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 미술치료學 전공의 대학원 과정 발전현황과 가능성

        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3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3 No.1

        국내 미술치료學 전공은 대부분이 석사학위 과정에 설치되어 있다. 15년 정도의 짧은 학문적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전공발전과 관련하여 미술치료라는 용어가 지닌 함의로 인해 구조적, 내용적 측면에서 발전 가능성을 갖기 위한 점검이 필요하다. 이들 측면의 발전현황과 가능성을 다루고, 최적의 대안 마련이 가능해진다면 국내 미술치료학은 학문적 경쟁력, 나아가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제반 준비과정을 보다 빨리 진행시켜 갈 수 있게 된다. 다루어진 연구문제의 분석은 지난 10여년 동안 대학원 과정을 통하여 미술치료學의 강의, 연구, 프로그램 개발, 학회 활동 등을 해오면서 축적된 경험과 문헌 연구에 기초하였으며,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미술치료學의 전공 개설 허가는 교육부의 대학원 인가 체제의 기준인 고등교육법에 의거하여 대학원 교육 목적에 부합되는 학부 기반의 전문대학원에 내리는 것이 가장 합당하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는 일반대학원도 가능하다. 둘째, 대학원 유형과 관계없이 현재 전공의 학문적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 미술치료學 전공은 최소한의 교과목 운영의 골격을 임상미술치료학으로 잡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나서 대학원 유형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국내외 학문적 경쟁력을 구축하기 위해 미술치료學 전공자들은 개인적으로 근거기반의 과학적인 연구축적과 경쟁력을 구축한 학회의 학술활동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With the variety of pathways, curriculums, and policies of Art Therapy Graduate Schools as part of Masters programmes in South Korea, there is an impending need to assess the current situation pertaining to their ongoing development and further development potential. This i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academic credibility of the Art Therapy field within the country, with further hopes of gaining a competitive edge on an international scale. The analysis of the current research inquiry is done on the basis of the writer's own experiences and accumulated documents related to the teaching, research, and programme development in the area of Art Therapy over the past 10 yea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stablishment of an Art Therapy pathway in graduate schools must be altered so as to meet the requirements and educational aims according to the Higher Education Laws, which guide the policies of graduate school programmes in South Korea. Second, the basic modules of all graduate programmes should be based on clinical art therapy and related subjects, regardless of the specific pathways. Additional modules may reflect the specialties of particular pathways. Third,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Korean Art Therapy, there is a need for the accumulation of rigorous research as well as the promotion of credible academic associations in the field.

      • 미술대학 졸업 후 대학원 석사학위과정 미술치료학 전공에서 수강한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에 관한 체험 연구

        임은영,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3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3 No.1

        우리나라의 미술치료학 대학원에 지원하는 미술학사들의 비율은 타 분야의 학사소지자에 비해 높은 비중을 차지하므로 미술치료 교육에서 가장 염두에 둬야 할 대상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대학과 대학원이 학문적으로 다른 분야에 속하므로 학습에서 사고의 전환이 요구되어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현장 전문가를 훈련시키기 위해 개설된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은 이론과 실습의 실제를 함께 다루므로 다른 교과목과 비교하여 적응하기 더 힘든 측면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미술학사들의 교과목 수강 경험을 현상적으로 이해하고 학문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수강자 중심의 요구반영으로 강의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미술치료사 훈련에 실제적인 도움을 주는 자료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대학 학위자들이 미술치료학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 개설된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의 수강 체험을 탐색하여 그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의 체험이 지닌 의미와 본질의 이해라는 연구문제에 따라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미술대학을 졸업하고 대학원 석사학위과정에서 미술치료학을 전공하고 있는 총 7명이다. 연구자가 2012년을 기준하여 조사한 바에 의하면 국내 22개 미술치료학 대학원 중 3개 학교가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을 3학기 이상 개설하고 있었다. 이 중 참여자 선정을 위해 서울시내에 위치한 2개 대학원에 접촉하였고, 보다 깊은 진술을 얻기 위해 최소 3학기 이상 수강한 자들로 제한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한 자료수집 기간은 2012년 3월부터 2012년 11월까지로, 연구 참여자에 따라 1~3회, 자료가 포화되는 시점까지 면담하였다. 연구를 통해 9개의 본질적 주제와 28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본 연구는 미술학사 학위자가 미술치료학 대학원의 석사학위과정에서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을 체험한 의미와 본질에 대한 결론을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미술대학을 졸업한 수강자들은 학년 초기에 학문적 접근법이 상이하여 적응에 어려움을 겪지만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에서 미술전공자가 갖는 장점을 발견하고 자신감을 회복한다. 둘째, 석사학위과정에서 개설된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은 담당교수의 치료철학에 따라 교과 운영내용, 강의 분위기, 교수와 수강자 또는 수강자들 간의 인간관계 등 매우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데, 매 학기 담당교수가 바뀌므로 수강자들에게 늘 새로운 적응이 요구된다. 셋째,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은 매 학기마다 미술치료학의 이론과 실제 전반을 새롭게 이해하도록 이끌며, 학기가 올라가면서 담당교수에게 의존적인 상태에서 벗어나 미술치료사로서 독립적 태도를 지녀야 한다는 통찰을 갖게 한다. 결과적으로 수퍼비전은 수강자들이 미술치료 전문가로서 주도적인 태도를 지니도록 돕는다. 넷째, 수강자들은 수퍼비전에서 미술작업을 통해 치료사로서의 자기인식, 내담자사례의 이해, 다양한 대인관계 관점 등을 경험하고 실습 현장에 미술치료사로서 전문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다섯째, 석사학위과정의 교과목 “미술치료 수퍼비전”은 수강생들이 학문적 초반기부터 전문가로서 기초를 다지는 기회가 되는데, 실습과 동시에 교수에게 지도받으므로 안정적이며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 선정이 2개 대학원에 그쳤다는 제한점과 참여자들이 교과목에 대해 지속적으로 적응하는 과정에 있어 수퍼비전 자체에 대한 깊이 있는 의미탐색에 한계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 experience of the supervision by exploring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 of supervision for art therapy master's course to be an expert for art therapy. Through this, this study intends to be a basic material to make an education system by necessary for the training of professional art therapists. This study applied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y and collected and analyzed materials according to study issues, based on which this study took the process of writing.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a total of 7 and they took their diploma at art college and were taking 2 art therapy courses at graduate school; they have taken the subject of supervision for at least three semesters. Data collection period through deep interviews was from March to November 2012 and interviews were made from once to three times until the materials were saturated. I could derive 9 essential topics and 28 sub-topics from their statements in these interviews.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academic approach of counseling psychology and art is different, so Master's students of B.A.(Bachelor of Arts) have initially difficult at the beginning of the master course. However, through "Art therapy Supervision", they discover the advantages of art major, and restore the confidence. Second, "Art Therapy Supervision" which is the main subject offered by the Master's course is dependent on the treatment philosophy of professor, so it will affect the various aspects such as the operation of curriculum content, the atmosphere of the lecture, human relationship between faculty and students or among students. In addition, the professor changed every semester, so it always is required new adaptation to students. Third, "Art Therapy Supervision" leads to students to understand a new general theory and practice of art therapy per semester. In addition, while listening between multiple semester these subjects, students have the insight that must have an attitude of independent as an art therapist emerged from the state that rely on a professor gradually. As a result, this subject will help students to have a leading position as an expert in art psychotherapy. Forth, Students took advantage of art in the classroom to recognize the themselves, to understand the cases of clients, experienced various aspects of human relations. As it was, they will be accessed with a specialized therapist at art practice site. Fifth, "Art Therapy Supervision"is initially a purpose to educating the sides should be prepared as an expert in the field to students. Students is supervising stable from a professor with a practice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Art Therapy Supervision"is economic benefits without additional costs because it is established the Master’s course.

      • 미술심리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 신입생을 통해서 본 대학원 전공선택 준비과정에 관한 체험 연구

        장연집,김민주,박보람,이영한,황혜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6 No.2

        본 연구는 미술심리치료학을 전공으로 대학원 석사학위 과정에 진학한 1학기 신입생들이 대학교 졸업 이후부터 대학원 입학 이전까지 어떤 전공 선택 준비 과정을 겪어왔는지의 체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그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적합한 10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8개의 본질적 주제와 23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대학원 진학을 위한 준비 과정에서 각자가 자신의 삶의 모습에서 변화가 필요함을 느끼고 스스로가 진정으로 원하는 일이 무엇이고 자신의 성향에 대해 탐색해보는 시간을 가진다. 둘째, 미술치료가 주는 자기탐색의 기회와 치유적인 힘을 깨닫는 경험을 한다. 셋째, 미술치료에 대한 관심을 구체화시키는 과정에서 대학원 진학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넷째, 대학원을 선택하는 과정에서는 석사과정에서 다뤄지는 전공의 전문성, 커리큘럼, 교수진 등을 고려하였다. 다섯째, 진학하기로 결심한 후에는 미술치료사로서의 적성, 연령, 등록금 준비 등 현실적으로 직면하게 되는 불안과 고민의 시기를 거치게 된다.

      • 짐단미술치료가 빈곤가정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서나현,정여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9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빈곤가정의 아동 3, 4 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사용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 K구에 위치한 지역아동센터의 국민기초생활보호대상 수급권 가정과 차상위층 가정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치료집단6명, 통제집단 6명으로 설정하였고, 치료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2009년 7월 16일부터 2009년 10월 15일까지 주 1-2회로 70분씩 총 15회기의 집단미술치료가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정서지능 점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문용린이 Mayer와 Salovey의 정서지능 모형에 입각하여 개발한 자기 보고형 척도인 ‘정서지능 검사’ 를 사용하였다. 정서지능의 전체점수와 하위영역의 점수를 측정해 SPSS 1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집단미술치료가 빈곤가정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집단미술치료 실시 이후 치료집단의 정서지능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고, 집단미술치료가 빈곤가정 아동의 정서지능의 다섯 가지 하위영역 중 세 가지 영역 즉, 정서인식 능력과 정서표현 능력 그리고 정서조절 능력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하위영역 중 감정이입과 정서활용 능력에서는 점수의 증가는 있었으나 유의미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Group Art Thrapy makes effects on Improve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from Poor Famil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15 periods of group art therapy were carried out in a local children's center located in K-gu Seoul with children from the near-poor families and those from the families entitled fo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protection system. To measure Moon, Yongrin's 'emotional intelligence test' was used to measure the total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scores for sub-areas, which were then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The present study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n terms of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from poor families, the group art therap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mprov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from the perspectives of such sub-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 as perception of emotion, expression of emotion, and regulation of emotion, the group art therapy showed significant results among the children from poor families. Among the sub areas, empathy of emotion and the ability to utilization of emotion, the scores increased without significant results, which is attributable to the lack of development in empathy due to the young and immature ages of study subjects and to insufficient intimate emotional interaction with nurturers at usual times. In addition, as the ability to utilize emotional intelligence involves every sub-area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latively short-term art therapy of 15 periods seems not to have added much to sufficient development in that respect.

      • 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전공 석사학위 과정생의 입학 초기에 관한 체험 연구

        장연집,김보라,김지애,노지혜,이지열,이지민,박찬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6 No.1

        석사학위 과정 중 가장 큰 변화의 시기는 입학과 졸업의 시기일 것이다. 전공분야가 과정에서 처음 개설되고 있는 미술심리치료학 전공의 경우는 입학 시기가 보다 큰 변화를 겪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원 석사학위과정 미술심리치료학 전공 합격자 발표 시점부터 입학 후 첫 중간고사 기간까지의 시기를 통해 신입생의 체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그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7명의 연구자는 본 연구에 적합한 12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9개의 본질적 주제와 20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5개의 결론을 내리고 있다. 첫째, 합격자 발표는 연구 참여자 자신뿐만 아니라 주변인들에게도 기쁨을 갖게 하였다. 동시에 새로운 전공 분야이므로 공부에 대한 부담감과 미래의 전망이 불확실하다고 느끼고 있다. 둘째, 각기 학부 전공은 다르지만 크게 ‘미술’과 ‘심리학’에 연결시켜 미술심리치료학을 이해하고자 있다. 셋째, 입학 후 석사과정 첫 학기에 배우는 방대한 학업량에 대한 부담과 체력의 고갈로 압도되는 어려움을 겪는다. 넷째, 첫 현장 실습의 경험은 두려움과 그 자체이었으나, 실습현장에 적응되어 감에 따라 환자들을 진정으로 이해해 가고 있다. 다섯째, 미술심리치료학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을 시작하면서 미술심리치료사로서의 발걸음을 걷기 시작하였다.

      •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행동문제와의 관계

        이유진,박경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5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행동문제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가 아동의 행동문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려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3곳의 초등학교 4, 5학년 아동의 어머니들로 338명이 참여하였으며 이들에게 우울을 측정하기 위해 BDI,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PSI, 아동의 행동문제를 측정하기 위해 K-CBCL을 재구성한 척도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는 아동의 행동문제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일상적 스트레스,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에서 모두 아동의 행동문제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우울은 아동의 행동문제를 유의미하게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동의 행동문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스트레스는 아동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의 행동문제를 가장 유의하게 설명해 주었다. 양육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자녀의 기질과 관련된 스트레스,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학습기대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아동의 행동문제를 유의하게 설명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depressio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 for this study was 338 mothers having elementary students(from 4th to 5th grade) in Seoul city and Kyeonggi-do. Scales used for this study were BDI(Beck Depression Instrument), PSI(Parenting Stress Index) and CBCL (Child Behavior Checklis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depressio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sub-elements of parenting stress indicated a positive static correlation. Second, it has turned out that mothers' depress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ird, it has turned out that mothers' parenting stress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oo. Finally,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have effects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However, out of two, mothers' parenting stress is a more important factor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re are two major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One is a mothers' depression and the other is a mothers' parenting stress. Especially mothers' parenting stress has relatively important factor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In other words, the more mothers suffer from parenting stress related to temperament, relationship and learning expectation, the more behavior problems their children get.

      • 치료공학과 질적심리학의 연구논리

        장연집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4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4 No.2

        The research should come to be accomplished from the specialty of the Therapeutic Technology which based on the Mind-Body Monism must be accumulated not only the data of the research result which leads the quantitative approach of existing the bay knows but the qualitative approach that examines closely the experience and the meaning of the human being. Specially the latter, the research in TherapeuticTechnology as human science is required in the data accumulation of research result not the research for a research but the lived research for a Korean. It is because the requirement of data accumulation which it will apply in the clinical practice for a Korean for the more affirmative therapeutic effects by continuous development that circulating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researches flow of Qualitative Psychology of the degree requisition dissertations that leaded by my guidance until currently in Child Psychology and Therapeutic Technology, carried out phenomenology research, grounded theory and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search from phenomenology approach and narrative research from Social Constructive approach. Specially Discourse Analysis that used in clinical psychology or health psychology research of the United States didn't carry out yet. And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by Giorgi didn't have satistìed research result because difficulty of deep analysis accomplishment. on the other hand,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approach which becomes accomplished step each phase thoroughly relatively had get satistìed research result. Hereupon the research of associated in the Therapeutic Technology which applies a Qualitative Psychology in Korean culture must explore inside meaning which is deepened with variety and sensítivíty. The level of the research results which applies a qualitative psychology is the one of the researcher’ maturity which lives the world. ’The life is not forrnula. Similarly the researcherr is granted that is as well regarding the logic and process about research methodology on Qualitative Psychology,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depend on researcher's vision level about the experience of the hurnan being. 심신일원론에 바탕을 두고 접근하는 치료공학의 연구가 적극적인 임상활동의 저변확대를 위해선 인간의 체험과 그 의미를 규명하는 인간과학을 위한 질적 연구방법론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질적 연구방법론은 인간과학 분야에서 인간을 위해 살아있는 연구를 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이는 치료공학에서 요망되는 다양한 이론개발과 임상 실제를 만족시킬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현재 심리학에 기반을 둔 서울여대의 미술심리치료전공과 아동심리전공에서 행하여진 질적 연구방법론의 세부 접근법을 조사해보면 미국의 임상, 건강심리학분야의 연구에서 선택한 질적 연구방법론의 동향과는 현상학적 전통에서는 일치한다 최근에는 질적 연구의 수준을 평가하는 지침이 보다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으나,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가장 중요한 요인은 연구자의 세상을 보는 삶의 올바른 시각과 성숙도이다. 삶올 공식으로 외워서 살 수 없듯이, 질적 연구방법론의 논리와 방법에 정통하였다고 해도, 연구 자료를 분석하는 수준에는 연구자의 전체성이 그대로 반영되기 때문이다.

      • 신체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신체상과 자아상에 미치는 효과

        이영옥,정여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6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6 No.2

        본 연구는 변화와 혼란 속에서 새로운 신체상과 자아상을 형성해 나가야 하는 일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신체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의 개입이 그들의 신체상과 자아상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관악구에 위치한 H 청소년 공부방에 다니는 중학교 1-3학년 학생 중,자발적으로 참여를 원하는 16명을 대상으로 8명의 실험집단과 나머지 8명의 통제집단을 구성하고 총 12회기에 걸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후,신체만족도(BCS),신체존중감(BES),자아정체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치료집단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신체 존중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으며,이는 신체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신체상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된다 둘째,치료집단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으며,이는 신체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자아상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신체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들에게 변화하고 있는 자신의 신체에 대해 집중하게 함으로써 신체 일부분으로부터 전체에 이르기까지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바라보고 생각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였으며,다양한 미술매체와 방법을 통해 신체를 표현하게 함으로써 신체의 외적 이미지뿐 아니라 내변에 형성된 내적인 이미지도 함께 다루게 되어 청소년들 자신에게 일어나고 있는 변화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게 한것이다. 이러한 경험은 청소년들에게 자신의 신체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며,점차적으로 자신에 대한 인식을 새로이 하게 되고 자신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게 됨으로써,신체상과 자아상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at group art therapy focused on body-image make effects on the body-image & the self-image of Adolescence. The research problems for this purpose were as follows. First,dose group art therapy focused on body-image have any effect on improving the body-image of adolescence? Second,dose group art therapy focused on body-image have any effect on improving the self-image of adolesce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16 Adolescence of 1st,2nd,3rd grade in middle school were selected in Seoul,with the agreement of their teacher and parents. 8 adolescence formed experiment group and the other 8 formed controlled group. The art therapy program designed by researcher was conducted 12 times in total, 100 minutes-session,once a week from Jan. 12 in 2006 to Apr. 13 in 2005. The instruments such as ‘Body Cathexis Scale',‘Body Esteem Scale' and ‘Ego-Identity Scale' were administer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the result showed that the score of body-cathexis and body-esteem in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Second,the result showed that the score of ego-identity in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refore,this study demonstrates that group art therapy focused on body-image has positive effects on the body-image & the self-image of Adolescence.

      • 중년여성의 갱년기 우울에 대한 PPAT(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 검사 반응 특성

        정은애,김선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2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2 No.1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갱년기 우울에 따라 PPAT(사과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 검사에서 어떤 반응특성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의 40~60세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갱년기증상척도, 우울척도(BDI-II), PPAT를 수집하였다. 그 중 BDI-II의 경미한 수준 우울점수인 14점을 기준으로 하여 우울집단, 비우울집단 각 51명씩 총 10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SPSS 17.0의 교차분석과 독립표본T검정을 실시하여 우울에 따른 FEATS와 Contents Scale의 반응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PPAT 검사의 FEATS 형식척도에서는 우울집단과 비우울집단이 ‘문제해결력’과 ‘사람’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PPAT 검사의 Contents Scale인 내용척도에서는 ‘사람그림에서의 초록색’ 사용, 사람그림의 성별과 나이를 나타내는 데에 있어서, ‘여성’과 ‘유아 혹은 아동’의 표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PPAT 검사는 갱년기 우울에 따라 특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고, 이는 PPAT 검사가 중년여성의 갱년기 우울을 다루는데 필요한 보조적 진단자료로서 유용할 뿐만 아니라 PPAT 검사를 시행하는 과정을 심리치료적 개입에 포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This study we investigate reaction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an’s climacteric depression with PPAT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assessment. To deal with this, We collected The Menopausal Symptom Scale, Beck Dpression Inventory II (BDI-II) and PPAT data targeted Seoul and Gyunggi-do area of the middle aged woman (40~60 years old). We divided 102 of women into Depression Group and Non-Depression Group, first is slight level of BDI-II depression grade (≥14) of 51 women are as a Depression Group and second is showed similar demographic tendency with first group of 51 women are as a Non-Depression Group. For analysis, Cross-tabulation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17.0 according to the depression to confirm the response differences between FEAT and Contents Sca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Depression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Non-Depression Group about FEATS data of PPAT in ‘problem-solving' and ‘person'. About Contents Scale of PPAT, Depression Group’s cas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Non-Depression Group about the expression of “person drawing with green color”, “Female” and “Infant or Children”. As a result, PPAT showed specific responses according to climacteric depression. And this can be used as a supplementary diagnosis data to deal with depression of middle aged women but also provides support using PPAT to applying psychotherapy.

      • 생활스트레스와 분노가 여성의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김혜란,박경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6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신체화 증상과 생활스트레스 및 분노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여성의 연령에 따라 생활스트레스,분노,신체화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수원시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여성으로 최근 2개월 이내에 신체적 증상 이나 질병으로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는 만 20-59세 여성 232명이다 연구도구로는 간이 정신 진단 검사(SCL-90-R)중 하위 척도인 신체화 척도와 생활스트레스 척도의 6가지 하위 요인 및 분노검사(분노경험 및 분노표현)이다 여성의 연령에 따른 생활스트레스 및 분노와 신체화를 알아보기 위해 중년기 이전(20-39세)과 중년기(40-59세)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중년기(40-59세)는 중년기 이전의(20-39세) 여성에 비해 생활스트레스와 하위요인 중 경제ㆍ직업 스트레스, 부부관계 스트레스, 가족갈등 스트레스가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중년기 이전의 여성(20-39세)은 중년기 여성(40-59세)에 비해서 분노표현과 분노통제, 분노억제 그리고 특성분노-분노기질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신체화 증상은 생활스트레스와 상관이 유의하였으며, 가족갈등 스트레스, 건강문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신체화 증상이 많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여성의 신체화 증상은 분노경험 및 분노표현과 상관이 유의하였으며,상태분노,분노억제,분노표출이 높을수록 신체화 증상이 많이 나타났다. 이는, 여성의 신체화 증상은 문화적인 요인 등의 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볼 수 있다 넷째,상태분노와 분노억제,가족갈등스트레스가 여성의 신체화 증상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이 중 상태분노가 신체화 증상을 가장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Psychosocial factors can exert on psychosomatic symptom.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of lifestress, anger and psychosomatic symptom according to age. The psychological data of three hundred twenty adult women,had lived in Seoul and Suwon,who did not experience any disease conditions in recent two months were analyzed. Psychosomatic symptom was measured with the use of a psychopathology scale(SCL-90-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the life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iddle aged group(40- 59 years) compared with young aged group(20-39 years). Second,the psychosomatic symptom was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e lifestress,especially family and health related stress. Third,the psychosomatic symptom was increased by the anger experience and the anger expression. In other words, we though that the women were influenced by variable factors such as a culture except the trait anger. Finally, the most credible factors that could explain the psychosomatic symptoms were the state anger. This study revealed the mechanism of psychosomatic syndrome of women which provided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