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寒洲 李震相의 '明德說'에 대한 理重視的 관점 一攷

        이형성(Lee Hyung sung) 한국동양철학회 2015 동양철학 Vol.0 No.44

        조선의 성리학은 우주론보다는 인성론에 대한 탐구가 깊었다. 16세기 중후반에 마음 밖으로 드러난 사람의 감정을 리기론(理氣論)으로 논쟁한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18세기 초반에 마음 내면에 내재한 사람과 동물의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를 리기론으로 논쟁한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그리고 19세기 내우외환(內憂外患)의 격동기에 심(心)과 '명덕(明德)'의 정의와 그 관계에 대한 리기론적 탐구가 그것이다. 특히 심과 명덕을 논한 학자 가운데에는 '성이 곧 리이다'라는 성즉리(性卽理)를 상기하면서도 심과 명덕을 격상시켜 리(理)와 일치시켜 전개하는 학자도 있었다. 당시 학계를 대표할 만한 학자는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 등이다. 본 논문은 영남 성주에서 활약한 이진상의 '명덕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진상은 35세 때(1825) 『대학』을 탐구하여 『대학차의(大學箚義)』를 지을 무렵, 주희(朱熹)의 '명덕'에 대한 주석을 치밀하게 분석한 다음, 종국에는 리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기의 관점에서 해석한 명덕론을 비판하였다. 그후 61세 때(1878) 「명덕설(明德說)」을 저술하여 리의 관점에서 명덕을 해석한 '명덕주리설(明德主理說)'을 구축하였다. 논문 내용은 주로 원론적으로 전개하였는바, 먼저 주희의 명덕 주석에 대한 이진상의 해석, 그리고 명덕의 주기적(主氣的) 관점을 비판한 내용을 다루었으며, 마지막으로 이진상이 명덕과 심(心)ㆍ성(性)ㆍ정(情)을 일리(一理)로 조응(照應)시켜 전개한 것을 다루었다. 그의 리 중시적 명덕설 논지는 개인의 도덕적 윤리를 강화시키는 면이 강하고, 나아가 참된 도덕성을 배양한 선비나 위정자들이 시대적 사명을 가지고 국가와 사회에 실제적 영향력을 끼치고자 한 측면을 드러내는 것이라 하겠다. The Neo-Confucianism of Chosun had not finely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Sin(心, Mind) and Myeongdeok(明德, Righteous Way of Justice) and their relation until the 19th century. This study is focused on Lee Jin-Sang's theory of Myeongdeok. Lee looked into Great Learning at his 35(1825) to write Daehakchaeui(大學箚義, a book of showing the justices written in Great Learning). For such job of his at that time, he analyzed Zhuxi's annotation on Myeongdeok in detail and then translated Myeongdeok at the viewpoint of Ri(理, Principle) and criticized Myeongdeok translated in the viewpoint of Gi(氣, energy flow). Finally at his 61(1878), Lee wrote the Theory of Myeongdeok so that he could firmly established the theory of Myeongdeok at the viewpoint of Ri. The article of this study is mostly in theoretical basis to show Lee's translation of Zhuxi's annotation on Myeongdeok, Lee's criticism on the viewpoint of Gi on Myeongdeok and finally Lee's work for balancing and integrating Myeongdeok and Sim(心)ㆍSung(性)ㆍJung(情) in a principle. His point of the theory of Myeongdeok focusing on Ri values the individual's moral principle and furthermore to encourage the scholars and politicians with true morality to have actual impact on the nation and society under the calling of the age given to them.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반계(磻溪) 유형원(柳馨遠)의 저술 재검토와 후학의 관련 자료 고찰

        이형성 ( Hyung Sung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9 No.-

        조선은 양란 이후 사회적 질서가 무너져 사회·경제적으로 위기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시대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와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는 학자들이 있었다. 무너진 질서 체계를 적극 바로잡으려고 추진한 학자는 바로 반계(磻溪) 유형원(柳馨遠)이었다. 그의 『반계수록(磻溪隨錄)』은 당시 사회상을 철저하게 반영한 저서였다. 유형원은 10대 중반에 병자호란을 겪은 이후 삶이 매우 어려웠다. 출사(出仕)를 통해 어려운 삶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당시 무너진 사회 질서를 목도하고서 출사보다는 참다운 학문을 지향하는 열정이 남달랐다. 부안으로 이주한 이후 초야에서 학문을 깊이 탐구하며 52세에 삶을 마감하기 전까지 많은 저술을 남겼다. 유형원 사후, 그의 문인과 후학들이 지은 「전(傳)」과 「행장(行狀)」등은 그의 저술 서목이 언급되었지만 일률적이지 못한 면이 있고 서명이나 권수도 약간씩 다르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유형원이 지은 서목을 일일이 재검토하여 내용적으로 재분류하였다. 그리고 후학들의 유형원 관련 직·간접 자료를 살펴보면서 그들 자료에 담긴 유형원의 내용을 간략하게 다루었다. 그 자료를 일일이 나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 후학14인만을 한정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앞으로 유형원의 사상을 입체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나아가 근기실학과 대비되는 호남만의 독자적 실체를 가지는 것이므로, 유형원에 대한 직간접 자료 발굴 조사가 이루어질 때 “호남실학”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After the both wars of Imjin and Byeongja, Joseon incurred social and economic crises due to destruction of its social order. There were scholars who sought to overcome the time of crises for national and social stability. A scholar that intended to systematically correct everything was Yu Hyung-won(柳馨遠) who was playing an active role in Honam Province. His Bangyesurok(磻溪隨錄) was a piece of writing which thoroughly reflected social aspects of that time. After his death, writings such as Jeon(傳) and Haengjang(行狀) by other literators and junior scholars mentioned his written works but it was not so much of uniformity and there also was not inconsiderable number of scholars who followed Yu Hyung-won’s thoughts and promoted reforms. This article reexamined every piece of Yu Hyung-won’s writings one by one and reclassified them according to their contents. Referring to both direct and indirect materials of scholars who succeeded Yu Hyung-won’s thoughts, this study briefly covered Yu Hyung-won’s study in those materials. This work would be a future opportunity to examine Yu Hyung-won’s thoughts in a stereoscopic manner and to study “Silhak(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Honam Province” comprehensively. Further, it would help to get a sense of the independent identity of Honam Province in comparison to Silhak in near-capital area(近畿實學).

      • KCI등재

        이혜구 박사의 무악 연구 성과 및 검증 -체계이론을 중심으로-

        이보형 ( Bo Hyung Lee )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전통음악학의 태두이신 이혜구 박사는 수많은 한국전통음악의 논문을 썼지만 한국의 민속음악 부문의 논문은 적은 편이다. 이 가운데 한국의 무속음악 부문에 관한 논문은 오직 “무악연구”이라는 하나의 논문 밖에 없다. 그러나 이 논문은 몇 가지 점에서 주목되는 것이다. 첫째, 이 논문은 현지 조사한 하여 작성한 한국의 무속음악에 관한 최초의 논문이라는 것이다. 둘째, 이 논문은 지금은 전승이 끊어진 지역의 무속음악이라 1940년대 서울 강남 지역의 무속음악 특징을 밝혔다. 즉 도살푸리, 반설음, 겹마치와 같은 무속음악 용어를 처음 학계에 소개하여 이 지역의 무속음악이 한강 이북과 다르고 경기도 남부 무의식과 같다는 정보를 후학들에게 제공한 셈이다. 셋째, 이혜구 박사는 이 때 조사한 무의식을 통하여 상고시대 나라의 축제와 관련성을 찾아내었고, 이 무의식에서 연행되는 줄타기 등 광대희를 통하여 중세 한국 궁중 축제인 나례(儺禮)의 가무희와 관련성을 밝혔고 또 판소리 발생론 규명을 시사하는 의견을 제공하였다. 넷째, 이혜구는 이 논문을 위하여 1940년대에 현지 조사하였고, 1950년대에 논문으로 작성하여 발표하였으며, 1990년대에 여기에 단긴 체계 이론을 약간 수정하여 발표하였고, 2000년대에 한국전통음악의 체계이론을 비판하는 저서를 내었다. 이 세 가지 글을 통하여 이혜구 박사 당시의 한국음악학 체계이론의 수준과 그 변화를 검증할 수 있었다. 이혜구 박사는 근래에 두 개의 서양음악식 박자가 한국음악의 장단을 이룬다는 이론을 처음 내었다. 이것은 옳은 이론이다. 그러나 강약주기박자 (서양음악박자)와 장단주기박자가 어떻게 결정되는가 하는 이론이 없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오류를 볼 수 있다. 중중모리는 반 장단인 6/8이 서양음악 박자이고 중모리는 4분의 1/4 장단인 3/4이 서양음악 박자로 결정하는 오류, 박의 층위 이론이 없었기 때문에 엇모리와 터벌림(반설음)을 다 같이 5박자로 결정하는 오류는 당시 학문 기준으로는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이혜구 박사의 유일한 무속음악에 대한 논문 “무악연구”는 학계에서 별로 관심을 갖지 않았지만 후학들의 국악학 연구에 여러 가지 시사하는 점이 많은 주목할 만한 논문이라 할 수 있다. Despite many research results produced by Dr. Lee Hye-ku 李惠求 [YiHye-gu] (1909- 2010), one of major pioneers of Korean musicological study, those on folk music remain relatively few. Among these, especially related to Korean Shaman music, we have only one particular writing, which is entitled A Study of Shaman Music. However, this paper deserves attention in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is is the first report on Korean shaman music based on a field research.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into the shaman music of Kangnam 江南 region of Seoul in the 1940s and this tradition is non-existent today. The study first introduces to specialists in this field concepts unique to Korean shaman music, such as tosalp``uri 도살푸리, pansorum 반서름, and kyommach``i 겹마치, suggesting that shaman music of this region differs from that from Kangbuk 江北 region and is rather similar to the southern ritual music of Kyongdo 京畿道 (Kyonggi Province). Third, based on this particular study of shaman rituals Dr. Lee has discovered its connections with court festival music of the periods of Koryo 高麗 and Choson 朝鮮 Dynasties. He also found similarities between acrobatic performances such as rope-walking staged in this shaman ritual and the song-dance-performances of narye 儺禮 (annual exorcism), a Korean court festival held in the middle ages. Moreover, he suggests that this is related to the origin of p``ansori 판소리 (Korean folk operatic song). Fourth, Dr. Lee conducted his field research in the 1940s, based on which he wrote up his paper in the 1950s. Later, after 1990, he added some details to produce his system theory and since 2000 Dr. Lee has published some books criticizing existing system theories on Korean traditional music. These three stages of writing demonstrate the level of development of changdan 長短 (rhythmic cycle) system theory in respective periods of Korean musicology and its changes. Recently, Dr. Lee has suggested that rhythm in Korean music largely consists of two types of Western rhythm, which is plausible. However, in lack of any theory explaining the dynamic structures of both Western and Korean rhythmic system, we were apt to decide that, for instance, half of chungjungmori 중중모리 changdan, rhythmic cycle of shamanic music, is western 6/8 and that 3/4 of one chungmori 중모리 changdan (rhythmic cycle) is in Western rhythm. Since no one knew about the level-theory of rhythmic beats, scholars often thought that both ommori 엇모리 changdan and t``obollim 터벌림 changdan were in five beat pattern. Although A Study of Shaman Music,“ Dr. Lee``s only study on Korean shaman music, received little attention from other scholars in the field, it may safely concludes that it has many good points from which scholars in the next generation may receive benefit.

      • KCI등재

        이창래의 Native Speaker의 한글번역본 비교연구 : 번역가의 두 가지 다른 시선

        이형진 ( Hyung Jin Lee ) 韓國世界文學比較學會 2011 世界文學比較硏究 Vol.36 No.-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two translators, reflected into the two versions of Korean translation of Native Speaker (1995), the first novel written by the Korean-American novelist Chang-rae Lee. As literary translation is a product of another form of the translator`s personal reading of the text, different versions of translation often indicate different perspectives of translators toward the original text, and these differences become more important to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work, more than endless debates regarding mistranslation of the text. Hyun`s Korean translation of 1995 attempts to situate Lee`s novel under the umbrella of Korean literature, considering the theme of the novel as Korean immigrants` nostalgia for Korean culture and identity. This perspective leads to more natural translation with the frequent use of Korean cultural equivalents, trying to remind Korean readers of cultural connection to the author. However, Chung`s translation of 2003 views Lee`s novel as part of contemporary American literature which deals with the alienated life of immigran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America in which these immigrants are required to create a new kind of hybrid identity. This perspective is reflected in Chung`s careful attention to word choice, sentence structure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ten found in poetry translation. However, this difference does not exclusively derive from the translators` personal views on the novel. Rather, it has been critically influenced by the elevated status of the writer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ontemporary American writer, not anymore Korean-American writer. Also, more careful attention in Chung`s translation to the writer`s style and literary identity leads to the translator`s efforts to keep Lee`s linguistic elegance and literary style intact in the translation, often creating poetic effect. Literary translation is never a form of perfect and omniscient reading of the text by a translator, and, in this sense, analyzing translators` perspectives reflected in the translations of the same novel provides a valuable tool to understanding the tex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 KCI등재후보

        전도성 고분자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휘발성 유기 화합물 가스 인식

        이경문,주병수,유준부,황하룡,이병수,이덕동,변형기,허증수 한국센서학회 2002 센서학회지 Vol.11 No.5

        휘발성 유기 화합물 가스(Volatile Organic Compounds)를 인식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전도성 고분자 센서어레이를 이용한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Polypyrrole와 Polyaniline을 화학중합법으로 센서에 전도성고분자막을 형성하였고 이를 통해 VOC 검지용 센서 어레이를 제작하였다. 센서어레이로부터 측정되는 다차원 데이터는 주성분분석법(PCA)과 RBF(Radial Basis Function Network)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으로 VOCs 가스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RBF Network이 PCA방식보다 더욱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We fabricated gas recognition system using conducting polymer sensor array for recognizing and analyzing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gases. The polypyrrole and polyaniline thin film sensors which were made by chemical polymerization were employed to detect VOCs. The multi-dimensional sensor signals obtained from the sensor array were analyzed using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echnique and RBF(radial basis function) Network. Throughout the experimental trails, we confirmed that RBF Network is effective than PCA technique in identifying VOCs.

      • KCI등재

        공기청정기의 일부 실내공기 오염물질 제거효율에 관한 연구

        이태형,김윤신,홍승철,이철민,김종철,전형진,김중호 한국환경과학회 2005 한국환경과학회지 Vol.14 No.5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PM_(10), NO₂, and 1-hydroxypyrene(1-OHP) in urine at indoor environments which are 35 houses and 20 hospitals for using air cleaner and non-using air cleaner in Seoul metropolitan area and Kyoung-gi province from April, 2003 to February, 2004. Moreover, we examined effect of improvement for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effect by concentration of 1-OHP also we investigated removal efficiency by air cleaner for PM_(10), NO₂, and 1-OHP that were 28.5%, 27.4%, and 42.1% respectively. Concentration of PM_(10), NO₂, and 1-OHP were 19.02±18.14μg/m³, 8.66±3.06ppb, and 0.19±0.18μg/g creatinine when air cleaner was no worked. The concentration for PM_(10), NO₂ and 1-OHP were 13.60+10.79μg/m³, 6.29±2.71ppb, and 0.11±0.10μg/g creatinine, respectively. It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refore, it is considered using the air cleaner to remove the partial pollutants in indoor environment and is positive effect for health.

      • 하동카올린의 탄소환원법에 의한 질화거동

        이형복,이홍림,이형직,임헌진 연세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85 논문집 Vol.17 No.2

        Nitridation behavior of Hadong Pink Kaolin was studied over the temperature range of 1250-1350℃ in N₂-H₂atmosphere. Carbon was used as a reducing agent. Mullite, α-quartz, Si₂N₂O, X-phase, 15R-AIN, SiC and cristobalite were formed as intermediate products during reaction. But the final product was almost β-Sialon phase, when the reaction proceeded longer than 10hr at the C/H.K.(SiO₂) ratio larger than 3.

      • 8-hydroxyguanine이 전립선비대증 발생에 미치는 효과

        이재원,이석영,이형래,이상철,김용태,김원재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2 忠北醫大學術誌 Vol.12 No.2

        연구목적: 전립선비대증은 노화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임상적으로 주로 50세 이상에서 증상이 나타난다. 산소 라디칼은 DNA의 염기에 다양한 손상을 미칠 수 있다. 산소 라디칼에 의한 DNA의 변화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이러한 변화들 가운데서 guanine이 8-oxoguanine (8-hydroxyguanine, oh8Gua)으로의 수산화(hydroxylation) 반응은 가장 흔히 관찰되는 형태로서 노화 및 만성 퇴행성 질환, 기타 여러 질환의 중요한 병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세포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oh8Gua의 생성으로부터 유전자를 보호하는 수복효소 중 8-oxoguanine-DNA glycosylase (OGG1)가 주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효소를 생산하는 유전자인 hOGG1은 사람마다 유전자형이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립선비대증이 노화와 관련된 hOGG1 유전자형에 따라서 발생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충북대학교 병원에서 전립선비대증으로 진단 받고 입원하여 경요도전립선절제술을 받은 환자로 병리 조직학적으로 전립선비대증이 확인된 81명을 환자군으로 하였으며, 충청북도내 10개 군에서 50세 이상의 건강한 성인 남자 76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립선 무료검진에서 경직장 초음파 검사상 전립선 크기 20 gm 이하, 국제 전립선 증상 점수(IPSS) 7점 이하, 요속 10 ㎖/s 이상, 전립선 특이 항원(PSA) 4.0 ng/㎖ 이하인 81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이들에서 채취한 혈액에서 genomic DNA를 얻은 후 PCR-SSCP (polymerase chain reaction-single stranded conformation polymorphism), 직접 염기서열분석(direct DNA sequencing) 및 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를 통해서 두 군 사이의 hOGG1 유전자의 다형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대조군에서 codon 326형은 Ser326Ser형이 12례(14.8%), Ser326Cys형이 51례(63.0%), Cys326Cys형이 18례(22.2%)였으며 전립선비대증 환자군에서는 Ser326Ser형이 15례(18.5%), Ser326Cys형이 34례(42.0%), Cys326Cys형이 32례(39.5%)로 두 군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관찰되었다(p=0.022). 또한 Cys326Cys형과 나머지(Ser326Ser, Ser326Cys)형으로 나누어 시행한 통계 분석에서도 대조군에서는 각각 18례(22.2%), 63례(77.8%)였으며 전립선비대증 환자군에서는 32례(39.5%), 49례(60.5%)로 통계적인 유의성이 관찰되었다(p=0.017, OR=2.286, 95% CI=1.149-4.546). 결론: hOGG1 유전자의 형태와 전립선비대증의 발생과는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즉 hOGG1 Cys326Cys형을 가진 사람에서 전립선비대증이 발생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8-oxoguanine DNA glycosylase (OSS1) rapairs DNA by removing 8-oxoguanine (oh8Gua), a highly mutagenic oxidative DNA adduct. Recently, the human gene for OGG1 (hOGG1) was cloned and several genotypes have been reported. However, the implications of such genotypes in benign prostatic lyperplasia have not been demonstrated. To assess the involvement of hOGG1 associated with the aging process on the developing of BPH, we analyzed the genetic polymorphisms of hOGG1.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the hOGG1 gene polymorphisms in 81 cases of BPH and 81 cases of normal controls. We performed the SSCP, PCR-bas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and direct sequencing to characterize the genetic polymorphisms of hOGG1 in both BPH patients and controls. Results: We found two polymorphic sites. A serine326/cysteine polymorphism at codon 326 (1a type) in exon 7 was associated with an exchange of amino acid. Another polymorphic site at codon 324 (1b type) in exon 6 was silent. We found that the distribution of hOGG1 genotypes in BPH patients (Ser326Ser type 18.5%, Ser326Cys type 42.0% and Cys326Cys type 39.5%)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controls (14.8%, 63.0% and 22.2%, respectively) (p=0.022). Homozygosity for the Cys326Cys genotyp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risk of developing BPH, with the odds ratio (OR) being 2.286 (95% confidence interval [CI]=1.149-4.546)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hOGG1 Cys326Cys genotype might play a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BPH.

      • 플라즈마 표지소자의 제작

        이상윤,라병욱,박동수,황인헌,이덕동,신영남,박성배,이동욱,박용석,박형근,손상호,권태근,채경락,정경득 慶北大學校 自然科學大學 1986 自然科學論文集 Vol.4 No.-

        An Ac-type Plasma Display Panel (PDP) operating with Ne-Ar(0.1%) Penning mixture gas is fabicated. The characterics of the panel with electrodes covered with thin and thick dielectric layers are studied. The brightness of the Neon-orange light emitted by the panel measured as function of applied voltage and frequency. As an application, a graphic display system equipped with PDP showing still and moving pictures is made.

      • KCI등재

        기업내에서 부서간 갈등해결을 위한 의사결정조정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 웹 DSS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Emphasis on Web-DSS Approach

        이건창,조형래 한국경영과학회 2001 韓國經營科學會誌 Vol.26 No.1

        As the advent of the Internet, most of the modern firms are now forced to use the Internet as one of telecommunication tools for daily activities. Especially, as the decision units and/or makers in a firm become geographically dispersed due to the globalization trend, the need for integrating them effectively on the Internet is getting attention from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much more than ever. In literature, this kind of need has been specially conspicuous in the need for coordinating production and marketing activities which are known as one of the typically conflicting with each other in terms of purposes. Lee and Lee(1999) has proposed an interesting coordination environment for production and marketing, named PROMISE. This paper is aimed at improving the coordination algorithm utilized in PROMISE and accordingly proposing a web-driven DSS for the purpose of transforming Promise into a web-based decision support platform for production and marketing coord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