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연안도시 재해지도 작성을 위한 복합재해정보 콘텐츠 분석
김정옥,김지영,이원희 한국지리정보학회 2016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9 No.3
연안도시는 태풍에 의해서 해상에서 발생하는 조석이나 해일뿐만 아니라 호우로 인한 하천범람이나 저지대 침수 등의 복합원인을 고려한 대응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재해정보 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재해지도를 주목하고 재해지도 작성을 위한 복합재해정보 콘텐츠를 정립하였다. 연안도시 맞춤형으로 설계한 복합재해정보 콘텐츠 프레임은 크게 복합재해콘텐츠, 대피 및 시설콘텐츠, 학습콘텐츠로 구성된다. 제안한 연안도시 복합 재해정보 콘텐츠는 국민안전처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개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공간정보 형태로 구축될 예정이다. Coastal cities need disaster planning that accounts for the complex causes of environmental disasters such as high tides or tsunamis generated by typhoons, and of river or lowland flooding caused by heavy rains, etc. The elements of the disaster map were initially defined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o allow for efficient information management. Complex disaster information elements were thus established in this study to create a disaster map of coastal cities. The range of information required for coastal cities includes the type of disaster, evacuation methods, available sheltering facilities, and learning content. These informational elements are intended to build on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data available from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as well as local governments.
드론 정사영상 기반 하도 지형 공간 추정 방법 RGB - 내성천 중심으로 -
강우철,장은경,이경수 한국지리정보학회 2022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하천 관리 및 홍수위 분석에 있어 필수적인 자료 중 하나인 하천 지형정보를 얻기 위해 영상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비교 검토가 이루어졌다 하천 구역의 지형정보를 얻는 데 RGB . 있어 흐름 구간 즉 하도 지형정보를 얻는 것이 가장 어려운 분야 중 하나이기에 본 연구에서는RGB . Acoustic Doppler 영상 기반으로 하도 지형정보를 추정하는 것에 집중하였다 이를 위해Current Profiler(ADCP) RTK-GPS(Real Time Kinematic-GPS) 와 를 이용하여 하도 지형을직접 계측하였으며 동시에 드론 촬영을 통해 획득한 고해상도 이미지를 이용하여 정사 영상을 생 , 성하였다 이후 수심 계측 결과와 정사 영상의 밴드 값들을 이용하여 수심 예측을 위한 기존 . RGB 에 개발된 회귀식들을 적용하였으며 가장 뛰어난 예측력을 보여준 회귀식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 , 지역의 하도 지형을 추정하였다 흐름 구간 이외 지역의 경우 항공 라이다로부터 생성된 을 . DEM 이용하여 하천 구간 전체에 대한 지형정보를 구축하였다 추가로 드론 촬영이 이루어진 동일한 시 . 간 동안 직접 계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생성된 지형정보와 드론 정사 영상 기반으로 생성된 하도지형정보의 비교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모형을 활용하여 흐름 모델링을 모의하였으며 CCHE2D , 일부 구간에 대한 계측이 이루어지지 못한 직접 계측한 지형정보와 비교하여 영상 기반의 지형정보는 보다 나은 수심 유속 모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영상으로부터 하 , . RGB 도 지형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하천 관리를 위한 , 효율적인 하천 지형정보를 얻는 방법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해양공간계획 지원을 위한 정보 현안 및 개선 방향 연구
장민철,박병문,최윤수,최희정,김태훈,이방희 한국지리정보학회 201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1 No.4
Recently, policy of the marine advanced countries were switched from the preemption using ocean to post-project development. In this study, we suggest improvement and the pending issues when are deducted to the database of the marine spatial information is constructed over the GIS system for the Korean Marine Spatial Planning (KMSP). More than 250 spatial information in the seas of Korea were processed in order of data collection, GIS transformation, data analysis and processing, data grouping, and space mapping. It’s process had some problem occurred to error of coordinate system, digitizing process for lack of the spatial information, performed by overlapping for the original marine spatial information, and so on. Moreover, solution is needed to data processing methods excluding personal information which is necessary when produce the spatial data for analysis of the used marine status and minimized method for different between the spatial information based GIS system and the based real information. Therefore, collection and securing system of lacking marine spatial information is enhanced for marine spatial planning. it is necessary to link and expand marine fisheries survey system. It is needed to the marine spatial planning. The marine spatial planning is required to the evaluation index of marine spatial and detailed marine spatial map. In addition, Marine spatial planning is needed to standard guideline and system of quality management. This standard guideline generate to phase for production, processing, analysis, and utilization. Also,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improve for the information quality of marine spatial information. Finally, we suggest necessity need for the depths study which is considered as opening extension of the marine spatial information and deduction on application model. 본 연구는 최근 해양선진국에서 이슈화되고 있는 해양공간계획(Marine Spatial Planning ; MSP)의 도구인 한국형 GIS 시스템에 있어 해양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시 도출되는 여러 가지 현안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과정에서 구축된 우리나라 해역의 250여건의공간정보는 자료수집, GIS 변환, 자료분석·처리 및 데이터 그룹핑과 핵심공간 매핑의 순서로 가공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공간정보가 부족하여 디지타이징 과정을 거치거나 기존 해양공간정보와의중첩 수행 시 발견되는 좌표계 오류 등 그 밖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해양이용현황 분석을 위한 공간데이터 제작 시 개인정보 제외 자료처리 방안과 지적기반의 공간정보 생성 시실제 공간정보와 이격 발생을 최소화 하는 등 방안을 제시하였다. 부족한 공간정보의 확보를 위하여 해양수산정보 및 해당 메타파일의 표준규격을 제시하였으며 해양공간정보의 정밀도 및 해석력제고를 위해 해양 공간 평가 지표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한국형 해양공간계획체제 구축을 위한 해양공간정보의 품질관리에 있어서의 생산, 처리, 분석, 활용 단계의 표준관리 지침수립으로 생애전주기에 걸친 품질관리체계를 제시하여 해양공간정보 개방 확대 및 활용모델에 대한 방향을 도출하였다.
Point Cloud 기반의 고해상도 원시데이터 연계 및 관리시스템 개발
김재학,이동하 한국지리정보학회 201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1 No.4
3D Geo-spatial information model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field of Civil Engineering, Medical, Computer Graphics, Urban Management and many other. Especially, in surveying and geo-spatial field, the demand for high quality 3D geospatial information and indoor spatial information is so highly increasing. However, it is so difficult to provide a low-cost and high efficiency service to the field which demand the highest quality of 3D model, because pre-constructed spatial data are composed of different formats and storage structure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purpose of each institutes. In fact, the techniques to construct a high applicable 3D geo-spatial model is very expensive to collect and analyze geo-spatial data, but most demanders of 3D geo-spatial model never want to pay the high-cost to that. This study, therefore, suggest the effective way to construct 3D geo-spatial model with low-cost of construction. In general, the effective way to reduce the cost of constructing 3D geo-spatial model a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is to combine the raw data obtained from point cloud observatory and UAV imagery, however this method has some limitation of usage from difficulties to approve the use of raw data because of those have been managed separately by various institutes. To solve this problem, we developed the linking & management system for unifying a high-Resolution raw geo-spatial data based on the point cloud DB and apply this system to extract the basic database from 3D geo-spatial mode for the road database registr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can be provided six contents of main entries for road registration by applying the developed system based on the point cloud DB. 건설, 의료, 컴퓨터 그래픽스, 도시공간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3차원 공간정보 모델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측량 및 공간정보 분야에서는 최근 고품질의 3차원 공간정보와 실내공간정보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 공간정보 데이터가 다양한 형식과 저장구조로 구성되어 관리되고 있어 저비용·고효율의 3차원 공간정보 서비스가 어려운 상황이다. 실제로 활용도높은 3차원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기술은 관측과 처리에 고액의 비용이 발생하지만, 대부분의 수요처에서는 이러한 고비용의 공간정보 구축에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비용의 3D 공간정보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하였다. 현재의 3D 모델의 구축 방법 중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는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Point Cloud, UAV 관측영상 등의 원시데이터를 활용하여 비용을 절감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이는 관리하는 기관이 분리되어 있고 사용하기 위해 요청하는 절차가 복잡하여 활용에 제한이 있었다. 본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로대장 관리 분야를 대상으로 3D 구축에 필요한 기반데이터를 통합하여 연계하고 관리 할 수 있는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을 수행하였으며, 다양한 형태의 원시자료를 Point Cloud 형식으로 구성하여 도로대장 관리에 적용할 경우 6개의 주요 관리항목을효과적 구축 및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오픈소스 PaaS 클라우드와 공간정보 처리서비스 연계 기초
김광섭,이기원 한국지리정보학회 201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0 No.4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technological elements in the field of cloud computing and their application models have increased. Cloud-based service information systems are being expanded for use in many applications. Advance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are directly related to spatial information. PaaS is an important platform for implementing a substantial cloud ecosystem to develop geo-based application services.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PaaS cloud technology prior to the development of SaaS. The PaaS cloud supports sharing of related extensions, database operations and management, and application development and deployment. The development of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s or services based on PaaS in ranging the domestic and overseas range is in the initial stages of both research and application. In this study, state-of-the-art cloud computing is reviewed and a conceptual design for geo-based applications is presented. The proposed model is based on container methods, which are the core elements of PaaS cloud technology based on open source. It is thought that these technologies contribute to the applicability and scalability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that addresses cloud computing.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a technological base for practical service implementation and experimentation for geo-based applications. 클라우드 컴퓨팅의 요소 기술과 응용 모델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많은 정보시스템과 웹 서비스 분야에서 이를 적용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 발전은 공간정보 분야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공간정보 응용 서비스를 개발하는 경우 PaaS가 실질적인 클라우드 생태계 구축의 중요한 전제 조건이기 때문에 PaaS 기술에 대한 분석이나 적용 가능성을 먼저 분석할 필요가 있다. PaaS 클라우드는 데이터베이스 운영 및 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배포뿐만 아니라, 관련 확장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국내외에서 PaaS를 기반으로 하는 공간정보 서비스 시스템 개발은 응용 및 연구 초기 단계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의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내용을 개관하고 오픈소스 기반으로 PaaS 클라우드 기술의 핵심 요소인 컨테이너 방식을 공간정보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기술 요소들은 경제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고자 하는 국내 공간정보 산업계를 위한 적용성 및 확장성이 클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공간정보 응용을 위한 서비스 개발과 실험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사공호상 한국지리정보학회 201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1 No.4
The 'Hyper-connected society’in which all objects such as people, device, place are connected via networks and share information being realized. A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changes, spatial information also faces a significant challenge. Korean government is striving to meet the social demand for spatial information that will bring 'Hyper-connectivity’such as autonomous vehicles, drones. Until now, however, it has only partially responded to urgent demand and has not prepared a fundamental countermeasure. In order to effectively and actively respond to the demand for spatial information that is needed in the Hyper-connected society, a strategy that can lead to mid- to long-term fundamental changes is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uture demand and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information confronted with a big paradigm shift called 'Hyper-connected society', and to search spatial information strategy that can cope with the demand of spatial information in future society. 사람과 사물, 장소 등 공간상의 모든 객체가 네트워크로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공유하는‘초연결 시대’가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와 같은 정보통신 환경의 변화에 따라 공간정보도 중요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정부는 자율주행자동차, 드론, 3차원 공간정보 등‘초연결’로 인한 공간정보의 사회적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초연결 시대가 필요로 하는 공간정보의 수요에 효과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초연결 시대’라는 커다란 패러다임의 변화에 직면한 공간정보의 미래 수요변화와 활용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사회의 공간정보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밀도로지도 공간관계 참조객체의 속성 입력 자동화에 관한 연구
성동기,민승현,최윤수,오종민 한국지리정보학회 202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7 No.1
최근 4차 산업혁명 핵심 중 하나인 자율주행의 기술이 발전하고 있지만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사고가 발생하는 등 센서 기반 자율주행에 한계를 보이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정밀도로지도는 자율주행의 핵심 인프라로 활용되고 있으며, 공공 및 민간에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밀도로지도의 최신성과 정확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연구와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국토지리정보원은 자율주행차의 운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수도권 등 전국 도심지역 및 주요도로를 대상으로 확대 구축 중이며, 기 구축된 구간 중 도로변화가 발생한 지역의 신속갱신 체계를 마련하고, 품질검증을 통해 데이터 오류율 최소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 중인 정밀도로지도의 신속, 정확한 갱신과 제작을 위해 속성 구조화 공정에서 참조객체의 공간관계를 분석하고, 오픈소스 기반 PyQGIS의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공간관계가 성립되는 참조객체의 속성입력 자동화 방법론을 적용하여, 고속국도·일반국도·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실증구간 등 도로유형별로 대상지를 선정하여 자동화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속성자동화 도구를 활용하여 공간관계 참조객체의 속성을 자동으로 입력하는데 대상지별 약2~5분의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참조객체 속성입력 자동화 결과 고속국도 86.4%, 일반국도 79.7%, C-ITS의 경우 82.4%, 평균 82.8%의 속성입력 정확도를 확보하였다.이에 본 연구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구축 중인 정밀도로지도의 신속, 정확한 갱신과 제작을 위해 속성 구조화 공정에서 참조객체의 공간관계를 분석하고, 오픈소스 기반 PyQGIS의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공간관계가 성립되는 참조객체의 속성입력 자동화 방법론을 적용하여, 고속국도·일반국도·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실증구간 등 도로유형별로 대상지를 선정하여 자동화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속성자동화 도구를 활용하여 공간관계 참조객체의 속성을 자동으로 입력하는데 대상지별 약2~5분의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참조객체 속성입력 자동화 결과 고속국도 86.4%, 일반국도 79.7%, C-ITS의 경우 82.4%, 평균 82.8%의 속성입력 정확도를 확보하였다. Recently, the technology of autonomous driving, one of the cor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developing, but sensor-based autonomous driving is showing limitations, such as accidents in unexpected situations, To compensate for this, HD-map is being used as a core infrastructure for autonomous driving, and interest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s increasing, and various studies and technology developments are being conducted to secure the latest and accuracy of HD-map. Currently, NGII will be newly built in urban areas and major road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the metropolitan area, where self-driving cars are expected to run, and is working to minimize data error rates through quality ver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relationship of reference objects in the attribute structuring process for rapid and accurate renewal and production of HD-map under construction by NGII, By applying the attribute input automation methodology of the reference object in which spatial relations are established using the library of open source-based PyQGIS, target sites were selected for each road type, such as high-speed national highways, general national highways, and C-ITS demonstration sections. Using the attribute automation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it took about 2 to 5 minutes for each target location to automatically input the attributes of the spatial relationship reference object, As a result of automation of attribute input for reference objects, attribute input accuracy of 86.4% for high-speed national highways, 79.7% for general national highways, 82.4% for C-ITS, and 82.8% on average were secu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