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악을 논하는 잡지의 지면 연구 시론

        이수정 ( Lee Su-jeong ) 한국음악사학회 2018 한국음악사학보 Vol.60 No.-

        이 글에서는 1945년 이후 한국 현대국악학(現代國樂學)을 논하는 관련 잡지와 지면의 상황을 고찰함으로써 현대와 같은 연구기반이 마련되기까지 국악계가 양적으로 질적으로 성장하는 과정의 일면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현대국악을 소개하는 잡지의 연구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일제강점기의 잡지 지면을 통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설펴보았는데, 국악학(國樂學) 연구가 국악인아 아닌 민속학자ㆍ국문학자 또는 일본인에 의해 연구되면서 타자적(他者的)인 시각으로 다루어졌음을 파악하였다. 잡지는 처음 개화와 계몽을 목적으로 잡지가 발행되기 시작하여, 이후 전문잡지가 등장하면서 각 분야의 연구 활동의 발표지면으로 활용되기도 하였다. 음악계에서는 『三光』과 같은 전문 잡지가 등장하였다. 음악전문가가 아닌 사람이 국악을 다루는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해방이후는 새 시대를 맞아 각 부분에서 학문적 토대 및 체제를 세우며 성장하는 시기였다. 역사상 가장 격동적인 변화를 겪었던 시기이면서 또한 제도 및 학문적 토대가 마련되던 시기이다. 음악 관련 단체가 결성되었고, 국립국악원(國立國樂院) 건립,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 제도 등이 마련되면서 학문의 주제 및 중심의 마련되는 과정에 있었기 때문에 각 기관의 기관지 및 『無形文化財』와 같은 관련 잡지가 발행되었다. 국악계가 성장하자 『國樂界』라는 최초의 국악전문잡지도 반짝 등장하였다. 국악계에 독자적한 학술지가 없던 1970년대 이전까지는 여러 학회지나 잡지의 지면을 통해서 학술활동을 진행하였지만, 대학에 국악과가 설치되고 학문적 기반이 확충되면서 고등교육을 받은 신진연구자가 등장한 이후 다양한 학문활동이 이루어 졌다. 학교나 연구소에서 발행되는 각종 ‘논문집’을 통해 학술활동이 이루어 졌다. 한국국악학회(韓國國樂學會)에서 처음으로 『韓國音樂硏究』를 발행하였고, 이후 한국음악사학회(韓國音樂史學會)의 『韓國音樂史學報』를 비롯한 수십 종의 학술지 및 학회지가 발간되면서 현대와 같은 연구 환경이 조성되었다. 근대적인 학문의 정착과정에 신문ㆍ잡지와 같은 매체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글에서 제시한 잡지 목록만으로 현대국악의 연구 활동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지만, 현대국악계의 연구사적 흐름을 규명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paper explores magazines which deal with modern Korean musicology and the status of those paper works published after 1945. The research shows an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field and the process of building the ground for its scholarship in the modern times. In order to see the trend of research on introducing modern kugak 國樂 the research first looked at the magazin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Korean music scholarship was most done by non-musicologists, such as scholars in folklore or language, or by Japanese in the perspective of outsider. The earlier magazines were published for enlightening people, and later specialized research magazines were began to appear in each field, for example in the case of music, specialized magazine like Samgwang 『三光』. It was the time that non music specialist were researching kugak. After the liberation many scholarships faced a new phase as building its academic ground as well as the system, although it was the time of historical turbulence. Many musical associations were organized; the Kungnip Kugagwon 國立國樂院 (National Kugak Center) was opened;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system was set. Not only each organization but also the institutions published their own journals, such as government organ and Muhyong munhwajae 『無形文化財』(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ith its quick development, a special magazine Kugakkye 『國樂界』(The Korean Traditional Music Field) was appeared suddenly. But up until 1970s there was no specialized kugak journals. After the universities opened kugak departments new researchers were raised with the high level education. They did active academic works and the journals were published by the universities or their research center. Han'guk Kugak hakhoe 韓國 國樂學會 (Korean Musicological Society) first published Han'guk umak yon'gu 『韓國 音樂硏究』(Studies in Korean Music) and some other academic journals including Han'guk umak sahakpo 『韓國音樂史學報』(Journal of the Society for Korean Historico- Musicology) by Han'guk umak sahakhoe 韓國音樂史學會 (the Society for Korean Historico-Musicology) were appear as making the modern research environment. In the process of settlement of modern scholarship, the media such as newspaper and magazines were important.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clarifying the historical flow in modern kugak field. However, only with the list of magazines provided in the paper, it is limited to understand the general research activities in modern kugak.

      • KCI등재

        일해 한국근대음악사 연구 성과 검토

        이진원 한국음악사학회 2022 한국음악사학보 Vol.69 No.-

        본 연구에서는 일해 송방송 박사의 근대음악사 관련 연구 성과들을 한국근대음악사 기술, 근대 음악 주제 연구, 근대 음악 자료 연구, 관련 사전 항목 집필 등 네 가지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국근대음악사 기술에서는 한국 근대 중 일제강점기를 ‘국악의 수난기’라 바라보던 이전 시각을 바꾸고, 이 시기를 ‘서양음악의 수용시대’로 규정하였으며, 전통음악과 서양음악을 모두 다루는 시각을 통해 『한국음악통사』의 근대 부분을 저술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동은의 『한국근대음악사1』 등 근대음악 관련 연구를 토대로 하고, 2000년 이후 근대음악에 대한 전문적인 주제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증보 한국음악통사』로 근대음악사를 새롭게 기술할 수 있었다. 근대 음악 주제 연구에서는 송방송 박사의 박사학위 논문과 2003년 출판한 그의 『한국근대음악사연구』 전문 연구서를 검토하였다. 박사학위 논문에서는 근대성을 띤 거문고산조의 전승과 음악을 연구하였으며, 2000년 이후 발표된 23편의 관련 연구에서는 일제강점기 방송, 음반, 공연 활동 상황에 대한 자신의 기초 연구를 토대로 하여 전통음악으로 판소리, 경서도, 남도잡가 등의 음악과 근대성을 띤 새로운 음악으로서 창극, 신민요, 대중가요 및 동요 등을 음악사회사적 관점에서 점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근대음악사 자료 연구 부분은 논저 해제와 자료 색인 부분을 검토하였다. 논저 해제 연구는 『한국음악학논제해제』(1981)를 시작으로 2004년까지 진행되었다. 1981년 해제에서는 일제강점기 관련 논저들이, 그 이후 발표된 해제에서는 개화기 음악사에 대한 연구들이 보충되어 정리되었다. 자료 색인 연구는 『경성방송국국악방송곡목록색인』, 『한국근대음악 사료색인집』 문헌자료편, 『한국유성기음반총목록 색인』, 『한국근대음악기사자료집 색인편』 등 총 4권으로 발표되어 관련 연구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관련 사전 편찬에서는 『한국음악용어론』 집필 과정으로부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음악사전』 항목 참여 과정과 근대음악과 관련된 『한국근대음악인사전』 편찬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는 이러한 사전 작업을 통해 이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권번 출신의 기생 예술가 및 대중음악 관련 음악인들에 대한 사전 항목을 발굴하여 한국 근대음악에 참여한 음악인들에 대한 관련 정보를 상세히 제공하기도 하였다.

      • KCI등재

        안확의 조선음악사 서술 범주와 특징

        이정희 한국음악사학회 2023 한국음악사학보 Vol.70 No.-

        This study examines Chosŏn Music (上) and Chosŏn Music History by An Hwak. These works were written before and after An Hwak’s appointment to Yiwangjik aakpu respectively and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opened the first chapter in describing the history of modern music in Korea. An Hwak, who achieved these accomplishments, was a scholar who laid the foundation of Korean studies and demonstrated excellence in the field of Korean music. He was a pioneer who attempted to study and describe the history of modern music in Korea. His interest in the history of Chosŏn music, following the history of Chosŏn literature and Chosŏn civilization, may have led him to apply for the commission of Yiwangjik aakpu. An Hwak, as a commissioned member of Yiwangjik aakpu, carried out a music book compilation projects, including the writing of music history, studied and presented various music topics, and eventually wrote Chosŏn Music History. This work, overall, is richer and more expanded than Chosŏn Music (上) written before the commission. An Hwak’s study on Chosŏn music and writing of Chosŏn Music History were an act included in the big structure of Chosŏn studies, which functioned as a way to identify the uniqueness and significance of the Chosŏn people and served as a survival measure for An Hwak himself in the dark era. In conclusion, Chosŏn Music History is significant not only because it is included in his representative works, but also because it served as a starting point for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modern music in Korea and as part of a self-rescue plan to culturally overcome the colonial situation. 본고에서는 안확이 남긴 <조선의 음악(上)>과 <조선음악사>를 살펴보았다. 이는 안확의 이왕직아악부 촉탁 역임 전후에 각각 작성되었고, 근대 한국음악사 서술에 첫 단초를 열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업적을 이룬 안확은 한국학의 토대를 형성한 학자로, 한국음악 분야에서도 탁월함을 드러냈다. 그는 근대적인 한국음악사 연구와 서술을 시도했던 개척자였다. 조선문학사, 조선문명사에 이어 조선음악사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이왕직아악부 촉탁을 지원한 것으로 보인다. 안확은 이왕직아악부의 촉탁 자격으로 방대한 음악 자료를 섭렵하면서 음악사 저술을 포함한 악서 편찬 사업을 이행하고, 다양한 음악 주제를 연구․발표하여, 결국 <조선음악사>를 남겼다. 이는 전반적으로 촉탁 이전에 작성한 <조선의 음악(上)>보다 더 풍성해지고 확장된 양상을 지녔다. 안확의 조선음악 연구와 조선음악사 집필은 조선학 연구라는 큰 구도에 포함되는 행위였고, 이는 곧 조선 민족의 독자성과 의의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기능하여, 안확 자신에게 암울한 시대의 생존책 같은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조선음악사>는 그의 대표 저작에 포함될 뿐 아니라 근대적인 한국음악사 서술을 태동시키는 발화점이며, 식민지를 문화적으로 극복하려는 자구책의 일부분으로 기능하였다는 점에서 일정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한국 창작음악의 전개에서 나타난 국악의 배치와 의미

        윤혜진 ( Yoon Hye-jin ) 한국음악사학회 2017 한국음악사학보 Vol.59 No.-

        한국의 창작음악 논의에서 국악은 때로는 과거 전통음악으로, 때로는 관련된 요소로, 그리고 때로는 한국음악으로 여겨진다. 각 구도에서 국악은 시대인식, 양악과의 대립적 구도, 창작행위, 개인, 국가와 공동체문화 등의 다양한 견지에서 다르게 배치된다. 이 글은 한국의 창작음악에서 국악이 어떠한 견지와 맥락으로 배치되어 인식되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창작음악에 관한 관점을 확장하고자 한다. 한국문화에서 국악은 제한된 범주인 동시에 열린 범주이다. 국악은 양악에 대별되는 범주로서 과거의 음악으로 제한되기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의 정체성을 담고 있는 우리음악으로서 미래로 열려 있기도 하다. 국악이 제한됨과 열림의 역설적 구도를 지니는 데에는 우리음악의 전통과 시대성 논의에서 국악에 대한 관점과 구도가 명확하지 않았던 배경이 있다. 한국 창작음악의 논의에서 창작국악과 창작양악에 대한 시각은 양악 중심의 사고에 매몰되어있다. 음악의 정체성 문제에 있어서 양악은 한국의 음악으로서 정체성 논의의 대상이 되지 않았고 창작에서 사용되는 도구는 양악의 범주에 둠으로써 양악창작이 아닌 국악창작은 국악의 정체성과 양악적 서구화라는 시각으로 투영되었다. 한국의 창작음악 전개에서 창작국악만이 아닌 전체 창작음악을 조망하려면 국악·양악·창작의 구도를 세심하게 볼 필요가 있다. 국악은 선율적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고 특정 기법이 음향적 구조로 활용되기도 하며 관련된 개념이 음악적 구성의 이디엄이 되기도 한다. 소리에서부터 개념까지 창작음악에서의 국악은 창작을 위한 구체적인 요소로부터 추상적인 요소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되거나 해석된다. 창작음악에서 국악기의 사용과 국악적 요소들과 관련된 개념 등은 전통, 시대성, 현대성, 그리고 민족성과 같은 담론에서 국악을 어떻게 배치하는 지 따라 음악적 활용과 해석이 달라진다. 현재 한국문화에서 창작음악을 음악으로 여기면서도 국악기가 들어가거나 국악적 재료가 사용되는 음악은 음악의 범주보다는 국악으로 모호하게 구분하기도 한다. 한국문화가 한국과 서양이 혼합된 만큼 창작음악에 대한 혼합적 시각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한국 창작음악의 전개에서 국악을 배치하는 구도는 전통과 시대성을 어떻게 인식하는 지와 연계되어있다. 시대를 관통하는 전통이 시대를 구분하는 시대성보다 더 넓고 열려 있는 개념이기에 우리의 음악적 전통인 국악은 과거의 음악에 제한되지 않는 열린 범주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시대적 가치나 개인적 성향을 따르는 창작자만이 아니라 전통과 시대성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열고 작업하는 많은 창작자가 존재해야한다. 우리음악에 대한 새로운 질문과 고민이 양 음악계 창작자의 의미 있는 작업으로 생산되고 한국 문화의 자생적이고도 주체적인 담론과 함께 이루어진다면 한국 창작음악은 새로운 전망으로 전개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e term kugak 國樂 discussed in Korean new music has been considered by the varied contexts as past traditional music, a musical element, Korean music, and so on. Those show that assemblage of kugak is deployed according to various standpoints such as the view on the times, an opposed to yangak 洋樂 (lit. Western music), creative compo- sition, and nation and community cultu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kugak has been deployed and recognized in the various contexts so as to expand the view on Korean new music. Kugak belongs to the category not only being limited also being opened concept. That is, kugak lies in the limited concept as past music confronting with yangak, and also in the opened to future as our music containing Korean identity. The reason kugak has such paradoxical points is that the view points toward kugak have been vague in the matter on tradition and contemporaneity of our music. The main view to ch'angjak kugak 創作國樂 and ch'angjak yangak 創作洋樂 in discussing Korean new music is mainly focused by the thought centered on yangak. On the issue of music identity, yangak was not the issue of the debate and composition methods was considered inside the category of yangak. Ch'angjak kugak hereby has been criticized by its identity and Westernization. By virtue of having more wide perspective not only to ch'angjak kugak but to the whole new music, we need to investigate the context between kugak·yangak·creative composition emerged in development of Korean new music. Kugak might be used for musical elements for melody, its peculiar techniques would be applied for acoustic structure, or a related conception becomes the idiom for musical construction. In other words, kugak in new music has been broadly used and applied from sound as concrete musical element to conception as abstract element. The usage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the pertinent idea to kugak are differently interpreted according to how to make assemblage of kugak in the discourses of various aspects such as tradition, contemporaneity, modernity, and the character of Korean culture. Korean culture of our current times classifies new composed music to music, however which of Korean musical instrument or utilizing elements is vaguely categorized in kugak rather than music. This is because there exists the mixtures of views to new composed music as much as Korean and Western cultures features a blend for a long time. Assemblage of kugak deployed in Korean new music has connected to how to recognize tradition and contemporaneity. Tradition penetrates the times. This tradition is more wide and opened concept than contempo- raneity of current times which provides periodization. Therefore our musical tradition, kugak, should be acknowledged as a more opened category not limited to past music. We pursue our path to a new inquiry and thought on our music along with our own discourse so that Korean new music would have a new perspective.

      • KCI등재

        만당음악학의 국제성 지향 재조명

        김희선 ( Hee Sun Kim )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음악학의 효시인 만당 이혜구의 업적은 초기부터 한국음악학의 국제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만당의 정치적 행위로서의 국제적 행보와 학문적 행위의 두 측면을 통해 만당 한국음악학의 국제성 지향의 성격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09년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난 만당은 식민지 서구식 음악교육을 받고 바이올린을 연주하였으며 경성제국대학의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어린 시절 바이올린의 학습과 영문학 전공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이후 만당 음악학의 국제성의 향방을 제시해 주었다고 보여진다. 만당의 국제성 지향은 1950년대 구미에서 구성되기 시작한 두 개의 국제학회(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Soceity for Ethnomusicology)의 회원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맺게 된 주요 학자들과의 교류로 시작된다. 만당은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통해 한국전통음악을 해외학계에 소개하고 한국음악학의 존재를 해외에 드러내는 매개자의 역할을 감당하였을 뿐 아니라 본인 또한 해외 학계의 주요학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만당은 해외학계의 동향을 국내 학계에 보고 함으로서 한국음악학계에 국제성 지향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만당은 대중매체의 지면을 통해서도 한국음악학의 국제성과 현대화 작업의 필연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는가 하면 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만당은 1960년대부터 자신이 능통했던 영어와 일본어로 논문발표, 저서, 논문출판, 번역에 걸친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쳤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의 주제는 한국음악의 개괄적 소개, 이론, 역사 악기, 장르, 창작음악을 망라하여 한국음악 전반을 영어권 독자에게 소개하고자 하였는데, 이들 연구물은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연구물의 영어번역물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은 대부분은 해당 분야 혹은 장르의 최초의 영문저작물로 이후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자들에게 한국음악연구의 입문의 단초를 제공하여 해외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만당의 정치적, 학문적 행보는 이후 국제 음악학계의 형성과정에서 음악인류학계의 역사음악학 분과의 존립 및 아시아 음악학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해외 한국음악학의 성립, 성장, 위상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From early stages, writings of the late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pioneer in Korean musicology, aims for internationalism of Korean music. This study attempts to reinvestigate such international aspect of Mandang’s 晩堂 works, focusing both on his political/international activities and on his academic achievements. Mandang was born in 1909, while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eived Western music education, learned to play the violin and played at the Western orchestra and graduated from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majoring in English Literature. Such socio-cultural background seems to have formed the foundation for his international tendency inherent in his later works as a musicologist. His internationalism became even more evident as he, as a member of tw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CTM (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and SEM (Society for Ethnomusicology), began interacting with other renowned international music scholars. Through political venue Mandang introduces Korean traditional music to foreign scholars and worked as a intermedia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continuing to focus on his personal research activities. He also discussed international academic issues with scholars within Korean musicology, motivating Korean scholars to ‘view the larger picture.’ Also by means of popular media and magazines, he continued to pursue and bring general attention to the goal of modernizing and internationalizing Korean musicology. From the 1960s Mandang produced various writings in English and in Japanese, as well as many translating works, to be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and books. His writings in English usually dealt with general introduction and history of Korean music, as well as general theory, musical instruments, and modern compositions to be introduced to English-speaking readers. Mostly translated from his former research written in Korean, his English writings were the first in introducing respective Korean musical genres,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providing basic research material for international scholars interested in Korean music. Mandang’s political and academic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historical musicology within ethnomusicology and developing Asian music studies in general, not to mention his contribution in nurturing and in raising the position of Korean musicology in the field of ethnomusicology.

      • KCI등재

        만당음악학의 국제성 지향 재조명

        김희선 한국음악사학회 2015 한국음악사학보 Vol.55 No.-

        한국음악학의 효시인 만당 이혜구의 업적은 초기부터 한국음악학의 국제성을 지향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만당의 정치적 행위로서의 국제적 행보와 학문적 행위의 두 측면을 통해 만당 한국음악학의 국제성 지향의 성격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09년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난 만당은 식민지 서구식 음악교육을 받고 바이올린을 연주하였으며 경성제국대학의 영문과를 졸업하였다. 어린 시절 바이올린의 학습과 영문학 전공의 사회문화적 배경은 이후 만당 음악학의 국제성의 향방을 제시해 주었다고 보여진다. 만당의 국제성 지향은 1950년대 구미에서 구성되기 시작한 두 개의 국제학회(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Soceity for Ethnomusicology)의 회원으로 적극적으로 활동하면서 맺게 된 주요 학자들과의 교류로 시작된다. 만당은 다양한 정치적 행보를 통해 한국전통음악을 해외학계에 소개하고 한국음악학의 존재를 해외에 드러내는 매개자의 역할을 감당하였을 뿐 아니라 본인 또한 해외 학계의 주요학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만당은 해외학계의 동향을 국내 학계에 보고함으로서 한국음악학계에 국제성 지향을 촉구하기도 하였다. 또한 만당은 대중매체의 지면을 통해서도 한국음악학의 국제성과 현대화 작업의 필연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하는가 하면 이에 대한 대중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고자 하였다. 만당은 1960년대부터 자신이 능통했던 영어와 일본어로 논문발표, 저서, 논문출판, 번역에 걸친 활발한 학술활동을 펼쳤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의 주제는 한국음악의 개괄적 소개, 이론, 역사 악기, 장르, 창작음악을 망라하여 한국음악 전반을 영어권 독자에게 소개하고자 하였는데, 이들 연구물은 기본적으로는 자신의 연구물의 영어번역물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만당의 영어저작물은 대부분은 해당 분야 혹은 장르의 최초의 영문저작물로 이후 해외 한국음악학 연구자들에게 한국음악연구의 입문의 단초를 제공하여 해외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만당의 정치적, 학문적 행보는 이후 국제 음악학계의 형성과정에서 음악인류학계의 역사음악학 분과의 존립 및 아시아 음악학의 성립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더 나아가 해외 한국음악학의 성립, 성장, 위상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From early stages, writings of the late Lee Hye-ku 李惠求 [Yi Hye-gu] (1909-2010), pioneer in Korean musicology, aims for internationalism of Korean music. This study attempts to reinvestigate such international aspect of Mandang’s 晩堂 works, focusing both on his political/international activities and on his academic achievements. Mandang was born in 1909, while Korea was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e received Western music education, learned to play the violin and played at the Western orchestra and graduated from Keijō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majoring in English Literature. Such socio-cultural background seems to have formed the foundation for his international tendency inherent in his later works as a musicologist. His internationalism became even more evident as he, as a member of two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CTM (International Council for Traditional Music) and SEM (Society for Ethnomusicology), began interacting with other renowned international music scholars. Through political venue Mandang introduces Korean traditional music to foreign scholars and worked as a intermediary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continuing to focus on his personal research activities. He also discussed international academic issues with scholars within Korean musicology, motivating Korean scholars to ‘view the larger picture.’ Also by means of popular media and magazines, he continued to pursue and bring general attention to the goal of modernizing and internationalizing Korean musicology. From the 1960s Mandang produced various writings in English and in Japanese, as well as many translating works, to be published in various journals and books. His writings in English usually dealt with general introduction and history of Korean music, as well as general theory, musical instruments, and modern compositions to be introduced to English-speaking readers. Mostly translated from his former research written in Korean, his English writings were the first in introducing respective Korean musical genres,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providing basic research material for international scholars interested in Korean music. Mandang’s political and academic acti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strengthening the position of historical musicology within ethnomusicology and developing Asian music studies in general, not to mention his contribution in nurturing and in raising the position of Korean musicology in the field of ethnomusicology.

      • KCI등재

        송방송의 고대음악사 이론 분야 연구 업적

        김성혜 한국음악사학회 2022 한국음악사학보 Vol.69 No.-

        이 글은 송방송의 한국음악사 연구 중에서 고대음악사의 이론 분야를 중심으로 그의 연구 업적을 고찰한 것이다. 그의 고대음악사 관련 연구서는 『한국고대음악사연구』가 유일하고 대표적이다. 그가 발표한 고대음악사 관련 글은 약 30편에 달했으며, 이것은 60년 동안 그가 연구한 전체 분량에서 약 14%의 비중이다. 그가 고대음악사 분야를 연구하기 시작한 시기는 1980년 말~1981년 1월로 파악되며, 연구 동기는 자신의 학문 목표인 『한국음악사』 개설서를 편찬하기 위해서였다. 연구 기간은 1980년부터 2016년까지 대략 36년이었으나, 연구에 집중한 시기는 1980~1989년까지 약 10년으로 볼 수 있다. 그의 연구 성과를 고대음악사의 시대별로 구분하여 검토한 결과 고구려와 백제 및 남북국시대 음악에 관해서는 다양한 주제로 성과를 올렸으나, 상고시대와 고신라 및 가야 음악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그가 이룬 고대음악사 분야의 연구 업적은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료 비판적 연구를 음악학계에서 처음으로 시도한 점이다. 둘째, 발해음악에 관한 연구를 처음 시도했고, 한국음악사 영역에 발해악을 포함시킴으로써 고대음악사의 영역을 확장시켰다. 이것은 그의 연구 업적 중에서 가장 탁월한 업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셋째, 고대음악사 관련 새로운 문헌과 새로운 고고학 자료를 발견하고 이를 음악학계에 소개하고 연구한 점이다. 넷째, 통일신라음악에서 ‘악조(樂調)’ 부분과 ‘주변국 악기의 수용’ 문제를 연구하여 고대음악의 내용을 심화시킨 점이다. 일해 송방송은 고대음악사 분야에 있어 다양한 주제의 연구 논문을 학계에 발표함으로써 학문의 기반을 다졌고, 여러 가지 새로운 분야의 연구를 단행하여 고대음악사 영역을 학문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노력하였기에 이 모든 것을 그의 연구 업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한·중 불교음악의 사적 관계에 대한 - 중국 한족 불교음악사를 통하여 -

        윤소희 한국음악사학회 2007 한국음악사학보 Vol.38 No.-

        Study of Chinese Buddhist music plays a key role in understanding the root of Korean Buddhist music because Korean Buddhism has accommodated Mahayana Buddhism of China. Also, studying Chinese Buddhism is crucial to the research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ince Buddhist culture and music is supposed to be the found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owever, up to the present, there has been no research at all regarding Chinese Buddhist music in Korea. So, this study first inquires into the historic development of Chinese music.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Buddhist music and Korean Buddhist music is examined. According to the Japanese monk Ennin's writing, Silla immigrants who settled in the Shandong 山東 region of China employed Buddhist ritual style of Tang 唐 and Silla alternatively in the Pŏphwawŏn 法華院 temple. Masters of scriptures (經師) and preaching (唱導師) performed Buddhist rituals and preaching using Buddhist chants and hymns during the Tang dynasty. It is noteworthy that professional masters of preaching captivated many Buddhist believers with beautiful voices in those days. Also, Tang period was the heyday of the literature and the prevailing verse style of the period was that of Silla, namely, pŏmp'ae 梵唄. It was the latter Tang period when Master Chin'gam (眞鑑 774~850) went the China for study. At that time, Chinese Buddhism has completely accommodated Indian Buddhism and Chinese Buddhist culture was in it's golden age. So Buddhism for the laymen, such Pureland thought, Avalokitêśvara (觀世音) devotion, and Ten King faith (十王信仰) flourished. As Buddhist preaching for the ordinary people (俗講), combined with the popular arts, was in vogue, Buddhist doctrines were taught through songs and stories in order to make them more approachable to the ordinary people. During this process, various kinds of Buddhist music prevailed, such as sutra recitations (轉讀), chants (唄讀), Buddhist preachings for the ordinary people, chants in morning and evening lessons (早暮課頌), artistic Buddhist hymns sung by professional singers (導唱師) based on the scriptures (講經), and story-telling musics like the Sutra of Filial Piety (父母恩重經), described in the lecture for general Buddhist (俗講). It is unclear to which genre Buddhist chants taught by Master Chin'gam belong, since the record in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 三國遺事 ) does not mention such music. The lyric songs of Song dynasty such as Lo-yang-ch'un 洛陽春 (Nagyangch'un in Sino-Korean) and Pu-hsü-tzŭ 步虛子 (Pohŏja) were so popular in China that they were transmitted to Korea. It can be said such trend has some relationship with the literal prosperity of the lyric poem in Song dynasty. Lyric poem is a kind of literature genre originating from high-class restaurants, which has a strong musical character. Praise chants for Buddha with lyric poem has the highest artistic merit in terms of musical form and melodic development among the Chinese ceremonial Buddhist chants. The lyric songs in Song dynasty prospered during the Ming 明 and Ching 淸 dynasties. However, in Korea, we cannot find any vestige of them. We cannot find any trace of lyric songs of Song dynasty in the Buddhist ritual manual such as Pŏmŭm sanbojip 梵音刪補集 and Sŏkmun ŭibŏm 釋門儀範. Also, no trace of lyric songs of Song 宋 dynasty can be found in any current Buddhist chants in Korea. Generally speaking, religious music tends to accomodate the trend from secular music only after one or two generations. However, the Buddhist music of the Song could not be introduced into the Chosŏn Dynasty (1392~1910) because the Chosŏn had proclaimed anti-Buddhist policy. The Buddhist Lantern-lighting Ceremony (燃燈會) which prevailed in Koryŏ dynasty (918-1392) was a similar Buddhist ceremony that was also very popular in the Chinese Song Dynasty. On the other hand, P'algwa... 한국의 불교가 중국 대승불교를 받아들였으므로 중국 불교음악의 전개에 대한 연구는 한국 불교음악에 대한 근원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한국 전통음악이 불교문화와 음악의 뿌리에서 생성되었음을 미루어 볼 때 중국 불교음악에 대한 연구는 한국전통음악의 연구에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한국에 중국 불교음악에 대한 소개나 연구가 전혀 없었으므로 본고에서는 먼저 중국의 한족 불교음악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고찰한 뒤 한국불교음악의 관련성을 찾아보았다. 인도의 불교가 중국으로 건너와 대승불교로 발전하면서 불교의식과 음악이 함께 형성되었다. 불타의 설교는 처음에 구전(口傳)으로 전해지다가 보다 많은 사람이 쉽게 기억하고 전파하기 위해 게(偈)와 송(頌)의 형식을 채용하기 시작하면서 패찬이 번성하게 되었다. 대승불교를 추구한 중국은 대중에게 쉽게 다가가기 위한 과정에서 다양한 예능적 수단이 동원되었으므로 소승불교를 추구한 지역보다 불교음악이 매우 다양하고 풍부하다. 양무제가 제정한 불교의궤는 한국 불교문화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신라의 승려 중 최초로 유학 갔던 승려 각덕(覺德)은 양나라에 유학을 다녀왔다. 양나라의 사신과 함께 불타의 사리를 가지고 귀국한 각덕은 진흥왕(당시 재위 10년인 549년)의 각별한 환대를 받았다는 삼국유사 의 기록이 있는데 이때는 월명사가 향가만 안다고 한 기록(경덕왕 19년 760년) 보다 약 200여 년이 앞선다. 어떤 종교를 배워온다는 것은 의식과 그에 따른 음악이 함께 들어오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인 점을 감안해 볼 때 월명사 당시에도 양나라의 다양한 불교음악이 신라에 불리고 있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양무제가 불교무용을 궁중무용화 했다는 기록은 있지만 현재 한족 불교에 불교 무용을 전혀 찾아 볼 수 없어 한국의 불교무용이 양무제 당시의 춤과 관련이 있는지는 많은 연구 과제를 남긴다. 일본 승려 엔닌이 기록한 당대의 산동적산법화원 신라인의 불교의식을 보면, 한 의식 안에 당풍․신라풍이 교대로 쓰였다. 당대에는 경사(經師)와 창도사(唱道師)와 같은 승려가 범패로써 의식과 설법을 대신한 것을 알 수 있는데 특히 아름다운 음성으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은 창도사와 같은 직승(범패승)이 당시에 있었음이 주목되는 사실이다. 또한 당대(唐代)는 문학의 전성기이기도 하였는데 이때의 시체가 한국 범패 가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진감선사가 유학할 당시는 당(唐)의 후기에 속한다. 그 당시는 인도 불교가 중국화되어 중국불교의 문화가 만개한 시기로 민중불교인 정토사상과 관음․미타․시왕 신앙이 번성한 때였다. 민중에 의한 불교가 확산됨으로써 민중 기예와의 융합이 활발했던 속강이 유행하였으므로 불교의 세계를 대중이 이해하기 쉽도록 노래와 재담으로 불교 교의를 설하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세속적인 불교음악도 생겨났으므로 전독과 패독과 같은 낭송조의 노래를 비롯하여 수행자들이 주로 부른 조모과송과 속강과 강경에서 전문 도창사가 부른 기교적인 범패, 부모은중경과 같은 이야기 채 변문(變文) 등 다양한 장르의 불교음악이 유행하던 때이다. 이러한 가운데 과연 진감선사가 쌍계사에서 가르친 범패는 어떤 장르의 노래였는지 삼국유사 의 기록은 너무도 짧은 기록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내막을 알 수가 없다. 한국에 낙양...

      • KCI등재

        한국․중국의 서역 적7조(笛七調) 수용과 변천에 대한 연구 -‘악학궤범7지’와 ‘공척7조’의 음악체계 비교를 중심으로-

        이보형 한국음악사학회 2011 한국음악사학보 Vol.46 No.-

        Akhak kwebŏm Ch'ilchi 樂學軌範 七指, Chilcho 七調 theory of medieval Korea, and the key system of sinawi 시나위 of modern folk music share in common the names of keys, which originate from finger holes of the wind instruments. This may be an indication of identical origin. In order to deduce this, this study compares the systematic feature as appears in taegŭm sanhyŏng 大笒散形 (illustration of tuning rule for transverse flute) of Akhak kwebŏm ch'ilchi with the chŏk 笛 of Kongch'ŏk ch'ilcho 工尺七調, the Chŏk ch'ilcho 笛七調 system of medieval China. As a result, difference in terms of key names and solmization system is found.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key names led to comparing the modal system of Silla Chŏk Ch'ilcho 新羅笛七調 in ancient Korea, which appears to have been the prototype for Akhak kwebŏm ch'ilchi of medieval times, with the table of modes from the Chinese ancient period of Sui 隋 and Tang 唐 dynasties, from which the medieval Kongch'ŏk ch'ilcho has originated. The result reveals commonality in terminology, in the style of Sui and Tang folk music. This points to the conclusion that in China, ancient chŏksaek chilcho (of Sui and Tang) developed into the medieval Kongch'ŏk ch'ilcho (of Ming 明 and Ch'ing 淸 dynasties) and in Korea, Chinese chŏksaek chilcho developed into Silla Chŏk Ch'ilcho, which later was transmitted to Akhak kwebŏm ch'ilchi. On the other hand, a study of the difference in solmization system led to concluding that the system of Korean medieval Akhak kwebŏm changed into Cognate Syllable Names (Cognate do), while that of Kongch'ŏk ch'ilcho of medieval China developed into Parallel Syllable Names (Parallel do). Since the solmization system from the West, such as India and the Arab countries, use Cognate Syllable Names, like Korean Akhak kwebŏm ch'ilchi, it is concluded that the Chŏk ch'ilcho systems of China and Korea have their origin in the Western Chŏk ch'ilcho theor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odern development of Akhak kwebŏm ch'ilchi of medieval Korea and Kongch'ŏk ch'ilcho of China, it is concluded that Korean Akhak kwebŏm ch'ilchi underwent many changes as it became transmitted as modern sinawi ch‘ŏng 시나위 청 theory, while Chinese Kongch'ŏk ch'ilcho was transformed into modern modal theory of local folk music. In summary, Chinese Chŏk ch'ilcho underwent the following process; ancient Chŏk ch'ilcho from the West - Chŏk ch'ilcho of folk music of Sui and Tang dynasties - Kongch'ŏk ch'ilcho of Ming and Ching dynasties - and modern folk music, while Korean Chŏk ch'ilcho went through the following changes; ancient Chŏk ch'ilcho from the west - Chŏk ch'ilcho of folk music of Sui and Tang dynasties - Chŏk ch'ilcho of ancient Silla period - Akhak kwebŏm ch'ilchi of early Chosŏn dynasty - and sinawi ch‘ŏng theory. 한국 중세의 적7조(笛의 7key) 이론인 악학궤범7지와 한국 근세의 민속악 시나위의 청(key) 이론을 비교하면, 모두 관악기 지공으로 지시되는 key(청) 이론이라는 점, 내용은 다르지만 key 명칭이 대부분 같다는 점에서 그 근원이 같을 것으로 보인다. 양자의 근원이 어디에 있느냐 하는 문제를 풀기 위하여, 한국 중세의 적7조인 악학궤범7지의 대금 산형과 중국 중세의 적7조인 ‘공척7조’의 적(笛) 산형에 나타나는 체계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여기에 나타나는 체계적 특성을 비교하여 같은 점과 다른 점을 가려냈는데 다른 점에서 양자의 key 명칭과 계명체계가 다르다는데 주목하였다. 양자의 key 명칭이 다른 문제를 풀기 위하여, 한국 중세의 악학궤범7지의 고형으로 보이는 한국 고대의 신라 적7조(笛七調)에 나타난 조(선법과 key의 복합개념) 명칭과 중국 중세의 공척7조의 고형으로 보이는 중국 고대의 수당대(隨唐代) 적색 조명표(笛의 調 名稱 表) 나타난 조 명칭을 비교하여 보니 공통적인 수당속악식 명칭이 많았다. 그래서 중국의 적7조는 고대(수 당대) 적색7조 - 중세(명청대) 공척7조로 전승되었고, 한국의 적7조는 중국의 적색7조 - 신라 적7조 -악학궤범7지로 전승되었다고 유추하였다. 양자의 계명체계가 다른 문제를 풀기 위하여 비교하여 보니, 한국 중세의 악학궤범7지의 계명체계는 동주음계명체계(同主音階名 Cognate Syllable Names, Cognate do)로 되었고 중국 중세의 공척7조의 계명체계는 병행계명체계(竝行階名 Parallel Syllable Names, Parallel do)로 되었는데 인도, 중동 등 서역지역의 계명체계가 한국의 악학궤범7지처럼 동주음계명체계로 된 것과 같은 점으로 봐서 중국과 한국의 적7조는 가상되는 서역 적7조에 근원을 두는 것이라고 유추하였다. 한국의 중세 악학궤범7지와 중국의 중세 공척7조가 근세에 전승된 상태를 살펴보니, 한국의 중세 악학궤범7지는 근세 시나위 청 이론으로 전승되어 많이 변동되었고, 중국의 중세 공척7조는 근세 민간속악조 이론으로 전승되어 많이 변동되었다는 것을 알았다. 결국 중국의 적7조는 고대 서역 적7조 - 수당속악식 적색7조 - 명청대 공척7조 - 근세 민간속악식 조명표로 전승되었고, 한국의 적7조는 고대 서역 적7조 - 수당속악식 적색7조 - 고대 신라 적7조 - 조선초기 악학궤범7지 - 시나위 청으로 전승되었다고 유추한 것이다. 고대서역적7조…수당속악식 적색7조…명청대 공척7조…근세 민간속악식 조명표↳고대신라적7조 …조선초기 악학궤범7지…시나위 청 생성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