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steostimulating Ability of β-tricalcium Phosphate/collagen Composite as a Practical Bone-grafting Substitute: In vitro and in vivo Comparison Study with Commercial One

        전은지,김성호,이동건,조윤기,기미란,박창주,장현석,안진수,백승필,전상호 한국생물공학회 2021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Vol.26 No.6

        A biocompatible and biodegradable bioceramic, β-tricalcium phosphate (β-TCP) has been widely considered as a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to autograft for bone reconstruction due to its excellent osteoconductivity. Here, we prepared the composite of β-TCP and collagen (β-TCP/ col) to investigate whether such a bone extracellular matrix (ECM)-mimetic synthetic bone graft can achieve a highly accelerated bone growth comparable to a commercially available bone substitute. The bone regenerating effects of the β-TCP/col block were evaluated in vitro and in vivo by comparison with Bio-Oss Collagen® (Bio-Oss/col). Preosteoblasts showed similar levels of cell adhesion and proliferation in the β-TCP/col and Bio-Oss/col scaffolds. Expression levels of osteogenic differentiation marker genes, including alkaline phosphatase (ALP), bone sialoprotein (BSP) and osteocalcin (OCN), increased significantly in cells on the collagen plug compared to the control (without any bone graft material). Notably, cells on the β-TCP/col scaffold exhibited more than 2-fold higher expression levels of ALP and OCN compared to the Bio-Oss/col scaffold. In addition, in vivo animal experiments showed that the β-TCP/col scaffold induced a remarkably accelerated bone formation (~69.54%) compared to the Bio-Oss/col scaffold (~67.08%) and the collagen plug (~11.47%) at 8 weeks after implanta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mposite of β-TCP and collagen (β-TCP/col) showing a comparable bone-regenerating ability could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most commercially available Bio-Oss Collagen®.

      • KCI등재

        창업가 특성요인과 창업코칭활동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의식전환을 매개로

        전은지,양영석,김명숙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1

        This paper is brought to analyze an impact of coaching activities over entrepreneur with respect to entrepreneur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performance of Startups focusing on entrepreneur’s awareness conversion effect. In particular, the situation of falling focus of serious startup failure on uncoachable obstinate entrepreneur among the several causes of startup failures, this paper define the research mission of reducing this risk by inducing coaching types of cooperations between senior entrepreneur having serial successful startup experiences and beginning entrepreneur. This paper carry out literature reviews chiefly on startup coaching researches rather than mentoring studies because coaching stressing on self-oriented problem defining and solving by entrepreneur actively tend to be more effective than mentoring relying on mentor’s guideline passively as solving startup’s main upcoming problems. This paper implement four related researches. First, the impact analysis of entrepreneur’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coaching activities, second, influences of entrepreneurs environmental factors on them, Third, impact of coaching activities on entrepreneur’s awareness conversion effect, Fourth, how strongly this conversion effect contributing on the performance of startup. As results of empirical research, first, this paper prove that entrepreneur’s environmental factors impact positively on coaching activities over entrepreneur although failing on validating on significant impact of entrepreneur’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coaching activities. Second, this paper prove that coaching activities positively influence on entrepreneur’s awareness conversion, hence ultimately positively on the performance of startups. As conclusion, this paper validate that coaching activities over entrepreneur through inducing on the conversion of entrepreneur’s awareness lead entrepreneur to setting the bar high and accountable planning of business milestone. This paper contribute on delivering policy implication that government initiatin action-oriented training program for entrepreneurs should accept the module of coaching session to produce more effective results. 본 연구는 창업가 개인특성과 환경특성이 창업코칭활동과 창업가 의식전환을 매개로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본 논문은 여러 사업실패원인이 있지만, 대다수의 창업가들이 유연하지 못한 사고로 인하여 성공적인 창업을 하지 못하고 좌절하는 것이 큰 문제로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위험을 줄이기 위해 사업 및 시장경험자와 코칭을 통한 협력적 사업실행이 요구됨을 문제제기로 작성되었다. 본 논문은 선행연구를 창업코칭 중심으로 진행하였는데, 이는 멘토링이 창업가의 문제점 해결함에 있어 멘토의 직접적인 의견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창업자가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는 행동지향적인 과정이 미흡하여 이는 창업가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대한 한계점이 있다는 지적에서 코칭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크게 네 가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창업가의 개인특성이 창업코칭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분석, 둘째, 창업가의 환경특성이 창업코칭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셋째, 창업코칭활동이 창업가의 의식전환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넷째, 이러한 창업가의 의식전환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등이다. 실증분석의 결과, 본 연구는 창업가 개인특성이 창업코칭활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지만, 창업가 환경특성은 창업코칭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불어 창업코칭활동은 창업가의 의식전환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창업가 의식전환은 창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는 창업코칭활동과 창업가 의식전환이 창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창업코칭활동으로 창업가의 의식이 전환되어, 창업성과를 높이기 위한 목표 재설정과 실행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실전창업교육 프로그램들에 코칭방식의 진행이 적극 수용되어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초기 성인의 COVID-19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SNS 이용강도로 조절된 상향비교의 매개효과

        전은지,최기현,하정희 한국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NS upward comparison and SNS usage intens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depression in young ad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VID-19 stress, SNS upward comparison, and depress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SNS usage intens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VID-19 stress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NS upward comparison, but not with depression. Second, COVID-19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which was partially mediated by SNS upward comparison. Third, SNS intensit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and SNS upward comparison. Finally, the indirect effect of COVID-19 stress on depression via SNS upward comparison was moderated by SNS usage intensity. Several implications for the depression of young adults in the COVID-19 pandemic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COVID-19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SNS 상향비교와 SNS 이용강도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여 각 변인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 링크를 구성하였고, 최종적으로 총 280부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스트레스, SNS 상향비교, 우울은 각각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SNS 이용강도는 COVID-19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 SNS 상향비교와는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고 우울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COVID-19 스트레스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여기에서 SNS 상향비교가 부분 매개하였다. 셋째, COVID-19 스트레스와 SNS 상향비교 사이의 관계를 SNS 이용강도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COVID-19 스트레스가 SNS 상향비교를 통하여 우울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SNS 이용강도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COVID-19 스트레스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겪을 수 있는 초기 성인의 우울과 관련한 함의를 몇 가지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시간선호를 통해 본 노인의 경제적 의사결정 : 경제교육 필요성에 대한 함의

        전은지,박성빈,최민식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5

        노인인구가 많아지는 우리 사회에서 노인들의 경제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평생교육으로서의 경제교육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노인인구의 경제적 의사결정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노인들을 대상으로 시간할인율을 측정하여 노인들의 시간선호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노인들의 합리적 경제 생활을 위한 경제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노인들의 시간선호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60세 이상 남녀노인 73명을 대상으로 경제실험을 실시하여 개인의 시간할인율을 측정하였다. 시간할인율은 개인의 현재지향적인 특성, 충동성, 자기통제력 부족, 근시안적인 성향 등을 설명하는 변수이다. 연구결과 노인은 청소년과 비교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낮은 시간할인율을 보였다. 이는 청소년이 노인에 비하여 충동성이 높고 자기 통제력이 약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본인의 노후시기 포함 여부 인식과 기대여명, 장애진단여부, 봉사활동 경험유무 등으로 노인집단을 구분하였을 때, 집단 간에 시간 할인율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인이 노후시기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인식하고 기대여명이 짧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시간할인율이 높았다. 또한 장애진단을 받고, 봉사활동 경험을 가진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하여 시간할인율이 높았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노인경제교육을 포함한 평생경제교육 또한 미래지향적인 소비 생활을 이끌 수 있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함을 이해할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s on older adults who are over 60 years old and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references and some related variabl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s economic decision making. We investigate the time preferences of 73 elderly men and women living in Seoul by using the rate of time discount suggested by behavioral economics. The rate of time discounted is well known as an important explanatory variable that indicates an individual's impulsiveness, self-control, and present orientation. We discovered that older adults' average rate of time discount was lower than that of young adults, and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implies that aged people are less likely to be impulsive and more likely to show higher self-control. We also found that those who identify with the aged group and think that their remaining life is relatively shorter show higher rates of time discount than those who consider themselves still ‘not old enough’. In addition, older adults with disability also tended to show higher rates of time discount. This implies that lifelong economics education is needed to promote the ability of economic decision making with longer term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공공연구성과 실용화를 위한 데이터 기반의 기술 포트폴리오 분석: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분야를 중심으로

        전은지 ( Eunji Jeon ),이채원 ( Chae Won Lee ),류제택 ( Jea-tek Ryu ) (사)한국빅데이터학회 2021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Vol.6 No.2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은 4차 산업혁명에 핵심적인 기술이나, 국내 중소·중견 기업의 빅데이터 분석 활용과 복합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경쟁력 확보가 미흡한 상황이다. 따라서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분야의 기술사업화를 통해 산업군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 포트폴리오 분석을 통해 공공연구성과 실용화 우선순위를 평가하고자 한다. 우선 공공연구성과 정보에 대해 앙상블 기법을 적용한 딥러닝 모델을 사용하여 과제의 6T 분류 결측값을 개선하였다. 이후 6T 분야별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융합 분야를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을 진행하여 10개의 세부기술분야를 도출하였다. 세부기술분야별 기술사업화 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해 기술활동성과 기술효율성을 새롭게 정의하고 측정하였다. 두 축을 기반으로 포트폴리오를 4가지의 유형으로 구분하여 기술사업화 최우선 고려 대상, 장기 투자가 필요한 기술분야 등을 제안하였다. ‘영상 및 이미지 기반의 진단 기술’은 기술활동성 및 기술효율성이 높아 시장의 수요와 사업화 역량 모두 이상적인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체계적인 산업·기술시장 분석을 통해 공공 연구성과 창출 기술의 활용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중소·중견으로의 효율적인 기술 이전 및 사업화 추진이 가능하다. Sinc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ell short of the securement of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field―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overall industry through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n this study, we aimed to propose a priority related to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for practical use of public research results. We utilized public research performance information, improving missing values of 6T classification by deep learning model with an ensemble method. Then, we conducted topic modeling to derive the converging fields of big data and AI. We classified the technology fields into four different segments in the technology portfolio based on technology activity and technology efficiency, estimating the potential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or those fields. We proposed a priority of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for 10 detailed technology fields that require long-term investment. Through systematic analysis, active utilization of technology, and efficient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can be promoted.

      • KCI등재

        코로나19 시기의 초등학교 시각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과 복지서비스 욕구

        전은지( Eun Ji Jeon),하정희(Jung Hee Ha),김지혜(Ji-Hye Kim)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3 시각장애연구 Vol.39 No.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서 초등학교 시각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경험과 복지서비스 욕구의 주관적 경험을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연구 참여 공문을 통해 모집한 시각장애아동의 어머니 8명을 면접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반구조화 질문지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에 따라 자료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코로나19에서 초등학교 시각장애아동 어머니가 경험하는 교육과 양육의 특성에 따른 영역은 ‘시각장애아동을 위한 교육의 한계’와 ‘양육에 작용한 변화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코로나19에서 초등학교 시각장애아동이 겪은 변화의 영역은 ‘코로나19에서 아동의 내적 변화’와 ‘코로나19에서 아동의 환경적 변화’이다. 셋째, 필요한 복지서비스 욕구의 영역은 ‘시각장애 학습지 지원 욕구’와 ‘사회복지 서비스 욕구’로 탐색됐다. 결론: 코로나19 시기의 시각장애아동 어머니들의 심리사회적 경험과 특수한 욕구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상담심리서비스와 복지 지원의 특수한 욕구에 따른 실천적 방안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the insight in the parenting experiences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have visual impairmen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 To explore the parenting experiences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have visual impairments, 8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and data was analyzed by the CQR method. Result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and rearing experience of mothers were ‘limitations of education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s' and ‘changing roles in rearing children. Second, the changed domains by visually impair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during the COVID-19 were ‘internal changes of children in COVID-19'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children in COVID-19. Third, the domains of welfare service need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have visual impairments were ‘the desire to support learning sites for visual impairments' and ‘the desire for social welfare services.' Conclusion: We sought to gain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sychosocial experiences and particular requirements of mothers with visually impaired childre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and this article could be provide the practical implication such as counseling, psychological services, and welfare assistance for the post-COVID-19.

      • KCI등재

        한국판 반려동물 애도 척도(K-PBQ)의 타당화

        전은지(Eunji Jeon),최기현(Kihyun Choi),하정희(Junghee Ha) 한국재활심리학회 2022 재활심리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반려동물 상실에 대한 애도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Hunt와 Padilla(2006)가 개발한 반려동물 애도 척도의 한국판 번안 및 타당화 검증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반려동물을 상실한 경험이 있는 성인 총 362명 자료를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요인분석 결과 ‘슬픔’, ‘분노’, ‘외상’ 3개의 요인을 최종적으로 도출하였다. 둘째, 각 하위 요인 및 전체 척도에서 양호한 수준인 구인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셋째, 한국판 반려동물 애도척도는 기존의 반려동물 애도척도와 유사한 개념인 우울, 상태분노, 죄책감과 상이한 개념인 다차원적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의 관련성을 확인하며 준거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넷째, 성별 간 반려동물 애도의 차이에서는 남녀가 비슷한 수준으로 애도, 분노, 외상을 경험하나 여성의 경우 남성보다 슬픔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반려동물 상실 후 5년 정도까지 사람들의 외상 수준의 심리적 고통은 비슷하게 유지된다고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한국판 반려동물 애도 척도의 활용방안, 문화적, 성별 및 기간 별 차이, 시사점, 한계 및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pet bereavement questionnaire scores. We conducted a factor analysis using data from 362 adults who had experience losing pets. Ou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ed in 12 items within three factors: grief, anger, and trauma. Evidence of construct validity on each item and reliability for the K-PBQ total score were support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reliability value. Criterion validity was supported by positive correlations of the K-PBQ with BDI, State Anger, and Guilt scales scores. Evidence of discriminant validity was also supported by a non-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K-PBQ and Multidimensional Perceived Social Support.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s of bereavement, anger, and trauma between two gender groups, whereases women reported higher levels of grief than their men counterpart. Lastly, participants in our study reported a similar level of psychological pain within five years of losing their p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