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馬山灣의 環境學的 硏究 3. 雙鞭毛藻類 群集의 動態에 대하여

        劉光日,李埈佰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85 環境科學論文集 Vol.6 No.-

        近來에 와서 馬山灣을 포함한 鎭海灣一帶는 赤潮의 多發海域으로 주목되고 있으며, 그 原因生物로써 雙鞭毛藻類의 重要性이 강조되기에 이르렀다. 본 硏究는 이 海域에서 赤潮를 誘發시키는 雙鞭毛藻類 群集의 動態를 파악하고 赤潮의 發生機構를 究明하고저 실시하였으며 1982年 1月부터 12月까지 馬山灣을 中心으로 한 4개 定點에서 每月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중 出現한 雙鞭毛藻類群集은 총 43種類로써 12屬 ,43種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크기는 20∼1,000㎛의 범위에 있다. 現存量의 季節的인 變化는 表層이 365∼671,859 cells/ℓ, 그리고 低層이 158∼23,547 cells/ℓ의 범위를 나타내어 表層과 低層이 심한 대조를 보였다. 특히 계절적 출현양상은 5月에 Gymnodinium splendens 그리고 6月에 Prorcentrum micans가 優占的으로 出現하여 이들 單一種에 의한 특징적인 大發生이 관찰되었다. The study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dinoflagellates has been carried out to clarify the redtide mechanism in the coastal zone. Monthly sampling was made at 4 selected stations in Masan Bay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to december, 1982. A total of 43 taxa, representing 12 genera, 43 species were identified during the study. Standing crops of dinoflagellate population varied extensively by months/stations: ranging from 158 to 671,859 cell/ℓ. The spring bloom was mainly composed of Gymnodinium splendens, while Prorocentrum micans in summer season. The community stability was closely related with higher value of diversity index in the surveyed area.

      • 마산만의 환경학적 연구 4. 1986∼1987년간의 해양환경 특성

        유광일,이준백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90 環境科學論文集 Vol.11 No.-

        마산만의 해양환경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1986년 4월에서 1987년 3월까지 6개 정점에서 매월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중 물리적 요인으로 수온, 투명도 등을 화학적 요인으로는 염분, 수소이온 농도, 용존산소, 영양염류(인산염-인, 아질산염-질소, 질산염-질소, 암모니아염-질소, 규산염-규산) 등을 측정하였으며, 생물적 요인으로 chlorophyll a, c, phaeopigment, carotenoid를 조사하였다. 한편 이들 환경요인과 생물군집의 상호관계를 해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ied the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its correlation between phytolplankton community and enviromental parameters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986 to march 1987 at 6 selected stations in Masan Bay. As environmental parameter water temperature, transparency, salinity, pH, dissolved oxygen, nutrients(PO₄-P, NO₂-N, NO₃-N, NH₄-N, SiO₃-Si) and plant pigments(chlorophyll a, c, phaeopigments and carotenoids), respectively. The parameters varied by seasons and stations. And then, factor analysis was adopte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phytoplankton community and environmental parameters.

      • 沿岸域에 있어서의 赤潮生物 君集의 動態에 관한 硏究

        劉光日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84 環境科學論文集 Vol.5 No.-

        우리나라 沿岸域의 富榮養化에 따라 多發現象을 나타내고 있는 赤潮의 發生機構를 구명하기 위한 基礎硏究의 일환으로 赤潮生物群集의 動態에 관한 硏究를 실시하였다. 硏究對象海域은 鎭海灣一帶를 택하였으며 1981年 8月부터 1982年 7月까지 每月 선정된 6개 정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全 調査期間을 통하여 總 29 種類(11屬, 28種및 1未同定種)의 赤潮原因生物이 出現하였으며 年間을 통하여 이들 群集의 大發生은 5月에서 10月사이에 반복되고 있으며 單一種에 의한 특징적인 發生의 類型을 보인다. 한편 現存量의 變動은 大發生의 기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기에는 현저하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또 群集의 安定度는 海域에 따라 다르나 多樣性指數는 大發生의 양상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 群集變動의 유효한 指標로 지목된다. As a part of redtide research a study on the population dynamics of redtide organisms in the coastal water h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981 to July, 1982 in the Jinhae Bay. Samples were collected monthly from 6 selected stations for biological analysis in surveyed area. As a results twenty nine taxa of redtide organisms were taken in this study. Standing crops varied extensively by months and stations, but it showed major blooming peaks from May to October. Community stability by means of diversity index indicates the eutrophication in coastal water and blooming seasons.

      • 부분 고정연을 갖는 직4각형 평판의 자유진동 해석

        유광일,김순철,이수곤 대한건축학회 200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1 No.2

        In the building structures, horizontal floor slabs can be classified as thin rectangular plates. Due to the restraint effect afforded by the edge beams, the plates(or slabs) are neither simply supported nor fixed along the edges. In other words, plates are partially fixed along the edges. The free vibration analysis for the fundamental frequencies of the partially fixed plates is performed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parameters considered in the analysis are aspect ratio, λ and fixity factors, fx and fy along the edges, respectively. The changes of the frequency are represented by the second order algebraic equation of the above mentioned parameters. The frequencies estimated by the proposed algebraic equation coincide fairly well with those obtain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The fundamental frequency of a slab can be determined through an on-site vibration test. Once the frequency is known, the fixity factors, fx and fy can estimated by using the proposed algebraic equation. The estimated fixity factors will help the structural engineers better assesment of the bearing capacity and serviceability of the slab.

      • 식물플랑크톤의 크기분포에 따른 군집구조 해석

        유광일,김진규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89 環境科學論文集 Vol.10 No.-

        연안역에서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를 규명하고자 1976년 7월부터 1982년 5월까지 매기 수월에 마산만을 중심으로한 6개 정점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크기 분포에 따른 현존량과 탄소량을 추산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플랑크톤 군집 구조와 세포크기 분포에 따른 현존량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중 출현한 총 115종류의 부유성 규조류 중에서 출현 빈도와 현존량의 조성비 등에 의하여 25종의 우점종을 선정하고, 이들을 세포의 크기에 따라 6개의 크기 등급으로 나눈 결과, 현존량은 전정점에서 등급 1(<20㎛)에 의해 절대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가장 우점적으로 나타나는 종은 Skeletonema costatum 이었다. 한편 탄소량은 등급 1, 3(40∼60㎛)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데, 이는 등급 3과 4에 속하는 Coscinodiscus radiatus와 Ditylum brightwellii의 세포당 탄소량이 많기 때문이다 정점별로는 정점 1과 2에서 높은 현존량과 탄소량을 나타내며, 정점 4에서는 비교적 낮고 안정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A study on the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to clarify the func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coastal zone. The data were collected bimonthly from the selected six stations in Masan Bay during period from July 1976 to May 1982. In the present study the size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in terms of cell number and carbon content was analyzed. 25 dominant species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115 taxa of planktonic diatoms. And they were divided into six size classes according to the lengh of apical axis of valve. The size class 1(<20㎛)in which the main component is Skeletonema costatum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standing crops, and the class 1,3(40∼60㎛)and 4(60∼80㎛)did so in cell carbon contents. The class 3 and 4 consisted of the larger species such as Conscinodiscus radiatus and Ditylum brightwelli. At the station 1 and 2 the standing crops and carbon contents were relatively high, while low at the station 4.

      • 적조의 원인생물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 Genus Prorocentrum

        劉光日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82 環境科學論文集 Vol.3 No.-

        적조의 원인생물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를 위하여 1980년 5월부터 11월까지 격월로 적조의 다발해역인 진해만 일대의 6개 정점에서 시료를 채집하였다. 그 결과로 적조의 원인생물인 식물성 플랑크톤 20 종류가 출현하였다. 이들 중 최우점종인 Prorocentrum micans 을 포함하는 Prorcentrum속에 대한 분류학적인 기재와 아울러 분포를 논의하였다.이 속의 3종 중 Prorocentrum minimum과 P.triestinum 은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For the systematic study on the causative organisms of red tide the samples were collected bimonthly from 6 stations in the Jinhae Bay during the period from May to November, 1980. A total of 20 taxa of dinoflagellate were collected during the course of study. Three species belonging to Genus Prorocentrum which is most representative genus of the area, P. micans, P. minimum and P. triestinum, were identified in the Jinhae Bay. Among these P. minimum and P.triestinum are new record for Korean waters.

      • 광주지역 황사기간중의 대기 건성침적량의 특성에 관한 연구

        류일광,이치영,강영식,노기환,김관천,유경석,강동구 광주보건대학 2002 論文集 Vol.27 No.-

        The deposition amounts of Ferric that are naturally originated elements from earth crust. The rate was 14,993㎎/㎡ day at the rang yellow sand season, which was 20 times higher than at the ordinary times. Artifical earth crust element Cr were lower than the amount yellow sand an increase. Naturally originated elements origination, movment channel and mutual be close the correlations of elements each other and were lower than in artificially originated elements. Deposition amount of chang were higher before yellow sand, lower before yellow sand of origination, time were inverse proportion.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liquefactive metals high, compare heavy matal and numerous of deposition amount. A1so gain liquefactive matal were rescattering numerous on account of little mass deduction.

      • KCI등재후보

        간세포암종에서 간절제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

        김완욱,이광웅,최성호,허진석,김용일,김성주,이대성,이환효,백승운,고광철,이준혁,최문석,유병철,조재원 대한간학회 2004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0 No.1

        목적: 간세포암종은 우리나라에서 간절제의 가장 흔한 적응증이다. 그러나 간경변을 동반한 경우가 많아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이 높아 수술 전후 처치에 주의를 요한다. 최근에는 외과적 술기의 발전과 수술 전 및 수술 후 처치의 향상으로 이환율과 사망률이 감소하고 있으나 다른 수술에 비해 여전히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세포암종의 수술 중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4년 1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간세포암종으로 진단받고, 간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5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51.6세였고, 남녀 비는 4.01 : 1이었다. 수술 전 HBsAg (+)는 76.0%, 수술 전, anti-HCV (+)는 8.2%였으며 종양의 크기는 평균 5.19 ㎝이었다. 환자 중 26.2%에서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의 병력이 있었으며 8.7%에서 수술 전 경피적 간문맥색전술을 시행받았다. 시행받은 수술은 종양절제술 55예, 분절절제술 127예, 구역절제술 77예, 반간절제술 214예, 동반 혹은 확대 반간절제술 37예였다. 위험 인자로 나이, 성별과 각종 임상 지표(간기능 수치, 프로트롬빈시간, 혈청 알부민, 혈당, 알파태아단백, ICG 검사,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 경피적 간문맥색전술 시행 여부) 등의 수술 전 인자, 수술의 종류, 수술 시간, 수혈량 등의 수술 인자, 그리고 종양의 크기, 종양의 수, 간경변 여부 등의 병리조직학적 인자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는 대상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수술 사망은 수술 후 30일 이내에 사망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입원 사망은 수술 후 합병증으로 퇴원하지 못하고 사망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단변량 분석은 student t test와 x² test를 이용하였으며, 다변량 분석은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결과: 수술 후 합병증은 총 56예(10.5%)에서 나타났으며, 조절되지 않는 복수 19예, 호흡기 합병증 10예, 상처 합병증 8예, 간기능 이상으로 인한 고빌리루빈혈증 6예, 출혈 5예, 고질소혈증 4예 등이었다. 수술 사망은 5예(0.98%), 입원 사망은 수술 사망을 포함하여 6예(1.1%)였다. 이중 간부전과 연관된 사망이 5예였고, 간부전과 동반된 흡인성 폐렴으로 사망한 예가 1예 있었다. 이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다변량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결과, 수술 중 수혈량(P=0.002), 프로트롬빈시간(P=0.038), 혈당 수치(P=0.002)가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고, 다변량 분석 상 수술 후 사망률과 관련된 인자로는 나이(P=0.028), 혈당 수치(P=0.011), 수술 전 경도자 동맥색전술 시행 여부(P=0.046) 등이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위의 위험 인자 분석을 통해 간세포암종에서 간절제시에 수술 후 이환율을 중이기 위해 가능한한 수술 중 출혈을 최소화하면서 불필요한 수혈을 피하고, 당뇨 환자에서는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고령 환자에서는 사망률이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수술 전후 처치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수술전 경도자 동맥색전술 시행 여부가 수술 후 사망률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Aims: Recently, mortality following surgical resection for hepatocelluar carcinoma has been reduced significantly. Morbidity, however, is still significant. This study evaluated the risk factors leading to morbidity and mortality. Methods: 510 patients who had a hepatic resection form Nov. 1994 to Dec. 2001 were included. The patient demographics showed a mean age of 51.6 years with a male to female ratio of 4:1. The HBsAg was positive in 76.0% and the anti-HCV was positive in 8.2%. The mean tumor size was 5.2 cm, 26.2% of patients had preoperative transcatheter arterial embolization (TAE), and 8.7% had preoperative percutaneous transhepatic portal embolization (PTPE). Limited resection was performed in 259 cases (50.7%), and major resection was conducted in 251 cases (49.1%). Risk factors included age, sex, laboratory findings (liver function test, prothrombin time, albumin, glucose, α-fetoprotein, ICG test), preoperative TAE, PTPE, operation type, operation time, intraoperative transfusion, tumor size, and cirrhosis. Results: The morbidity was 10.5% (54 cases). Operative death occurred in 5 cases (1.0%). Hospital death, including operative death, occurred in 6 cases (1.2%). Five cases were associated with hepatic failure and 1 case was associated with aspiration pneumonia accompanying hepatic failure. Transfusion (P=0.002), glucose (P=0.002), and prothrombin time (P=0.038)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orbidity. Age (P=0.028), glucose (P=0.011), and TAE (P=0.046)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ortality. Conclusions: Intraoperative transfusion, which is mainly related to intraoperative bleeding, should be reduced if possible to decrease morbidity. Diabetes mellitus patients and the elderly need careful perioperative management.(Korean J Hepatol 2004;10:51-6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