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 - 한국과 일본, 미국의 연구 경향 비교를 중심으로 -

        최정신 한국주거학회 1996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장래에 이루어질 노인주거연구의 주제를 예측할 수 있도록 일본, 미국, 한국의 노인주거연구의 경향의 차이를 파악하고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세나라에서 1940년대부터 1990년대 현대까지 발표된 노인주거연구에 대한 학술지와 논문을 분석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세 나라에서 전체 772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이를 발표된 연도와 주제에 따라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과 미국의 연구 경향의 특징을 별도로 발표한 후속 연구이다. 일본에서는 1950년대에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어 80년대 후반에 절정을 이루었으며, 그 이후로 서서히 관심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일본에서의 주요 주제는 노인홈과 노인시설내의 주 생활조사, 3대 동거 주택, 유료노인홈과 노인시설의 소비자 문제등이다. 미국의 경우, 노인주거의 연구는 일본보다 빠른 1940년대에 시작되어 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서 다른 때보다 더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다. 주요주제는 1970년대부터 80년대에는 노인주거와 노인시설에 집중되어 있었으나 80년대 이후에 노인주거의 연구방법과 노인주택정책방향으로 관심이 바뀌고 있다. 한국에서의 노인주거에 대한 연구는 세나라 중에서 가장 늦은, 1970년대 후반부터 시작되어 80년대 후반 이래로 그 관심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서 가장 관심이 있는 연구대상의 하나는 일본과 마찬가지로 기혼자녀와 노부모와의 동거주택에 대한 주제이다. 이상 세나라의 연구주제에서의 차이점은, 한국과 일본에서는 모두 노인주거와 연구방법 분야에는 비교적 관심이 적은 반면, 미국에서는 3대동거주택에 대한 관심이 적은 것이다. 일본과 미국 두나라에 비하여 한국에서는 노인주거 연구에 있어서 아직까지 다양한 주제를 발견하기 어려운데 그 이유는 한국에서는 노인주거에 대한 구체적인 개발이 아직까지 이루어지지 않아서 노인주거에 대한 경험도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앞으로 한국에서도 노인주거가 개발된다면 그 후에는 보다 다양한 연구주제가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된다. 예를 들면 노인거주시설의 질적인 비교, 특수한 형태의 노인주거에 대한 요구, 노인주거내의 주생활조사나 평가, 노인을 위한 설비의 디자인 등에 관한 연구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도시위치와 인구규모에 따른 주거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인구 20만인 이상 34개 도시의 온라인조사를 중심으로

        장한두(Jang, Han Doo) 한국주거환경학회 2020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8 No.3

        대도시와 수도권 중심의 국토정책으로 인해 비수도권지역 중소도시는 도시문제가 심화되고 있어서 이에 따른 도시관리와 공공사업 방향도 차이를 두어야 할 것으로 보고 주거만족도 조사에 기반하여 도시 인구규모와 수도권 여부에 따른 비교를 통해 비수도권 중소도시의 주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하는 도시문제와 주거지관리의 초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연구로 인구규모와 수도권 여부에 따른 주거환경의 문제와 이슈를 정리하였고 주거만족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더불어 최근의 경험적 연구결과를 요약하였다. 조사대상은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도시와 중소도시로 구분하여 비교 가능한 34개 지자체 775세대에 조사하였으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민이 주거환경에서 불만이 높은 요인은 물리적 환경에서 보행안전과 주차편의, 사회적 환경에서 지역경제, 가로의 관리와 안전이며, 도시 인구규모에 따라 차이가 높은 주거환경 요인은 대중교통 편의, 의료ㆍ편의시설 접근성, 공공안전서비스 순으로 모두 도시 인구규모가 작을수록 불만이 높았다. 수도권 여부에 따라서는 비수도권 도시에서 공원 이용편리, 보행안전, 대중교통 편의에 불만이 높았다. 둘째, 주거만족에 영향이 높은 요인은 사회적 환경에서 이웃관계와 주거지 평판, 물리적 환경에서 주거밀도와 개방감이며, 도시특성별 영향수준의 차이는 주거밀도와 개방감, 가로관리와 안전, 공공안전서비스, 의료ㆍ편의시설 접근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도시의 인구규모에 따라 차이가 높은 물리적 환경의 세부항목은 버스ㆍ택시 등 대중교통 이용편의, 병원까지 거리, 버스노선 수ㆍ운행빈도, 응급실까지 거리, 버스ㆍ기차 등 시외교통수단 접근성 순으로 인구규모가 작은 도시에서 불만이 높았으며 수도권 여부에 따라서는 버스정류장 접근성, 어린이놀이터 접근성, 대기오염 정도, 공원까지 거리 순으로 대기오염만 수도권에서 불만이 높고 모두 비수도권에서 불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residential satisfaction in small-and-medium cities of non-metropolitan areas in Korea. A cross-sectional survey with online survey method was us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in 2015. Participants were total 775 residents who represented 775 households in 34 cities in Ko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Chi-square 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The dis-satisfaction factors of physical environment were the walking safety and the parking facilities. The regional economic status, management system, and safety of urban street were the dis-satisfaction factors in social-economic environments. The most important significant factors for residential satisfactions in social-economic environments were the neighboring relationship and the residential reputation. The residential density and the sense of openness were the most important significant factors in physical environments. Also,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d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ity s population and whether it was metropolitan areas or not. These results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in small-and-medium cities of non-metropolitan areas in Korea.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make more specific action plans for planning and manag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cities in local small-and-medium cities in Korea.

      • KCI등재

        디지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주거 연구 키워드 동향 분석

        이소연,김영주 한국주거학회 2020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주거 연구의 동향을 체계적 문헌고찰(systematic review)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주거연구의 대표적인 저널인 한국주거학회의 지난 30년간의 논문 전수의 키워드를 네트워크 분석하였다. 10년별로 그 양상을 횡적 연구(cross-section analysis)하여 그 시기의 경향을 살펴보고 이를 다시 시계열분석분석(time series analysis)하는 종단연구설계(longitudinal design)를 수행하여 연구의 변화 동향을 시대에 따라 비교하였다. 디지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키워드의 연결중심성과 가중연결중심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과 아파트 관련 연구가 전체 연구의 과반수를 차지할 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아파트 연구는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반면 공동주택에 관한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아울러 노인 관련 연구는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도시 관련 연구는 초창기에 개발에 관한 내용으로 시작되어 최근 재생으로 그 관심 분야가 전환되고 있다. 인구 및 가구형태의 변화에 대응하는 연구가 나타나고 있다. 주거환경과 같은 물리적인 분야에서 주거 만족과 같은 감성·심리적인 전환이 나타나고 있으며, 주거 개발은 주거의 유지 및 지속성에의 관심으로 전환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법을 사용하여 주거연구를 다각적이고 입체적으로 분석하여 그동안의 주거연구의 경향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진단하여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housing research trend using a digital network analysis. Keywords from articles released over the past three decades at th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were applied. The cross-section analysis was applied to examine the trends by decades. Then a longitudinal design employing time series analysis was implemented, comparing the trends of relevant research in terms of periods. The degree centrality and weighted degree centrality of keyword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hown as follows. Studies on multi-family housing and apartment accounted almost half of the total studies, and studies on elderly people are on the rise. Initial research on cities focused on development, and now transitions to urban regeneration. Emotional and psychological variations such as housing satisfaction are shown instead of physical areas such as residential environment. Similarly, interests in housing development is changing to housing maintenance and continuity. The flow of the housing studies is that the interest of the study has changed from the quantitative and physical growth of housing to qualitative growth. Also, the flow of the study has gone through a transition, mirroring sociodemographic variations and national policies comprehensive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FGI를 통한 군관사 주거만족요인과 주거정책의 방향성

        노영호(Nho, Young Ho),김승희(Kim, Seung Hee) 한국주거환경학회 2020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various problems of the military housing policy from a new perspective of the military housing welfare personnel who are working in the house field spot and explore tasks to improve it. As a result of the FGI conducted with 224 military housing welfare personnel in charge of housing welfare nationwide, it was confirmed that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housing satisfaction factor, the utility status of housing, accessibility factors, community factors, and even military-specific factors affect the housing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of military offices. Even if a military house with good facilities is built in a new city in the metropolitan area, a conflict with local residents sometimes lowers housing satisfaction. Military houses built in the small towns and backcountry, they are avoided by the solider and his/her family because their housing satisfaction is very low. As a result, demand for house is moving to single Bachelor Officers Quarters. The factor of the welfare personnel who manages the military house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residents’ housing satisfaction, and the military-specific factors such as administrative regulations or complicated decision-making process within the military was also identified as factors influencing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the residents of the military house. Community factors and military specificity factors were not recognized in past military housing satisfaction studies, but were confirmed through this FGI study. 직업군인의 주거불만족 원인을 찾기 위하여 군 주거정책에 대한 선행연구가 상당수 있었다. 그러나 기존연구는 군 주거시설의 노후화 및 협소화 위주로 연구하여, 문제인식이 한쪽으로 치우쳐진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균형잡힌 군 주거정책의 문제점을 인식하기 위하여 기존 선행연구를 벗어난 새로운 시각에서 연구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군 주거복지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군관사 정책에 대한 그들의 새로운 시각을 통해 군 주거정책의 다양한 과제를 탐색하고 군 정책의 방향성을 얻기 위함이다.이를 위하여 실무부대에서 군 주거정책을 담당하는 주거복지담당자 그룹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을 진행하였다. 전국 주거복지담당자 2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FGI의 결과로 전통적인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인 주거수준 외에도 접근성 요인과 지역사회요인, 그리고 군 특수성 요인까지도 군관사 거주자의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수도권 신도시에 시설 좋은 군관사를 건립해도 지역주민들과의 갈등이 생기면 주거만족도가 낮아지기도 하고, 복잡한 군내 의사결정과정이 군인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있다는 사실도 연구결과로 도출하였다. 지역사회요인과 군 특수성 요인은 과거 군 주거만족도 연구에서는 인지되지 못하다가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된 내용이다.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고령가구 주거이동 실태 비교연구

        양지수,김호철 한국주거환경학회 2023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1 No.4

        본 연구는 주거실태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의 고령가구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전후 주거이동 실태 변화와 주거이동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종속변수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전후 고령가구의 주거이동 의향 영향요인은 가구원 수, 소득, 주거환경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코로나19 후 고령가구는 상대적으로 주거환경이 양호한 도시지역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셋째, 코로나19 후 고령자 주거이동에 있어서도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 간 양극화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사례 수가 적어 일괄하여 논의되었던 고령자 주거이동 실태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통해 주거이동 선택의 함의와 동기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고령자 주거 안정을 위해서는 고령자 일자리 정책이 병행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로 변화하는 고령자의 주거이동 욕구를 반영한 지역 단위 고령자 주거 대안을 실행할 필요가 있으며, 고령화 속도에 부응하는 도시 인프라 재조정이 고령자 주거정책의 우선 순위가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changes in the housing mobility patterns of elderly households nationwide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s well as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their intention to move, using microdata from Korea housing survey. The analysis utilized binary logistic regress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endent variabl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influencing the elderly households’ intention to move before and after COVID-19. The determinants include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monthly average total disposable income and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Second, after COVID-19, elderly households tend to have an increased preference for urban areas with relatively good residential environments. Third, a polarization in housing mobility between urban and non-urban areas was observed among the elderly after COVID-19. This study aimed to interpret the implications and motivations of residential mobility choices through a micro-level analysis of the residential mobility of the elderly, which has been discussed collectively due to the small number of cases.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in order to ensure housing stability for the elderly, senior employment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concurrently. According to the findings, it i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localized senior housing alternatives that reflect the changing residential mobility needs of the elderly. Furthermore, the reconfiguration of urban infrastructure to accommodate the aging population should be prioritized in elderly housing policies, in line with the pace of population aging.

      • KCI등재

        지역 저층주거지의 물리적 환경 분석 - 청주시 사례 -

        이현복,변나향 한국주거학회 2022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3 No.4

        The city’s low-rise residence not only display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modern and contemporary urban planning but also contributes to the preservation of a distinctive urban landscape. Low-rise residences are urban dwellings comprising small plots and blocks, and they have variable characteristics in contrast to apartment complexes. They are also affected by local environmental and physical factors depending on where they are located in a city. Understanding the construction of low-rise residences and the planning process for each area of living space and physical shape transformation is the first step in the research approach. Second, the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 environment via the lens of the urban landscape. Third, physical aspects such as layouts, building arrangements, and external spatial shapes in low-rise residential area block units are evaluated. By combining the results of block-scale analysis of residential areas, it is reasonable to conclude that low-rise residences form a distinguished urban residential landscape based on a sustainable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that have been preserved by accommodating commercial or residential functions based on the respective circumstances of each city. 도시의 저층 주거지는 한국 근현대 도시계획의 특징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독특한 도시경관의 보전에 기여한다. 저층주거는 작은 구획과 구획으로 구성된 도시형 주거형태로 아파트 단지와 달리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시의 위치에 따라 지역 환경 및 물리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저층주택의 공간계획이 한국의 건축적, 문화적 측면을 반영한다는 전제 하에 수행되었으며, 이러한 저층주택의 특성과 의미를 규명하기 위해 수도권에서 이러한 주택의 물리적 공간구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저층주거지의 건설과 생활 공간의 시대별 계획 과정 및 물리적 형태 변형을 이해하는 것이 연구 접근의 첫 번째 단계이다. 둘째, 도시경관의 렌즈를 통해 거리환경의 특성을 고찰한다. 셋째, 저층주거지의 블록단위의 배치, 건축배치, 외부공간형상 등 물리적인 측면을 평가한다. 그 결과 저층주거지는 물리적 규모에 기초한 구성요소와 특징을 포함하고, 각 요소가 상호작용하여 저층주거지역의 독특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주거지역에 대한 블록단위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저층주거지는 지속가능한 환경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도시주거경관을 형성하고 있으며, 각각의 특성을 기반으로 상업 또는 주거기능을 수용하여 특성을 보이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 KCI등재

        한국인 대학생과 외국인 유학생의 주거가치요인들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 전·후 비교 분석 -

        고은하,김석태 한국주거환경학회 2023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1 No.4

        본 연구는 서울지역 원룸주택 거주자의 주거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주거가치, 주거만족도, 의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국대학교 인근에 거주하는 동국대학교 학생들의 원룸 주택 선택에 있어 주거가치와 주거만족도 간의 관계는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로 알아본 요인 이외에 일반적 특성 및 주거특성에 따른 특성, 주거가치에 따라 주거만족에 영향을 주는 정도, 특히 지역적 특수성을 판단하기 위해 서울시 중구 장충동 동국대학교 인근을 대상으로 하고 내국인과 외국인의 비교연구를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연구과 차별성이 있다. 2019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조사를 통해 SPSS 통계자료를 분석하였다. 주거가치 요인은 거주성, 실내외 환경성, 경제편익성, 교통편리성, 내부기능성인 5요인이고, 주거만족도는 6개 변수(내부시설의 편리성,입지성, 환경성, 경제성, 안전성, 사회성)로 설정하였다. 궁극적으로 이 연구는 원룸 실거주자들의 가치관을 알아보고 현재 원룸주택이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거주자의 욕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원룸주택의 공급이 늘어나고 있는 현 상황에 더욱 알맞은 수요를 예측함으로써 미래의 보다 적합한 형태의 원룸주택의 정착과 원룸 주택계획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housing value factors of Korean and foreign students on housing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COVID-19.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value and housing satisfaction is important in choosing one-room housing for Dongguk University students living near Dongguk University. SPSS statistical data were analyzed through surveys from January 2019 to December 2020. These studies show that Dongguk University students, especially those living in Jangchung-dong, Jung-gu, Seoul, are aware of the value of typical one-room residents and problems with one-room housing, which is meaningful in predicting more suitable demand for startups and providing basic data. It is more appropriate to establish a one-room housing and one-room housing plan. This study will illuminate the housing value and housing satisfaction factors of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 KCI등재

        개발제한구역내 국민임대주택의 입지특성과 주거만족도 연구 - 경남․부산․울산시를 中心으로 -

        김성덕,서유석 한국주거환경학회 201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o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n green belt and suggest proper location model of it. Construc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in green belt has advantage of acquiring site to build it easily, but it is doubtful whether it is proper or not as housing environment of low income classes. To analyse and verify suitability of it's location in green belt, it was surveyed locational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especially types and number of neighborhood facilities, distance from home to downtown or their office, etc.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sing diverse conditions of 5 public rental housing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analysed that there were a lot of differences in numbers and characteristics of neighborhood facilities, and zoning around public rental housing affected numbers and characteristics of them more than it's location in the city. In other words, types and number of neighborhood facilities around public rental housing was increased more in case of commercial zoning than residential zoning. Secondly, dwellers' housing satisfaction of neighborhood facilities was also increased according to proximity(distance) from home to downtown and its' diversity. Thirdly, public rental housing dwellers' housing satisfaction is analysed to increase in downtown and suburban area more than in isolated area, and housing location affected housing satisfaction more than types and number of neighborhood facilities. Suitability of neighborhood and it's location is difficult to standardize it because of private preference differences, but housing satisfaction of low income classes was influenced so much by distance and arriving time from home to office, therefore, downtown area or area near to public rental housing is assessed to be good location in housing environment of low income class. At these area, there are diverse neighborhood facilities and public transportations, and they can get a job easily at there. 본 연구에서는 2004년 국민임대주택건설 특별조치법 시행으로 개발제한구역에 임대주택을 건립할 수 있도록 한 이후 건립된 국민임대주택(장기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입지의 적정성과 주거만족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국민임대주택의 입지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국민임대주택의 입지 및 주거환경과 관련하여 기존 관련연구 분석을 통해 정량적 분석의 지표로서 주거입지 및 주거환경 요소를, 정성적 분석의 지표로서 주거만족도를 평가요소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임대아파트 건립의 법적인 토대로서 개발제한구역에서의 예정지구지정에 관한 특례가 규정된‘국민임대주택건설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2003.12.31.) 시행이후, 관련법규 내용과 함께 이 특례규정에 따라 개발제한구역내에 건립된 경남·부산·울산지역의 임대아파트 단지를 사례조사 대상으로 선정하여 주거환경 및 입지적 특성과 함께 이에 대한 거주자들의 주거만족도를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주거입지의 적정성은 규범화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나 도시외곽에 위치할수록 근린생활시설이 적고 다양하지 못한데다가, 직장까지의 거리와 이동시간이 주거만족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므로 저소득층을 위한 국민임대주택이라는 속성상 가급적 다양한 대중교통의 이용이 가능하고 주변에 근린생활권이 이미 형성되어 있는 도심지역이나 기존주거지에 인접한 지역이 바람직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