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푸른길 공원의 대기 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민경우,이경석,박옥현,윤관주,김도술,박세일,정원삼,이대행,조영관,Min, Kyoung-Woo,Lee, Kyoung-Soek,Park, Ok-Hyun,Yoon, Kwan-Ju,Kim, Do-Sool,Park, Se-Il,Jeung, Won-Sam,Lee, Dae-Hang,Cho, Young-Gwan 한국환경보건학회 2015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1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air quality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in a greenway park. Methods: We measured meteorological and health related factors, including noise, particulate matter ($PM_{10}$) and selected gaseous air pollutants at three locations in a greenway park and on a general roadside as comparison. The measurements were repeated four times from April to October 2014. Results: The average air temperature in the greenway park was $20.7^{\circ}C$ which was $1-2^{\circ}C$ lower than on the general roadside. The average $PM_{10}$ concentration in the greenway park was $85.0{\mu}g/m^3$, a level 2-3 times lower than that at the roadside. The noise level at the greenway site was 4.4 dB(A)- 23.0 dB(A) lower than at the roadside. The average CO, $CO_2$, $SO_2$ and NOx concentrations in the greenway park were lower than at the roadside. The average phytoncide and anions concentrations in the greenway park were higher than at the roadside. Conclusions: The urban forest of the greenway park may have some impact on air quality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 서초동(서울시 서초구)의 거미상

        김주필(Joo Pil Kim),정혜리(Hye ri Jeong),김대희(Dae Hee Kim),박동우(Dong Woo Park),서재웅(Jae Woong Seo),이현우(Hyun woo Lee) 한국거미연구소 2017 한국거미 Vol.33 No.1

        2016년 3월 31일부터 7월 31일까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서울고등학교 교정 일대를 서울고등학교 환경생물부 부원들이 채집 조사한 결과 20과 43속 53종의 거미가 조사 연구되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From March 31st to July 31st in 2016, members of an environmental biology club at Seoul High School located in Seocho-gu, Seoul, Dae-Hee Kim, Dong-Woo Park, Jae-Woong Seo and Hyun-woo Lee, collected 20 families 43 genera 53 species of spiders and report the result of the study here.

      •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의 수학에 대한 인식 태도 연구

        박순길,강지우,고대용,김다희,임언미 大邱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育硏究所 2009 學校敎育硏究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study on awareness attitud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52 W elementary school of Gwang Ju, 105 H elementary school of Gyeong Ju making up 257 in total.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were done to draw out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different study purpo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wareness attitudes of mathematics education was non-significant compared to those in the male-female group. Second, it can be said that the awareness attitude of Gwang Ju toward the elementary students was more positive compared to the Gyeong Ju elementary students. Third, it can be said that the awareness attitude of mathematics attend a lecture group toward the elementary students was more positive compared to the non-mathematics attend a lecture group.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태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W초등학교 3학년 152명과 경주시 H초등학교 3학년 105명이며, 연구결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와 t검정을 하였으며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인식태도에서 남녀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나 흥미에서 남녀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지역별로 대도시에 사는 초등학교 3학생들이 중소도시에 사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보다 인지적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수학학원에 다니고 있거나 다닌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학원에 다니지 않은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보다 수학에 대한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전체인식태도에서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 만성 B형 간질환에서 라미부딘 초치료 후의 재발 양상과 재치료 효과

        박종호,박능화,신정우,방성조,김대현,주광로,김도하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

        목적: 만성 B형 간염 환자에 라미부딘은 효과적이지만 서양의 보고와 달리 국내에서는 치료 종료 후 재발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라미부딘 치료 종료 후의 재발 양상이나 재발군에서 라미부딘의 재투여에 대한 치료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치료 종료 후 재발 양상과 재발군에서 라미부딘 재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만성 B형 간질환으로 진단받고 라미부딘을 치료받은 환자 중 치료에 반응한 후 투약을 중지한 121명 중에서 재발한 42명(만성 간염 36예, 대상성 간경변 6예)을 대상으로 하였다. 라미부딘을 1일 100 ㎎씩 6개월(평균 16개월, 범위: 6-35개월) 이상 투여하였다. 평균 연령은 39.7세였고 남녀 비는 35:7이었다. 재치료 전 혈청 ALT 평균치는 437 IU/L, AST 평균치는 227 IU/L, HBV DNA 평균치는 519 pg/mL였다. 치료반응군에서는 치료 반응이 있은 뒤 추가로 라미부딘을 투여하여 적어도 2개월 이상 반응이 유지된 후 투약을 중지하고 재발 유무를 추적 관찰하였다. 겨로가: HBeAg이 혈청전환된 192예 중 121예(63%)에서 투여를 중단하였으며 평균 추적 기간은 8.9개월(범위: 1-40개월)이었다. 66명(54.5%)에서 재발하였으며 평균 재발 시기는 5.7개월(범위: 1-33개월)이었다. 50예(75.8%)에서는 HBeAg 양성 만성 간질환으로, 16예(24.2%)는 HBeAg 음성 만성 간질환으로 재발하였다. 누적 재발률은 1개월 후 6%, 3개월 후 27%, 6개월 후 47%, 12개월 후 60%, 18개월 후 64%, 24개월 후 66%이었다. 재발과 관련된 예측 인자로는 연령, 치료 전 정량적 HBeAg치, HBV DNA치가 의미 있는 인자였으며 30세 이하의 25명 중 5명만이 재발하였다. 재발한 66명 중에서 혈청 ALT치가 지속으로 상승된 42예(64%)에서 라미부딘을 재투여 하였다. 31예(73.8%)에서 반응이 있었으며 누적 치료 반응률은 6개월 62%, 9개월 69%, 12개월 72%였다. Breakthrough는 6예(14.3%)에서 일어났으며 전부 HBeAg 양성 만성 간질환 환자였다. 적어도 24개월 이상 치료반응이 유지된 21예에서 투여를 중지하였으며 이 중 11예(52.4%)에서 재발하였다. 재치료한 HBeAg 양성군과 음성군 간에 치료반응률, breakthrough률, 재발률 등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라미부딘 재투여의 치료 반응 예측 인자로는 라미부딘 투여기간(p=0.003)이 유의하였으며 breakthrough와 관련된 인자는 없었다. 결론: 라미부딘 초치료 후 재발률은 높았으며 재발 형태는 HBeAg 양성뿐만 아니라 HBeAg 음성 만성 B형 간질환의 형태로도 나타났다. 라미부딘 재치료는 초치료보다는 높은 치료 반응률을 보였으나 breakthrough률과 재발률은 초치료와 비슷하였다. Background/Aims: The post-treatment relapse patterns and efficacy of lamivudine re-treatment for relapsed patients have not been clarified.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relapse patterns after discontinuing therapy and the effects of lamivudine re-treatment for relapsed patients after HBeAg seroconversion. Methods: Therapy was discontinued after HBeAg seroconversion in 121 patients. Sixty-six patients were relapsed and included in this study. The duration of lamivudine re-treatment therapy was from 6-35 (mean:16) months. Post-retreatment monitoring continued for 1-40 (mean:8.9) months. Results: Among the relapsed 66 patients, 50 (75.8%) had HBeAg reappearance while 16 (24.2%) remained HBeAg negative and anti-HBe positive. The cumulative relapse rates at 3, 6, 12 and 24 months were 27%, 47%, 60% and 66% respectively. Forty-two relapsers received lamivudine re-treatment. Among them, 33 were HBeAg positive and 9 were HBeAg negative and anti-HBe positive, Response was achieved in 31 of the 42 patients (73.8%). The cumulative response rates at 6, 9 and 12 months were 62%, 69% and 72%, respectively. Six patients (14.3%) developed viral breakthrough. All patients were HBeAg positive chronic hepatitis B. The duration of lamivudine re-treatment was the only predictable factor for response of lamivudine re-treatment. Therapy was discontinued after response in 21 patients. Eleven patients were relapsed, including 6 who were HBeAg positive and 5 who were HBeAg negative. Predictive factors for post-retreatment relapse were age and the duration of additional lamivudine therapy after response. Conclusions: The response rate of lamivudine re-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initial lamivudine treatments. The breakthrough and relapse rates, however, were similar in both initial and retreated lamivudine therapy.(Korean J Hepatol 2003;9:188-197)

      • KCI등재

        복합레진의 중합 수축력과 수복물의 결합양상에 관한 연구 제 1 편 : 중합수축력

        박남수,최대균,임호남,최부병,우이형 大韓齒科器材學會 1993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20 No.1

        The polymerization contraction forces has a relationship with the contents of filler, and if forces surpass the bond strength between restoration and bonded surface, the failure of bond can be occured.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filler contents on the polymerization contraction forces and to confirm whether the polymerization forces could induce the bond failure of composite resins to enamel or dentin. Low capacity load cell using strain gauge were prepared and used as a measurement system for polymerization contraction forces. Oxidized alloy surfaces, enamel surfaces and dentin surfaces were used as bonded surface. Measurements of the polymerization contraction forces were done for 1 hour, and a stress at 1 hour after was recorded as a polymerization contraction force. It was considered as a bond failure that the polymerization contraction forces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by the tim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 1. Polymerization contraction forces of composite resins were decreased by the increase of filler contents. 2. Polymerization contraction forces were increased at thickened resin specimens, but it was not significant at over two millimeter thickness. 3.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s to the acid etched enamel surfaces exceeded the polymerization contraction forces and the reduced polymerization contraction forces due to the bond failure were not confirmed. 4. Failure of bond and reduced polymerization contraction forces occured on dentin.

      • KCI등재

        복합레진의 중합 수축력과 수복물의 결합양상에 관한 연구 제 3 편 변연누출과 틈새

        박남수,최대균,임호남,최부병,우이형 大韓齒科器材學會 1993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20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polymerization contraction stress to the marginal leakage and gaps of resin restorations. Ten kinds of experimental composite resins were prepared with varing the filler contents to display the different polymerization contraction stress. A cavity with enamel and dentin margins were prepared on the cervical area of human tooth. Enamel margins were etched with 37% phosphoric acid for 1 minute. Experimental composite resins were filled into the cavities and immersed in water bath of 37±1℃ for 24 hours, and then immersed into dye solution. Tooth were cut through the restoration, and the infiltration of dye was observed. Marginal gaps were measured on the light microscope with 100 magnificat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 1. Polymerization contraction stress and gaps showed the corelation between them, gaps were decreased by increase of filler contents. 2. There was not exist the relationships between polymerization contraction stress and marginal leakage. 3. Marginal leakage and gaps were larger at dentinal margins than enamel margins.

      • KCI등재

        복합레진의 중합 수축력과 수복물의 결합양상에 관한 연구 제 2 편 결합강도

        박남수,우이형,최부병,임호남,최대균 大韓齒科器材學會 1993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20 No.2

        Failure of bond between resinous restorative materials and tooth can be occured by the polymerization contraction forces larger than bond strengths. This study was planned to confirmed that the bond strengths between composite resin and acid etched enamel will be influenced by the polymerization contraction forces altered with filler contents and diameter of attached resin specimens. Ten kinds of experimental composite resins were prepared and bonded to bovine tooth enamel which were acid-etched. The diameter of resin specimens attached were 4 mm and 6 mm.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 1. Shear bond strengths were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with rise of filler contents, maximum shear bond strength was obtained by the 40% filled composite resin. 2. Unit shear bond strengths of resin specimens bonded with large area were lower than that of narrow area bonding. It was concluded that shear bond strengths to acid etched enamel can be influenced by the polymerization contraction forces.

      • 발달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학업성취 실태조사

        박성우,김용욱,김은숙,이대식,우정한,정주영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13

        오늘 날 장애 학생들의 학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로의 질적 통합이 강조됨에 따라 지식과 기능의 양자 모두를 동시에 고려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으나, 기능 습득에 대한 관심에 비해 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직ㆍ간접적으로 평가하는 데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미온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 다행히 지난 3년간 국립특수교육원에서는 시각장애와 청각장애 및 지체부자유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관련된 검사 조정방법이나 이와 관련된 변인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장애학생들의 학습권과 평가 기회의 공정성을 합리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에 반해 발달 장애학생들의 경우 여전히 평가의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가 모든 장애인들의 학습권과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어떤 이유로든 학생들이 자신의 학업성취도를 점검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주어야 하고, 학교 또한 국가의 정책에 부응하여 학생들이 공평하고도 적절한 평가기회나 방법을 지속적으로 모색해야할 의무가 있다. 특히 발달장애학생들의 경우 지적인 장애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편적인 평가는 무의미하다고 할 수 있으나, 이런 이유로 이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점검할 수 있는 기회가 박탈되어서는 안 되며, 개인의 욕구와 장애 특성에 따른 다양한 평가 방법이 지속적으로 모색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본 전제하에 이 연구에서는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관련인들의 인식 수준을 우선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대안적 접근을 위한 연구 설계를 구안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고, 7차 기본교육과정에 대한 발달장애학생들의 수준별 단계에 따른 학업성취 수준을 점검함으로써 협의로는 기존의 서술식 형태의 주관적 평가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계량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고, 광의로는 모든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을 뿐만 아니라 향후 8차 교육과정 개정시 목표 달성도에 따른 과제 난이도를 조정하는데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크게 두 개의 영역으로 즉, 인식조사와 학력성취 실태 조사로 구분되며, 직접적인 상관관계보다는 간접적이고 독립적인 성격을 띄고 있다. 먼저 인식 조사는 다시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일반적 평가 실태와 검사조정 형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참여, 검사조정의 필요성과 결과 기대의 5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국 단위의 초ㆍ중ㆍ고 특수학급과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일반교사 560명, 특수교사 753명, 일반학생 부모 543명, 장애 학생 부모 749명, 일반학생 547명 총 3,152명이 참여하였다. 또한 기본교육과정을 통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는 전국의 정신지체와 정서장애 특수학교 79개교가 참여하였고, 평가 문항은 7차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의 교과서 체계에 따라 제작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1. 학업성취도 평가실태 발달장애학생들의 일반적인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에 대한 설문분석 결과 먼저 평가 경험에 있어 발달장애학생들에게 부분적 혹은 모든 과정에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장 선호하는 평가 방법은 관찰에 의한 것으로 매 수업시간 마다 수시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평가시 발달장애학생들의 다양한 반응과 평가 기준의 모호함에 따른 애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교사들의 경우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현재 학급 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평가도구의 적합성에도 문제를 제기하였다. 평가 책임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사 및 교과담당 교사를 포함한 협력 팀 접근이 바람직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경향은 교사보다는 부모에게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평가에 대한 기술방법은 생활기록부에 서술적 표현이 가장 많았고, 결과는 생활통지표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을 뿐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알림장이나 가정통신문의 활용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가정과의 협력체제 또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기는 어려우며, 평가 결과 또한 장애 학생의 독특한 개인차에 따른 해석의 부적절성으로 인해 개인의 교육적 성취 정도를 그다지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검사조정 발달장애학생들의 공평한 평가 기회의 제공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검사조정에 대한 설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시형태에 있어서는 초등부의 경우 제시형태지시문의 구조화와 특정 단어에 대한 단서 제시가 효과적인 것으로 고려하고 있는데 반해, 중학부와 고등부는 대독을 통한 제시방법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고, 반응형태에 있어서도 초등부는 오지 선다형을 사지선다형과 같은 반응양식의 조절을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반응을 파악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보고 있는데 반해 중학부와 고등부의 경우 구두응답(대필)을 통한 평가형태가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검사시간 조정에 있어서도 초등부의 경우 평가시간을 분할하여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난데 반해 중학부와 고등부의 경우 평가의 분할실시보다는 평가 기술에 대한 사전 교수를 보다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고 있었고, 검사환경에서도 초등부는 평가도우미의 배치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데 반해 중학부와 고등부의 경우 도우미 배치보다는 독립공간에서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나 과정에 따른 검사조정에 대한 인식이 다소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유의할 점은 연구결과에도 제시한 바 있듯이 검사조정에 대한 반응은 복수응답의 양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몇 가지 하위 영역은 가장 우선순위와는 응답률에서 다소 차이가 나고 있으나, 그다지 확연한 차이로 보기에는 힘들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통계적 유의성을 별도로 검증하지 않는 이상 어떤 검사 조정 방법이 효율적이라고 명백하게 구명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검사조정에 대한 현재의 결과들은 향후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의 유용성을 위한 대안적 평가를 설계하는데 있어 매우중요한 정보원이 될 수 있으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3.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발달장애학생들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집단간 설문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달장애학생들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시 필요한 교과로는 국어와 수학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초등부의 경우 교과 외 필요한 영역으로 의사소통능력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는데 반해 중학부와 고등부의 경우 사회성 영역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전 과정 모두 평가 시기는 2학기말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고려하고 있었고, 모든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는 것에는 동의 하고 있었으나, 평가활용에 있어서는 과정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즉 초등부와 고등부의 경우 평가 활용을 발달장애학생의 교육수준의 적절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반해 중학부의 경우 성취도 평가의 목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 외에 전 과정 모두 평가 접근 시 일반학교 교육과정과 특수학교 교육과정의 공통요소를 추출하여 문항을 구성한 뒤 평가를 실시하는 것이 가장 용이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평가 후 공개 정보에 있어서도 학생들의 과목별 흥미도나 선호도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발달장애학생들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있어 대부분의 교사나 부모 및 일반학생들이 그 필요성에 대해 공감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결과를 앞서 논의한 평가의 일반적 실태와 관련지어 종합해 보면 이는 반응확인 형태 즉, 설문지의 특성에서 귀인한 것으로 추론해 볼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필요성에 대한 응답 결과와 평가의 부적절성, 평가활용, 평가 빈도, 평가의 동등 비교 불가 등을 연관시켜 종합하여 볼 때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은 응답자의 신념보다는 보편적인 윤리적 측면이 개입되었을 가능성이 맡으며, 따라서 발달장애학생들의 경우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 참여에 대한 지속적인 탐색과 더불어 이들 학생들의 공평한 평가 기회의 제공을 위한 여러 가지 대안적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동시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4. 검사조정의 필요성 발달장애학생들의 검사조정의 필요성에 대한 설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결과에 상세히 영역별로 기술되어 있듯이 발달장애학생들의 검사조정의 필요성에 있어 전 과정별로 유사한 반응 양식이 나타났다. 다시 말해 과정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검사조정의 공평성과 타당성, 검사조정에 대한 기회제공, IEP내 검사조정 내용의 포함, IEP 회의시 부모와 장애학생 참여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검사조정의 결정 주체는 특수교사의 단독 결정보다는 IEP 팀에서의 충분한 논의를 거쳐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조정된 점수에 대한 편견 또한 그다지 높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정 점수를 일반학생들의 원점수와 함께 비교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대부분 회의적이었고 특히 검사조정과 성취목표와의 일치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발달장애학생들에게 유용한 검사조정의 제공에 대해서는 우호적임을 알 수 있으나, 이러한 결과가 곧 발달장애 학생들의 공평한 평가 기회의 제공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되리라 기대하기는 어렵다. 다시 말해 대다수의 교사나 부모 및 일반학생들이 발달장애학생들의 검사조정의 본질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윤리적인 측면에서 피상적으로 동의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검사조정을 통해 나타난 평가 결과에 대해 그다지 의미를 부여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발달장애학생들의 개인적 능력을 고려한 보다 실제적 인 접근이 필요함을 반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5. 검사조정을 통한 결과 기대 발달장애학생들의 검사조정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결과 기대에 대한 설문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사조정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 경향과 마찬가지로 검사조정을 통해 나타날 수 있는 결과 기대에 대한 반응 또한 전 과정에 걸쳐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발달장애학생들에게 적절한 검사 방법의 조정을 통해 학생들이 평가에 대한 불안감을 감소하고, 현재보다 평가에 대한 흥미와 용이성을 통해 좌절감을 극복할 수 있으며, 평가결과나 문제이해력, 문제해결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가시간의 단축과 더불어 도움 청하기의 빈도 향상으로 인해 평가에 보다 적극적으로 임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또한 높게 나타남으로써 향후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시 검사조정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6. 학업성취 실태 전국의 정서장애 및 정신지체 특수학교 79개교를 대상으로 기본교육과정에 대한 학업성취 실태를 분석한 결과 발달장애학생들이라 할지라도 학년이 올라 갈수록 학업수행능력이 점차적으로 향상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은 지능 외에도 생활연령이나 개인의 학습에 대한 직ㆍ간접적 경험과도 밀접한관계가 있음을 신빙성 있게 지지해주고 있다. 즉, 수행상황 평가의 그래프에서도 쉽게 알 수 있듯이 초등부 저학년과 초등부 고학년, 그리고 중학부와 고등부의 과정별 차이가 매우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어 초등부 3학년과 초등부 4학년, 초등부 6학년과 중학부 1학년, 중학부 3학년과 고등부 1학년 사이에서 학업성취도의 향상 정도가 동일한 과정내의 학년간 차에 비해 뚜렷하게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성은 발달장애학생들의 생활연령 증가에 따른 경험 기회의 확장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들이 적잖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쉽게 추론해볼 수 있다. 또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의 경향성을 전체적인 맥락에서 살펴보았을 때 대부분 기본 교육과정에서의 학업성취도의 경향성은 50%정도를 선회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학생들의 학업성취 또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경향성은 위에서 진술한 바와 같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은 학교 교육 외에도 개인의 외적 환경과 경험의 정도 그리고 적절한 교수의 제공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추론되며, 이에 발달장애학생들이 보다 손쉽게 그리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과제 제공과 더불어 검사조정 등과 같은 대안적 평가를 통해 기본교육과정에서의 학업성취도 수준을 재점검할 경우 현재보다 유익한 결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점검을 위한 체계적인 평가도구조차 제대로 마련되지 않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관찰이나 자작 검사지, 체크리스트, IEP 등을 통해 발달장애학생의 학업 성취도 점검을 위한 현장의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노력과 열정에 비해 그다지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실적으로 발달장애학생 개개인의 학업성취도를 보편적인 입장에서 접근한다는 것이 모순적일 수 있으나 이들이 장차 지역사회에서 동등한 시민권을 가진 성인으로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기능과 학습 중 어느 하나도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접근은 평가 기회의 공평성과 더불어 이들이 장차 성인기 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데 필요한 그리고 개인의 능력에 부합된 최소한의 학업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노력의 일환으로 고려되어야할 것이다. 이에 전술된 내용들을 기초로 하여 향후 발달장애학생들의 효율적인 학업성취도 점검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의 경우 이미 연구의 제한점에서도 밝혔듯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에 대한 인식과 학력 실태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성은 살펴볼 수 있으나, 이러한 결과들이 장애 개개인의 독특한 교육적 욕구를 반영할 수 있으리라 기대하기는 어렵다. 특히 발달 장애학생들의 경우 개개인의 능력과 선호가 다르기 때문에 집단 내에서의 성취 정도가 곧 장애 개개인의 성취정도나 기대의 척도가 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학생들의 성취도 점검을 위한 기본 통계자료로서 고려될 때 보다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발달장애학생들에게 평가의 기회를 보다 공정하게 제공해주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평가의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 전환이 우선되어야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에서도 이미 드러나 있듯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해 많은 응답자들이 긍정적인 것으로 고려하고 있는데 반해 평가의 가치에 대해서는 여전히 부정적인 경향이 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물론 발달장애학생 개개인에게 어떤 평가가 유용한지를 명확하게 구명해 주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도 평가 자체에 대해 회의적일 수도 있으나, 보다 중요한 사실은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발달장애학생들의 공평한 평가권은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를 위해 어떠한 방식으로든 발달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들이 모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점검을 위한 노력은 특정 계층이나 부류에 의해 한정적으로 논의되거나 결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민주주의의 평등권과 인본주의적 철학에 기초하여 국가 차원에서 이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협력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평가의 목적 재정립과 제고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평가에 대한 대부분의 인식이 개인간 차를 명료화시키는데 적용되어 왔음을 부인할 수 없으며, 이러한 개인간 차의 분류를 위한 평가는 발달장애학생들에게는 전혀 무익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평가적 접근은 개인내차에 초점을 두고 학생의 능력과 욕구에 근거한 학습기회를 제공해 주는데 그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 기회의 공정성을 제공해주기 위해서는 반드시 장애 개인의 능력에 적합한 검사 조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에 어떠한 검사 조정의 제공이 장애 개개인에게 적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더불어 현장에서의 역동적인 실천 또한 협력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어떠한 평가 체제를 적용한다손 치더라도 모든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 욕구를 충족시키지는 못하며, 아무리 효과적 인 평가 도구로 판명이 나도 어떤 개인에게는 부적절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발달장애학생들의 경우 기존의 평가 체제로서는 자신들의 학업성취 정도를 긍정적으로 평가 받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으며, 따라서 학생들의 평가기회의 공평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평가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경우 비록 그 타당성이나 신뢰도에 있어서는 적지 않는 도전을 받을 수도 있으나, 기존의 기술식 또는 서술적 평가 접근에서 벗어나 교육과정 중심의 평가를 통해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을 계량화하였다는데 그 의미를 부여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발달장애학생들에게도 적절한 평가적 접근이 이루어질 경우 그들의 학업 성취 수준을 누가적으로 점검할 수 있음을 반증하고 있으며, 이에 교육과정 중심 평가 등과 같은 대안적 평가 접근이 매우 유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대안적 평가의 결과 또한 발달장애 개개인의 독특성을 전적으로 보상하리라 기대하기 힘들지만 어떠한 대안적 평가가 효과적인지를 밝힘으로써 발달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적 접근에 대한 질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에 차후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대안적 평가를 중심으로 발달장애학생들의 평가적 접근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과 탐색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parents, teachers and peers on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and to examine the level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curriculum achievement tes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erception survey most respon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about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However, due to obscurity of test standards, discord between educational achievements, school factors, absence of appropriate tests, assessing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remain still superficial and perfunctory. The respondents presented negative opinion about using general test method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however, showed positive responses about using modified tes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 Second, in the overall context, the tendency of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alls at about 50% of basic curriculum. As they proceed to higher grades their academic achievement also increased.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hat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make improvement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 when more accessible and motivating tasks, test modifications, and alternate tests are provided. Through this study perceptions of parents, teachers and peers on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and the levels of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curriculum achievement tests were investigated.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participation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should lead to the consideration of accountability on school education and individual student's right to learning. Despite there is no appropriate systematic tests to evaluate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t was found that teachers of the field has been exerting efforts to solve the problems through observation, teacher made tests, checklists, IEP and so on. There can be contradictions in approaching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general perspectives, however, they need compulsory basic academic ability as well as functional skills in order to live in community as an independent adult citizen. In the same context,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should focus not only on providing th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e tests but also on improving compulsory academic ability appropriate for individual student's ability.

      • Unity 3D Engine을 이용한 3D FPS 게임

        박대호, 박동원, 안성옥, 김수균, 이현우 배재대학교 공학연구소 2012 공학논문집 Vol.14 No.1

        Emerging and one complete game engine, Unity 3D Engine by the FPS genre of games were produced. Unity 3D Engine to provide several features in the production of the game, basically, terrain making, Unity 3D Engine from collision, particle effects and AI of the enemies is set to create a game using only one genre FPS not be enough to be an element of fun to think that the basic framework of the FPS genre adventure genre of games by adding the elements of the game more fun.

      • 악성림프종 환자에서 복합화학요법으로 유발된 백혈구 감소증에 대한 인형 재조합 과립구 집락형성-촉진인자(rhG-CSF: Neutrogin)의 효과

        박성규,전진우,기신영,유병우,김홍수,백승호,원종호,홍대식,박희숙 순천향의학연구소 1995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 No.1

        Clinical effects of rhG-CSF were investigated in 17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for non-Hodgkin's lymphoma. Patients were given G-CSF 2㎍/㎏/day after 2nd cycle chemotherapy for least 14 consecutive days, and clinical and laboratory results were compared to results of the first cycle. Treatment with G-CSF resulted in increase of mean WBC count(952.9±152.2㎜³vs 1882.4±350.4/㎜³) and neutrophil count(212.9±53.0/㎜³vs 841.5±238.0/㎜³), reduced the duration of leukocytopenic days(12.4±1.3 days vs 5.5±1.0 days, WBC count less than 4000/㎜³) and neutropenic days(4.5±0.9 days vs 2.3±0.7 days, neutrophil count less than 500/㎜³), and reduced the duration of neutropenic fever(5.8±1.1 days vs 0.9±0.5 days). The side effects of G-CSF were not so significant.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G-CSF is safe and useful for the treatment of neutropenia induced by anticancer chemotherapy of non-Hodgkin's lymphoma and reducing the incidence of febrile periods and duration of antibiotic adminis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