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릉항 완공 후 주변해역의 퇴적물 조직변수와 지형의 변화

        오재경,방기영 한국지구과학회 2013 韓國地球科學會誌 Vol.34 No.2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depositional environment around Gangneung Harbor, we analyzed the surface sediment textural parameters and topography data collected five times from February 2007 to February 2009. In the study area, sediments were mainly composed of sand and its sediment size became finer at offshore sites. During summer time, however, the sand grains became coarser than winter season near Namhangjin Beach, inside the harbor, and offshore areas. On the other hand, the grain size of Anmok Beach showed a gradual finer trend with time. Compared with the previous studies conducted before the completion of Gangneung Harbor construction, the mean grain size became finer on Anmok Beach, while it was coarser on Namhangjin Beach. The bathymetric changes observed over a 2-year period showed predominant erosion in the area of 5 to 10 m water depths and deposition in 2 to 5 m water depths. The shallower area less than 2 m water depths showed an alternating trend and yet slightly more dominant erosion process. The sediment textural parameters and the distribution of erosion and deposition have changed continuously. Results imply that such changes show long-term trends as well as seasonal variations in which the trend may have been formed after the completion of Gangneung Harbor construction. 강릉항 주변 해역의 퇴적환경의 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7년 2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총 5회에 걸쳐 획득한 퇴적물의 조직변수와 측량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의 퇴적물은 주로 모래로 이루어져 있고 외해 방향으로 갈수록 입도가 세립해진다. 하계에 평균입경은 외해역, 강릉항 내측, 남항진 해빈에서 동계보다 조립하게 나타났으며, 안목 해빈에서는 점차적으로 세립해지는 양상을 나타냈다. 강릉항 완공 전의 연구 결과와 비교할 때, 강릉항 완공 후 평균입경은 안목 해빈에서 세립해졌으나, 남항진 해빈에서 조립해졌다. 2년 간의 침·퇴적 양상을 보면, 수심 5-10 m 사이 지역에서는 침식이, 수심 2-5 m 사이 지역에서는 퇴적이 우세하며, 수심이 2 m 보다 얕은 지역에서는 침식과 퇴적이 교호하는 형태로 침식이 다소 우세하게 나타났다. 연구지역의 퇴적물 조직변수와 침·퇴적 분포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계절적인 변동뿐만 아니라 장기변화 추이 양상을 보이고 있고, 강릉항 완공 후 장기변화 추이는 유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강화도 장화리 조간대의 퇴적 특성

        오재경,도종대,조용구 한국지구과학회 2006 韓國地球科學會誌 Vol.27 No.3

        In Janghwa-ri of Kanghwa Island morphological changes in four transects, 112 surface, and 2 core sediments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muddy tidal-flat environment. Sedimentary of facies can beclassified into four facies; sand, muddy sand, sandy mud, and silt. During winter, the coarse-grained sediment faciesexpanded seaward. In the subsurface part of the core sediments, poorly sorted silty sediments dominate the area.According to the Pb-210 isotope analysis, accumulation rates of the tidal flat in Jangwha-ri appear to be 5~19 m/yr. In......... seasonal variation, tidal flat, sedimentary facies, Pb-210 isotope. . : ... ... .. .... .. ... .. .. ... .. ... .. ... 4. ... .. .. ,112.. .. ... ... 2.. .. .... .. .... ... ... .... ... ..... . .. .... .. 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KCI등재

        연안 개발에 의한 동해 해빈 퇴적물의 입자 조직 특성의 변화

        오재경,정선미,조용구 한국지구과학회 2007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8 No.7

        This study is to compare differences in the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natural beaches with those of beachesnatural beaches and Anmok-Yumjun beaches for that of developed beaches. The study was performed on the foreshoresand backshores of the selected beaches, and was based on the field research during the flood period of year 2004 and thedry period of year 2005. In Naksan-Osan beaches, grain size is finer and sorting is better from northern coast to southerncoast. Furthermore, sediment undergoes changes regularly and seasonal variations are small. But in Anmok-Yumjunbeaches, grain size is coarser and sorting is worse than in Naksan-Osan beaches, showing irregular tendencies. The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two beaches would be effected by longshore currents which change along the type of coastline and have an effect on sediment. Especially, long shore currents interrupted by artificial structures in Anmok-Yumjunbeaches may cause sedimental environment changes. In Anmok-Yumjun beaches, harbor expansions will be continued, andthus more changes are expected to occur in the beaches. ......... East Coast, Beach, Depositional Environment, erosion/deposition. . : ... .... .. ... .. (.. -.. .. ). ...... ... .. (.. -.. .. ). .... .

      • KCI등재

        Improved photo-catalytic activity of single-crystalline TiO2 nanowires surrounded by Pt cube nanoparticles

        오재경,박경원,이영우 한국공업화학회 2013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Vol.19 No.4

        We report improved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single-crystalline TiO2 nanowires surrounded by Pt cubes for methanol electrooxidation under UV illumination. The TiO2–Pt consists of single-crystalline TiO2 nanowires grown along [0 0 1] direction and Pt cube nanoparticles with dominantly exposed {1 0 0}facets confirm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mages and fast Fourier transform patterns. The nanostructure electrode consisting of TiO2 nanowires and Pt cubes exhibits a remarkably improved performance for methanol electrooxidation in acid solution as compared to that of TiO2 nanowires.

      • KCI등재

        변산반도 연근해 표층 퇴적물의 특성과 퇴적환경

        오재경,최규홍,Oh, Jae-Kyung,Choi, Kyu-Hong 한국해양학회 1999 바다 Vol.4 No.2

        한반도 서해 중부 변산반도 연근해 표층 퇴적물의 퇴적작용 해저지형, 계절별 변화 등을 포함한 퇴적 환경을 연구하기 위해 여름 32 개, 겨울 29 개 표층 퇴적물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지형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해도의 수심자료를 계수화했으며 음향측심기를 이용하여 동서방향을 따라 5 개 선상의 수심단면도를 얻었다. 표층 퇴적물의 퇴적상은 크게 모래(S), 사질니(sZ), 니질사(zS)로 나뉜다. 평균입도는 2.11~7.81 ${\Phi}$의 다양한 분포를 보인다. 전체적인 왜도값이 전반적으로 양의 분포를 보여 전형적인 조석 우세 환경임을 알 수 있다. 연구지역 북서쪽의 6 개의 정점에서는 중사에 해당하고 분급도는 0.5~1.4 ${\Phi}$의 분포를 보이며 그 외의 지역은 하천과 외해로부터 유입된 세립질 퇴적물과의 혼합에 의해서 외해에서 연안으로 갈수록 니질사부터 점차 사질니까지 분포한다. 겨울철에 하천 기원의 퇴적물이 재부유 하여 남쪽으로 이동 퇴적되는 것이 불량한 분급의 원인이 될 수 있다. C-M 다이아그램에 의하면 퇴적 기작은 크게 밑짐 이동(Mode A), 점이 부유와 지속적 부유의 혼합(Mode B), 그리고 지속적 부유(Mode C)로 각각 북서부의 사질, 중앙부의 니사질, 남부의 사니질 퇴적상과 밀접한 관계를 보인다. PCA 방법에 의한 통계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표층퇴적물의 퇴적상과 퇴적 기작은 밀접한 관계를 보이며 Type II에서 III의 퇴적상으로 갈수록 평균 입도는 세립해지고 분급이 점차 불량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To study the characters of surface sediment and to describe the seasonal depositional environment as a result of sedimentation process off Byun-San Peninsula, a total 61 samples of surface sediment (32 samples in summer; 29 samples in winter) were collected and analysed. A digitized depth data from sea chart and echosounding profiles along five trans-sections wer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morphological factors. The types classified by the characters of surface sediment are type I (sand, S), type II (silty sand, zS), and type ill (sandy silt, sZ). Mean grain size varies from 2.11 to 7.81 ${\Phi}$. The positive-skewness shows the typical tide-dominated environment. The sediment type of the northwestern stations is medium sand and the sorting value is 0.5~1.4 ${\Phi}$ of well/moderately sorted. Meanwhile, other stations are composed of muddy sands and sandy muds transported from rivers and offshore. These sediment types toward inshore change gradually from silty sand to sandy silt. According to the C/M diagram, there are three major transport modes of sediment: bed load (Mode A), graded suspension (Mode B), and suspension (Mode C), correlating with north-eastern sandy area, middle part of silty-sand area, and southern sandy-silt area, respectively.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s also similar pattern of sediment types. In result, sediment texture of type III tends to be finer and more poorly-sorted than that of type II and sediment facies are correlateed with sedimentation process.

      • KTX기장의 휴먼에러 발생원인 분석 및 개선방향 도출

        오재경,김진태,김연웅,김시곤 한국철도학회 2015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5 No.10

        최근 사회 전반에 걸쳐 안전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고조되는 가운데 정부, 학계 등에서도 안전문화를 정착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안전에 대한 관심은 철도분야도 예외는 아니라 할 수 있다. 철도는 크게 운전, 시설, 관리의 3개 분야로 분류되며 이중 운전 분야는 철도 이용객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중요한 분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잦은 규정변경, 기술분야와의 커뮤니케이션 오류 등에 의하여 열차 운행 중 발생되는 사고ᆞ, 장애 조치 시 KTX기장의 휴먼에러가 발생되고 있어, 안전에 큰 위협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고사례 조사를 통하여 실제 운행 중에 발생되는 휴먼에러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