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각장애인의 유산소성 운동이 체력에 미치는 영향

        박재성,김주혁,황영성,김도호,이수판,한성유,허정석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4

        This research fulfilled the program of aerobic exercise for living during 6 months with seven men and women who are disabled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The program consists or gym, swimming, aerobic and running, During 6 months, all exercises were executed 1 hours, twice a week for 6 weeks. Each exercise had self-servant and was carried out 60 minutes with teaching method of special directors in every weep Physique by height, weight, condition of exercise ability by the capacity of the lungs of the heart and lung endurance and intake of the maximum oxygen, muscular strength of stomach, grasping power, pliability by forward bending with the upper part of the body, instantaneous force of muscle in a sudden jump, muscular endurance by put-up and sit-up, agility by side-step and response of the whole body, and balance by one leg standing while closing eyes as using Helmas (sewoo systems korea) were measured. The Results, 1.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or both men and women in the capacity of the lungs and the heart and lung endurance, However only women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ake of the maximum oxygen. 2. Both men and women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uscular strength of stomach and grasping power to measure muscular strength. 3. Both men and women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ward bending with the upper part or the body to measure flexibility. 4. Sudden jump to measure instantaneous force of muscle, sit-up, and push-up to measure muscular endurance show that both men and women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p<.01) 5. Side-step and response of the whole body to measure agility show that both men and women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6. One leg standing with closing eyes to measure balance show that both men and women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후보

        정상면역을 가진 환자에서 발생한 복부대동맥의 진균 감염성동맥류 1예

        이호영,김태형,추은주,전민혁,이은정,정은정,전성란,박의주,염욱,장원호,황정화,김동훈,김동원 대한감염학회 2008 감염과 화학요법 Vol.40 No.3

        감염성동맥류는 드물지만, 치명적인 질환이다. 진성 진균성 감염성동맥류는 더 드물게 발생한다. 진균감염은 사망률과 이환율이 매우 높다. 그러나 증상이 비특이적이고 일반적인 진단방법으로는 민감하게 진단이 되지 않기 때문에 종종 진단이 어렵다. 저자들은 면역이 정상이고 다른 위험인자가 없는 환자에서 복부대동맥에 발생한 진균성 감염성동맥류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한다. 컴퓨터 단층촬영과 혈관 수술에 기초하여 진단하였으며, 수술 후 조직배양에서 균이 동정되지는 않았으나 절제한 혈관조직에서 칸디다 감염을 시사하는 발아가 있는 효모균이 관찰되었다. 한국에서 1988년에서 2007년까지 복부에 발생한 감염성동맥류 17증례를 고찰하였을 때 진성 진균성 감염성동맥류는 없었으며, 저자들이 경험한 것이 복부에서 발생한 진균감염성 동맥류로는 첫 증례이다. Infected aneurysms are uncommon, frequently fatal lesions. "True" fungus-infected aneurysms are even rarer. Fungal infections have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However, diagnosis is frequently difficult, since the symptoms are non-specific and standard diagnostic procedures are often insensitive. We experienced a patient with persistent fever and negative blood cultures. The patient was immunocompetent and had no risk factors, and was diagnosed with a fungus-infected aneurysm based on computed tomography and vascular surgery. The vascular tissue revealed some narrow-based budding yeast within the thrombus, suggesting Candida infection. Seventeen cases of infected aneurysm of the abdomen were reported in Korea from 1988 to 2007, although none were "true" fungus-infected aneurysms, making this the first fungus-infected aneurysm of the abdomen in Korea. Prompt diagnostic procedures and aggressive treatment modalities are necessary for patients with occult infection and negative blood cultures, regardless of their immunocompetence, because of the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of this condition.

      • KCI등재

        중학교 학습부진아의 수학 기피성향 치유방안

        박혜숙,박기양,김영국,박규홍,박윤범,권혁천,박노경,백은정,황정연 한국수학교육학회 2004 수학교육 Vol.43 No.2

        In this paper, we verified the effect and appropriateness of the scheme to cure the math. disliking disposition which is the cause of underachievement in learning. We choose 3 schools as the subject of experiment for this research. Each experiment experiment class consists of 27~30 students(underachievers) whose final test results of 1st school year in the middle school are 30~60 points. In this case, we also select some middle level students whose test results are more than 60 points for the normal experimental condition. For this research, we developed the suitable test materials to cure the mathematics disliking disposition of underachievers. We applied those test materials to the experiment schools during 2.5 months and we analysed the variation of disliking disposition, the variation of math. dislike students' number and the cure rate of the math. disliking disposition. Fro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al study, we find that the factors of teacher and math recognition environment have only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math. disliking disposition between experiment class and comparison class under the 5% significance level in one middle school. We understand that this results caused by teachers' careful advice and guidance in that middle school. We also find that the number of student who dislike mathematics decreased in two middle schools. Furthermore 50% of math. disliking dispositions are cured for 9 disliking factors in the lower grade group(the group of underachievers) and as a whole, we can see that 50% of cure rate for the 7 factors of math. disliking in two middle schools. So we can understand that the experiment of our research was performed successfully in two middle schools. In this research, we find out that the scheme to cure the disliking dispositions for the factors of math. disliking depends on the factors of teacher who take charge of cure. So teachers must take interest in and must have careful concem to students and their math. disliking.

      • KCI등재

        2부 헤겔논문 : 듀이와 헤겔의 정신철학 -「엔치클로페디」의 "주관정신"중심으로-

        서정혁 ( Jeong Hyok Seo ) 한국헤겔학회 2013 헤겔연구 Vol.0 No.34

        지금까지의 해석과는 달리 듀이는 1890년대 이후에도 헤겔 철학과의 관계를 단절하지 않았으며, 일관되고 지속적으로 헤겔 철학에 친밀감을 표시했다. 최근 새롭게 추가된 듀이의 「헤겔의 정신철학 강의」(1897)는 이러한 주장을 정당화하는 데 설득력 높은 근거를 제시해 준다. 이와 관련하여 「헤겔의 정신철학 강의」(1897) 중 헤겔의 『엔치클로페디』의 ‘주관정신’ 부분을 중심으로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듀이의 다윈주의 수용은 헤겔 철학과의 단절로 규정될 수 없다. 오히려 ‘인간학’에서 듀이의 심신이원론 비판과 인과관계에 관한 논의는 그의 철학적 재구성에 헤겔 철학이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둘째, ‘정신현상학’의 논의에 의하면 칸트에 대한 듀이의 비판은 의식을 대상과 분리된 것으로 보지 않고 주체와 객체의 통합으로 보는 헤겔적인 관점에 기반해 있다. 헤겔처럼 듀이는 자아를 ‘경험 자체의 실재적 통일’로 간주함으로써 그와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다. 셋째, ‘심리학’에서 듀이는 지성과 의지, 이론과 실천을 실행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하면서 헤겔 철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헤겔을 ‘위대한 실행주의자’로 간주한다. 이와 같은 논의를 통해 제임스의 『심리학 원리』의 영향으로 듀이가 헤겔 철학과 단절해버렸다는 종래의 해석이 일면적이며, 듀이의 제임스 철학의 수용이 헤겔 철학의 배제와 동일시될 필요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듀이와 헤겔의 관계를 이렇게 재조명함으로써 실용주의와 독일관념론 사이에 좀더 활발한 소통의 가능성이 모색될 수 있다. Unlike previous interpretations Dewey didn`t cut off the relationship with Hegel`s thoughts after 1890s but he had the intimacy with Hegel`s philosophy consistently and continuously. Many persuasive reasons to justify this claim are proposed by "Hegel`s Philosophy of Spirit"(1897) that is added to Dewey`s lectures newly. Dewey`s lecture on the part "Der subjektive Geist" in Enzyklopadie can be reviewed like this; First, Dewey`s acceptance of Darwinism should not be regarded as his disconnection from Hegel`s philosophy. Rather Dewey` discussion on dualism between mind and body and causality in "Anthropology" shows that Hegel`s philosoph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wey`s reconstruction of philosophy. Second, Dewey` criticism of Kant in "Phenomenology of Spirit" is based on such a standpoint of Hegel who didn`t separate consciousness from object and regarded consciousness as the unity of subject and object. Dewey agrees with Hegel`s thoughts by regarding ``the self`` as ``the real unity of experience itself``. Finally, in "Psychology" Dewey accepts Hegel`s philosophy actively by understanding intelligence and will, theory and practice unitedly and he calls Hegel ``a great actualist``. Through this discussion, it is sure that previous interpretations is narrow-minded which claimed that Dewey cut off the relationship with Hegel`s thoughts after 1890s due to the influence of W. James`s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and that Dewey`s acceptance of James`s philosophy should not be regarded as his disconnection from Hegel`s philosophy. Furthermore, we can try to find the possibility of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Pragmatism and German Idealism by reinterpr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wey and Hege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괴테의 시문학에 대한 헤겔의 철학적 반응

        서정혁(Jeong-Hyok Seo) 한국철학회 2013 철학 Vol.0 No.114

        괴테와 헤겔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은 지금까지 주로 『파우스트』와 『정신현상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들은 『호토판 미학』이 『파우스트』를 ‘절대적인 철학적 비극’이라고 평가하고 있는 점에서도 우선 타당하게 보일 수 있다. 그러나, 헤겔이 『정신현상학』에서 괴테의 『파우스트』를 언급하고 있는 곳은 ‘이성’ 장의 ‘쾌락과 필연성’을 논하는 단 한 곳뿐으로, 그것도 비판적인 맥락에서다. 그리고, 『호토판 미학』을 제외하고 다른 ‘미학강의’에서 헤겔은 어느 곳에서도 『파우스트』를 높게 평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호토가 편집간행한 『호토판 미학』에서만 『파우스트』에 대해 부여된 ‘절대적인 철학적 비극’이라는 규정이, 헤겔 자신의 의도를 제대로 반영한 것인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 제기는 괴테의 시문학에 대한 헤겔의 철학적 관심이 『파우스트』를 넘어서 『서동시집』에까지 폭넓게 미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근거 없는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헤겔은 ‘미학강의’에서 괴테의 『서동시집』을 ‘최고의 것’이자 ‘가장 훌륭한 것’이라고 평가한다. 이러한 평가는 괴테가 『서동시집』을 통해 의도한 ‘세계문학’의 의미와 방향에 대해 헤겔이 공감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헤겔은 괴테의 『서동시집』에 동서양의 문학과 문화, 더 나아가 인류의 보편적 상호 작용의 계기가 담겨 있다고 보고, 이 계기가 서양 근대의 낭만주의적 예술형식을 넘어서는 또 다른 예술의 시작으로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괴테의 시문학에 대한 헤겔의 철학적 반응을 『파우스트』에만 제한하지 않고 『서동시집』에까지 확대할 경우에만, 우리는 괴테와 더불어 헤겔이 ‘미학강의’ 전반에서 견지하려 했던 시선의 폭과 깊이를 놓치지 않을 수 있다. Until now, many studies on the relationship of Goethe and Hegel have been mostly done focused on Faust and Phenomenology of Spirit. These studies seem to be reasonable at the first view, because Hegel regarded Faust as ‘absolute philosophical tragedy’ in his Lectures on Aesthetics(ed. by Hotho). But Hegel mentioned Faust only once in negative context of Phenomenology of Spirit. In other Lectures on Aesthetics Hegel never appreciated Faust highly like Lectures on Aesthetics(ed. by Hotho). For these reasons, it must be questioned if this definition ‘absolute philosophical tragedy’ really reflects Hegel"s own intention. This question has its justification in that Hegel had a broad interest in Goethe"s works, especially in West-Ostlicher Divan. In other Lectures on Aesthetics Hegel regarded West-Ostlicher Divan as ‘the highest and best’ and ‘the most wonderful work’. This appreciation was possible because Hegel had approval with Goethe who was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world literature in West-Ostlicher Divan. Hegel believed that there were important elements like interaction between eastern - and western literature, culture, and furthermore humanity"s universal interaction in West-Ostlicher Divan. He thought that these elements can make a new beginning of art that transcends the romantic form of art in western modern world. Therefore, when we don"t restrict Hegel"s philosophical reaction to Goethe"s literature within Faust but expand it into West-Ostlicher Divan, we can understand an important standpoint very well that Hegel shared with Goethe in Lectures on Aesthetics.

      • KCI등재

        대학의 교양교육과 글쓰기 교육

        서정혁 ( Jeong Hyok Seo ) 한국독서학회 2006 독서연구 Vol.0 No.15

        시대적 변화에 맞게 많은 대학들이 글쓰기 관련 교과의 도입필요성을 절감하고 교양필수로 지정하고 있다. 그런데, 각 대학들이 글쓰기 관련 교과를 적극적으로 도입한 목적은 유사하지만, 그 시행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차이점들이 있다. 본 논문은 각 대학들이 글쓰기관련 교과를 교양필수로 도입한 배경을 교양교육의 본래적 의미를 되새기며 검토하고, 아울러 대학의 글쓰기 교과 시행현황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적 검토에서 드러나는 글쓰기교과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글쓰기 교과의 강의시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둘째, 전임 교원의 부재로 교육의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셋째, 다양한 전공의 교수자 부족으로 학제간 교양교육의 특성을 상실할 우려가 있다. Many universities establish various curriculums concerning writing as a fundamental and necessary liberal arts course. Ends of these curriculums are same, b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practice. This essay inquires into the essential sense of liberal arts and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 of these curriculums. The result is to this following problem: the insufficiency of lecturetime, few of full-time professor who majors in diverse fields.

      • KCI등재

        개별 논문 : 상호주관적 읽기교육의 철학적 기초

        서정혁 ( Jeong Hyok Seo ) 한국독서학회 2007 독서연구 Vol.0 No.18

        정보화시대에 읽기는 더 이상 수동적인 지식 수용이나 문자해독에 제한되지 않고, 오히려 정치, 사회, 문화를 포괄하는 총체적 의사소통행위로 규정된다. 근대적인 주객 패러다임은 이러한 시대 변화에 적절치 않으며, 읽기 교육에서도‘상호주관적 패러다임’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철학적으로 상호주관적 패러다임은 도구적·전략적 행위와 대비되는 의사소통적 행위를 가능케 한다. 전략적이고 성취지향적인 목적 합리적 행위가 아니라, 상호 이해를 지향하는 의사소통행위는 읽기 교육의 질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왜냐하면 상호주관성에 기초한 읽기 교육은 단순한 전통적 문식성이나 지식 전달에 중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교사와 학생 간의 비판적 담론과정에 중점을 두기 때문이다. 비판적 담론은 발화수반적 행위에 기초하고, 발화수반적 행위는 상호이해를 전제한다. 따라서 주객 패러다임으로부터 상호주관적 패러다임으로의 철학적 변화에 기초하여 읽기 교육이 변화된다면, 우리 사회도 좀더 개방적이며 성숙한 민주주의의 모습을 갖추게 될 것이다. In the information age reading is no longer a passive reception of knowledges and literacy. On the contrary reading is a total communication including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affairs. Modern ``subject-object paradigm`` is not adequate to such a change of age. Teaching reading needs transformation into ``intersubjectivity paradigm``. From a philosophical point of view ``intersubjectivity paradigm`` makes it possible that communicative act is contrary to instrumental and strategical act. Not strategical and achievement-oriented act but communicative and mutual-understanding-oriented act can make essential changes of teaching reading. Because the teaching reading that ist on the basis of ``intersubjectivity paradigm`` is not focused on literacy and instruction of knowledges, but on critical discours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Critical discourse grounds upon ``illocutionary act``, and ``illocutionary act`` sets the possibility of ``mutual-understanding`` forth as a premise. Therefore if teaching reading could be changeable according to philosophical transformation from ``subject-object paradigm`` into ``intersubjectivity paradigm``, it will be possible that our society is more open and democratic than now.

      • KCI우수등재

        ‘절대 정신’으로서 예술 -헤겔 『철학백과』의 556절부터 563절까지 분석을 중심으로-

        서정혁(Jeong-Hyok Seo) 한국철학회 2020 철학 Vol.- No.145

        헤겔의 『철학백과』는 세 번(1817년, 1827년, 1830년)에 걸쳐 발간되었다. ‘초판과 재판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재판과 삼판 사이의 그것’보다 크기 때문에,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주로 후자보다 전자에 주목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해 왔다. 이 점은 『철학백과』에서 ‘절대 정신’의 첫 번째 계기인 ‘예술’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철학백과』의 ‘예술’ 부분의 내용을 검토해 보면, 27년 재판과 30년 삼판 사이의 변화에서 예술에 대한 헤겔의 주장과 관련해 매우 중요한 결정적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징, 고전, 낭만이라는 세 가지 예술형식들은 30년 삼판에서야 비로소 명시적으로 서술된다. 이점은 헤겔이 자신의 ‘미학 강의’의 관점을 『철학백과』의 30년 삼판에서 절대 정신인 예술을 서술하는데 분명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헤겔은 그의 체계에서 예술의 위상을 좀 더 확장하고 구체화 한다. 둘째, 27년 재판에서와 달리 30년 삼판에서 예술은 더이상 고전적 예술중심으로 서술되지 않는다. 헤겔은 27년 재판에서와 달리 30년 삼판에서 낭만적 예술과의 비교를 의식하면서 고전적 예술의 의미와 한계를 좀 더 분명히 서술한다. 이러한 서술을 통해 헤겔은 자신의 철학 체계에서 예술이 차지하는 위상을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수정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Hegel’s Encyclopedia was published three times(1817, 1827, 1830). Since the ‘time gap between the first edition and the second edition’ is greater than the ‘it between the second edition and the third edition’, researchers have so far conducted comparative analyses focusing primarily on the former rather than the latter. The same applies to ‘art’, which is the first moment of the ‘absolute spirit’ in Encyclopedia. However, looking at the contents of the ‘art’ section in Encyclopedia, one can find very important decisive differences in relation to Hegel’s claim to art in the changes between the second edition and the third edition. The main content is as follows. First, the three art forms of symbolic, classic and romantic are explicitly described only in the third edition, not in the second edition. This shows that Hegel clearly considers his standpoint of ‘Aesthetic Lectures’ in describing art as the absolute spirit in the third edition of Encyclopedia. Through this, Hegel further expands and embodies the status of art in his system, which is related to the second aspect. Second, Hegel no longer focuses on classical art in the third edition. Unlike in the second edition, Hegel describe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classical art more clearly, conscious of its comparison with romantic art. What is revealed by the above discussion is that Hegel was constantly concerned about the actuality of art in his philosophical system.

      • KCI우수등재

        헤겔의 『법철학』에서 ‘자살’의 문제

        서정혁(Jeong-Hyok Seo) 한국철학회 2007 철학 Vol.92 No.-

        헤겔은 『법철학』에서 자살을 권리(법)의 문제로 보고, 추상법 중 ‘소유’ 부분(§47)에서 한편으로는 여타의 동물과는 다른 인간만의 특이성을 강조하면서, 인간이 자신의 생명을 포기할 수 있는 것은 인간만의 고유한 권리라고 주장하며 자살의 정당성을 논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헤겔은 소유의 마지막 부분인 ‘소유의 양도 또는 포기(Entaußerung)’라는 부분(§70)에서 ‘인격’을 양도될 수 없는 기본권으로 주장하면서, ‘외면적인 활동의 포괄적 총체’인 ‘생명’은 결코 인격에 대립하는 외면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떤 인간도 삶을 포기할 수 있는 권리를 지니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이상과 같은 헤겔의 주장들은 우선 형식적으로 서로 상충되며 이율배반을 초래한다. 이 자살의 이율배반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자살 문제가 헤겔의 『법철학』에서 지니는 의미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관점에서 검토한다. 첫째, 헤겔의 『법철학』내에서 위와 같은 자살의 이율배반이 어떻게 헤겔 자신의 입장에서 해명 가능한지를 살펴 본다. 그 다음 『법철학』내에서 자살이 인륜적으로 정당화 될 수 없는 까닭을 살펴보고, 자살과 관련된 생명 문제가 헤겔의 『법철학』의 핵심 구조 및 주제를 관통하고 있다는 점을 밝힌다. 이와 같은 검토를 통해, 우리는 헤겔의 『법철학』에서 자살과 생명의 문제가 주관적인 관점을 초월하여 인륜적인 맥락에서 지니는 의미를 알 수 있다. In the Philosophy of Right(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oder Naturrecht und Staatswissenschaft im Grundrisse) Hegel considers suicide as a problem of right(Recht). In §47 Hegel justifies suicide because he thinks that human beings have the right of their own lives and are different from other beings like animals. But on the other hand in §70 he claims that nobody has the right to put oneself to death because life is not external thing to person. These two paragraphs are opposed each other and lead to an antinomy. This essay deals with this suicide-antinomy in two points. First, it inquires into how this antinomy is resolved in the Philosophy of Right. In the second, it investigates why suicide may be not justified ethically(sittlich) in the Philosophy of Right. In the end we may know that this suicide-problem touches the core of the Philosophy of Right in relation to life-problem and that the ethical meaning of life is above subjektive stand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