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시각장애 정의 및 선정평가 영역 비교 고찰

        이태훈(Lee, Tae-Hoo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시각장애 정의’ 및 ‘선정평가 영역’을 비교함으로써,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시각장애 정의’와 ‘시각장애를 지닌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평가 영역’의 개정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한국과 미국의 특수교육 관련 법령과 공공기관에서 발행한 특수교육 지침서를 수집하고, 공공언어 진단 도구와 특수교육법에 규정된 평가 목적에 관한 조항을 기준으로 분석・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시각장애 정의’에 대한 조문을 법률의 목적성과 지향성, 이해의 용이성, 표현의 정확성, 정보량의 적절성 4가지를 비교한 결과, 한국이 미국보다 4가지 기준에 대한 부합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시각장애 교육 대상자 결정을 위한 ‘선정평가 영역’을 특수교육 관련 법령에 나타난 ‘시각장애 정의’와 ‘교육지원 내용 결정’이라는 2가지 측면에서의 적절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미국보다 2가지 측면 모두 적절히 반영하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교육부와 시각장애 관련 단체들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시행령의 ‘시각장애 정의’와 시행규칙의 ‘시각장애를 지닌 특수교육 대상자 진단평가 영역’에 대한 규정을 법률의 목적성에 부합하도록 개정할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amendment of the related regulations of the 「Special Education Ac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tc.」 by comparing the definition of visual impairment and eligibility evaluation areas between Korea and the US. Method: The special education related laws and special education guidelines issued by public institution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re collected and they were analyzed and compared based on the public language diagnosis standard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provisions related to the evaluation purpose educational support prescribed in the Special Education Act.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efinition of visual impairment based on the four criteria of the purpose and direction of the law, the ease of understand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the accuracy of expression, it was found that the validity of the four criteria was lower in Korea than in the United States.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wo aspects of eligible evaluation areas for determining eligibility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visual impairment and educational support needs based on evaluation results prescribed in special education-related laws, it was analyzed that Korea is more difficult to properly reflect these aspects than the United States. Conclus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visually impaired need to revise the regulations on the definition of visual impairment and selection evaluation area of the 「Special Education Act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etc.」 in accordance with the educational perspective and purpose.

      • 시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 운영의 실제

        양해실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9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9 No.-

        경기도 지역의 시각장애 특수교육대상학생은 시각장애 영역의 수원소재 특수학교(아름학교) 보다 통합교육을 지향하여 일반학교 배치를 선호하고 있다. 그 이유에는 기숙사가 없어 수원인근 지역 외에는 통학에 제한점이 있기도 하지만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성을 비롯하여 최근 특수교육의 경향인 사회통합에 무게 둔 통합교육이 크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이러한 원인들로 경기도 소재의 특수학교에는 지적기능에 어려움을 동반한 중복장애 학생들이 많이 입학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시각장애 학생들은 교사의 시각장애에 대한 이해 및 경험의 부족으로 교육적 지원의 부재에서 오는 학교생활의 어려움, 학업 성취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시각장애 학생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최전방에서 지원하기 위해 각 지역에 시각장애 거점 특수교육지원센터를 설치 운영하는 목적이 있을 것이다. 본 고에서 경기도교육청 제1부교육감 관할 지역의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지원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 KCI등재

        확대핵심교육과정을 적용한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경험 분석 :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권선정(Kwon, Sunjeong),정진자(Chung, Jin-Ja)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2

        연구 목적: 확대핵심교육과정(Expanded Core Curriculum: ECC)을 적용한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경험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ECC를 5년 이상 교육한 8명의 교사를 연구참여 교사로 선정하고, 반구조화된 질문지로 면담하였으며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ECC를 운영한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경험 범주는 총 69개의 개념과 21개의 하위범주,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ECC를 운영한 시각장애학교 교사의 대처방안 유형은 ‘관계중심형’, ‘연구중심형’, ‘실천중심형’으로 나타났으며, 시각장애학교 교사가 경험한 중심현상인 ‘확대핵심교육과정 지도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교사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확대핵심교육과정의 정착 및 교사 성장’을 결과 범주로 도출하면서 교사의 변화되는 모습을 상황모형 안에 개인적 차원, 학교 및 기관적 차원, 국가 및 정책적 차원으로 구성하였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는 확대핵심교육과정을 경험한 시각장애학교 교사가 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시각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근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적 차원, 학교 및 기관적 차원, 국가적 차원에서 종합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xperience of teachers of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applying the Expanded Core Curriculum(ECC). Method: This study selected 8 teachers who has been teaching ECC for more than 5 years and interviewed them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their experienc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of Strauss & Corbin(1998). Results: The experience categories of teachers of schools for the blind who operated ECC were 69 concepts, 21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eachers of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who have experienced the Expanded Core Curriculum should provide comprehensive support at the individual, school and institutional, national level to solve problems based on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초점집단면담(FGI)을 통해 알아본 시각장애교육 교사의 전문성 함양 방안

        홍재영( jaeyoung Hong),김원호(Won Ho Kim),서효정(Hyo-Jeong Seo)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3 시각장애연구 Vol.39 No.2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시각장애학생 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초점집단면담(FGI)을 통해 현재 시각장애교육 교사의 자질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시각장애교육 교사의 전문성 함양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8명의 전문가 집단(교수 집단 4명, 현장 전문가 집단 4명)을 구성하여 그룹별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첫째, 시각장애교육 교사의 전문성 부족 문제를 제기하며 현행 특수교사 양성체제에서 문제의 원인을 찾았다. 둘째, 시각장애교육 교사 전문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현행 특수교사 양성체제를 유지하면서 현직 교사의 연수 참여 또는 대학원 과정 이수를 통한 전문성 확보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적정한 교육 내용 마련과 관련 법 및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함께 제시하였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시각장애교육 교사의 전문성 함양 방안과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시각장애교육 교사 양성체제 개선과 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FGIs), are to examine the qualifica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explore advancement plans on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hose teachers. Method: To achieve these purposes, a group of 8 experts (4 professors, 4 field experts) was forme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group. Results: First, the findings highlighted the lack of professionalism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en teaching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hich was attributed to the current special education preparation system. Second, research participants proposed ways to establish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special education teacher preparation system: (a) teachers’ participation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or (b) in-service teachers’ completion of graduate school courses. The study participants also suggested developing teacher training contents in order to secure teachers’ professionalism as well as to improve legislation/policy advancement plans and systems. Conclusion: The study findings provided implications in enhancing teachers’ professionalism when teaching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examine ways to improve the teacher preparation system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the quality of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contents.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별 공급 현황 분석

        김두영(Kim, Doo-Young),김호연(Kim, Ho-Yeo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8 시각장애연구 Vol.34 No.3

        이 연구는 전국의 시각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별 공급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향후 시각장애인복지관이 평생교육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진일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전국의 14개 시각장애인복지관에서 2017년 한 해 동안 공급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프로그램 안내집과 기관 홈페이지를 통해 조사ㆍ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인복지관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 현황을 6개 대영역별로 살펴보면, 문화예술교육이 192개(44.5%), 인문교양교육이 52개(35.3%)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18개 중영역별로 살펴보면, 여가스포츠 프로그램이 99개(23.0%), 생활소양 프로그램이 58개(13.5%), 문화예술숙련 프로그램이 54개 (12.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제목과 내용 및 목적의 키워드를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활용해 생성한 결과를 주제별로 살펴보면, 일상생활 적응훈련, 검정고시, 점역교정사, 수영교실, 정보화교육, 권익옹호 등이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셋째, 시각장애인복지관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지역별 공급 현황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별, 5개 권역별로 의미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opical provision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welfare center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in South Korea, and explore methods for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welfare center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a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and further develop. The researcher conducted research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rovided by 14 welfare center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in South Korea in 2017 and analyzed results from program instructions or institution websites. Major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providing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welfare center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into six categories showed that programs included 192 cultural and art education programs(44.5%), humanities and 52 liberal art education programs (35.3%). 18 middle-area showed 99 leisure sport programs(23.0%), 58 life cultural programs(13.5%), and 54 cultural and art cultivating program(12.5%). Second, results from title, contents, and objective keyword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welfare center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by using a word cloud technique suggested that training for adjusting to routine life, qualification examination, braille revisors, swimming class, information education, right advocation were highly frequent. Third, the difference of providing patterns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in welfare center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according to region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etropolitan area, non-metropolitan area, and five areas.

      • KCI등재

        시각중복장애교육 국제교류를 위한 실태조사 : 미국 ELP(시각중복장애교육 지도자 연수)참가국 대상으로

        이신영(Lee Shin-young)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2 시각장애연구 Vol.38 No.1

        연구목적: 시각중복장애교육에 대한 국제적 교류를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미국의 시각중복장애교육 지도자 연수 참가국을 대상으로 교육환경 실태 및 교사 전문성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연구방법: 지금까지 연수에 참여한 국가 중 15개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시각중복장애 교육환경과 교사 전문성 실태에 대해 사전 설문조사 후, 항목별 가장 낮은 수치에 따라 국가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시각중복장애 교육환경 실태에서 교육시설 및 교재교구에서는 특수교육대상자 및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가 비교적 잘 이루어지고 있으며, 교재 및 교육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다고 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에서는 교육과정과교육 및 교재교구이 비교적 잘 갖추어졌으나, 평가도구가 갖추어지지 않았다고 하였다. 둘째, 국가별 시각중복장애 교사 전문성의 실태에서 교사 전문성에서는 전문교사 및 치료사 배치가 잘 되었으나, 국가차원의 전문교사 양성과정 제대로 갖추어지지 않았다고 하였으며, 교육서비스의 적합성에서는 전문적인 교육서비스의 제공과 다양한 연수과정이 잘 되어있으나, 학습매체 및 매체에 대한 평가가 좋지 않았다고 하였다. 결론: 시각중복장애교육의 해외 교육협력을 위한 주기적인 현황조사연구가 필요하며, 이들의 지속적인 발전과 문제해결 방안을 위해 각국 사례공유 등 다양한 국제적 네트워크의 형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level of teacher preparation of 15 countries’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Leadership Program of Perkins School for the Blind. Methods: The researcher conducted a pre-survey to gather information about educational practices for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including visual impairments, then collected qualitative data by interviewing the participants who rated low on the questionnaire items. Results: First, the participants addressed that their countries had well-established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needs survey, while a lack of facilities and resources for teaching exists. Various assessments tools are still needed with priorities. Second, more national-certified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re prioritized and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materials. Suggestions: The researcher suggested future efforts to report the improvements of service delivery regularly as well as build a global network to establish quality special education service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 KCI등재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 교사의 교육지원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충청북도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동일(Dong-il Ha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에서 교육지원을 담당한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지원 수행 및 운영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에 소속된 담당교사 1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경험을 수집하여 분석하려고 내러티브 탐구 방법이 활용되었다. 2020년 2월 업무를 부여받은 시기부터 2020년 12월 교육청에 실적 보고가 이루어진 시기로 한정하여 총 네 차례 심층개별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 담당교사가 교육지원 수행 과정에서 형성된 경험은 새로운 도전, 진정한 통합 교육, 걱정과 기대 그리고 보람, 어려움으로 나타났고, 교육지원 운영에서 형성된 경험은 막연함, 소속감, 성장 가능성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주제를 바탕으로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 전반에 걸친 경험과 문제점 및 그에 따른 대안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결론: 시각장애거점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확대하여 실질적인 통합교육 실현에 기여하도록 담당교사 전문성 향상과 역량 강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Purpose: The study was designed and performed to have a closer look into a teacher’s experience concerning de facto educational supports and operational matters while working for the regional support center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Method: A narrative inquiry was performed with the teacher to collect and analyze various facts and experiences at the regional support center. The teacher had gone through four in-depth interviews concerning her experience in the period from Feb. 2020 to Dec. 2020 when the official letters of designation were issued and performance report was handed in later in the year. Results: The teacher turned to such things as challenge, genuine sense of inclusive education, worries, expectations, achievements, and difficulties as experience while doing educational support, and also mentioned helplessness, sense of belonging, and growth potential as experience in institutional operation of the regional support center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Her overall experience and exposed problems were addressed along with plausible solutions and suggestion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enhance expertise and competence of teachers who are supposed to do tasks in the regional support center for visually impaired students, so that it can expand its function and roles to make much needed contribution to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아교육 교사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홍재영,김기룡,김삼섭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8 시각장애연구 Vol.34 No.2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95명과 학부모 35명을 대상으로 시각장애아교육 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수준 및 두 변인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아교육 교사와 학부모 모두 시각중복장애 지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 간 차이를 요인별로 알아본 결과, 학습자 특성에 따른 교수학습 지식 요인이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문항별로는 진로 및 직업 지도가 가장 크고, 눈의 구조ㆍ기능ㆍ질환에 관한 지식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결과, 1사분면에 위치한 요인은 시각중복장애 지원, 교수학습 운영, 학습자 특성에 따른 교수 지식, 2사분면에 위치한 요인은 감각 활용 지도, 3사분면에 위치한 요인은 관련서비스 지원 요인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시각장애아교육 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개발뿐 아니라 시각장애아교육 교사의 연수 등 재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teachers competencies to perform teaching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riables in 95 teachers and 35 parents in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addition, the signific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Both groups showed that support for visual impairment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difference of teaching - learning knowledge factor according to learner characteristics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The factors in the first quadrant of the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 (IPA) result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e blind children are as follows: support for visual redundancy, teaching and learning operation, respectively. The factor in the second quadrant was sensory teaching, and factors in the lower third quadrant were related service support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institute as well as reeducation programs such as special teacher training.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가르치는 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송비정(Song, Bi-Jung),홍재영(Hong, Jae-Young)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0 시각장애연구 Vol.36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가르치는 특수교사의 경험을 통해서 나타나는 교사의 개인적·실천적 지식과 그러한 교사의 경험이 어떻게 형성하고 발전시켜 나가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목적 표집을 통해서 초등학교에서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1명을 선정하였다. 2020년 3월부터 9월까지 7개월 동안 6차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Clandinin과 Conely(2000)가 제안한 내러티브 분석 절차에 따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는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처음 만나면서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육을 받는 시각중복장애 학생 대한 ‘걱정’과 시각중복장애 학생과 친해지기 위한 ‘고민’에 대한 경험을 하면서 개인적·실천적 지식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는 시각중복장애 학생에게 적합한 교육환경을 만들기 위한 ‘책임감’과 학생의 특성에 맞는 교육 방법을 찾기 위한 ‘끈기’, 통합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소통’, 시각중복장애 학생과 나아가기 위한 ‘미래’에 대한 경험을 통하여 교사의 개인적·실천적 지식을 발전시켜 나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언: 통합교육환경에서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가르치면서 겪은 경험을 토대로 형성되는 교사의 개인적·실천적 지식은 향후, 통합교육 환경에서 특수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a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PPK) that developed through an experience of teaching a student with visual impairments and multiple disabilities(SVIMD) in elementary school and examines how the teacher’s experience formed and developed. Method: The participant in the study w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who had experience of teaching SVIMD, chosen through purposive sampling. Results: The research participant began to form PPK as she met the student and developed ‘worries’ over the student who received education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and ‘concerns’ over how to become acquainted with her. The research participant accumulated PPK captured by the following themes: ‘responsibility’ for mak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ppropriate for the SVIMD, ‘perseverance’ to continue searching for a teaching method that matched the student s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that embodied inclusive education, and the ‘future’ that she would step toward with the student. Conclusions: The teacher’s PPK formed based on an experience of teaching SVIMD in an environment of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독립보행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김지혜(Kim, Ji-Hae),오충원(Oh, Chung-Weon),남이해(Nam, Yi-Hae)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1 시각장애연구 Vol.3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이 독립보행을 하면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지를 확인하여 안전한 독립보행을 위해 필요한 정책과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시각장애인의 독립보행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시각장애인 3집단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주제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장애인의 독립보행경험 분석결과, ‘헤매는 길-익숙한 곳에서 경험하는 낯섦’, ‘위험한 길-곤두서는 신경, 다치고 또 다치고’, ‘두려운 길-한 걸음 나아갈 용기가 생기지 않음’이라는 주제를 발견하였다. 결론: 시각장애인의 독립보행을 지원하기 위해 장애인의 편리성을 고려한 장애인 친화적인 정책과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한다. 도로공사 안내문자나 긴급구조 요청 앱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신호등 음향신호기나 점자블록 장애물 등 시각장애인을 위한 시설물에 대해 정기적인 점검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장애인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이 실시될 필요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suggest policies and services necessary for safe independent walking by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that the visually disabled people experience while walking independently. Method: In order to explore the independent walking experience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3 groups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nd analyzed by using the subject analysis metho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independent walking experience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the following subjects were found: ‘the road one wanders about-unfamiliarity experienced in familiar places’, ‘dangerous road-nervousness on the edge, injured and injured again’, and ‘the road one fears-no courage to take a step forward’. Conclusion: In order to support the independent walking of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the disabled-friendly policies and services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disabled should be provided.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the application for text messaging information on road construction or requesting an emergency rescue and to conduct regular inspections on facilities for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such as sound signals of the traffic lights and obstacles on braille block.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education to improve awareness of the people without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