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기관 설문조사를 통한 국내 소아 음성질환 환자의 검사 및 치료 유형 연구

        이종근,방승환,전재민,이정규,김연,우정수,조재구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19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30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Pediatric vocal health problems are relatively common. However, it is not yet well studied whether uniform diagnosis and treatment is done properly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hods that the Korean speech therapists use to diagnose and treat pediatric voice problem. Materials and Method:An anonymous onlin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32 speech language therapists registered at the Korean laryngeal speech linguistics society detailing demographics, employment institution, general management of pediatric patients with vocal problem including assessment and treatment procedures. Results:Current practice patterns were analyzed on 32 speech language therapists providing services in South Korea mostly working at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One third of pediatric patients were assessed without proceeding to treatment. One fifth of patients were treated without assessment. Perceptual assessment was the main pretreatment assessment methods used. Treatment was done in the following order : Voice rest, SOVT, yawn-sigh and resonant voice. Post-treatment evaluation was used in the following order : Instrumental assessment, clinical judgment, and recording comparison. Conclusion:Speech language therapists practice in South Korea mostly follows the ASHA practice guidelines. However, there are still great amount of cases in which only the evaluation was done without appropriate treatmen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make SPLs more systematic and efficient for evaluating and treating pediatric vocal patients.

      • KCI등재

        소아의 음성장애 및 치료 : 사례연구

        정옥란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1996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7 No.1

        소아들의 음성장애의 대부분은 음성과 기능에 의한 성대의 오용 및 남용으로부터 기인한다. 그러나 음성장애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소아의 음성장애 발견율은 극히 낮은 수준에 머므르고 있다. 치료에 있어서도 행동의 통제가 그다지 쉽지 않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연구는 소아의 음성장애의 발생경위와 문제의 설명과 차팅에 의한 남용의 감소에 초점을 둔 치료사례이다. 5세 아동의 심한 음성장애로 의뢰되어졌다. 음성증후는 목쉰소리, 기식화된 소리, 일시적인 발성일탈(phonation break) 등이 두드러졌다. 이비인후과 전문의의 스트로보스코프(stroboscope) 검진결과 초기 양측성 성대결절이 성대 앞쪽으로부터 1/3 지점에서 발견되었으며 비지피치(Visi-Pitch)로 측정된 퍼터베이션(perturbation 수치가 16.8이었다. 사례사 조사 과정에서 아동이 활동적이며 자주 고함을 지르고 자동차놀이를 주로하며 많은 시간을 보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중재 프로그램은 우선 문제를 설명하고 인식시키는 것과 고함을 지르거나 자동차놀이를 하면서 자동차 소음을 흉내내는 등의 음성남용 회수를 감소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17회의 치료로 성대결절이 감소되었고 퍼터베이션은 3.8로 저하되었으며 아동 스스로 음성남용을 통제할 수 있다는 임상적 판단하에 치료를 종결하였다. 1개월 후 추후 검사에서 남용적인 습관이 여전히 나타나지 않았으며 음성상태도 양호하였다. 소아 음성장애의 치료는 소아가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문제의 인식을 확실히 시키고 행동을 체계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치료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임상가의 자질이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나 그에 못지 않게, 많은 시간을 아동과 함께 보내는 부모나 교사의 협력이 치료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조구와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유지방 함량의 경우 대조구가 3.22%, 처리구가 3.37%로 처리구가 0.15% point 증가했으나 유의차는 없었다. Fan + sprinkler가 설치된 시설에서 사육된 젖소에서 생산된 우유내 체세포수는 대조구에 비해 26.63%가 감소되었으나 유의차는 발견할 수 없었다. 이상의 시험 결과에서 볼 때 fan + sprinkler를 이용한 방서 방법은 고온 stress를 완화시켜 유생산성의 증가에 기여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라고 본다.을 알 수가 있었다.없다. 본 논문의 대상은 바로 이러한 합성 동사성명사의 논항구조와 동사성명사에 의해 하위범주화된 논항들의 문법적 실현양상이다..그 결과 심리적 특성과 사용자 수용 특성은 아바타 수용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 결과가 나타났다.웨어 프로세스 평가와 개선 모델의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조직들이 실제로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밝힘으로써,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정책 입안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다.를 검증하려고 한다. 협력체계 확립, ${\circled}3$ 전문인력 확보 및 인력구성 조정, 그리고 ${\circled}4$ 방문보건사업의 강화 등이다., 대사(代謝)와 관계(關係)있음을 시사(示唆)해 주고 있다.ble nutrient (TDN) was highest in booting stage (59.7%);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other stages. The concentrations of Ca and P were not

      • KCI등재

        성대 폴립 환자에 대한 후두미세수술과 음성 치료의 전, 후 결과 비교

        김근효,임동원,천용일,신성찬,이병주,이연우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24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35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coustic and auditory-perceptual assessment of patients with vocal fold polyps (VP) before and after laryngeal microsurgery (LMS) and voice therapy (VT).Materials and Method A retrospective cohort design was employed. Sustained vowels and continuous speech samples produced by 36 patients diagnosed with VP were analyzed. Treatment outcome measures included, cepstral peak prominence (CPP), smoothed cepstral peak prominence (CPPS), acoustic voice quality index (AVQI), acoustic breathiness index (ABI), auditory-perceptual (A-P) ratings (G of GRBAS scale and overall severity [OS] of consensus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and voice handicap index-10 (VHI-10).Results Following LMS and VT,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PP, CPPS, AVQI, ABI (p<0.001) were observed. Additionally, A-P ratings (G and OS) and VHI-10 (p<0.001) significantly improved following LMS and VT. Acoustic analyses, A-P ratings and VHI-10 indicated that the voice quality has improved following LMS and VT.Conclusion Our study demonstrates that the concurrent application of LMS and VT in patients with VP leads to improvements in both voice quality and patient satisfact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 the management of VP, integrating both surgical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optimal outcomes.

      • KCI등재

        후두전적출술 후 음성 보형물(Provox®)을 이용한 음성 재활의 장기적 관리

        조정해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24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35 No.1

        Voice rehabilitation after total laryngectomy is of paramount importance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following surgery. Tracheoesophageal voice with a voice prosthesis has been considered the gold standard for voice rehabilitation. The success rate of voice rehabilitation using a voice prosthesis is known to be over 90%. However, voice prostheses require regular replacement. The average lifespan of the device is four to six months. Common reasons for replacement include leakage around or within the prosthesis (endo- or periprosthetic leakage). Adjustments to the prosthesis may be necessary to address these adverse events. Provox® (Atos medical, Sweden) has been one of the most widely used voice prostheses. It offers a range of devices to address various issues. Regular follow-up appointments are essential for monitoring voice quality, identifying and addressing any complications, and providing ongoing support and guidance.

      • KCI등재

        양성 후두 질환 환자의 후두미세 수술 전후 음성 장애 지수의 변화

        김지희,최효근,박범정,Kim, Ji Hee,Choi, Hyo Geun,Park, Bumjung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15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26 No.1

        후두 미세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수술 전과 후 전체적인 음성 장애 지수를 비교했을 때 모두 호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기능적, 물리적 영역에서는 남녀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감성적 영역에서는 여자보다 남자에서 수술 후 만족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해 음성 장애 지수가 음성의 상태를 모두 대변할 수는 없지만 객관적인 음향, 공기역학적 검사로 평가할 수 없었던 음성 장애에 대한 환자의 인식 정도를 정량화하여 평가할 수 있는 편리한 도구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진단검사에 위음성을 보인 후두전절제 환자 1예

        백문승,권혁로,김승우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22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33 No.1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by severe acute syndrome coronavirus-2 (SARS-CoV-2) occurs the unprecedented pandemic during recent two years and the WHO declared a global pandemic of COVID-19 in March 2020. The most common sampling sites in COVID-19 test are the oropharynx and nasopharynx. We recently encountered a total laryngectomee who had a positivity COVID-19 diagnostic test from the tracheostoma, on the other hand, false negativity from the nasal cavity. The meaning of this case is that accurate screening test could be achieved by performing a test through the tracheostoma as well as nasal cavity or oropharynx. We also would like to discuss the accurate testing methods of patients whose airflow has distorted due to surgery, the management method of these patients, and the need of further research in the COVID-19 pandemic period with relevant literature reviews.

      • KCI등재

        비대면 음성언어치료의 현황과 전망

        이승진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22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33 No.3

        Voice and speech therapy can be perform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lthough it is generally performed in a face-to-face manner. Telepractice refers to the provision of specialized voice and speech therapy by speech-language pathologists for assessment, therapy, and counseling by applying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from a remote location. Recently, due to the pandemic situation and the active use of non-face-to-face platforms, interest in telepractice of voice and speech therapy has increased. Moreover,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has been advocating its clinical usefulness and non-inferiority to traditional face-to-face intervention. In this review, the existing discussions, guidelines, and preliminary studies on non-face-toface voice and speech therapy were summarized, and recommendations on the tools for telepractice were provided.

      • KCI등재

        후두음성 질환에 대한 인공지능 연구

        석준걸,권택균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22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33 No.3

        Diagnosis using voice is non-invasive and can b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voice recording devices;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 screening or diagnostic assistant tool for laryngeal voice disease to help clinicians.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such as machine learning, led by the latest deep learning technology, began with a binary classification that distinguishes normal and pathological voices; consequently, it has contributed in improving the accuracy of multi-classification to classify various types of pathological voices. However, no conclusions that can be applied in the clinical field have yet been achieved. Most studies on pathological speech classification using speech have used the continuous short vowel /ah/, which is relatively easier than using continuous or running speech. However, continuous speech has the potential to derive more accurate results as additional information can be obtained from the change in the voice signal over time. In this review, explanations of term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and the latest trends in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algorithms are reviewed; furthermore, the latest research results and limitations are introduced to provide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ers.

      • KCI등재

        갑상선 수술 후 음성 변화에 대한 비대면 음성언어치료 증례

        이길준,박수나,Lee, GilJoon,Park, Su Na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2021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32 No.1

        Voice therapy is effective in many voice and speech disorders. However, patients have low accessibility to therapeutic facilities due to disease-unrelated reasons such as lack of time and pandemic of COVID-19. Contactless voice therapy could be an alternative and may helpful to all patients with voice and speech problems. We developed contactless voice and speech therapy program on the necessity of improving accessibility. Herein, we report the first case of voice therapy to 30 year-old female patient who complained voice change after total thyroidectomy using contactless voice and speech therapy service platform in Korea.

      • KCI등재

        음성직업인의 음성에 관하여

        문영일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 1991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4 No.1

        인류발생의 시초부터 인간은 음성을 의사전달, 지식전달, 감정표현의 수단으로 사용하여 왔다.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것은 다른 동물과는 달리 음성을 사용하여 말을 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를 통하여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지식과 고유한 문화를 전수해 나갈 수 있는 것이다. (중략)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