The aim of these investigations is to recommend appropriate slope-stability countermeasures, including field investigations and stability analysis. We made preliminary investigations at specific sites, evaluating the slope hazard using specialized equipment such as terrestrial LiDAR. An investment priority formula was developed, and ranking and hazardous grades were calculated as part of a long-term maintenance plan. Finally, to systematically manage dangerous slopes and to house all the field data within one system, we developed the “Slope Maintenance System in National Parks” based on web server that can show various information for slopes.

      • KCI등재후보

        여름철 계룡산국립공원 탐방로의 열쾌적성 및 어메니티 관리 연구

        안시옥(Siok An),송도윤(Doyun Song),정다워(Dawou Joung),박범진(Bum-Jin Park),심규원(Kyu-Won Sim),박준효(Jun-Hyo Park) 국립공원연구원 2022 국립공원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는 산악환경의 기상 특징과 계룡산국립공원 탐방로의 열쾌적성을 파악하고 열쾌적성이 높은 활동 시간 정보, 활동 공간 정보, 활동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탐방로의 열쾌적성 분석을 위해 여름철 도심 기온, 국립공원 방재기상관측장비(AWS, Automatic Weather System), 탐방로인 숲길의 평균 기온을 비교하였다. 또한, 계룡산 국립공원의 주요 탐방로 4개 구간의 미기후 요소와 수관울폐도 측정을 위해 총 240개 지점을 조사 후 열쾌적성을 파악 하였다. 도심과 국립공원AWS, 탐방로의 평균 기온을 비교하였을 때, 도심, 갑사AWS, 동학사AWS, 갑사 탐방로, 동학사 탐방로 순으로 평균 기온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 탐방객이 직접 체감하는 탐방로의 열쾌적성을 고려해야 함을 의미한다. 주요 탐방로 4개 구간 조사 결과, 평균 수관울폐도는 동학사~남매탑 구간, 동학사~관음봉 구간, 갑사~연천봉 구간, 갑사~금잔디고개 구간 순으로 높았다. PMV(예상평균온열감)는 활동량이 2.8MET 일 때, 갑사~금잔디고개 구간, 갑사~연천봉 구간, 동학사~남매탑, 동학사~관음봉구간 순으로 높았다. 조사를 통하여, 열쾌적성이 높은 시간 정보, 공간 정보, 활동량 정보를 제시할 수 있었다. 탐방로의 열쾌적성 특성을 파악하여, 탐방로의 어메니티를 높일 수 있는 숲길 관리 방안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weather characteristics of the mountain environment and the thermal comfort of Gyeryongsan National Park trail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activity time, activity space, and activity amount. For the analysis of the thermal comfort of the trail, the temperature of the city center in summer,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National Park Disaster Prevention Weather System (AWS), and the trail. Also, Microclimate elements and canopy closure were also measured in four major trails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After investigating a total of 240 points, thermal comfort was identified. When comparing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city center, National Park AWS, and trail, the average temperature was higher in the order of the city center, Gabsa AWS, Donghaksa AWS, Gabsa Trail, and Donghaksa Trail. As a result, it means that the thermal pleasure experienced by visitors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a survey of four major trails, the average canopy closure is Donghaksa~nammaetop route was high in the order of Donghaksa~Gwaneumbong route, Gabsa~Yeoncheonbong route and Gabsa~Geumjandigogae route. When PMV(Predicted Mean Vote) is 2.8MET, The PMV was highter in the order of Gabsa~Geumjandigogae route, Gabsa~ Yeoncheonbong route, Donghaksa~nammaetop route, Donghaksa~Gwaneumbong route. Through the survey, time information, spatial information, and activity information with high thermal comfort could be presented. By grasping the thermal comfort characteristics of the trail, we intend to lay the foundation for forest trail management measures that can increase the amenity of the trail.

      • 도시공원에 있어서 공원적 수목원 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 목포시 유달산 도시자연공원을 사례지역으로 A Case for Urban Natural Park of Yudal-San in Mokpo City

        조영환,우창호,곽행구,박송희 木浦大學校 沿岸環境硏究所 1996 沿岸環境硏究 Vol.13 No.1

        This study aims is suggested a development methods of reasonable for security to identity of urban park which supplement to demerits of urban natural park and arboretum. Park orinted arboretum had characteristic not only enjoyment but learned to use all facility of park and exhibition at the same time to function of scientific research, education and park. Case study is conducted on the YU DAL SAN in Mok po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