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배양된 망막색소 상피세포의 탐식기능

        고명규,최준규,김동섭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1991 한양의대 학술지 Vol.11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phagocytosis of latex bead in cultured human retinal pigment epithelium (RPE). RPE cells were isolated from retina of enucleated human eye and 5 to 7㎛ diameter latex beads were added to culture media of human RPE cells at 50th day of culture. Phagocytic processes were observed serially by phase-contrast microscopy and ight microscopy up to 58 days. After a latent period of about 16hours, latex particles were rapidly phagocytized by cultured human RPE cells. These result may indicate that PRE cells can be cultured up to 58 days without subculture and phamocytic property of RPE remains an that time.

      • 반도체 프로빙 공정 자동화를 위한 Man-Machine 인터페이스 개발

        고명선,김동원 한국경영과학회 2001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화합물 반도체를 생산하는 중소기업의 프로빙 공정 자동화를 위하여 공정의 자동화를 추진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단계적 자동화 마스터플랜을 수립하여 보다 체계적인 자동화를 수립함에 있다. 프로빙 공정은 기계작업을 제외하고 제품 핸들링 및 제품처리가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고, 작업자는 프로빙 작업을 시작하고 끝날 때까지 작업자가 실제 작업하는 시간에 비해 개입이 잦고, 최근 고객이 최종 제품의 검사자료보다는 이 공정의 생산이력이나 공정상의 통계자료 등의 다양한 요구가 급증하고있어 공정중의 작업자의 잦은 개입과 작업시간을 줄이는 한편, 데이터 베이스의 활용으로 측정데이터를 저장·분석하고 장비의 가동률이나 가동상황 등을 즉시 체크할 수 있도록 그래픽환경을 구현하고, 이러한 정보를 웹상에서 가시화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프로빙 공정 자동화를 위해 프로빙 조건, 샘플링 데이터, 수율 및 불량율 등의 공정관련 데이터, 제품의 투입정보 및 재공재고 정보, 장비의 가동관리, 운전시간관리, 장비의 정기적 검사 및 이상발생상황 관리 등의 모든 정보를 관리·저장·검색할 수 있도록 MS- SQL서버와 Delphi 4.0을 이용한 Man-Machine Interface (MMI)와 웹상에서 MMI를 가시화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가공·저장·검색할 수 있도록 ASP (Active Server Page)를 이용한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함으로써 인터넷이 지원되는 모든 곳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하였다.

      • 선천 섬유화 증후군 1예

        김동섭,신정철,고명규,최준규,장세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1998 한양의대 학술지 Vol.18 No.1

        The congential fibrosis syndorme is rare congenital disorder which is characterized by blepharoptosis, varying degrees of limitation of eye movement, especially in vertical gaze, and abnormal head position. These clinical findings result from the fibrous replacement of normal contractile extraocular muscle tissue. The authors report one sporadic case of congential fibrosis syndrome. The 14 year-old-girl showed bilateral ptosis, fixed ocular misalignment in downward gaze, limited ductions and versions, and characteristic chin up position. The surgical management attempted to achieve functional readjustment of the ocular alignment and lid position and to correct cosmetically unacceptable abnormal head position. Result of histopathologic examination obtained at surgery shows replacement of the extraocular muscles, conjuctiva and Tenon's capsule by collagen and dense fibrous tissue. The surgical outcome is considered satisfactory when compared with preoperative status although the limitation of vertical eye movement remains unchanged after surgery.

      • 燐酸施肥量 差異가 靑刈豌豆의 主要形質 및 收量에 미치는 影響

        趙男棋,韓英明,朴良門,高東煥 濟州大學校 亞熱帶農業硏究所 1998 亞熱帶農業硏究 Vol.15 No.-

        本 硏究는 濟州道에서 燐酸施肥量差異가 靑刈豌豆의 主要 形質과 收量에 미치는 影響을 究明하기 위하여 濟州在來豌豆와 Sparkle을 供試하여 1998年 3月부터 5月까지 修行하였으며 試驗한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開花日數는 燐酸施肥量이 많아짐에 따라 늦어지는 傾向이었다. 品種問의 開花日數는 濟州在來豌豆가 빨랐고, Sparkle은 늦은 편이었다. 2. 草長은 燐酸施肥量이 많을수록 길었으며, 品種間에는 各 處理區에서 濟州在來豌豆가 길었고, Sparkle은 짧았다. 3. 莖直經, 主莖節數는 濟州在來豌豆 Sparkle 두 品種 供히 燐酸施肥量이 增加할수록 增加하였다. 4. 10a當 靑刈收量은 두 品種 모두 燐酸施肥量이 많아짐에 따라 漸次的으로 增加되는 傾向이었다. 5. 濟州求來談臺의 草長과 靑刈收量과는 高度로 有意한 正의 相關을, Sparkle은 正의 相關關係가 있어서 두 品種 모두가 草長이 길수록 靑刈收量이 많았다. Two pea cultivars, 'Cheju local pea' and 'Sparkle', were planted on 3 March at Cheju at 5 phosphate rates(0, 5, 10, 15, 20kg/10a) to determine the optimum phosphate fertilization rate. Days to flowering increased as phosphate rate was increased. Days to flowering of Cheju local pea was earlier than that of Sparkle. The more phosphate rate, the higher plant height Plant height of cultivar Cheju local pea was taller than of Sparkle. As phosphate rate was increased, stem diameter and number of nodes per plant of two cultivars increased. Fresh forage yield of two cultivars linearly increased as phosphate rate was increased from 0 to 20kg/10a. Plant height for each cultiva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resh forage yield.

      • SCOPUSKCI등재

        한국인 제1형 당뇨병에서 체도 세포질 항체의 양성률 : 항GAD항체, 항ICA512항체, 항phogrin항체의 조합 측정으로의 대체 가능성 Possible Replacement with Combined Measurement of Anti-GAD, Anti-ICA512, and Anti-phogrin Antibodies

        김경아,김동준,정재훈,민용기,이문규,김광원,진동규,고경수,김상진,이명식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5 No.6

        연구배경:최근 당뇨병의 분류를 새로 제정함에 있어 자가항체가 양성이면 임상형에 상관없이 제1형 당뇨병으로 분류하자는 제안이 나옴으로써 자가항체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비비만형인 제2형 당뇨병이 많은 나라에서는 당뇨병의 병인 규명에 자가항체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사료된다. 자가항체 중에서 전통적으로 측정되어온 췌도 세포질 항체(ICA)는 표준화하기 어렵고 기술적으로 제한점이 많으며 현실적으로도 췌장 공여자가 적은 점 등이 문제로 알려져 있다. ICA의 대응 항원들로는 GAD(glutamic acid decarboxylase), IA­2(islet­associaated antigen­2;ICA512), IA­2β(phogrin)등이 있다. 이러한 대응 항원에 대한 특이적인 자가항체의 측정은 ICA에 비해 표준화되었으며 최근에는 방사면역측정법(radioimmunoassay;RIA)키드까지 등장하여 손쉽고 정확히 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연구자들은 한국인 제1형 당뇨병에서 측정법이 표준화 되어 있는 항GAD항체 및 항ICA512항체 조합(combimation)의 조합으로 ICA의 측정을 대신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고 더 나아가 항phogrin항체의 조합 측정으로 임상적 유용성이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방법: ICA는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였다. 항 GAD항체는 상업화 된 키드(RSR??, United Kingdom)를 이용하였다. 항 ICA512항체와 항phogrin항체의 측정은 in vitro transcription&translation한 후 이를 이용해 방사면역 침전법을 이용하였다. 대상 환자로는 전형적 제1형 당뇨병 76명, 지진형 제1형 당뇨병 22명, 제2형 당뇨병 39명이었으며 각 군간의 연령은 각각 22.8±14.0, 37.9±13.9, 45.3±12.3세였다. 결과:1)전형적인 제1형 당뇨병에서는 ICA의 양성률이 30%, RIA조합만의(항GAD항체 또는 항 ICA512항체 또는 항phgrin항체 한가지에라도 양성인 경우)양성률이 57%이었다. 지진형 제1형 당뇨병에서는 각각 18%, 50%이었다. 제2형 당뇨병에서는 각각 7.7%, 5.1%이었다. 2)각 군에서 ICA가 양성인 군에서 RIA조합 양성률을 보면 전형적 제1형 당뇨병에서는 96%, 지진형 제1형 당뇨병에서는 100%에서 양성이었고 제2형 당뇨병에서는 RIA 조합 양성이 없었다. 각 군에서 ICA가 음성인 군에서도 RIA 조합시 전형적 제1형 당뇨병에서는 40%, 지진형 제1형 당뇨병에서는 39%에서 양성이었고, 제2형 당뇨병에서는 5.6%에서 양성이었다. 3)전형적 제1형 당뇨병에서 ICA가 양성인 군(n=23)에서 96%가 RIA조합 양성이었는데 이때 각각의 RIA유형을 보면 항GAD항체 양성이 87%였다. 한편 항 ICA512항체 양성이 48%, 항phogrin항체 양성이 44%이고 항GAD항체 도는 항ICA512항체 양성이 96%를 차지한다. 지진형 제1형 당뇨병에서는 ICA가 양성인 군(n=4)에서는 항 GAD항체 양성이 3명, 항ICA512항체 양성이 1명이었다. 따라서 기존의 ICA를 RIA조합으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는데 이때 항GAD항체와 항ICA512항체의 조합이 도움이 되겠고 항phogrin항체의 추가적인 검사는 일부의 환자에서만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4)이환 기간에 따라 ICA와 RIA조합을 비교시 ICA는 차이가 없었으나 RIA조합의 양성률은 지진형 제1형 당뇨병에서 4년 이상의 이환 기간이 지나면 그 이전보다 떨어졌다. 5)발병 연령에 따라 ICA와 RIA조합을 비교시 ICA 양성률이 전형적 제1형 당뇨병에서 15세 이전에 발병한 그룹에서 그 이후에 발병한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항GAD항체 및 항ICA512항체 측정의 조합은 ICA보다 민감도가 높아 기존의 ICA를 대체함은 물론 임상적 이용에서 현격한 우월성을 보이며, 성인에서 발병한 비전형적인 당뇨병의 분류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추가적인 항phogrin항체의 측정은 임상적 유용성이 없었다. Background : Type 1 diabetes includes all forms of autoimmune-mediated and idiopathic beta-cell destruction leading to an absolute insulin deficiency. Evidence of an autoimune pathogenesis was assessed by studying cytoplasmic islet cell antibodies (ICA), antibodies to glutamic acid decarboxylase (GADA), antibodies reacting with an islet tyrosine phosphatase-related molecule referred to as ICA 512 (ICA 512A), or its homologue phogrin (phogrin-A). In comparison with ICA, the best validation to assess the risk of type 1 diabetes, shows that a combination of antibodies to GADA with ICA 512A has the power to detect a majority of ICA and 97 ~ 100% of subjects who progressed to overt diabet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of replacing the laborious ICA test in the screening programs to identify subjects at risk of progressing to type 1 diabetes or for classifying the stage of diabetes at the time of diagnosis. Up to now, it is unclear whether these results are applicable to the slowly progressive type 1 diabetes that appears to be more prevalent in Asian than in western countries. The prevalence of combined autoantibody testing (1≥ of GADA, ICA512A, or phogrin-A) was investigated in the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 (typical and slowly progressive) and type 2 diabetes, and compared with that of ICA which is a more laborious and insensitive test. Methods : The ICA assay was performed using immunoenzymatic staining of frozen human (blood group O) pancreatic sections with serial dilutions of serum samples with peroxidase-labeled protein A. For the GADA determination, commercially available GADA radiommunoassay kits utilizing the ^125I-labeled recombinant GAD65 (RSR®, United Kingdom) as an antigen was used. Either ICA512A or phogrin-A were detected by a radioligand-binding assay after in vitro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using the clone ICA512bdc or phogrin c DNA. Serum was obtained from 76 patients with type 1 diabetes(mean age 45.3± 12.3 years). Typical and slowly progressive type 1 diabetes patients had the disease for between 4.0±4.6 and 10.1±9.5 years, respectively at the earliest serum sampling. Results: 1) In typicaltype 1 diabetes, 30% of patients tested positive for ICA and 57% for the combined autoantibody test. In type 2 diabetes, 7.7% and 5.1% tested positive, respectively. 2) Ninety-six percent of ICA-positive patients expressed one or more of the 3 auto-antibody specificities in typicaltype 1 diabetes. Among the 53 ICA-negative patients with typicaltype 1 diabetes, 40% had one or more of these auto-antibodies. In the slowly pregressive type 1 diabetes, 100% of the ICA-positive and 39% of the ICA-negative patients expressed one or more of the 3 autoantibody specificities. 3) Of the 23 patients with ICA-positive typical type 1 diabetes patients, 87% had a positive result for GADA, 48% FOR ICA512A, 44% for phogrin-A, and 96% for GADA or ICA512A. Of the 4 patients with ICA-positive slowly progressive type 1 diabetes, three had a positive result for GADA, and 1 for ICA512A. 4) When the prevalence of combined autoantibody testing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iabetes, the prevalence in patients tested within 4 years after the diagnosis and more than 4 years after the diagnosis was 61% and 52%, respectively in typical type 1 diabetes. Furthermore, that for the ICA was 37% and 21%, respectively. In the slowly progressive type 1 diabetes, the prevalence of combined auto-antibody testing was 88% and 25%, respectively (p<0.05), while that of ICA was 25% and 13%, respectively. 5) In typical type 1 diabetes, ICA were detecte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younger than 15 years of age (48%) than in older patients (23%) (p<0.05), while the prevalence of combined auto-antibody testing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 onset age(65% vs 53%). Conclusion : Combined autoantibody testing for GADA and ICA512A is more sensitive that ICA in type 1 diabetes. Therefore, it could replace the laborious ICA measurement and may be useful for discriminating the etiology of adult onset a typical diabetes(J Kor Diabetes Asso 25 :430~445, 2001).

      • 이명과 청각민감증을 동반한 편측 고음 급추형 감각신경성 난청의 청각 재활

        허승덕,강명구,고도흥,정동근 한국음성과학회 2004 음성과학 Vol.11 No.3

        In case of the hearing impairment with tinnitus and increased sound sensitivity, it is known that the patients tend to appeal the psychologically oriented social handicap rather than communication disability. The audiologist who is responsible for such patients in aural rehabilitation should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counseling techniques inducting tinnitus retain therapy (TRT), ear protector, noise generator, or specific acoustic training based on dose cooperation and rapport. And then the audiologist should try to lessen their reaction to the tinnitus by using a hearing aid. This therapies tries to focus not a total approach but a treatment to lessen the severity of tinnitus. This paper as a case report that a unilateral sharply slopped sensorineural hearing impaired person with tinnitus and increased sound sensitivity by using four channel 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hearing aid with programming increment at low level (PILL).

      • 와우 갑각 전기자극 뇌간유발반응용 원추형 전극의 개발

        허승덕,정동근,강명구,김리석,고도흥 한국음성과학회 2003 음성과학 Vol.10 No.4

        This paper introduces a new zinc coated copper wire electrode with coiled cone shape which has low surface resistance and tolerance to the motion artifact for promontory stimulation electrically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PSEABR).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ABR) can be used to predict hearing threshold level with a great deal of accuracy particularly for a young child who cannot cooperate mechanically and some hearing impaired who are exaggerating a hearing loss for economic compensation. While severe profound sensorineural hearing losses may not be implemented by auditory potentials, PSEABR is proven as a useful tool even for some sensorineural related hearing impaired. It was shown that PSEABR gives the electrical stimuli to promontory of the cochlear instead of giving acoustic stimuli. For this reason, PSEABR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for cochlear implantation, and can also be used as an optimal device selection and neural information for MAP. It was found that the role of electrode is very important in PSEABR. Even though this cone-shaped electrode was applied in animal experiments, waveforms are well produced by PSEABR. Thus, it was concluded that cone-shaped electrode turned out to be a useful preoperative audiological evaluation tool in deciding time for cochlear implantation surge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