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HRTF(머리저달함수)의 샘플링률 변환에 따른 입체음향 플레이어

        오재경,이동재,임철수,최범석,이원돈 호서대학교 반도체제조장비국산화연구센터 2001 반도체장비학술심포지움 Vol.2001 No.-

        본 논문에서는 3D사운드 생성 기술 중 대표적인 방법인 원음에 HRTF(머리전달함수)를 콘볼루션(convolution하는 방식으로 음상정위 모듈을 구현하였으며 음장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잔향(reverberation)효과를 추가하고 크로스토크 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트랜스오럴 필터를 추가하였다.본 논문에서는 sampling rate conversion을 사용하여 decimation과 interpolation을 수행하여 44.1KHz의 sampling rate로된 coefficient를 downsample하거나 upsample한 HRTR(머리전달함수)를 사용하여 콘볼루션(convolution)을 수행했다.본 논문에서는 3D사운드 생성과정에서 필요한 연산과정을 최소화하여 일반 PC의 computing power로도 sampling rate conversion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줄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구현하였다.

      • KCI등재

        치아 마모 환자에서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하여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로 완전구강회복을 시행한 증례

        오경철,정문규,김지환,심준성 大韓齒科補綴學會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3

        과도한 치아 마모는 교합면에 손상을 야기하고, 치수 병변, 교합 부조화, 기능장애, 심미적 문제 등을 야기할 수 있다. 과도한 치아 마모를 갖고 있는 환자들을 치료하고자 할 때 수직교합고경(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VDO)의 상실 여부와 수복을 위한 악간 공간의 적절성 여부에 기반하여 분류를 할 필요가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다수 치아들의 마모를 지닌 50세의 남성으로, 과도한 치아 마모가 있지만 수직교합고경의 상실은 없으며 수복을 위한 악간 공간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경우 수직교합고경을 증가시켜 치료를 진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수직교합고경의 증가를 필요한 범위 내에서 최소로 줄이고, 증가된 수직교합고경 상에서 안정화 기간을 거친 뒤 안정된 교합 접촉을 제공할 수 있다면, 수직고경 증가를 동반한 치료법은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남성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수직고경의 증가를 동반하여 전치부와 구치부에서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물로 수복을 하였다. 일련의 치료과정을 통하여 기능적인 면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Excessive occlusal wear results in unacceptable damage to the occluding surfaces, and can cause pulpal injury, occlusal disharmony, impaired function, and aesthetic deformity. Patients with severely worn dentition need to be classified as several categories relative to the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VDO) and the interocclusal distance for the prosthetic space. When treating patients classified as those who have excessive wear without loss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but with limited space, we could consider treating them at an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Treatments at an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may provide stability, given that the amount of its increase was minimal, and a perfected occlusion was achieved after enough stabilization period. A 50-year-old male visited th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in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with the chief complaint of worn teeth on lower anterior area. Reconstruction at an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was planned. After the compatibility of the new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had been confirmed under interim fixed restorations, definitive fixed restorations composed of full-contour monolithic zirconia prostheses were placed. This case presents that a satisfactory clinical result was achieved by restoring the worn dentition at an increas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with an improvement in esthetics and function.

      • 겨울철 홍천강의 위생학적 수질조사연구

        오덕철,김선균,주왕기,조동현,김우호,윤경민 江原大學校附設體力硏究所 1976 江原大學校附設體育科學硏究所論文集 Vol.- No.1

        The water quality of the Hong-Cheon river was investigated during the winter season. The rate of contamination of the low tide was a little more than the high tide. But all values of the analyzed-items were similar to those in the clear water.

      • 정양호 연안대의 수생 유관속식물상과 군집구조

        오경환,김철수 慶尙大學校 기초과학연구소 1986 基礎科學硏究所報 Vol.2 No.-

        호수생태계의 식생구조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경남 합천군 대양면에 소재한 정양호의 연안대에서 1986년 4월부터 9월까지 수생유관속 식물군집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사대상 지역에서 조사된 수생유관속식물은 43과 79속 90종 16변종 1품종으로서 총 107종류였으며, 생활형별로는 정수식물이 79.4%, 침수식물 9.3%, 부수식물 7.5%, 부엽식물 3.7% 등으로 정수식물이 가장 많았다. 2. chi-square test에 의한 종간상관분석 결과 34종의 식물이 5% 또는 1% 수준에서 양이나 음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사마귀풀, 세모고랭이, 물옥잠, 수염마름 등이 양의 상관빈도가 높았고 유전마름과 말즘은 음의 상관빈도가 높았다. 3. 조사지역의 식생은 개구리밥, 생이가래, 자라풀, 유전마름, 네마름, 검정말, 말즘, 새우가래, 이삭물수세미, 붕어마름 등 10종으로 구성된 개방수면 지역의 식물군과 사마귀풀, 세모고랭이, 물옥잠 등을 포함하여 23종으로 구성된 습지 식물군으로 구별되었다.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for the aquatic vascular plants were investigated in the littoral zone of Lake Jungyang, Gyeongsangnam-do, Korea from April to September, 1986. The flora was composed of 43 families, 79 genera, 90 species, 16 varieties, and 1 forma or 107 taxa. Among them, 79.4% were emergent plants, 9.3% submersed plants, 7.5% free-floating plants, and 3.7% floating-leaved plants,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34 species of the aquatic vascular plants were positively or negatively correlated each other at 5% or 1% level from the results of association analysis by chi-square test. The vegetation in the area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open-water vegetation composed of 10 species such as Spirodela polyrhiza, Salvinia natans, Hydrocharis dubia, Trapa natans, Trapa bicornis, Hydrilla verticillata, Potamogeton crispus, Potamogeton maackianus, Myriophyllum spicatum, Ceratophyllum demersum, and the marsh vegetation of 23 species including Potamogeton distinctus, Sagittaria trifolia, S. aginashi,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Polypogon fugax, Beckmannia syzigachne, Zizania latifolia, Eleocharis dulcis, E. mamillata var. cyclocarpa, Scirpus triqueter, Cyperus iria, Aneilema keisak, Monochoria korsakowi, Persicaria thunbergii, P. hastato-sagittata, P. hydropiper, Ranunculus cantoniensis, Ludwigia prostrata, Myriophyllum ussuriense, Oenanthe javanica, Nymphoides peltata, Trapella sinensis var. antennifera, and Lobelia chinensis.

      • KCI등재
      • 활성탄에 의한 멜라노이딘과 카라멜 용액의 탈색

        오경철 건국대학교 1991 대학원 학술논문집 Vol.33 No.-

        This study was concerned with decolorization of the solutions of melanoidin and caramel by activated carbon. Some decolorizat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nd the three adsorption isotherms were studied by data from experiments. In order to predict the decolorization. isotherms were changed to linear form and calculate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straight lines and coefficients of the isotherms. The results were as bellow: 1. Docolorization of the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concentration of activated carbon and initial color. 2. The effect of pH was due to the changes of color solubility. 3. The sufficient contact time was for 60 min, at 20℃. 4. The affinity of colores on activated carbon increased in order of caramel<mixture of caramel and melanoidin<melanoidin. 5.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traight lined Freundlich, Langmuir and shin-sato's adsorption isotherms were 0.999, 0.957, 0.990 respectively in the case of melanoidin. 6. The Freundlich's isotherm was most suitable for prediction of the decolorization, 7. The Shin-sato's isotherm was suitable for prediction of maximum decolorization.

      • 터빈 효율의 열역학 제2법칙적 고찰

        오국택,조경철,정평석 嶺南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1998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6 No.2

        Conventional efficiencies of the adiabatic expansion process such as isentropic efficiency and polytropic efficiency can be explained as the special cases of exergetic efficiencies replacing the reference atmospheric temperature with temperatures which can be determined in the process itself. It enables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efficiencies more general and, to define other efficiency such as minimum isentropic efficiency by specifying proper reference temperatures.

      • 영암댐의 어도를 이용하는 회유성 어류 자원의 계절적 변화 연구

        오철웅,황종서,박경양,송태곤 木浦大學校 沿岸環境硏究所 1999 沿岸環境硏究 Vol.16 No.1

        영암호 통선겸용 갑문식 어도에서 총 30회의 어류 조사 결과 줄공치, 웅어, 숭어, 빙어, 전어 등 총 25종이 출현하였다. 어도의 출현 종은 계절별로 종조성, 개체수, 생체량에 있어서 크게 변동하는 것을 보여 주었다. 월별 총출현 종수는 6월에 12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7, 8, 9월에 11종, 10월에 10종이었으며, 11월에 6종, 4월과 5월에 각각 5종으로 가장 적은 종수의 출현하였다. 종다양도지수 또한 6월에 1.048로 가장 높았으며, 11월에 0.346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출현종의 개체수는 봄철이후로 전반적인 감소 경향을 보여 주었으며, 주요 우점종의 전체 개체수는 줄공치, 웅어, 빙어, 숭어의 순으로 나타났다. 생체량도 개체수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봄철이후로 전반적인 감소 경향을 보여 주었으며, 주요 우점종에 대한 전체 비율를 보면 웅어, 줄공치, 빙어, 숭어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암호 통선겸용 갑문식 어도에서 어도 이용 생물의 종조성, 개체수 및 생체량의 뚜렷한 계절적인 변화 (temporal variation)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계절별로 다양한 종들이 그들의 생활사의 일부 기간에 어도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해 주었다. 우점종의 한종인 줄공치의 체장빈도분포 분석결과 줄공치는 두개의 연급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번째 연급군이 탁월 연급군이었다. 가입은 주로 여름철 (8월과 9월)에 일어났다. 이러한 결과는 줄공치가 치어기부터 성어기까지 어도를 이용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해 주고 있다. Investigations were made on the temporal changes in species composition and species diversity,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of fishes in the fish way constructed at Young-am Dam. During the sampling period total 25 species were observed. Of these, dominant species were Hemiramphus kurumaeus, Coilia ectenes, Mugil cephalus, and Hypomesus olidus. Number of species was the most numerous in June (12) and the least in April and May (5). Similar results were found in the species diversity index (H'), which was 1.048 in June and 0.346 in November. There were variations in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of fishes in the fish way, showing a gradual decline from summer to Autumn. This suggests that a variety of adult and larval fishes utilized in the fish way as a channel of migration in relation to their life history. Number of individuals (percentage of total number) was in the order of Hemiramphus kurumaeus (63%), Coilia ectenes (17%), Hypomesus olidus (15%), Mugil cephalus (5%) and biomass (percentage of total biomass) in the order of Coilia ectenes (51%), Hemiramphus kurumaeus (35%), Hypomesus olidus (7%), Mugil cephalus (4%). For one of the dominant species, Hemiramphus kurumaeus, length-frequency distribution showed that it consisted of two cohorts, with predominance in the 2nd cohort and recruitment occurred mainly in August and September, indicating utilization of fish way at various stages during its life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