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淮南子』的音樂思想

        李政林 호남대학교 2001 호남대학교 학술논문집 Vol.22 No.1

        『淮南子』는 漢나라 건국 70년경에 君主의 治國之道를 밝히고자 다방면의 사상을 집대성한 책인데, 道家사상에 바탕을 두고 제자백가를 융합하였으며, 그 내용은 천지만물과 인간세상을 다 포괄하고 있을 정도로 방대하다. 『淮南子』는 陰陽적 宇宙圖式을 기본으로 하여 이 시기를 대표할 수 있는 비교적 체계적인 음악사상을 보여주고 있다. 즉 음률은 自然으로부터 발원한 것으로 道에서 파생된 陰陽 二氣의 顯現이다. 또한 음률은 天地의 氣를 받은 인간(聖人)에 의해 天地를 조화시키는 음악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淮南子』는 이러한 음악을 매개로 한 천인관계의 인식을 바탕으로 음악의 본질, 음악의 작용 및 음악의 내용과 審美적 체험을 논의하고 있다. 『淮南子』는 淸淨한 本性을 保全해야 한다('與化游息':세속을 초탈하여 정신의 절대적 자유의 경지에 이름)는 입장에서 '有聲之樂'을 부정하고 '無聲之道'를 더욱 강조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론 '與事浮沈'(세상 인심의 흐름을 알고 세상사의 변화에 대처함)의 또 다른 차원에서 儒家의 '有爲'관념을 받아들여 '無爲'를 '順應自然'의 개념으로 전환하였다. 이는 聖王이 자연에 순응한 조화로운 음악을 만들어 사람의 마음을 절제할 수 있다는 점을 긍정한 것이다. 『淮南子』는 또한 음악은 진실한 감정의 자연스러운 발로임을 강조하여 음악의 영향력을 긍정하였다. 나아가 음악의 형식은 내재적 정감에 서로 상응하며, 감상자의 심리상태에 따라 작품의 내용에 서로 다르게 반응할 수 있는 점을 밝혔다. 『淮南子』의 음악사상은 유기적인 우주관을 바탕으로 자연규율에 부합하는 음악의 조화적 본질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 아울러 '無聲之道'를 근본으로 삼는 원칙아래 '與事浮沈'과 '與化游息'의 이념을 함께 지향하였으니 이는 당시의 정합적 세계관에 따른 시대 특색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인의 구강에서 분리된 Staphylococcus aureus의 항생제 내성양상

        이정림,김연선,장우성,박옥순,이영기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 2011 대한구강악안면병리학회지 Vol.35 No.1

        The incidence of multidrug-resistant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continues to increase in hospitals and the community all over the world. As the importance of miner surgery in dentistry gets greater recently, the frequency in use of antibiotics has been increasing. Although several cases of acquired infection in oral cavity in dental hospital has been reported, the research on isolation of S. aureus and evaluation of its antibiotic resistance from outpatients in the dental clinic has not been found ye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S. aureus isolates. The isolation rate of S. aureus were 41.7% in dental hospital personnel, 60.4% in outpatients and 62% in dental hygiene students. S. aureus which showed resistance to penicillin were 88.6%, ampicillin 88.6%, erythromycin 8.6%, tetracycline 4.3%, oxacillin 4.3%, cefoteten 4.3%. Six strains of S. aureus showed the susceptible to all antibiotics tested. Sixty-four(91.4%) strains were multiple antibiotic resistance. Fifty-two strains(72.8%) resisted to AM-P. and Seven strains(10.0%) resisted to AM-P-E, AM-P-GM, AM-P-TE.

      • 기관지천식 환자에서의 혈액 및 타액의 Theophylline 농도 비교

        이정림,최광진,이성구,이중기,허영구,최귀애,강영모,김항재,김능수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1989 천식 및 알레르기 Vol.9 No.3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salivary theophylline levels as a predictor of serum theophylline levels, we investigated 32 chronic perennial asthmatics, free of other disease, who were receiving oral sustained-release theophylline. The blood and saliva theophylline levels from 20 patients(group I ) were uaed to develop a formula for predicting serum theophylline levels from saliva levels, and a correlation coefficient was obtained between the serum and salivary theophylline levels. The blood and saliva theophylline levels from 12 patients(group II ) were used to test the formula obtained.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and salivary theophylline levels, r=0.82 was found in group I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rum-saliva ratio in each patient, and also there was a good correlation between the predicted and actual serum theophylline concentrations, r=0.79, These suggest that the determination of salivary theophylline concentration may be a convenient, noninvasive method for routine monitoring of serum theophylline concentration.

      • KCI등재

        논 <낙신부(洛神賦)> 적비흥의의(的比興意義)

        이정림 한국중문학회 1999 中國文學硏究 Vol.18 No.1

        본 논문은 역대 연구자들이 소홀히 했던 曹植$lt;洛神賦$gt;의 창작 년대를 고증하는 문제로부터 출발하여, 작자의 당시 창작동기를 고찰함으로써, 작품이 원래 洛神古事를 빌려서 작자의 報國無門을 애통해 한 심정을 기탁한 $quot;比興之作$quot;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lt;洛神賦$gt;의 창작 년대에 대하여 작자 자신은 賦文 앞의 小序에서 「黃初三年, 余朝京師,‥‥‥遂作斯賦」라고 명시하여, 黃初三年(서기222년) 洛陽으로 천자를 알현하러 갔을 때에 이 賦를 지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李善 ≪文選注≫에서는 ≪三國志·魏書≫本傳과 $lt;贈白馬王彪$gt;시의 自序에 의거하여 천자 알현은 黃初三年이 아닌 黃初四年의 일이라고 지적하였는 바, 黃初三年은 曹植자신의 誤記임이 명백하다. 그러면 $lt;洛神賦$gt;는 이 때 지어졌는가? 당시의 주변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이 또한 단정할 수 없다. 왜냐하면 黃初四年의 천자 알현시 황제 曹丕는 처음에 오래도록 만나주지 않았고, 함께 부름을 받아 洛陽에 왔던 任城王 曹彰은 급서하였으며, 白馬王 曹彪와는 封地에 각자 따로 돌아가야 한다는 칙령이 내려 생이별을 해야 했던 비통하고 비관한 심정에서는 $lt;洛神賦$gt;와 같은 작품이 탄생하기는 힘들다고 본다. 이는 당시의 $lt;贈白馬王彪$gt;시와 비교했을 때 작품의 내적 정감과 예술 풍격이 판연히 다른 점에서도 $lt;洛神賦$gt;의 창작 년대를 새로이 고찰해 보아야 되는 근거가 된다. 그렇지만 賦序에 의하면 賦文의 창작 배경이 반드시 천자 알현의 일과 연관되어 있음은 작품의 창작 연대를 고증할 수 있는 관건이다. 曹植은 明帝 曹睿太和五年(서기231년)에 또 한번 명을 받들어 천자를 알현하게 된다. 당시 황제의 詔書를 받든 작자의 심정은 복잡 미묘하다. 몸은 藩國에 있으나 마음은 항상 조정에 두고 후세에 이름을 남길 功業을 이룰 수 있는 기회를 갈망하며, 스스로 '재능을 지녔으나 펼쳐 볼 수 없음'을 탄식하던 작자는 황제를 뵈올 때를 기다려 왔다. 그러나 한편으로 지난 번 알현시의 치욕과 고통스러웠던 기억은 작자로 하여금 주저와 의혹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작자의 이러한 걱정과 우려는 暗喩와 예술 상징을 통하여 賦文에 침잠되어 있으며, 比興 수법으로써 완곡하게 표현되어 있다. 이렇게 본다면 $lt;洛神賦$gt;는 작자가 明帝 太和五年에 '朝京'詔書를 받고 黃初四年의 옛 일을 떠올리며 洛神宓妃의 故事에 기탁하여 지은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거기에는 朝廷을 그리며 報國無門을 애통해 한 서글픈 失意의 情이 담겨 있는 것이다. 그런데 작자는 왜 黃初四年을 黃初三年으로 誤記하였을까? 曹植 작품의 結集은 작자 자신의 손을 거쳤으므로 傳抄시의 오류 가능성은 극히 작다. 더구나 黃初四年의 '朝京'은 작자의 마음에 지을 수 없는 그림자를 남겼을 것이다. 그렇다면 작자가 처음에는 일시적 착오였던 것을 고치지 않은 데는 어떤 의도가 있었을 수 있다. $lt;洛神賦$gt;에는 작자의 哀怨이 애정비극의 情節속에 숨어 있으며, 더구나 賦序에 宋玉의 神女故事로부터 창작 영감을 얻었다고 밝혀서 무형 중에 독자로 하여금 작품 감상의 테두리를 설정케 한다. 人神之戀의 애정비극에 報國無門의 깊은 哀怨을 기탁함으로써 '比興'의 표층의미와 심층의의를 함께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比興'의 심층의의는 그에 상응하는 경험이나 심후한 감상과 비평의 능력을 갖추어야 이해될 수 있으므로 작자의 年代 誤記는 독자에 대한 어떤 암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比興'문학은 그 자체의 감상과 비평에 있어서 兩面的 可讀性을 지니고 있다. $lt;洛神賦$gt;의 審美性과 상황 설정은 ≪文選≫의 編者로 하여금 宋玉$lt;神女賦$gt;등과 함께 이를 '情'類에 귀속시키게 하였는 바, 이는 編者가 人神之戀의 의미 층면인 '比興'의 표층의미를 중시한 것이다. ≪文選≫의 분류는 후세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쳐서 작품이 작자와 甄后와의 애매한 애정표현으로 변색하여 인식되었는데, 이는 ≪文選注≫에서 $lt;洛神賦$gt;의 原名을 $lt;感甄賦$gt;라고 칭한 후 더욱 뚜렸하며 唐代 및 그 후의 문인들은 작품 창작의 典故로서 $lt;感甄賦$gt;라 하는 것이 보편적인 추세였다. 이렇듯 '比興'문학은 그 자체에 작품 解讀의 양 갈래적인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결국 $lt;洛神賦$gt;의 解讀은 작품의 확실한 창작 연대와 창작 동기를 심층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작자의 진정한 표현 의도에 접근 할 수 있는데, 본 논문은 이를 통하여 '比興'문학의 표층의미와 심층의의에 대한 감상과 비평의 이론 연구에 하나의 구체적 예증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Does pediatric anesthesia cause brain damage? – Addressing parental and provider concerns in light of compelling animal studies and seemingly ambivalent human data

        이정림,Andreas W. Loepke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8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71 No.4

        Anesthesia facilitates surgery in millions of young children every year. Structural brain abnormalities and functional impairment observed in animals have created substantial concerns among clinicians, parents, and government regulators. Clinical studies seemed ambivalent; it remains unclear whether differential species effects exist towards anesthetic exposure. The current literature search and analysis attempts to unify the available clinical and animal studies, which currently comprise of > 530 in vivo animal studies and > 30 clinical studies. The prevalence of abnormalities was lowest for exposures < 1 hour, in both animals and humans, while studies with injurious findings increased in frequency with exposure time. Importantly, no exposure time, anesthetic technique, or age during exposure was clearly identifiable to be entirely devoid of any adverse outcomes. Moreover, the age dependence of maximum injury clearly identified in animal studies, combined with the heterogeneity in age in most human studies, may impede the discovery of a specific human neurological phenotype. In summary, animal and human research studies identify a growing prevalence of injurious findings with increasing exposure times. However, the existing lack of definitive data regarding safe exposure durations, unaffected ages, and non-injurious anesthetic techniques precludes any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for drastically changing current clinical anesthesia management. Animal studies focusing on brain maturational states more applicable to clinical practice, as well as clinical studies focusing on prolonged exposures during distinct developmental windows of vulnerability, are urgently needed to improve the safety of perioperative care for thousands of young children requiring life-saving and quality of life-improving procedures daily.

      • KCI등재

        Anesthetic considerations for robotic surgery

        이정림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66 No.1

        Recently, demand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has increased greatly. As a result, robot-assisted techniques have gained in popularity, because they overcome several of the shortcomings of conventional laparoscopic techniques. However, robotic surgery may require innovations with regard to patient positioning and the overall arrangement of operative equipment and personnel, which may go against the conservative nature of anesthesia care. Anesthesiologists should become familiar with these changes by learning the basic features of robotic surgical systems to offer better anesthetic care and promote patient safety.

      • KCI등재

        장애영유아 통합보육·교육기관의 실태 및 관리자와 교사의 요구

        이정림,강경숙,김은영,엄지원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3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3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 conjunction with the current laws and regulations such as “the Welfare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ct” that are related to supporting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the status of the current support system and needs for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to find out potential for the improvement of this system, and to come up with ways to fully embed the laws and regulat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to the current system. Nine sessions of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60 educators, including administrators and teachers, who work in the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field such as daycares and preschool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The results of interview are divided into 3 categories: staff condition, physical environment, and operation principles of inclusive education program. Staff condition includes the areas such as teacher-student ratio, lack of teacher training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shortage of support and substitute staff, and hiring difficulties. Physical environment includes improving regulations on facility standards, and needs for educational materials and textbooks. Inclusive education is operated differently based on how infants and toddlers are included in inclusive classes. Mainly, the availability of self-contained special education classroom in a facility affects how they are included in the class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measures are suggested: First, in order to operate and provide high quality program,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improve staff condition: for example, decreasing staff-student ratio for inclusive child care and education. Second, there should be clear distinctions of responsibilities between a general teacher, a general teacher of an inclusive class, and a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ir roles should be clearly defined. Regular and periodic training and instruction for teachers and staff should be a part of this measure. Third, there should be a regulation to provide standards for facility to appropriately organize space when infants and toddlers with disabilities are included in inclusive daycare or preschool. Fourth, there should be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among teachers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implement and manage different types of inclusion models including full inclusion, partial inclusion, and reverse inclusion. Through these improvements, all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hould be provided with quality care and educational services. 본 연구는 최근 ‘장애아동복지지원법’ 등 장애영유아의 통합보육‧교육을 위한 법과 제도가 갖추어지기는 했으나 실제적으로 교육현장에서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장애영유아의 통합보육․교육의 실태와 요구를 조사하여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기관장, 교사 등 통합보육․교육 관계자 60명을 대상으로 9차에 걸친 포커스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관리자와 교사의 집단 면담내용을 분석한 결과, 인적 환경, 물리적 환경, 통합교육 프로그램 운영 형태로 범주를 나누어볼 수 있었다. 인적 환경으로는 교사 대 아동비율, 통합관련 교사 연수 부족, 대체인력 및 보조인력 지원 부족 및 수급의 어려움 등에 대한 내용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물리적 환경은 시설 규정의 개선 및 교재교구 관련 요구가 파악되었다. 또한 통합학급의 통합 형태에 따라 프로그램이 달라지는데 특수학급의 유무에 따라 그 여건과 활용 실태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지원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질 높은 프로그램이 운영되기 위해 장애영유아 대 교사 비율을 감축하는 등 통합보육‧교육 지원 인력을 조정해야 한다. 둘째, 일반교사 및 특수교사에 대한 통합보육‧교육 운영을 위한 역량을 제고해야 한다. 역할이 명확하게 규정되고, 이에 맞는 교육과 연수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적절한 물리적 환경을 제공해야 하는데, 장애영유아 통합어린이집이나 통합학급 유치원의 경우, 이들이 포함되었을 때의 공간이 적절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설치기준령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완전통합, 부분통합, 역통합 등 다양한 통합 형태를 운영하는데 교사간 협력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개선을 통해 모든 장애영유아에게 질높은 통합보육․교육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소아 기도 관리의 최신 지견

        이정림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7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2 No.3

        With respect to anesthesia for pediatric patients, the most challenging component is airway management because it has been known to be the most significant cause of anesthesia-related morbidity or mortality. Recently, in the field of pediatric anesthesia, several interesting studies have been published; one study presents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related to difficult tracheal intubation, and the other studies have performed re-examination of the upper airway anatomy. In addition, supraglottic airway devices (SGA) are the main devices not only for securing the airway in an emergent situation but also for routine anesthetic manag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mmarize and re-consider the results of studies on SGA for better use. This review presents an introduction to the recent progressive studies regarding pediatric airway management and it provides several considerations which have been overlooked for safe and effective use of SGA.

      • KCI등재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DHD construct and factor structure with ODD for Korean elementary students

        이정림,강경숙 한국교육개발원 2012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9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iagnostic criteria for ADHD construct and the factor structure i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Text Revision (DSM-IV-TR) with a Korean population. ADHD rela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48 elementary school teachers noted their students’ behaviors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s. A total of 1,672 children, 909 boys and 763 girls, from 8 elementary schools in the southeastern area of Korea participated.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of the ADHD rating scale based on the DSM-IV-TR, the followings were explored:1) a tool by which to identify 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 in the DSMIV-TR, 2) a questionnaire about disciplinary and peer problems, and 3) the Korea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Test (K-ADHDT). As a resul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iagnostic definition for ADHD construct in the DSM-IV-TR with Korean students were verified and a structure that combined ADHD with ODD produced the best fit to the data in both two- and three-factor structures; however, the three-factor structure is a better fit through the examinations in th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