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구촌 농쟁 문제 중심의 지리교육

        박남수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2 사회과교육 Vol.41 No.4

        본 연구는 지구촌 사회의 시민적 자질 육성이란 교육적 과제에 대해 현행 사회과 지리교육이 충분히 부응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 시점으로 지구촌 논쟁문제 중심의 지리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을 구체화하기 위해 미국에서 지리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개발된 지리교재(GIGI)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구츤 시대의 지리교육의 내용 편성 및 학습 원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본 교재는 지구시민적 자질 육성이라는 교육 원리에 바탕을 두고, '지구촌 논쟁 문제를 통한 지역 연구 과정(전체 구성)', '문제 상황의 공간적 특성의 파악과정(단원 구성)', '지리적 질문에 기반을 둔 탐구 과정(학습 과정)'이라는 원리에 따라 편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GIGI의 원리는 지리교육이 지구촌교육과 기능 중심 교육이 결합된 방향으로 시민교육을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우리나라 사회과 지리영역의 내용 편성이나 교수 학습 개선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점을 지적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iculum and lesson plan for the global issue-based geography learning on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I analyzed Geographic Inquiry into Global Issues(GIGI), which is the text of geography in America. In the result of analysis, I can get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ly, it presents new viewpoint about a geography curriculum. GIGI organizes the curriculum around global issues that gets out of the traditional curriculum organization. Secondary, it grasps the global issues from a spacious characteristic or viewpoint. It gives the originality of geographical field as space or place when learning the global issues. Thirdly, it organizes a curriculum and learning process according to a geographical inquiry process. I think principles of GIGI are very implicative to the curriculum organization and lesson plan on the geographical field of social studies in Korea. Because it points to the civic education which can learn a knowledge, value and problem solv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through the learning of the global issues in the geograph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다문화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

        박남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분석 결과, 첫째, 사회과 교육과정은 다양성의 존중과 공존의 실현이라는 다문화교육의 관점보다는 민족이나 전통문화의 파악과 같은 문화적 특수성의 파악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둘째, 교과서는 단일 민족의 이념 및 특정 문화집단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고 있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한 바람직한 사회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구성 방향으로는 첫째, 다문화교육의 관점을 반영한 교육과정 구성의 질적 전환을 통해 문화적 특수성과 보편성의 관점을 균형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는 점, 둘째, 민족 혹은 문화집단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내용에서 벗어나 다양한 관점에서 문화집단의 경험이나 문화유산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이밖에도 다문화 사회의 시민성 육성을 위해서는 형식보다는 본질적인 측면에서의 다문화교육의 접근과 다문화적 학교문화의 형성이 필요함을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a direction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 for fostering multicultural citizenship. For this purpose, I analyz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 on the view point of multicultural citize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laid emphasis on understanding of cultural specificity. Therefore it is a necessary to keep a balance between cultural specificity and universality through qualitative conversion of curriculum. Second, the textbooks were fostered homogeneous nationalism and prejudice about cultural grou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eat experience or heritage of cultural groups on various viewpoint.

      • KCI등재후보

        초기 사회과에 있어서의 도덕교육의 성격

        박남수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4 사회과교육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to character of moral education on the early social studies. For this purpose, I analyzed into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material on the era of the early social studies. In the result of inquiry, I can get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ly, the moral education on social studies curriculum established in 1946 intended to unitary formation of social cognition and moral attitude through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about social life. Secondary, the moral education on social studies curriculum amended in 1955 was dualistic character of social cognition and moral attitude through addition of moral units. Thirdly, from these result I reached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character of early social studies was introduced problem solving learning as not educational principle but learning technique of social studies. 사회과와 도덕교육은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사회과에 있어서 도덕교육의 성격을 밝히고자 한 연구는 그다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사회과에 있어서 도덕교육의 목표나 내용에 대한 비판도 애매한 실정이며, 도덕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가 도덕교육의 중심적 역할을 했던 초기 사회과에 있어서의 도덕교육의 성격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형성 초기의 사회과의 성격에 대해서도 논의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초기 사회과 시대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당시 교육과정 편성에 관계한 학자들의 견해를 검토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46년에 제정된 사회생활과 교수요목에서는 종래의 도덕교육이 안고 있었던 문제점의 극복을 위해 사회생활에 대한 인식과정을 통해 사회인식과 도덕적 태도의 일원적 형성을 지향하고 있었다. 둘째, 1955년의 개정에서는 도덕교육 중시라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반영하여 사회과 교육과정에 도덕교재를 추가로 편성하는 등 이원적 도덕교육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셋째, 형성 초기의 사회과는 1930-40년대의 미국 사회과나 일본의 초기 사회과의 교육원리가 되었던 문제해결학습을 학습기법 차원에서 받아들이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사회과에서의 도덕교육이나 가치․태도교육에서는 덕목을 아동의 현실적인 생활에서 분리하지 않고 그들이 실생활 속에서 직면하는 절실한 문제를 대상으로 그것을 자주적으로 규명해 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의 특별지원학교 교육과정 사회과에서의장애 학생을 위한 시민성 교육

        박남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0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특별지원학교 교육과정 사회과에서의 장애학생을 위한 시민성 교육의 특징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개선 방향 모색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에 개정된 지적장애 특별지원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의 편제와 목표, 내용을 시민성 교육 측면에서 탐색하였다. 특별지원학교 교육과정에서 사회과는 중등부와 고등부에만 편성되어 있었다. 사회과 교육을 통해서 지향하는 시민은 공민적 자질과 능력의 기초를 지닌 사회형성자로서의 시민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자질과 능력의 하위 요소로는 지식과 기능, 사고력, 판단력, 표현력, 학습력과 인성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과의 내용은 사회인식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성취기준 형태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 성취기준에는 전술한 공민적 자질의 하위 요소들이 반영되어 있다. 이처럼 특별지원학교 교육과정 사회과는 공통교육과정 사회과와 동일한 자질의 육성을 지향하고 있으며, 사회인식교과로서의 교과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