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감, 도덕적 의무감,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채원,오혜미,Lee, Chaewon,Oh, Hyemi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5

        본 논문은 '의도(Intention)는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는 사회 심리학자들의 연구에 근간을 두고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Ajzen의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과 Shapero의 기업가정신행동모델(Shapero's Model of the Entrepreneurial Event: SEE)에 근간하여 많은 연구들은 기업가적 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자기 효능감(Self Eficacy), 지각된 욕구(Perceived Desirability), 지각된 실현가능성(Perceived Feasibility) 등이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가정신 맥락에서 사회적 공감(Compassion), 도덕적 의무감(Moral Obligation),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Perceived Social Support)이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공감(Compassion)은 다른 사람이 느끼는 감정이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능력으로 일반인 혹은 일반 기업인들에 비해 사회적 기업가가 갖는 두드러진 특성이다. 또한 사회적 기업가는 사회적 기업가적 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도덕적 의무감을 주관적 규범으로서 중시한다. 또한 개인이 갖는 특성 변수 외에 외생적 요소로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을 어떻게 하느냐가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자발적으로 사회적 기업가정신 및 기업가정신 과목 수강을 선택한 대학생 27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검증을 하였다. 공감능력(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사회문제 공감)과 주관적 규범으로의 도덕적 의무감은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외부 환경에 대한 인식 즉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의 정도에 따라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사회적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규명하는 연구들이 주로 기존 기업가정신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를 사용함으로써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특성을 잘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공감, 도덕적 의무감,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의도(Intention)에 영향요소임을 밝힘으로써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 연구 분야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In recent 10 years the attention to social entrepreneurship has raised increasing among scholars, public sector, and community development. However les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ow social entrepreneurship intention create a social enterprise and what factors can be affected to the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is paper aims at contributing to identify the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behavior and intentions. Especially, we have had a strong interests in compassion factors which haven't been used as important variables to encourage for people to do social entrepreneurial activities. Also, we try to find the moral oblig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s antecedents of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s. Finding show that compassion and moral obligation affect to the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Especially this study identify the external factor of society with the variable, perceived social support. Once individuals recognize that the infrastructure and societal positive mood on social entrepreneurship is friendly to social entrepreneurship, people have a tendency to try to do some social entrepreneurial activities. Only few empirical studies exist in this research domain. A study of more than 271 Korean college students has studied which personal traits predict certain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repreneurs (such as having social vision or looking for social innovational opportunities). In addition to those antecedents, students experience is the critical factor that enabled continued expansion of the social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how we can nurture social entrepreneurs and how we can develop the social environment to promote social entrepreneurship.

      • KCI등재

        Sequence dicriminative training 기법을 사용한 트랜스포머 기반 음향 모델 성능 향상

        이채원,장준혁,Lee, Chae-Won,Chang, Joon-Hyuk 한국음향학회 2022 韓國音響學會誌 Vol.41 No.3

        본 논문에서는 기존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뛰어난 성능을 보이는 트랜스포머를 하이브리드 음성인식에서의 음향모델로 사용하였다. 트랜스포머 음향모델은 attention 구조를 사용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처리하며 연산량이 낮으면서 높은 성능을 보인다. 본 논문은 이러한 트랜스포머 AM에 기존 DNN-HMM 모델에서 사용하는 가중 유한 상태 전이기(weighted Finite-State Transducer, wFST) 기반 학습인 시퀀스 분류 학습의 네 가지 알고리즘을 각각 적용하여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기존 Cross Entropy(CE)를 사용한 학습방식과 비교하여 5 %의 상대적 word error rate(WER) 감소율을 보였다.

      • KCI등재

        문학과 사회의 관계와 문학의 정치성에 대한 고찰 -동시대 현대문학을 매개로 한 사고와 토론 수업을 기반으로-

        이채원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0 사고와표현 Vol.13 No.2

        This thesis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and the political nature of literature based on the thinking and discussion class cases mediated by Korean modern literature in the interdisciplinary subject ‘Women and Literature’ class. The text of the class is Park Min-jung’s “Morgue Diorama”. This work crosses the exhibition of violence in the 21st century Korea’s digital sexual crime and the Morgue of the Paris Coroner’s Offic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ith apocalyptic imagination. This shows that digital sexual crimes brought about by the combination of high-tech technology and capital are virtually linked to old gender violence in human history. It also raises questions about the gaze of enjoying violence and the death of the (women) on display. This novel was read before class, submitted a book report, and introduced the case of the group presentation. In the process, the meaning of the contemporary writer’s reading was examined. This leads to the probl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society and the political nature of literature. It is empirically discussed what literary intervention is about the problems of the real society, and that more precise discussions and agreements are needed on the issues of literature and literariness. It also confirms the power of empathy and healing given by confessional and reflective writing and discussion. Students no longer want to read authoritative classics and refuse to interpret them in a one-way with fixed literary history. Then, it is necessary for the instructor to listen to what reading and writing students want in the curriculum and actual classes. This includes not only the question of which work they want to read, but also the question of which work they refuse to read. For open thinking and discussion classes, it is essential to communicate not only among students but also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이 논문은 학제적 과목 ‘여성과 문학’ 수업에서 한국현대문학을 매개로 한 사고와 토론 수업사례를 바탕으로 문학과 사회의 관계와 문학의 정치성에 대해 논한다. 해당 수업 텍스트는 박민정의 「모르그 디오라마」이다. 이 작품은 21세기 한국에서의 디지털성범죄와 19세기말 파리 시체 공시소 모르그에서 벌어진 폭력의 전시와 향유를 종말론적 상상력으로 교차시킨다. 이를 통해 첨단 테크놀로지와 자본의 결합이 가져온 디지털성범죄가 사실상 인류역사에서 오래된 젠더 폭력과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폭력을 향유하는 시선과 전시되는 (여성의) 죽음에 대해 문제제기 한다. 수강생들이 소설을 수업 전에 미리 읽고 독후감을 제출하고 수업 중 조별 발표와 토론을 이어갔던 사례를 소개하고 그 과정에서 수강생들에게 동시대 작가의 문학읽기가 주는 의미를 고찰한다. 이는 문학과 사회의 관계와 문학의 정치성에 대한 문제로 이어진다. 현실사회의 문제에 대한 문학적 개입이어떤 것인지, 문학의 자리와 문학성의 문제에 대한 보다 정밀한 토론과 합의가 필요함을 실증적으로 논한다. 특히 대학교육의 현장에서 고민해야 할 문학의 정치성 관련 난제들을 성찰한다. 변화하는 문학 장과 문학행위 속에서 학생들은 권위를 부여받은 정전이라고 해도 수동적으로 읽기를 원하지 않으며 고정된 문학사와 일방향적인 해석을 거부한다. 그렇다면 교수자가 커리큘럼을 짜고 실제 수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서 수강생들이 원하는 읽기와 쓰기가 어떤 것인지를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열린 사고와 토론 수업을 위해서 수강생들끼리의 소통뿐만 아니라 교수자와 수강생들 사이의 양방향 소통이 필수적으로 요청된다.

      • KCI등재

        이청준 소설에서의 자의식적 서술과 자기반영성 : 『축제』(1996)를 중심으로

        이채원 ( Lee Chae-w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7 No.-

        This paper is to study about the self-conscious and self-reflexivity in fiction by Lee, Chung-Joon, focusing on The Festival. Especially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properties of metafiction. It constructs the dual structure: the writing of story and the story of writing. This structure is the narrative device that betrays the expectation of illusion and disturbs the absorption toward the virtual world. Besides the meta-narration and self- conscious narration lead to the world the border which separates between the real and fiction. In self-conscious metafiction, the narrator becomes a character, a critic, a theorist and an author. In The Festival, there are the first person narrator and the third person narrator but the aspects of narration by the narrators are undiscerned. So the same meaning and interpretations are emphasized repeatedly by the self-conscious and meta narration in a frame structure. In film, there are cinematic self- conscious devices instead of eliminating the critical narrations belongs to fiction. Especially an fairy tale inserted in film shows the cinematic self-reflexivity interfering illusion. While fiction is the genre where the language of the narrator governs the narrative, the dominant factor in film is the visual image. The narrator dominates the narrative in fiction becomes weak in film and other characters come to the surface. Also as a cinematic device, the frame in outer frame leads to different ending scene from ending of fiction. These differences in fiction and film extend the reception esthetic of readers and audiences.

      • KCI등재

        혼합 시간에 따른 다공성 PDMS의 압축 탄성률 변화

        이채원(Chae Won Lee),윤태운(Tae Woon Yoon),이상현(Sanghyun Lee),임종경(Jongkyeong Lim),이상민(Sangmin Lee) 한국기계가공학회 2024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23 No.4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rous polydimethylsiloxane (PDMS) fabricated using salt particles as a function of mixing time. Compressive modulus measurements were performed through compression tests on porous PDMS samples prepared with varying mixing times, and the cross-sectional structures of these samples were observed under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demonstrated an increasing trend in the compressive modulus with longer mixing times, suggesting that insufficient mixing did not allow for the uniform dispersion of particles within the PDMS, leading to larger and more uneven pore sizes in the final structure. Furthermore, the experiment indicated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compressive modulus or cross-sectional structure for mixing times exceeding 180 s. Therefore,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a mixing time of at least 180 s was necessary. This finding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designing process conditions for the future fabrication of porous PDMS with the expectation of enhancing the uniformity and mechanical integrity of the material.

      • KCI등재

        20대 여대생의 체성분분석이 비만인식과 비만관리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

        이미나 ( Mi-na Lee ),김경란 ( Kyung-ran Kim ),신수정 ( Soo-joeng Sin ),이나라 ( Na-ra Lee ),이채원 ( Chae-won Lee ),최은주 ( Eun-joo Choi ),이인희 ( In-hee Lee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11 미용예술경영연구 Vol.5 No.1

        Obesity Prevention Research to provide basic data for that purpose is management preferences of the Center on Obesity Management and Girls’ Students awareness of obesity and weight management exercise to know the rating on the preference of the management study. The average height 162.05cm, 53.62kg, and the mean weight, BMI and a ‘standard’ in 87.5%, percentage of body fat a ‘standard’, respectively. For obesity perception ‘standard weight' and ‘overweight’ 40.0% respectively. To exercise that degree of awareness of exercise are ‘walking’ is 35.0%, the awareness of obesity control center obesity is mainly used for body ‘skin care' was the most common. Body satisfaction ‘face’ of the highest satisfaction. In this study, because some universities selected female college students on a sample representative of the problem can be somewhat of a study of various ages should be studied continuously. Also, obesity increase the reliability of determination is necessary to use research on effective weight management program should be continued.

      • FUFU 와 함께 운동을

        이원욱(Won Ouk Lee),이연주(Yeon Joo Lee),임동현(Dong Hyun Lim),최성호(Sung Ho Choi),이채원(Chae Won Lee),김현주(Hyun Ju Kim),원종서(Jong Seo Won),김현동(Hyun Dong Kim),국중진(Joong Jin Kook),이지항(Jee hang Lee),김진우(Jin Woo Kim)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다양한 형태의 소셜 로봇들이 출시 되고 있다. 하지만 운동을 보조하는 로봇은 아직 비용적 문제와 여러 한계점으로 출시가 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사용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운동 로봇FUFU 를 시뮬레이터 단계부터 실제 로봇까지 개발하였다. 운동 맥락에 있어 집에서도 쌍방향 소통을 하여 실제 운동 성과를 얻게끔 개발하였다.

      • RGB 센서를 이용한 과실 표현형 분석

        이채원(Chewon Lee),이서연(Seoyeon Lee),홍수빈(Subin Hong),김영욱(Young Uk Kim),김년희(Nyunhee Kim),백정호(Jeongho Baek),김송림(Song Lim Kim),지현소(Hyeonso Ji),조정건(Jung Gun Cho),김경환(Kyung-Hwan Kim)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영상을 활용한 작물, 종자, 과실 등의 표현형 고속 대량 분석기술은 디지털 육종의 핵심기술로 각광 받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해 사과, 배 과실의 표현형을 분석하기 위한 장치 개발 및 영상 데이터 수집 조건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존에 과실 비대량 및 특성 조사를 위해 종경과 횡경측정에는 캘리퍼스를 사용하고, 과피색은 색차계를 이용해 측정하고 있다. 이러한 아날로그적 방법은 연구자에 따라 편차와 실수 등으로 인해 주관적인 오류가 있을 수 있다. RGB 센서를 이용한 과실 표현형 분석을 위해 사과(Red Apple, Green Apple), 배 각 10개씩 30개체를 대상으로 과실 이미지 획득 장치를 통해 RGB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분석 프로그램(ImageJ)을 활용해 과실 비대량 및 형태 관련 표현 형질을 분석하였다. 먼저 영상 데이터 획득 기준 마련을 위해서 Top, Side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해 다양한 배경지 색상(White, Blue, Black), 컬러차트 높이 조절, 조명 밝기 조절을 통해 영상획득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영상으로 분석한 형질은 면적(area), 둘레(perimeter), 장폭(Feret), 단폭(MinFeret) 등 8개 지표이며,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과실의 종경, 횡경, 부피, 밀도, 둥근 정도, 외형의 균일함 등의 표현형 특성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영상분석의 신뢰도는 영상분석 데이터와 실측 데이터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R2값이 0.95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영상을 이용한 과실의 특성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사과, 배 외의 더 많은 품종 특성을 분석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다양한 품질 특성을 디지털화, 객관화하여 디지털 육종의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조상신앙의 지역적 양상과 성격에 관한 시험적 고찰

        이채원(Lee Chae Won) 역사문화학회 200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2 No.2

        이 글의 목적은 2004년부터 2006년까지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실시된 가정신앙 현장조사의 성과물인『한국의 가정신앙』각 지역편을 대상 자료로 하여, 우리나라 조상신앙의 지역적 양상과 성격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조심스럽게 조상신앙의 지역적 권역을 나눠보면, 강원북부와 동부지역의 말명, 충남지역의 왕신, 충북남부와 경북북부의 웃줄, 경북동북의 삼신, 경북남부와 경남북부의 시준, 전남북과 경상도 서부의 조상단지, 전남북 서해와 남해안의 지앙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비록 분석 대상 자료가 제한적 성격을 갖고 있지만, 이러한 권역 설정은 이후 지역별 사례조사의 보완과 각 조상신에 혼재되어 있는 성격 구명 연구 등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조상신앙 문화권역 도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ancestor spirit is soul of the ancestor who comes to serve a blood relationship with character. His relationship of order is not comparison clearly. This study focuses on in Korea. We’ll take data for research on the household worship from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Cultural Heritage(NRICH) from 2004 until 2006. According to this research, we can see Bulsa(Jesuck) and Daegam in Gyeonggi area. And we can see Malmyoung, Josang danji, Guisin danji in Gangwon area, especially pieces of cloth are found in the danji, which means jar and there were Moodang(Korean shaman) or the person who gave a devotion for descendant in the enshrinement object. Chungcheongnam-do has Wangsin which died without marriage. Wangsin is very hard to please. Chungcheongbuk-do has Wangsin and Utjul so we can see this area to be complicated. Gyeongsangbuk-do has Sijun, Samsin, Utjul, Yong danji(Dragon jar), Josang danji. Especially Sijun has found in southern area and Samsin has found in facing northeastern area. Another point is that unnatural death case and the case which dies young are rare, the other side uncertain ancestor is many case. Gyeongsangnam-do has Sijun(or Siju), Josang danji, Buru(or Buri). Especially Sijun has found in northern area. Josang danji has discovered fairly in Jeolla(Jeollabuk-do and Jeollanam-do) area and this area has Jiang(like Samsin). Occasionally not only rice but spirit tablet made of paper is found in the danji. Consequently we can separate ancestor religious belief in Korea. Malmyoung in northern and eastern Ganagwon, Wangsin in Chungcheongnam-do, Utjul in southern Chungcheongbuk-do and northern Gyeongsangbuk-do, Samsin in facing northeastern Gyeongsangbuk-do, Sijun in southern Gyeongsangbuk-do and northern Gyeongsangnam-do, Josang danji in Jeolla and western Gyoungsang, Jiang in southwest coast Jeolla. We are expected to deduct further information of ancestor religious belief and cultures of separated region through many case studies and in-depth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