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Tricyclic antidepressant amitriptyline inhibits 5-hydroxytryptamine 3 receptor currents in NCB-20 cells

        박용수,명석호,김인범,성기욱 대한약리학회 2018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Pharmacology Vol.22 No.5

        Amitriptyline, a tricyclic antidepressant, is commonly used to treat depression and neuropathic pain, but its mechanism is still unclear. We tested the effect of amitriptyline on 5-hydroxytryptamine 3 (5-HT3) receptor currents and studied its blocking mechanism because the clinical applications of amitriptyline overlapped with 5-HT3 receptor therapeutic potentials. Using a whole-cell voltage clamp method, we recorded the currents of the 5-HT3 receptor when 5-HT was applied alone or co-applied with amitriptyline in cultured NCB-20 neuroblastoma cells known to express 5-HT3 receptors.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amitriptyline, we simulated the 5-HT3 receptor currents using Berkeley Madonna® software and calculated the rate constants of the agonist binding and receptor transition steps. The 5-HT3 receptor currents were inhibited by amitriptyline in a concentration-dependent, voltage-independent manner, and a competitive mode. Amitriptyline accelerated the desensitization of the 5-HT3 receptor. When amitriptyline was applied before 5-HT treatment, the currents rose slowly until the end of 5-HT treatment. When amitriptyline was coapplied with 5-HT, currents rose and decayed rapidly. Peak current amplitudes were decreased in both applications. All macroscopic currents recorded in whole cell voltage clamping experiments were reproduced by simulation and the changes of rate constants by amitriptyline were correlated with macroscopic current recording data.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itriptyline blocks the 5-HT3 receptor by close and open state blocking mechanisms, in a competitive manner. We could expand an understanding of pharmacological mechanisms of amitriptyline related to the modulation of a 5-HT3 receptor, a potential target of neurologic and psychiatric diseases through this study.

      • 말 냉장정액의 희석제와 보관 형태가 생존율 및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

        박용수,조영재,양재혁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16 한국수정란이식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0

        승용말 주요 생산 국가와 협회에서 약 90% 정도가 인공수정으로 망아지를 생산하고 있고, 인공수정에 이용되는 정액은 냉장정액이 90%, 동결정액은 10% 정도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 서는 국내 승용말 인공수정 저변 확대에 필요한 씨수말 냉장 정액의 장기보존성 향상을 위하여 냉장 보존용 희석제와 희석 후 보관 형태가 정자의 생존성 및 운동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국마사회 장수목장에서 관리 중인 씨수말 2두를 이용하였으며, 정액의 희석에는 INRA-96(IMV, France) 및 EZ-mixin(ARS, USA) 희석제를 각각 이용하였고, 냉장(4℃) 상태에 서 96시간까지 보관하면서 정자의 생존율과 운동성을 분석하였다. 보관 형태는 aerobic 및 anaerobic 상태로 하였다. 정자의 운동성은 CASA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각 결과는 mean±SD로 나타냈으며, 통계처리는 t-test를 이용하였고 p<0.05 수준에서 유의성 검정을 하였 다. 승용말 정액 채취 직후 생존율과 운동성은 각각 평균 65.5% - 73.8% 및 40.8% 및 47.8% 였 다. 실험 목적에 따라 INRA96 및 EX-mixin 그리고 aerobic 및 anaerobic 상태로 24, 48, 72 및 96시간 동안 보존 하였다. EZ-mixin 희석제의 aerobic 및 anerobic 상태에서 보존 시간 경과에 따라 생존율은 42.3% - 4.0%, 운동성은 50.4% - 16.0%로 낮아졌다. INRA96희석제에서 보존에 서 생존율은 aerobic 54,3% - 49.9% 및 anaerobic 58.7% - 47.5%로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유의 차는 없었다(p<0.05). 한편 운동성은 aerobic 34.5% - 37.4% 및 anaerobic 36.6% - 31.9%로 차이 가 없었다. 따라서 각각 희석제에 따른 혐기 및 호기성 상태로의 보존은 생존율과 운동성에도 영향이 없었으나, 희석제의 조성에 따른 생존율과 운동성은 유의한 차이가 인정되었다.

      • 칡소 발육단계별 체형 측정 및 신선과 동결융해 정액 성상 비교

        박용수,최수호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11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Vol.2011 No.1

        한우(韓牛, Korean Cattle, Bos taurus coreanae)는 모색에 따라 황소, 칡소, 흑소로 나 누어지고 있다. 칡소는 현재 1,700여두가 전국에 사육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종모우로 활용 가능한 수소의 숫자가 매우 적어 근친의 위험도가 높다. 본 연구 에서는 우량 칡소를 선발하기 위하여 성장단계별 체형을 측정하고, 12개월 및 30개월 령 에 신선정액과 동결융해 정액의 활력을 비교하였다. 칡소의 발육단계별 체형은 체고, 흉위, 십자부고, 체장, 흉심, 흉폭, 고장, 요각폭, 곤폭, 좌골폭을 각각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 및 36개월 이상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정액 채취는 인공질을 이용하여 채취하였고, 정액동결용 완충액은 Triladyl를 이용하였다. 칡소 수소의 성장단계별 체형을 조사한 결과, 12개월령 흉위, 체고, 십자부고, 체장, 흉 심, 흉폭, 고장, 요각폭, 곤폭 및 좌골폭이 각각 평균 156.0 cm, 113.2 cm, 118.6 cm, 122.6 cm, 59.5 cm, 31.7 cm, 43.0 cm, 34.7 cm, 36.6 cm 및 19.8 cm였고, 30개월령에 는 각각 평균 214.8 cm, 140.5 cm, 140.5 cm, 179.3 cm, 83.2 cm, 48.6 cm, 62.3 cm, 53.9 cm, 51.0 cm 및 34.7 cm로 조사되었다. 칡소 육성우의 모색을 조사한 결과, 전체 호반 무늬를 가진 개체는 9.6%, 부분 호반 무늬는 59.0%, 호반 무늬 없이 갈색인 개체는 20.5% 그리고 흑색인 개체는 10.8%였다. 15개월령 칡소와 30개월령 칡소의 신선 및 동 결융해 정액의 활력을 조사한 결과, 15개월령 수소의 정액량이 평균 2.3ml로서, 30개월 수소의 정액량의 평균 5.0ml로서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채정 직후의 신선정자의 생존율은 15개월 및 30개월 수소가 각각 평균 93.7% 및 88.3%, 운동성은 각각 97.0% 및 88.3%로서 운동성은 15개월령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한편 동결융해 정자의 생 존율은 각각 평균 56.0% 및 58.0%였고, 운동성은 각각 평균 64.0% 및 70.7%로서 차이 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칡소의 동결정액 생산을 위한 체형이 우수한 개체의 선발이 가능하 였으나, 대량 증식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말의 난포 크기에 따른 프로제스테론과 에스트로젠 농도 및 인공수정 임신율

        박용수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11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Vol.2011 No.1

        국외에서 승용말 번식에서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식의 활용도가 높지만, 국내에서 사육 되는 말은 대부분이 경주마로 자연종부로만 번식을 하고 있다. 인공수정 등 번식기술의 국산화를 위해서는 발정주기의 난포 변화와 난포 변화에 따른 호르몬 변화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말 발정기의 난포크기에 따른 프로제스테론과 에스트로젠의 변 화 및 난포 크기에 따른 배란유도와 인공수정 결과를 조사하였다. 말의 난포 크기가 발정증상 개시부터 2 cm, 3 cm 및 4 cm 이상에서 혈액내 프로제스 테론과 에스트로젠을 분석하였다. 발정개시 후 난포의 크기에 따라 hCG를 이용 배란을 유도하였고, 배란 유도 후 24 및 40시간에 동결정액으로 2회 인공수정 하였다. 발정기의 말에서 혈액내 프로제스테론 농도는 난포의 크기가 각각 2 cm, 3 cm 및 4 cm에서 평균 9.09 ng/ml, 13.04 ng.ml 및 1.40 ng/ml로서 4 cm에서 급격하게 감소하였 다. 한편 에스트로젠농도는 각각 평균 59.20 pg/ml, 48.5 pg/ml, 및 41.07 pg/ml로서 차이 가 없었다. 배란유도 시점의 난포 크기가 임신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난포 크 기가 4 cm 미만에서는 임신율이 0%였으나, 4 cm 이상에서는 60%였다. 배란유도 후 인 공수정 시점의 난포 크기가 임신율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난포 크기가 5 cm 미 만은 임신에 실패하였으나, 5 cm 이상에서 60%의 임신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정기 말의 배란유도 및 인공수정 시점에 주기적인 초음파 검사를 통한 난포 크기의 확인이 인공수정의 임신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번식말의 수정란 채란 및 이식

        박용수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11 발생공학 국제심포지엄 및 학술대회 Vol.2011 No.1

        국내의 말 산업 확대와 승마인구 저변확대에 따른 승용말 생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 대부분의 승용말은 경주 퇴역마 또는 고가의 수입말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 서 우수하고 경제적인 승용말의 국내 생산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인공수정 및 수정란이 식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환경에 적합한 말의 수정란 채란 및 이식 체계 를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란말 및 수란말의 발정동기화는 초음파를 이용 난소검사 후 황체와 난포가 확인된 개체에 대하여 PGF2a를 근육주사 하였다. 발정이 확인된 개체는 난포크기를 측정하였고, 4 cm 이상에 도달하였을 때 배란유도 및 인공수정을 실시하였다. 수정란의 채란은 Equine Lavage Catheter (Bioniche, USA), 회수용 채란액은 ViGRO(Bioniche, USA)를 이용하 여 인공수정후 5, 6, 7 및 8일째에 실시하였다. 채란된 수정란은 5% FBS가 첨가된 TCM- 199에서 38.5℃, 5%CO2 하에서 배양하면서 크기를 조사하였다. 공란말 8두에 발정동기화를 유도하여 6(87.5%)가 발정이 유도 되었고, 6두가 배란유도 및 인공수정에 성공하였다. 인공수정 공란말 중 5두가 채란에 이용되어 3(60%)두가 채란 에 성공하였다. 채란된 수정란은 수정 후 배양 5일째 220 μm, 6일째 580 μm, 7일째 1.2 mm 및 8일째 2.2 mm로 발달한 후 부화하였다. 한편 채란된 7일째 수정란 2개를 수란말 2두에 이식하여 1두가 임신에 성공하였다. 한편 공란말의 혈중 프로제스테론 및 에스트 로젠 농도는 각각 평균 7.91 ng/ul 및 24.45 pg/ul이었고, 수란말의 혈중 프로제스테론 및 에스트로젠 농도는 각각 평균 16.06 ng/ul 및 49.13 ng/ul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도 말의 수정란 채란 및 이식에 성공하여 번식기술을 활용 한 말의 증식 및 개량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칡한우의 연령에 따른 동결융해 정자의 활력 비교

        박용수,최수호 한국동물번식학회 2012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 Vol.36 No.2

        칡한우는 한우의 품종의 하나로 FAO에 등록되어 있고, 1,700여두가 사육되고 있는 것으 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사육두수가 적어 멸종위험품종으로 분류되고 있고, 특히 번식 가 능한 수소의 숫자가 매우 적어 근친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칡소에 대한 연구는 유전적 특성(이 등, 2002), 정액동결(조 등, 2011), 모색분포(박 등, 2007) 등으로 아주 제한적으로 보고되고 있어서 증식에 필요한 정액 동결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칡한우 수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생후 15개월령 단계에서 2-3일 간격으 로 2회 채취하여 동결한 후 거세·비육하여 도체성적을 평가하였다. 정액채취는 인공질(FHK, Japan), 동결희석제는 Triladyl(Minitube, Germany) 희석제를 이 용하였다. 정자의 motility는 CASA system(Minitube, Germany)상에서 Total motile (TM)과 Progressive motile (PM) 비율을 측정하였다. 15개월령 칡소와 30개월령 칡소의 신선 및 동결융해 정액의 활력을 조사한 결과, 15개월 령 수소의 정액량이 평균 2.3 ml이었고, 30개월 수소의 정액량은 평균 5.0 ml로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채정 직후의 신선정자의 TM 비율이 15개월 및 30개월 수소가 각각 평균 93.7% 및 88.3%, PM 비율은 각각 97.0% 및 88.3%로서 PM 비율은 15개월령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한편 동결융해 정자의 TM 비율은 각각 평균 56.0% 및 58.0%였고, PM 비 율은 각각 평균 64.0% 및 70.7%로서 차이가 없었다. 칡소 15개월 정액채취가 완료된 후 거세 및 비육하여 출하한 결과와 한우 거세우의 도축 성적을 비교한 결과, 육량은 A등급이 칡한우는 35.7%, 한우는 27.5%였고, B등급은 각각 42.9% 및 52.75였다. 육질등급은 1++등급이 각각 35.7% 및 15.0%, 1+등급이 각각 35.7% 및 30.8%, 1등급은 각각 14.3% 및 32.0% 그리고 2등급이 각각 14.3% 및 20.1%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칡한우 수소 생후 15개월령에서 정액채취, 동결 및 활용이 가능한 것 으로 판단되며, 향후 칡한우 고유 유전자원의 확보 및 증식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 다.

      • 칡한우의 연령에 따른 동결융해 정자의 활력 비교

        박용수,최수호 한국동물번식학회 2012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Supplement) Vol.36 No.2s

        칡한우는 한우의 품종의 하나로 FAO에 등록되어 있고, 1,700여두가 사육되고 있는 것으 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사육두수가 적어 멸종위험품종으로 분류되고 있고, 특히 번식 가 능한 수소의 숫자가 매우 적어 근친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칡소에 대한 연구는 유전적 특성(이 등, 2002), 정액동결(조 등, 2011), 모색분포(박 등, 2007) 등으로 아주 제한적으로 보고되고 있어서 증식에 필요한 정액 동결관련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칡한우 수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생후 15개월령 단계에서 2-3일 간격으 로 2회 채취하여 동결한 후 거세·비육하여 도체성적을 평가하였다. 정액채취는 인공질(FHK, Japan), 동결희석제는 Triladyl(Minitube, Germany) 희석제를 이 용하였다. 정자의 motility는 CASA system(Minitube, Germany)상에서 Total motile (TM)과 Progressive motile (PM) 비율을 측정하였다. 15개월령 칡소와 30개월령 칡소의 신선 및 동결융해 정액의 활력을 조사한 결과, 15개월 령 수소의 정액량이 평균 2.3 ml이었고, 30개월 수소의 정액량은 평균 5.0 ml로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채정 직후의 신선정자의 TM 비율이 15개월 및 30개월 수소가 각각 평균 93.7% 및 88.3%, PM 비율은 각각 97.0% 및 88.3%로서 PM 비율은 15개월령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한편 동결융해 정자의 TM 비율은 각각 평균 56.0% 및 58.0%였고, PM 비 율은 각각 평균 64.0% 및 70.7%로서 차이가 없었다. 칡소 15개월 정액채취가 완료된 후 거세 및 비육하여 출하한 결과와 한우 거세우의 도축 성적을 비교한 결과, 육량은 A등급이 칡한우는 35.7%, 한우는 27.5%였고, B등급은 각각 42.9% 및 52.75였다. 육질등급은 1++등급이 각각 35.7% 및 15.0%, 1+등급이 각각 35.7% 및 30.8%, 1등급은 각각 14.3% 및 32.0% 그리고 2등급이 각각 14.3% 및 20.1%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칡한우 수소 생후 15개월령에서 정액채취, 동결 및 활용이 가능한 것 으로 판단되며, 향후 칡한우 고유 유전자원의 확보 및 증식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 다.

      • 청소년 특성에 따른 자원봉사활동 성숙단계 인식에 관한 연구

        박용수,곽미정 한국공공관리학회 2017 한국공공관리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원봉사활동에 관한 제도 및 이해정도, 그리고 자원봉사를 통하여 청소년들 개인의 가치관변화 및 생활태도변화, 그리고 자원봉사활동이 문화로서 정착되어지는 것에 대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봉사활동에 대한 계기 및 경험정도에 대해서 청소년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성숙인식을 비교하여 알아보고, 청소년 자원봉사 활동의 단계별 성숙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중학생 2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 결과, 학력별 자원봉사활동 성숙단계는 중2학년이 중3학년에 비해 자원봉사의 제도 및 이해영역에 대해서 높은 수준의 결과가 나왔으나, 성적수준 및 생활수준별 자원봉사활동 성숙단계 인식수준은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봉사계기별 자원봉사활동 성숙단계는 자발적으로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학생들이 봉사점수나 타인의 권유로 봉사를 참여한 학생들에 비해 제도 및 이해영역, 그리고 문화정착 영역에 대해서 높은 수준의 결과 가 나왔으며, 봉사 횟수에 따른 성숙단계는 한 달에 1회 이상 한 학생들이 분기별 1회이하나 전혀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제도 및 이해영역, 가치확산 및 문화정착 영역에 대해서 높은 수준의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자원봉사활동의 성숙단계별 인식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봉사활동 계기 및 경험정도에 따라 다른 양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adolescents in terms of mature perceptions of volunteer service including the institutional understanding of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changes to their personal values and life attitudes through volunteering,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ettlement of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as part of culture, and opportunities and experiences of volunteer activities. The study also aimed to search for ways to raise the maturity level of their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by the stages. The subjects include 246 middle school students whose survey responses were statistically treat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as for the maturity level of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grade, the eighth graders scored higher points in the system and understanding of volunteering than the ninth grader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maturity levels of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grade and living standard. As for the maturity level of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volunteering, those who did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voluntarily scored higher points in the institution and understanding domain and the cultural settlement domain than those who did to get volunteer points or by the recommendation of others. As for the maturity level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volunteering, those who did once a month or more frequently scored higher points in the institution and understanding, spread of values, and cultural settlement domains than those who did once a quarter or less frequently or had no experiences of volunteering.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ere different perception patterns of maturity levels of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experienced by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otivations for volunteer activities, and degrees of experiences.

      • KCI등재후보

        한우 체외 수정란의 배반포 단계, 체외 배양 일령 및 등급이 산자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박용수,김소섭,김동환,박흠대,Park, Y.S.,Kim, S.S.,Kim, D.H.,Park, H.D. 한국수정란이식학회 2006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ol.21 No.4

        본 연구는 수정란이식의 현장 적용 측면을 중심으로, 한우 체외 수정란의 발생 단계, 일자 및 등급이 젖소 대리모에 이식 후 임신과 유산, 분만과 관련된 임신기간, 생시체중, 난산 및 쌍자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단자 및 쌍자 분만에 따른 임신기간, 생시체중, 성비 및 폐사율을 분석하였다. 발생 단계에 따른 임신율은 배반포 단계(64.4%), 유산율은 부화 배반포(HB) 단계(21.4%)가 유의하게 높았다(p<0.05). 발생 일령에 따른 임신율은 7일령 배가 49.0%로서 8일 및 9일령의 36.4 및 15.4%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유산율은 0$\sim$10.7%로 비슷한 경향이었다. 등급에 따른 임신율은 41.4$\sim$42.5%, 유산율은 9.3$\sim$16.5%로서 차이가 없었다. 발생 단계에 따른 임신기간, 송아지의 체중 및 난산율은 비슷한 경향이었으나, 쌍자율은 HB 단계가 44%로서 배반포 단계의 15.8%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발생 일령에 따른 임신 기간, 난산율 및 쌍자율은 차이가 없었으나, 송아지의 체중은 9일령의 것이 평균 35.5 kg으로서 7일령 및 8일령의 평균 25.2 및 26.2kg보다 유의하게 무거웠다(p<0.05). 등급에 따른 임신 기간은 1등 및 2등급이 평균 278.5 및 276.1일로서 3등급의 평균 273.7일에 비하여 유의하게 길었으나(p<0.05), 체중, 난산율 및 쌍자율은 차이가 없었다. 분만한 송아지의 개체 수에 따른 임신기간은 단자가 평균 278.5일로서 쌍자의 평균 272.5일보다 유의하게 길었다(p<0.05). 생시 체중도 단자가 평균 29.6 kg으로서 쌍자의 평균 22.3kg에 비하여 유의하게 무거웠으나(p<0.05), 성비와 폐사율은 유사한 경향이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in vitro produced (IVP) Hanwoo blastocyst stage (blastocyst, expanded blastocyst and hatched blastocyst), in vitro culture day (7, 8, and 9) and blastocyst grade (1, 2 and 3) on the pregnancy rate, gestation length, birth weight, the incidence of dystocia and twining rate after embryo transfer (ET). The pregnancy and abor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blastocyst (B) stage (64.4%) and in the hatched blastocyst (HB) stage (21.4%), respectively, than in those of the other developmental stages (p<0.05). The pregnancy rate of Day 7 embryos (49.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Days 8 and 9 embryos (36.4 and 15.4%), but the abortion rates were similar (0 to 10.7%).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gnancy (41.4 to 42.5%) and abortion (9.3 to 16.5%) rates among the three grades of embryo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station length, birth weight and the incidence of dystocia among the three development stages, but the twinning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B stage (p<0.05). The pregnancy rate, the incidence rate of dystocia and twinning rate were similar among the three different culture days, however birth weight was significantly heavier in calves from Day 9 embryos than in those from Days 7 and 8 embryos. The mean gestation length of grades 1 and 2 embryos (278.5 and 276.1 days)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grade 3 (p<0.05), but birth weight, the incidence of dystocia and twinning rate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The mean gestation length in single calves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in twin calves (278.5 vs. 272.5 days, p<0.05). In addition, the mean birth weight in single calves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in twin calves (29.6 vs. 22.3 kg, p<0.05). Finally, the sex ratios and mean mortality rates between single and twin calves were simil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