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PA로 야기된 HL-60 세포의 기질부착에 대한 Asadisulphide의 억제효과

        유관희,박미아,김선희,안병준 대한의생명과학회 2000 Journal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s Vol.6 No.3

        항암제로 사용되어 온 아위를 사용하여 극성에 따른 용매추출 분획을 얻고 TPA로 처리된 HL-60 세포를 사용하여 기질부착 억제실험을 수행한 결과, ethyl acetate (EA)층에서 가장 강한 부착억제효과가 있음을 알아 내었기에 ethyl acetate (EA)층을 다시 ethyl acetate (EA), hexane(HEX), ethyl ether (EE)로 추출한 뒤 3회 chromatography하여 아위 순수활성물질인 asadisulphide를 분리해 내었다. 이 순수활성물질을 가지고 HL-60 암세포에 대한 부착 억제실험을 수행한 결과 asadisulphide는 최소농도 2 ㎍/ml에서 HL-60 세포의 부착을 98%억제하였다. 또한 assdisulphide는 HL-60 세포에 대해 ED50값은 2.6 ㎍/ml이었으며, 20 ㎍/ml 농도 이하에서 세포독성이 없고 항암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Asadisulphide were purified from Ferrula assafoetida by organic solvent extraction and chromatography. Its inhibitory effects on the TPA-induced adherence of HL-60 cells was analyzed. Since ethyl acetate extracts of F. assafoetida has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 on adherence of HL-60 cells, it was reextracted with ethyl acetate, hexane, and ethyl ether and chromatographed three times to isolate asadisulphide. At the minimum concentration of 2㎍/ml, asadisulphide inhibited adherence of 98% of HL-60 cells that have been treated with TPA. It also showed anti-cancer effect with no cytotoxity in the ED50 value of 20㎍/ml.

      • CDMA 시스템의 Ec/Io 개선을 위한 순방향 채널의 전력분배에 관한 연구

        김선미,최동유,류광진,박창균 조선대학교 전자정보통신연구소 2002 電子情報通信硏究所論文誌 Vol.5 No.2

        This study defined the way to distribute power of forward channel and suggested a new model for prediction power in order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of call quality and performance in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narrow band using 1.2288MHz of narrow band. Each change in Ec/Io was measured for the factors affecting wireless environment(e.g. the changes in power of overhead channel, the changes in a number of call channel, and the increase in interference from the additional facilities of adjacent base station or other systems) to know the influence on the wireless environment of forward link. The new way for power distribution to a base station in operation and its validity was checked by comparing before and after test.

      • KCI등재후보

        매체언어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애니메이션 서사 수용에 관한 연구

        남유미,정현선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7 교과교육학연구 Vol.11 No.1

        본 논문에서는 영상매체와 인터넷의 발달 등으로 대표되는 변화된 매체 환경이 학생들의 서사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수용 양상과 그 국어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오늘날 서사에 대한 경험은 기존의 국어교육이 중시해 왔던 책과 같은 인쇄매체를 통해서 뿐 아니라 영상 매체나 인터넷 매체 등을 통해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어린이들에게 있어 텔레비전 애니메이션은 어린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서사를 경험할 수 있는 매체 텍스트이며, 보다 의미 있는 서사 경험을 위해 교육적 안목과 계획이 필요로 되는 텍스트이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애니메이션 중 <검정고무신>과 <아따맘마>를 선정하여 어린이들의 서사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 국어교육적 함의를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들은 이미 대중적인 미디어 텍스트에 익숙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물의 시각적 형상화 방식이나 서사의 흐름을 비롯한 영상 언어의 표현 방식에 대해서는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따라서 보다 정확하고 심층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교사의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영상서사 이해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같은 대중매체 텍스트라 하더라도 어린이들의 발달 단계에 따라 인물에 대한 선호나 이해도에 차이가 있었고, 텍스트의 의미에 대한 이해나 주제에 대한 소화력에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어린이들에게 애니메이션을 통한 서사 교육을 실시하고자 할 때에는 어린이들의 인지적, 정서적 발달 단계 등을 고려하는 교육적 안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ways in which primary school children might understand the narratives of popular television animation programs. Television animations are media texts which are regarded as important resourc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particularly in the recently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 Children can learn about the aspects of multimodality and narratives of the moving images by watching television animations. Drawing on the children's responses after watching popular television animations, <Black Rubber Shoes> and <Atashinchi>, this article finds out that children need to learn more systematically about the ways in which moving images construct narratives. This article also argues that children's abilities to understand the narrratives of animations are dependent on their mental,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in terms of selecting animation texts for their learning.

      • KCI등재

        대졸 청년층 하향취업의 결정요인

        신선미,손유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29세 이하, 취업경험 6년 이하 대졸 청년층의 하향취업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하향취업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통계적인 방법을 고안하였고, 그와 동시에 주관적 평가 방식에 따른 측정방법을 보완적으로 활용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수집한「산업별·직업별 고용구조조사(2006)」원자료다. 하향취업자 비율은 통계적 측정방법에 따르면 42.7%, 주관적인 평가에 따르면22.0%로 측정방법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통계적 측정방법을 취할 경우 여성이, 주관적 평가 방법을 취할 경우 남성이 높은 하향취업율을 보인다. 연령이 낮을수록, 비정규직일수록, 대체로 사업체 규모가 적을수록 하향취업자 비율이 높다. 그밖에 미혼일수록, 자격증이 없을수록, 1년 이내에 교육·훈련 경험이 없을수록 하향취업자 비율이 높다. This article defined two methods to measure 'downgrading employment' and analysed it's main factors for korean youth workers. Downgrading employment means working in a job which needs a lower level of education than oneselfs degree. We use two methods of measurement: one define it by 'statistical method' and another by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respondent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method, 42.7% of young workers are found in a situation of downgrading employment. But only 22.0% of them feel a situation of downgrading employment. Downgrading employment is more frequent within women, younger age group, non regular employee, medium and small enterprises's workers. The civil state, qualification related to oneselfs job, training experience are also factors which have a influence on a downgrading employment.

      •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방안 연구

        이미선,김태준,이유훈,조광순 국립특수교육원 2005 연구보고서 Vol.- No.7

        우리 나라 교육인적자원부에서 2001년부터 설치 · 운영하기 시작한 지역 중심의 지원체제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대부분은 아직까지 실질적으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 방안을 모색함으로써 향후 지역 중심의 특수교육 지원체제 구축과 관련된 정책 수립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주요 OECD 국가의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련 법규, 정책 및 운영 실태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 나라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련 법규와 정책에 관한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책임을 맡고 있는 교육청의 특수교육 담당 장학사의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전담 혹은 지원교사 전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외에도 본 연구에서는 문서자료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자 협의회를 개최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설문조사, 문서자료 분석 및 연구자 협의회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기본 방향과 구체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우리 나라 특수교육지원센터이라는 기관의 성격을 특수교육 대상학생에게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고,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긍정적 결과에 도움이 되는 활동을 지원하며, 이들에게 제공되는 교육 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역 중심의 지원기관'으로 규정하고자 한다. 둘째, 위에서 언급한 지원기관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운영되도록 한다. 즉, (1) 개인적 차원의 지역사회에 기초하여 운영되어야 하며, (2) 지역 내 관련기관 및 단체와의 연계 · 협력을 통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고, (3) 정상화 원리에 기초하여 운영되어야 하며, (4) 학교 차원에서 특수교육 대상학생에게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학교 차원에서 지원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지원기관인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지원을 제공하는 단계적 지원 모형을 적용하도록 하며, (5)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전 생애 주기에 걸쳐 알맞은 지원을 제공하도록 하며, (6) 특수교육 대상학생 뿐 아니라 교사, 학교, 가족, 교육청 특수교육 담당 장학사 및 기타 관련기관의 전문가들까지 지원 대상으로 포함시켜 이들에게 기술적 도움과 지원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운영되도록 한다. 셋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설치 장소는 해당 지역의 지원센터에서 계획한 다양한 지원 기능을 수행하는데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면서 수요자들에게 접근이 용이한 장소를 지역 실정에 맞게 지역교육청 뿐 아니라 특수학급, 특수학교, 대학, 장애인복지관 혹은 별도의 독립된 공간 등에 융통성있게 설치할 수 있도록 행정 지침을 제시하도록 한다. 넷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원 기능은 우선적으로 지역 내 특수교육 지원에 대한 요구 조사 결과에 기초하여 지역 실정에 맞게 융통성있게 계획하여 시행하도록 하되, 가능한 다음과 같은 지원 기능을 포함하도록 한다. 즉, (1) 특수교육 관련 정보 제공, (2) 가족지원 활동, (3) 다양한 지원 및 서비스의 연계 · 조정 · 통합, (4) 조기발견 활동, (5)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진단, 적격성 판정 및 배치 지원, (6) 특수교육 · 통합교육 · 치료교육에 대한 기술적 도움, (7) 특수교육 · 치료교육 서비스의 제공, (8) 진로, 전환 및 직업 교육 지원, (8) 장애인의 평생교육 지원, (10) 특수교육 관련 연수의 제공과 지원, (11) 기타 특수교육 관련 자료, 기자재 및 공학기구의 대여 활동. 또한, 이러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원 기능과 관련하여 전문가들에게 기술적 지원과 도움을 제공하도록 한다. 다섯째, 위에서 언급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특수교육지원센터에는 치료교육 교사, 특수교육 교사, 직업교육 교사, 심리진단 전문가(혹은 교육심리학자), 행동지원 전문가, 상담 전문가, 사회복지사, 가족지원 전문가, 특수교육 관련분야의 연구원, 보조공학 전문가, 사무직 등 최소한 11명의 전담인력을 배치하되, 장기적으로 치료교육 교사는 치료교육 전문 분야별로, 특수교육 교사는 교육 단계별로 세분화하여 배치하도록 한다. 한편, 특수교육지원센터에 필요한 전담인력 분야인 서비스 조정자는 특수교육 교사, 사회복지사, 가족지원 전문가들이 이러한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며, 의사는 지역사회 내 의사를 특수교육지원센터 협력 인력으로 지정하여 지원을 받도록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담인력은 해당 지역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지원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역 실정에 맞게 융통성있게 배치하도록 한다. 한편,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배치할 다양한 분야의 전담인력 배치 순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지원 기능 중 가장 시급하게 활성화되어야 하는 지원 기능으로 나타난, '통합학급과 특수학급에 대한 특수교육 및 다양한 치료교육 서비스 제공이나 지원'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문인력인 특수교육 교사 1명 및 치료교육 교사 1명을 우선적으로 배치하도록 한다. 또한, 현행 법규 조항 하에서 교사 자격증이 없는 전문가의 경우 특수교육지원센터로의 배치가 어려움을 고려하여 향후 특수교육진흥법의 개정을 통해 특수교육지원센터를 교육청 산하 특수교육기관으로 규정함으로써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력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여섯째, 향후 특수교육지원센터는 교육청의 특수교육운영위원회와 역할을 구분하여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진단을 실시하고,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진단 보고서(판정 가능한 장애 범주, 아동에게 필요한 서비스, 적절한 교육환경 결정 및 IEP 개발에 도움이 되는 내용 포함)를 작성하여 특수교육운영위원회에 제시함으로써 특수교육운영위원회에서 특수교육 대상학생을 판정하고, 배치 환경을 심사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일곱째, 특수교육지원센터 다양한 지원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1)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구체적인 법적 근거 마련, (2)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을 위한 충분한 예산 확보, (3) 단계적 지원 모형의 도입을 위해 학교에 충분한 특수교육 전문가 배치 및 학교와 교사에 대한 기술적 도움과 지원의 제공, (4) 교육청에 특수교육 전담 장학사의 배치 및 이들에 대한 기술적 도움과 지원의 제공, (5) 지역 차원 뿐 아니라 시 · 도 혹은 중앙정부 차원의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 (6) 관련 기관간 연계 · 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제도적 지원, (7) 특수교육지원센터 시범사업 실시, (8) 특수교육지원센터에 대한 홍보 강화, (9) 특수교육지원센터 전담 혹은 지원교사에 대한 우대책 제공이나 불이익 배제, (10) 특수교육지원센터 관련 전문가에 대한 운영 지침 및 연수 제공과 같은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majority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which are locally-based support systems, that have been established and managed locally since 2001 have not been able to do fulfill its purpose.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levant policy development for the construction of locally-based support systems by searching for strategies to activate the management of local special educaton support centers. In order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purpose, this study analyzed documents related to the legislation, policies, and management status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of OECD member countries including U.S.A, United Kingdom, Germany, and Japan.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documents related to the laws and policies of Korea's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nd surveyed the school inspectors of the offices of education in charge of the management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s well as specialized or support teachers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s well as specialized or support teachers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a methodology of the review of documents and held researcher conferences. The finding of this study presents guidelines and detailed strategies for management of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s follows: First, Korea's local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need to aim at locally-based support organizations which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upport activities that assist in the positive outcom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lay roles in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for these students. Second, in order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o play their role mentioned above, speic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be managed under the following guidelines. They should (1) be managed based on a individually based-community, (2) be managed effectively throug the nexus and cooperaion of relevant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in community, (3) be managed based on the principle of normalization, (4) adopt a phase-by-phase support model in which support is given by school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 cases where schools are unable to provide support, outside support institutions such as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provide support, (5) provide appropriate support throughout the lifetime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6) be managed so that support is given not only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so that technical support is also given to teachers, schools, families, school inspectors in charge of special education at the office of education, and professionals of relevant institutions. Third, present administrative guidelines in order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o be established with adaptability not only at offices of education but also at special classes, special schools, universities, welfare institutions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or other independent spaces at easily accessible locations where sufficient areas are secured in order to conduct the various functions that have been planned by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urth, the support functions of th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be planned flexibly, first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n the need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in community, but also include the following support functions. That is, they should (1)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2) support the famil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3) link, coordinate, and combine several support and services, (4) engage in early identification activities, (5) support the evaluation, eligibility determination, and plac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6) provide technical support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inclusive education, and therapeutic education, (7) provide special education and therapeutic education services, (8) support career, transi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9) support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10) provide and support in-service training under collaboration with relevant institutions, and (11) engage in lending materials, aid and equipment related to special education. In addition, provide technical assistance to professionals about the above-mentioned supports. Fifth, in order to conduct the support function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mentioned abov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station at least eleven specialists including a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 special education teacher, vocational training teacher, psychological diagnosis professional (or educational psychologist), behavioral support professional, counseling professional, social worker, family support professional, researcher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assistive technology specialist, and administrators, and in the long-term, placements should be subdivided so that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s are available by fields of therapeutic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by educational levels. Meanwhile,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social worker, or family support specialist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an take a responsibility for service coordination necessary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s. Medical services also necessary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need to be provided by medical doctors in community who agree with collaboration wit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However, the specialist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mentioned above should be placed flexibly according to the needs of community so th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can act effectively. In addition, regarding the order of placement of specialists in various field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priority posting should be given to one special eduation teacher and one therapeutic education teacher, who can perform support activities from the most urgent field. Also, considering that it is difficult for specialists without teacher's licenses to be placed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under current legislation, the amend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Promotion Act is needed to stipulate tha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re subsidiaries of the offices of education, so that professionals from various fields can be placed in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ixth, the role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at of special education management committees fo the offices of education. Therefor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carry out the evalu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mpletion of evalution report (including information that may help determine an eligibilty for special education services, identify services needed for student with disabilities, develop IEPs, and decide appropriate educational environments)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so that the special education management committees can make an eligibility for special education services and determine educational environments appropriately. Seventh, in order to activate the various support functions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we should (1) provide a specific legal basis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2) secure a sufficient budget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education centers, (3) arrange sufficient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at schools and provide support and technical assistance for the introduction of a phased support model, (4) place school inspectors who undertake only the supervision of special education to the offices of education and provide sufficient support and technical assistance for them, (5) manage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at the local, provincial, or central government level, (6)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to establish a nexus and cooperation system among relevant institutions, (7) enforce a model project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8) strengthen publicity abou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9) give preferential treatment or remove disadvantages for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 specialists or support teachers, and (10) ensure administrative support for professionals associated wit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uch as providing management guidelines and in-service training.

      • 특수학교의 재구조화 방안

        김주영,김병하,이미선,이유훈 국립특수교육원 2000 연구보고서 Vol.- No.2

        통합교육은 특수학교 중심 의 전통적 인 분리교육에 대응한 개념으로 이해 할 수 있다. 1994년 특수교육진흥법이 전면 개정되면서 우리나자는 장애학생 교육의 전달체계를 통합교육을 촉진하는방향으로 개 혁해야 한다는 수장이 대두되 기 시작하였다. 특수교육 전달체 계 의 개 혁은 곧 분리교육의 해체를 뜻하는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현재 특수교육 전달체계 가운데가장 큰 개혁의 초점은 바로 특수학교가 될 것이다. 왜냐하면, 그동안 특수학교는 분리교육의 중심으로 여겨져 왔을 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병원, 시설에서 이루어지는 장애학생의 교육도 결국은그 거점이 특수학교가 될 가늘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특수교육이 기존의 분리교육 체제를해체하고 통합교육의 체제로 옮아가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특수학교의 역할과 기능을 제고함으로써 통합교육 체제에 순응하고 적극 기 여 할 수 있는 전달체 계로서 의 새로운 특수학교 구조를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것은 바로 바로 특수학교의 재구조화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본고에서 제시하고 있는 우리나라 특수학교의 재구조화 방향과 그에 따른 방안은 다음파 같다.특수학교 재구조화 방향한국적인 상황에서 급진적 통합교육의 추진은 자칫 장애학생의 행복을 저해하고 장애의 특성과정도에 따른 다양한 교육서비스의 선택 폭을 줄일 뿐만 아니라, 기존의 엄청난 특수교육 자원을낭비할 수도 있다는 것이 현재 특수교육계의 지배적인 생각이다. 따라서 특수학교는 앞으로 중증 · 중복장애 학생의 교육 기 관화와 지 역사회 중심 의 특수교육 센터화, 특수교육의 특성화와 전문화의 길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기대된다.특수학교 재구조화 방안 I : 특수학교의 운영 체제 전환첫째, 특수학교는 장애의 진단 평가 및 상담과 중중 ·중복장애차생 교육, 재택 순회교육, 일반학교의 특수교육 지원, 지역사회 장애이해 증진 등에 걸쳐 그 학교의 역할을 제고해야 한다둘째,특수학교는 일반학교 내에 특수학교를 두는 형태, 특수학교에 일반학생들을 받아들이는형태, 장애영역을 통합하는 형태, 작은 규모의 형태, 경도장애학생들을 위한 실업 고등학교 등 학교의 형태를 다양화해야 한다. 셋째,특수학교는 교육과정을 생활기능 중심,통합교과 중심의 총체적 교수방법 적용,개별화교육계획(IEP)의 탄력적 적용 등을 제고해야 한다.넷째, 특수학교는 교원의 특수교육-일반교육 근무체제를 활성화하고, 특수교육 담당 교사에 대해 우대하며, 우수인력의 고른 배치와 현직교원의 교차 연수기회를 부여함으로써 교원의 자질과전문성을 신장해 야 한다.다섯째, 특수학교는 지역내 순회교육 대상 장애학생들의 교육을 중점적으로 담당해야 한다.석섯째,특수학교는 학생 중심,지역사회 적응 중심의 전환교육을 바탕으로 한 직업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일곱째,특수학교는 부모의 의견을 수렴하여 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적절히 반영하는 한편,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른 발달과업을 중심으로 부모교육을 실시해야 한다.특수학교 재구조화 방안 ll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변화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새로운 조직이나 사업 개발에 착수하기보다는 기존의 조직과 사업을활용하면서 교원 각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통합교육 정책 개발과 투자에 힘을 쏟아야 하며,지방 특수교육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예산 지원을 보장해야 한다. 또한 예산의 안정적지원과 함께 국가는 지방특수교육에 대한 평가를 정례화 하여 그 성과에 따라 특별교부금을 지급하거나 적정 투자권고 등 행정지도를 강화해야 한다.특수학교 재구조화 방안 In : 지역사회 중심의 특수학교 체제첫째, 특수학교는 학교간 교류협력의 활성화와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경험 중심의 교윽과정의 실천,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직업교육의 실시,자원봉사 인력의 활용 등을 통한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다.둘째, 특수학교는 학교 시설의 제공, 각종 문화행사, 장애인 및 그 가족을 지원함으로써 지역사회 센터로서 기여해야 한다.지금까지 제시한 특수학교 재구조화의 방향과그에 따른 방안들은 우리나라의 전통적 특수교육상황을 적극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반영한 제 안들이 다. 그러나 이 러 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만으로특수학교의 재구조화가 실현되는 것은 아니다. 국가는 국가수준에서, 학교는 학교수준에서 이미제시된 방향을 향해 구체적인 실천과제를 정하여 하나 하나 구체적으로 실천해 갈 때 비로소 가능해 지는 것임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 SCIESCOPUSKCI등재

        St. John’s Wort (Hypericum perforatum) stimulates human osteoblastic MG-63 cell proliferation and attenuates trabecular bone loss induced by ovariectomy

        Mi-kyoung You,Du-Woon Kim,Kyu-Shik Jeong,Mi-Ae Bang,Hwan-Seon Kim,Jin Rhuy,Hyeon-A Kim 한국영양학회 2015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9 No.5

        BACKGROUND/OBJECFTIVES: The effect of St. John’s Wort extract (SJW) on MG-63 cell proliferation and trabecular bone loss induced by ovariectomy was examined. MATERIALS/METHODS: Proliferation,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 (ER) α and ER β, and gene expressions of osteoprotegerin (OPG), osteocalcin (OC)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were examined in MG-63 cells treated with or without SJW. Ovariectomized rats were treated with SJW at the dose of 100 or 200 ㎎/㎏/day, β-estradiol-3-benzoate (E2), or vehicle only (OVX-C), and sham operated rats were treated with vehicle only (Sham-C). Serum ALP and C-telopeptide (CTX), and femoral trabecular bone loss were examined. RESULTS: SJW increased MG-63 cell proliferation and expression of ER α and ER β, and positive effect was shown on gene expressions of ALP, OC and OPG. SJW also showed estrogen like effect on bone associated with slowing down in trabecular bone loss. Histopathology by H&E showed rats treated with SJW displayed denser structure in metaphyseal region of distal femur compared with rats in OVX-C. SJW was shown to reduce serum CTX in OVX rat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provides new insight in preventing estrogen deficiency induced bone loss of SJW and possibility for its application in bone health supplement.

      • KCI등재후보

        2019 개정 누리과정 준비 및 실행 과정에서의 초임교사의 경험

        박유미(You-Mi Park),박선미(Seon-Mi Park)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22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준비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의 초임교사의 경험을 알아보고, 초임교사를 지원하는 방안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충남 지역의 사립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경력 2년 미만의 초임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전화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텍스트 연결망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교사들은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준비하면서 누리과정을 구체적으로 알지 못하고 있음을 걱정하고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아 관찰, 동료 교사들과의 정보 공유, 누리과정 해설서 참고 등의 준비를 하고 있었다. 또한, 초임교사들은 연수를 통해 실제적인 놀이 사례를 간접적으로 경험하는 차원에서 도움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초임교사들은 누리과정을 실행하면서 유아의 놀이에 초점을 맞추어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었다. 누리과정을 실제로 운영하면서 좋은 점으로 유아의 흥미와 생각을 고려하여 유아 중심의 놀이를 진행하고 이에 대해 교사가 고민하고 생각하면서 유아들의 놀이를 지원할 수 있다는 점을, 어려운 점으로 유아의 놀이에서 유아의 생각을 읽고 주제를 잡아 놀이를 진행하는 것과 놀이를 충분히 할 수 있는 시간의 부족 등을 강조하고 있었다. 또한 초임교사들은 인터넷 자료나 동료 교사와의 의견 공유 등을 참고하고 있었으며, 직접 경험이 놀이 실행에 도움이 되었다고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놀이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관찰, 창의적인 사고, 순발력, 놀이를 지원하고자 하는 의지 등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of new teachers in the process of preparing and implement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o find ways to support novice teachers. For the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elephone interviews with 12 first-time teachers with less than 2 years of experience at private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Chungnam and Daejeon,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ere worried that they did not know the details of the curriculum while preparing for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o supplement this, they were preparing to observe infants, share information with fellow teachers, and refer to the Nuri curriculum commentary. Also, teachers thought that they were getting help in terms of indirectly experiencing actual play cases through training. Second, the first-time teachers were providing various support by focusing on children's play while implementing the Nuri curriculum. The teachers emphasized that the good point of implementing the Nuri curriculum is that children's interests and thought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at children-centered play can be carried out, and that the teachers can support children's play while thinking about it. And teachers mentioned the difficulties of reading children's thoughts in children's play, grasping the topic and proceeding with the play, and the lack of time to play. In addition, starting teachers were referring to internet resources and sharing opinions with fellow teachers, and mentioned that direct experience helped them to implement the play. Lastly, teachers' interest in and observation of play, creative thinking, quickness, and willingness to support play were considered important as the competency required for teachers.

      • SCISCIESCOPUS

        Decursin inhibits UVB-induced MMP expression in human dermal fibroblasts via regulation of nuclear factor-κB.

        Hwang, Bo-Mi,Noh, Eun-Mi,Kim, Jong-Suk,Kim, Jeong-Mi,Hwang, Jin-Ki,Kim, Hye-Kyung,Kang, Jae-Seon,Kim, Do-Sung,Chae, Han-Jung,You, Yong-Ouk,Kwon, Kang-Beom,Lee, Young-Rae D.A. Spandidos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Vol.31 No.2

        <P>Decursin, a coumarin compound, was originally isolated from the roots of Angelica gigas almost four decades ago, and it was found to exhibit cytotoxicity against various types of human cancer cells and anti-amnesic activity in vivo through the inhibition of AChE activity. However, the anti-skin photoaging effects of decursin have not been reported to date.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decursin on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and MMP-3 in human dermal fibroblast (HDF) cells. Western blot analysis and real-time PCR revealed that decursin inhibited the ultraviolet (UV)B-induced expression of MMP-1 and MMP-3 in a dose-dependent manner. Decursin significantly blocked the UVB-induced activation of nuclear factor-κB (NF-κB). However, decursin showed no effect on MAPK or AP-1 activity. In this study, decursin prevented the UVB-induced expression of MMPs via the inhibition of NF-κB activation. In conclusion, decursin may be a potential age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kin photoaging.</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