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주 도시 경관의 변천 특성에 관한 연구

        곽행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006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영문 No.4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도시 공간의 시대적 변천 과정을 통하여 도시 공간 변화에 대한 큰 틀에 있어서의 읍성 시대의 경관, 일제 시대 이후의 도시 계획 공간 변화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인식적 경관으로서의 광주 대표 경관인 무등산과 풍수적 원리로 요약되는 경관 요소가 되는 유림수, 경양방죽과 임수 등을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사진으로 보는 광주 100년을 통하여 근대 이후 도시 경관에서 볼 수 있는 도시의 가로축, 도시녹지축, 관문으로서의 경관, 랜드마크, 조망 대상으로서의 도시 경관, 구릉지, 주유 풍경으로서의 도시 경관 등의 경관 요소와 경관 특성을 파악하였다.첫째, 광주가 본격적으로 도시화되기 시작한 해방 이후 시가지 경관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 가장 큰 도시 계획적 배경에는 1950년대부터 시작된 토지구획정리사업과 1970년대의 개발제한구역 지정, 1980년대의 택지개발사업이었다. 이러한 사업을 통하여 한옥형 단독 주택 경관, 도시 외곽의 고층 아파트 경관이 형성되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역사, 자연환경이 개발의 압력에 밀려 사라지게 되었다.둘째는 문헌 자료와 광주100년 사진 자료를 분석한 결과 광주 경관은 적어도 읍성 시대의 광주와 근대기의 도시 광주의 주요 경관 요소가 많은 부분 사라진 대신에 단기간에 이루어진 도시 공간 확대, 자본주의적 이윤 논리로 도색된 물적 도시 경관이 도시 문화의 얼굴을 대신하고 있다는 것이다. 역사적 적층성을 바탕으로 도시문화가 성립하지 못한다는 것이 아쉽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아쉬움을 극복하자면, 문화 도시 광주를 이야기하기 전에 이미 시작된 반문화적 도시 경관 형성 과정을 겸허하게 되돌아보고 거기에서부터 문화 도시의 지향점을 찾아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본 연구를 통하여 근대 이후의 광주 경관의 원형을 파악하여 광주가 아시아 문화중심도시로서의 심미성과 정체성을 보다 풍부히 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지키고 관리해 나가는 개념과 방향의 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어느 시점에서 도시 문화적 경관이 상실되었으며 적어도 복원재현할 수 있는 경관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장기적으로 착실하게 준비하며 후속의 연구가 더욱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나주시 읍성공간 역사문화경관의 정비 및 활용방안 연구

        곽행구 한국전통조경학회 2006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영문 No.4

        This study investigated buildings in the Naju Eup-Seong area, which is a historic city with a lot of values and resources, to know the number of floors and ages of the buildings. It intends to come up with ways to renovate and utilize them to make the city a historic one. The area between Keumsungkwan and Naju Local old-time School, the center of Naju Eup-Seong, into 3 zones, and types and utilization scheme for each of which were propose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First, Naju Eup-Seong of Use District has been designated as first and second class residential area, commercial area, semi-residential area. Naju Local School and 4 Gates areas are designated as Cultural Reserves and Height Limitation Zone. It would be desirable to expand the cultural reserve for valuable resources for possible restoration.Second, we survey the buildings for the number of floors, types and degree of aging. The area was mostly filled with buildings of one or two story high, made of wood, block or bricks because urbanization had not yet set in. Therefore, it seems to provide a great opportunity to be a historic city, leveraging such buildings. Additionally it would be plausible to develop into a differentiated historic city if a reliable plan is set up involving the owners of the land. Third, the block between Keunseongkwan and Moksanaea can be made into an area that will serve as a street of traditional local office fit for its status as an historic city or a landmark that gives off taste of tradition. The Samagyo and Naju Local School zone can be constructed as pedestrian heaven with historic taste embedded. The block between Naju Local School and Eup-Seong Site can be renovated into space that accommodate balance between history and riverfront using castle wall and Naju stream.

      • KCI등재후보

        문화관광자원으로서 전통한옥마을 활성화방안 연구 - 전라남도를 대상으로 -

        곽행구,김지인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1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5 No.2

        지방화 시대를 맞아 전통문화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복원, 전승노력 등이 활발해 지면서 전통한옥의 자원화를 통한문화관광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전통한옥마을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 할 것으로보인다. 전남은 한옥관련 시책은 추진하고 있으나 관광자원화를 위한 문화콘텐츠 발굴 및 자원화 개발전략 수립 등이미흡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전통한옥과 한옥마을이라는 문화자원을 활용한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한옥마을 관광자원화활성화방안은 관련 문헌연구, 현지조사, 2차 자료 분석, 해외선진사례연구의 연구방법을 통해 운영 실태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전통한옥마을의 운영 실태와 시사점을 도출해 관광자원화를 위한 활성화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한옥마을 특성에 맞는 핵심소재 발굴이다. 둘째, 관광수요자 중심의 체험프로그램 개발이다. 셋째, 한옥마을 관리운영을위한 인력과 조직의 운영관리 체계화이다. 넷째, 다양한 정책지원 요건 구비이다. 다섯째, 홍보와 마케팅 강화이다.여섯째, 한옥마을 운영 표준화 매뉴얼 작성이다. As revaluation about traditional culture is consisting because meeting localization age and the restoration, complete victory effort become lively, interest about culture signtseeing decay, therefore, interest for Traditional Korean House(Han-ok) is expected to enlarge gradually. But Jeollanamdo has relatively insufficiently explored its cultures resource as traditional korean house and established a development strategy. This research studied many ideas to revive traditional korean village and the Han-Ok which is traditional living space of korean as resources of culture and tourism by utilizing the tangible and intangible properties in architecture of Han-Ok and Han-Ok villages. Traditional korean village folk inside village administration operation activation way draws suggestion point through ethnic customs village connection literature research, on-the-spot survey, 2 analysises, foreign countries case study. If arrange analysis wave and traditional korean house village as Culture Tourism Resources folk inside village administration operation physiognomy problem and Its Implications that appear, is as following. First, Village's major topics are choice for Culture Tourism Resources. Second, Experience Program devolope for Consumer-directed Services. Third, Systematized Management of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 Fouth, support the various policies. Fifth, Need public information reinforcement that use event. Sixth, the Establishment of Joint Standardization Guideline.

      • KCI등재

        산촌생태마을 운영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

        곽행구 전북대학교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4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8 No.3

        본 연구는 전남지역의 산촌생태마을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향후 여건변화에 따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전남지역의 산촌생태마을은 1996년 곡성 원달마을을 시작으로 2010년까지 24개 마을이 조성되 었다. 2011년부터는 산촌생태마을 조성사업은 어촌종합개발사업,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과 함께 권역단위 종합정비사 업으로 통합되어 추진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2010년까지 조성된 전남지역의 24개 마을을 대상으로 문헌조사, 현지조사를 통해서 운영 실태를 파악하였다. 산촌마을의 문제점으로는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하여 산촌에서의 농업의 활력이나 마을기능이 저하되었고 이로 인해 노동력 부족으로 산촌경작지나 자연환경에 대한 경관창출 및 환경정비가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설중심의 생활환경개선과 생산기반조성사업에 집중적으 로 투자됨으로 지역 관광 활성화를 위한 소프트웨어 중심 계획이 미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시설에 대한 인력부족이나 전문성 미비로 유지관리나 운영관리 이용이 저조하거나 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고, 시설중심의 체험프로그램 운영과 주변 지역자원과의 연계성 미비로 숙박과 체험시설 위주의 단순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생산이나 생활, 전통문화에 대한 프로그램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문제점을 토대로 산촌생태마을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산촌다움의 유지 및 복원을 위한 산촌경관 재생이다. 둘째, 산촌의 지역성을 창조하는 생활과 생산문화 재생이다. 셋째, 지역기반형 운영 프로그램 개발이다. 넷째, 건강지향형 지역특화산업과 융·복합이다. 다섯째, 지역자원과 연계한 그린투어리즘 전개이다. 여섯째 수요 중심의 홍보마케팅 강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operating mountain eco-villages in the Jeonnam area and to determine methods to help the villages adjust to new conditions. A total of 24 eco-villages had been built in the Jeonnam area by 2010, beginning with the Gokseong Wondal Village in 1996. Since 2011, the mountain eco-village construction project has been jointly promoted with the rage sphere unit comprehensive maintenance project, comprehensive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nd agricult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Thus, this study uses field investigations and a literature review of villages in the Jeonnam area to examine the overall revitalization plan for mountain eco-villages. Environmental maintenance remains a core problem for mountain villages: bo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rable land have suffered due to a shortage of manpower resulting from decreased population and an aging society. In addition, a software-centered plan for revitalization of the local tourist industry remains incomplete due to concentrated investment in facility-centered improvements. Furthermore, it is evident that facilities have been underutilized because of poor operational management and maintenance. Also, programs devoted to manufacturing and traditional culture have been ineffective due to a lack of connectivity with surrounding areas. To address the problems noted above, the following agenda is proposed for revitalization of mountain eco-villages. First, landscapes must be maintained and regenerated. Second, it is important to regenerate the production culture and general lifestyle of each eco-village in order to underscore their unique character. Third, region-based operation programs must be put into place. Fourth, a convergence between the project and each region’s health-oriented specialized industry must be acknowledged. Fifth, it is desirable to develop green tourism in connection with regional resources. Finally, it is necessary to enhance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plans.

      • 西南海 島嶼景觀의 視覺的 選好度 分析에 關한 硏究

        金農梧,郭幸求 木浦大學校沿岸生物硏究所 1991 沿岸生物硏究 Vol.8 No.1

        다양한 景觀을 연출하고 있는 西南海岸 島嶼 景觀의 視覺的 選好度를 리커트 尺度(Likert Attitude Scale)와 쌍체 비교 기법(Paired Comparison)을 通하여 각 因子別 選好度 測定과 各 地域別 主要 因子를 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리커트 尺度를 通하여 視覺的 選好度를 分析한 結果 관매도의 하늘 다리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다음으로 홍도의 거북이 바위, 관매도의 기암, 신안군의 광대섬 수림 등의 自然景觀이 높게 나타난 반면에 대흑산도 예리항 전경, 소흑산도 마을 전경, 신안군 하의면 마을 전경 등의 文化京觀은 낮게 나타났다. 2. 쌍체비교기법을 通한 視覺的 選好度 分析結果를 흑산도에서는 기암이 신안군 일대에서는 수풀림, 백사장이, 홍도에서는 동굴, 항구 마을이, 소흑산도에서는 절벽이, 관매도에서는 島嶼군의 景觀이 제일 높은 치를 보이고 있다. 3. 각 因子別 Factor Score을 비교 分析한 結果 마을 景觀이 6.249로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절벽, 항구, 기암, 백사장 순으로 나타났다. 4. 각 地域別 Score를 비교 分析한 結果 홍도 지역이 9.49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신안군 일대, 관매도, 흑산도, 소흑산도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objective basic data for the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through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visual factors in the southwest islands in Korea. I evaluated the visual preference of islands landscape by Likert attitude scale and paired comparison. The results are these. 1. Ranks of visual preference measured by Likert attitude scale method have found to be high values of slide 31, 17, 25, 34 of natual landscape, yield low values of slide 5, 13, 14, 38 of cultural landscape. 2. Result of visual preference analysis measured by paired comparison method have found to be high values of rocks of fantastic shape landscape, in the area of the HUKSANDO, a forest landscape, a white sandy plain landscape in the area of SHINAN GUN, a cavern landscape, a port landscape, a village landscape in the area of the HONGDO, cliff landscape in the area of SOHUKSANDO, an island group in the area of KWANMAEDO. 3. Results of visual preference measuard by Factor score method have found to be a village landscape, a cliff landscape, a port landscape, rocks of fantastic shape landscape, a white sandy plain landscape in that order. 4. According to the result of location score method have found to be the HONGDO(9.493), SAINAN GUN, KWANMAEDO, HUKSANDO, SOHUKSANDO in that order.

      • Computer를 활용한 조경수목관리 Program개발의 기초적 연구

        조영환,장영환,곽행구 木浦大學校 沿岸環境硏究所 1999 沿岸環境硏究 Vol.16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uter-based management program of landscape woody plants, which make critical role in the outdoor environment. The program structure is composed of two functions ; Data input and Verification. The user interfaces employ pull-down menu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nderstand. The system components are as follows ; -Hardware : Pentium Processor 133MHz based system, 16MB RAM, 1.2GB Hard disk driver, SVGA Graphic Card -Software : Turbo C++ V3.0, TB(TaeBeck) V2.0 A case study is carried to verify the quality of the developed program, that is applied to the planted trees in Dorim Campus, Mokpo National University at Chungkae, Muan. The developed program as a result of this study has several merits. First, this program can operate under the environment of DOS and Windows. Second, it is possible to type and display Korea letters. Third, it is possible to verify multiply. But, the developed program should be integrated to overcome several difficulties such as Graphic Data and Data quality, etc.

      • 都市自然公園 利用者 行態分析에 관한 硏究 : 木浦市 유달산 都市自然公園을 對象으로

        趙榮煥,郭幸求 木浦大學校 沿岸環境硏究所 1995 沿岸環境硏究 Vol.12 No.1

        It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offer the basic data concerning management of use and preservation in urban natural park by the analysis of user pattern of behavior. The site of case study was Yudal Urban Natural Park,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for the environment and outdoor recreation. The analysis of user behavior and factors of determination of user satisfaction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Males were represented about 60%. The age group which was frequently represented in these questionaries were in the age of 20s(44.6%), 30s(20.5%), 50s(19.3%) and so on. Goverment officials were the largest one(37.8%) and the second one was the student group(26.2%) in their occupation. 2. The largest group of users was to visit this park every month(24.8%) and the time of stay was 2 hours per visit(44.9%). Many users visited the park with their lovers or friend(45.5%) Spring was the best season to their visit(44.4%) and they usualy came the park during weekend(48.2%). 3. Among the park area, Sculpture Park was the most popular place to visitors. Users were satisfy with roads for mountain climbing, but the other facilities were pointed out problems because of their bad appearence. 4.More users wanted to develop the area for the place of abundant natural charateristics for improving visitability than those who insisit on the conservation of present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