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학적 오해(misunderstandings)와 불통(miscommunications)에 대한 융합적 접근

        한승훈(Han, Seung-Hoon) 한국언어학회 2014 언어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linguistic miscommunications and misunderstandings, which occur in marital conversations and conversations between parent and children in korea, in terms of intentional or non-intentional case. There have been two major problems in accounting for them in many previous studies: one is that two concepts have been randomly used without any criteria; the other most of studies have focused on non-intentional cases involved in mistakes, noise, cross-cultural value and etc. As an alternative for improving them, a special focus is laid on Han’s(2014) integrated framework built by the combination of action theory and pragma-linguistic approach. On the basis of Han’s framework, an attention is paid to analyzing a set of real data involved in family discours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discussed in terms of six types of verbal-actions. Such an attempt will be helpful to understand how intentional language usage is employed in dynamic discourse context as well as anatomize why an agent commits intentional miscommunications in his/her family context.

      • KCI등재

        공조시스템 개선에 따른 하절기 선실 온열환경 평가 및 유류절감에 관한 연구 - 실습선 새누리호를 중심으로 -

        한승훈,김홍렬,Han, Seung-Hun,Kim, Hong-Ryel 해양환경안전학회 2014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0 No.6

        본 연구에서는 목포해양대학교의 실습선 새누리호를 대상으로 선박의 중앙집중 공조시스템에 공랭식 에어컨을 직접 설치하여 성능을 개선시킨 공기조화시스템으로 운전하였을 경우의 냉방 성능을 비교하고, 선실의 온열환경에 대한 실측조사를 통해서 향후 선박용 공기조화 설계 및 계획에 경험적 기초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동일한 외기조건에서 기존의 중앙집중방식 공조시스템과 개선된 공조시스템으로 운전하였을 경우, 모든 선실의 온도는 $24{\sim}28^{\circ}C$, 습도는 55~75 %로 쾌적한 조건임을 알 수 있었고, 발전기 부하를 측정결과 공기조화시스템의 성능개선에 따라 평균 부하 48 KW, 전부하시 부하율 약 8 %정도 감소하여 1일 연료소모량 FOC는 하루 평균 222[L/day]의 기름이 절약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 선실(Cadet No. 21)은 기관실의 전열로 인해서 온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공기조화 설계 시 취출구 개수 및 전열부하를 고려하지 못한 결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Training ship Centralizes Air Conditioning System was upgraded by installing onboard an Air-cooled Air conditioner. This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and operation. This study compared refrigeration performance to former equipment and improving one. And through the actual measurement study about the cabin thermal environment, it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marine air conditioning design and plan in the future. At same climate condition, when the Centralize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n improved air conditioning system operated, cabin temperature was at $24{\sim}28^{\circ}C$, humidity was 55~75 % as comfortable condition, Generator load measurement showed a saving of 48KW in the average load and 8 % in the full load factor. This also resulted in a saving of daily fuel oil consumption(FOC) at around 222 [${\ell}/day$] average. On the other hand, one cadet cabin(Cadet No.21) indicated a higher temperature due to heat transmission of engine room. It found us not to consider installing additional diffuser to reduce the heat transmission.

      • KCI등재

        한옥의 통합 쾌적성능 평가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승훈,천득염,이미향,임옥균,Han, Seung-Hoon,Cheon, Deuk-Youm,Lee, Mi-Hyang,Im, Ok-Kyun 한국주거학회 2013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system for integrative comfort values of Hanok residence. For this study, a mock-up located in Yongin, Gyeonggi province built by an ongoing governmental research project has been chosen. Then, SSN (Smart Sensor Network) has been utilized for monitoring quantitative factors in the environment and detailed face-to-face surveys have been performed for analyzing qualitative comfort indexes from residents in the experimental settings. Then, this study employs a combined evaluation system us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established for estimating overall DIC (Degree of Integrative Comfort) of the Hanok residence. As a result, the evaluation system could verify the total comfort indexes of Hanok residence and suggest converged methodologies for establishing value assessment system for traditional residential facilities. The method of DIC suggested in this paper would be examined with current residents in a built mock-up to see its applicability as a comprehensive evaluation model, and it is expected that collected year-round comfort data from the facility would provide more practical information towards future strategies for the Hanok residence.

      • KCI등재

        장기간 기관절개공을 유지한 소아 환자들에서의 기도 세균집락에 관한 연구: 균동정 부위와 시차 간의 차이 비교

        한승훈,김영석,권성근,Han, Seung Hoon,Kim, Young Seok,Kwon, Seong Keun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21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32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Tracheostomy lead to persistent bacterial colonization of the respiratory tract. Surgical site infection and restenosis by the pathogenic bacteria is the most fatal complication after open airway surger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culture results of larynx and tracheostoma in patients with tracheostomy and the preoperative, intraoperative culture results in patients underwent open airway surgery. Materials and Method A retrospective review was performed on 18 patients who underwent culture between 2017 and 2019. Results Pseudomonas or antibiotic resistance bacteria were identified in 11 patients out of 18 patients (61.1%); Ceftriaxone-resistant Streptococcus (38.9%), Pseudomonas (33.3%),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16.7%), extended-spectrum β-lactamases (ESBL) 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11.1%). Among 18 patients, 6 patients showed the different culture result between larynx and tracheostoma. In 4 out of 10 patients who underwent open airway surgery, the bacteria were not identified before surgery, but the bacteria were isolated in the intraoperative culture. In one patient, the bacteria detected intraoperatively were different from those detected before surgery. Conclusion Preoperative respiratory tract culture and usage of perioperative antibiotics according to the culture are necessary. It is crucial to verify the bacterial culture in both tracheostoma and larynx. And it should be performed immediately before open airway surgery.

      • SCOPUSKCI등재

        급성 전염성 단핵구증 환아에서 Epstein-Barr 바이러스의 감염형과 사람 백혈구 항원형 연구

        한승훈,신완식,한훈,강진한,Hahn, Seung-Hoon,Shin, Wan-Shik,Han, Hoon,Kang, Jin-Ha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5

        목 적 : EBV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질환을 일으키고, EBV는 지역과 EBV에 노출된 사람의 면역 또는 병적 상태에 따라 감염형이 달라 EBV 감염형에 관한 연구는 EBV의 역학연구와 EBV 관련 질환의 병인연구에 제일 기본적이다. EBV의 잠복감염 유전인자들에 의한 세포독성 T 림프구 면역상태는 EBV에 의한 다양한 질환의 병인적 역할이 있으며 HLA에 의하여 유발되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거에 시행한 많은 연구에서 EBV 감염과 HLA형과의 연관성은 객관적으로 입증되지 않았으나, HLA II형에 속한 항원이 EBV의 인체 내 침투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최근에 보고됨으로써 이에 대한 관심이 재조명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EBV 감염에 의한 국내 급성 전염성 단핵구증 환아에서 주된 EBV 감염형의 분포를 확인하고, 급성 전염성 단핵구증의 발생이 HLA형과 연관성이 있는 지를 분자생물학적 분류법으로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연구 대상은 6세에서 13세 사이의 급성 전염성 단핵구증으로 확진된 24명의 환아 이었다. 감염형의 비교 대조군은 건강한 정상 소아 중 면역혈청학적 검사로 EBV 노출이 확인된 동일한 연령의 58명이었고, HLA형 분류의 비교 대조군은 연구대상 환아와 동일한 연령의 정상 소아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EBV에 의한 급성 전염성단핵구증 환아에서 중합 효소 연쇄반응법으로 EBV 감염형을 분류하여 주된 감염형을 확인하고, ARMs PCR법으로 HLA-A, B, C 항원형을, PCR-SSOP법으로 HLA-DRB 항원형을 분류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 과 : 1) EBV 감염형 결과 : 연구 대상 환아 24명에서 EBV A형이 20명(83.3%)이었고, B형은 4명(16.7%)이었다. 비교 대조군의 경우에는 58명 중 14명(24.1%)이 EBV가 검출되고 이들 중 A형은 11명(78.6%)이었고, B형이 3명(21.%)이었다. 2) HLA 형 분류 결과 : HLA I형 결과는 HLA-A24형에서 비교 대조군 200명 소아 중 69명이 양성이었고, 연구 대상 환아 24명 중 14명이 양성을 보여 RR치가 3.5724, chi-square치가 5.26, P<0.05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그러나 HLA-B, C항원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없었다. HLA II형 결과는 HLA-DRB1*07형에서 비교 대조군 200명 소아 중 18명이 양성이었고, 연구 대상 환아 24명 중 8명이 양성을 보여 RR치가 5.6173, chi-square치가 9.73, P<0.01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결 론 :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국내 급성 전염성 단핵구증 환아의 EBV 감염형은 정상 비교 대조군의 소아에서 주된 감염형인 A형과 동일한 감염형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HLA형 연구에서 HLA-A24형과 HLA-DRB1*07형이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보여 EBV에 의한 급성 전염성단핵구증 발생이 HLA형과 연관성이 있음을 추정하였다. Purpose : The Epstein-Barr virus(EBV), gamma herpesvirus, is an important pathogen that is widespread around the world. The EBV causes various diseases depending on the geographic location, and on the immunity or the premorbid condition of the person exposed to EBV. To evaluate EBV typing may be the most important step to figure out the pathogenesis of EBV associated diseases, and we need to re-evaluate the pathologic role of human leukocyte antigen(HLA) in developing Epstein- Barr virus associated acute infectious mononucleosis by using newly developed methods.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24 children(age range : 6 to 13 years), serologically confirmed with acute infectious mononucleosis. The control group for the HLA type consisted of 200 age-matched healthy children. To classify HLA I, modified ARMs-PCR was used, while modified PCR-SSOP was utilized in typing of HLA II. Also, we performed EBV typing in study patients by using a one-step PCR. Results : The results of HLA types : In HLA class I, HLA-A24 was positive in 69 of 200 healthy children and positive in 14 of 24 patients in the study group(relative risk : 3.5724, chi-square; 5.26, P<0.05). In HLA class II, HLA-DRB1*07 was detected in 18 of 200 healthy children, and eight of 24 patients in the study group(relative risk; 506173, chi-square; 9.73, P<0.01). The results of EBV types : In the research group, 20(83.8%) of 24 patients were shedding type A virus, while 4(16.7%) were type B.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development of infectious mononucleosis may be associated with HLA types, an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ute infectious mononucleosis could have hereditary traits. And we confirm that type A EBV is highly prevalent in patients with acute infectious mononucleosis in Korea. Also, our results suggest that further large scale studies, including adult groups,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pathogenesis of EBV with HLA-DP or HLA-DQ will be warranted.

      • 가상 시험장의 개념과 사례

        한승훈,송상섭,Han, Seung-Hun,Song, Sang-Seop 한국방위산업진흥회 1998 國防과 技術 Vol.- No.229

        가상시험장은 양질의 시험 서비스를 보다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제공하면서 실제 시험시에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시험공간의 확보, 안전문제, 오염방지, 민원등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술로 판단된다. 가상시험장의 효용가치는 가상시험 결과와 실제시험 결과의 근접성에 의해 결정되므로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과 더불어 Ground Truth Data의 축적이 선행되어야 성공적인 가상시험장 구축을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도서관과 학생수련시설에 대한 교육시설 안전인증 요소의 확대적용 방안 연구

        한승훈,김재향,Seung-Hoon Han,Jae-Hyang Kim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23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14 No.3

        In order to create a safe and comfor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Act on the Safety and Maintenance of Educational Facilities' was enacted in 2021. Accordingly,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peration Regulations' was established. Safety certification targets are classified into 'kindergarten', 'elementary/middle/high school and special schools', and 'university and other educational facilities'. Other educational facilities include libraries and student training facilities. However, student training facilities and libraries are different from schools as facilities for special activities such as training and reading. Therefor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must be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peration Regulation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Educational Facility Safety Certification Operation Regulation' reflect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student training facilities and libraries that are 'other educational facilities'. The previous certification system and guidelin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on-site survey method was use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each of the library and the student training facility needed 9 detailed criteria reviews.

      • KCI등재

        영상처리를 이용한 가동브래킷 변형 검사 기법에 대한 연구

        한승훈(Seung-Hun Han),조민수(Min-Soo Cho),유영기(Young-Ki Yu),이병곤(Byeong-Gon Lee) 대한전기학회 2017 전기학회논문지 Vol.66 No.6

        The risk of facilities in catenary is increasing because the railway section extension and high-speed train service. And visual check of workforce is not enough time to maintain the extensive railway facilities. Accordingly, The technical development trend of maintenance of railway facilities can be seen by automation and application of IT technology, especially the mechanization work and the information technology are spreading in the maintenance work of the train line solved by manpower.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method by obtaining the cantilever image using acquisition device and pole inspection system in high speed vehicle, to check the variation of the cantilever component using image processing.

      • KCI등재후보

        최대운동 후 산소섭취농도차이가 회복에 미치는 영향

        한승훈 ( Sueng Hun Han ),임순길 ( Soon Gill Lim ),박재우,김정수 ( Jung Soo Kim ),김판수 ( Pan Soo Kim ),오병진 ( Byung Jin Oh ) 대한무도학회 2011 대한무도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최대 운동 후 산소 농도를 달리한 회복법이 생리적 피로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남자유도선수 10명 대상으로 탈진적인 유산소운동을 실시 후 1차 실험에 대기산소 농도와 같은 21%, 2차 실험에 30%, 3차 실험에 90%의 고농도산소를 15분씩 섭취 시켜 안정시, 운동후, 회복 30분, 회복 90분에 혈중산소농도, 혈압, 젖산, 암모니아를 검사한 결과 혈중산소포화는 산소 농도 30%와 90% 집단이 21%집단에 비해 회복 90분더 높은 혈중산소포화도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검증할 수 없으며,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모두 산소농도를 21%, 30%, 90%로 달리 하여 섭취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검증 할 수 없었다. 젖산은 회복 30분에 산소농도 90%집단이 21%와 30%집단 보다 낮으나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검증할 수 없으나, 집단과 시기 간에 상호작용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모니아는 최대운동 후 산소농도를 21%, 30%, 90%로 달리 하여 섭취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검증 할 수 없었다. 최대운동 후 휴식시 섭취하는 고농도 산소는 젖산에서 나타난 집단과 시가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었으나, 산소농도차이에 따른 혈중산소농도, 혈압, 암모니아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원인으로는 평소 고강도 훈련을 실시하는 유도선수들임으로 신체 에너지 보유량이나 회복능력이 빠른 점과 본 연구에서 측정한 혈중산소농도, 혈압, 젖산, 암모니아는 운동 후 빠른 대사가 이루어져 유용한 변화를 검증 할 수 없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In this study, blood oxygen concentration, blood pressure, lactic acid, and ammonia are investigated at the states of stable, after performing exercise, recovery for 30 minutes, and recovery for 90 minutes by applying highly concentrated oxygen of 21% as the same as atmosphere oxygen concentration in the first experiment, 30% for the second experiment, and 90% for the third experiment after performing exhaustive aerobic exercises for the subjects, 10 male Judo playe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 recovery method that varies oxygen concentrations after completing maximum exercise. In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although the groups that apply oxygen concentrations of 30% and 90% represent higher blood oxygen saturation than the group, which applies oxygen concentration of 21%, for the recovery for 90 minutes, it is not possible to verify their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lood oxygen satu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oxygen concentrations, such as 21%, 30%, and 90%, for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In the case of the lactic acid, although the group that applies oxygen concentration of 90% shows lower oxygen concentration than the groups that apply oxygen concentrations of 21% and 30% for the recovery for 30 minutes, it is not possible to verif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However, there are some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s and the times. In the ammonia, it is difficult to verify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aking oxygen by varying its concentrations, such as 21%, 30%, and 90%, after performing maximum exercise. In addition,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xygen intake concentrations at a recovery period after performing maximum exercise as well as blood oxygen concentration, blood pressure, lactic acid, and ammonia. The results are due to the fact that Judo players have a high physical energy level and a fast recovery rate because they have high intensity training in their normal times. In addi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verification of the significant change in some factors measured in this study, such as blood oxygen concentration, blood pressure, lactic acid, and ammonia, is difficult because such factors represent fast metabolism after performing exercise.

      • 약지도 학습을 이용한 양파 질병 증상 자동 검출

        한승훈 ( Seung-hoon Han ),강경민 ( Kyeong-min Kang ),김완수 ( Wan-soo Kim ),김용주 ( Yong-joo Kim ),이대현 ( Dae-hyun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농업 노동력 감소 및 1인당 재배면적의 증가는 작물의 일관되고 효율적인 질병 예찰을 어렵게 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 인식 기술 등의 무인화 시스템을 이용한 기술적인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파 재배 자동화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딥러닝을 이용하여 양파 재배 영상 내 질병 증상을 자동으로 검출하였다. 양파 재배지의 실시간 감시가 가능한 영상 수집 시스템을 이용하여 학습용 영상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영상은 딥러닝 모델 학습을 위한 영상크기로 샘플링 한 후 영상단위로 라벨링을 수행하였다. 양파 질병 증상 검출을 위한 기반 모델은 VGG-16을 이용하였으며, 주석작업에 필요한 노동력 절감을 위해 영상단위 라벨링으로 객체 검출이 가능한 약지도 학습 방법을 이용하였다. 딥러닝 모델의 학습결과 학습 정확도는 약 93%, 검증 정확도는 약 82%, 시험 정확도는 약 70%로 각각 관찰되었으며, 활성화 맵을 이용하여 검출된 영역을 시각화한 결과 질병 증상의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임계값을 이용하여 검출된 질병 영역을 이진화한 후 전체 영상에 대한 비율을 발병도로 평가할 결과 0.6 ~ 7.0%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임계값 변화에 따른 알람 단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기준에 대한 선정 방법의 세분화 및 검증을 통해 양파 질병에 대한 자동 알람 정보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