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본 김동리 문학: 「까치소리」와 <쉘부르의 우산(Les Parapluies De Cherbourg)>을 중심으로

        이채원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4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works by Kim, Dong-Lee, in the respect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comparative culture. The texts of analysis are The Chirrupper Of A Magpie and The Umbrellas Of Cherbourg. The Chirrupper Of A Magpie by Kim Dong-Lee has many archetypes, symbols and motives, so there are many aspects to see in the comparative literature and comparative culture. First of all, the two texts share with the motives that are war, love, parting and meeting again, the force of destinies and so on. Also the two text share with the sympathy of a tragedy. But the feelings of tragedy of the two texts are fairly different. The Chirrupper Of A Magpie is related to the thought of shamanism which relates the chirrupper of a magpie with the drive of death. As a result, at the end of the text, actually a murder which is related to the chirrupper of a magpie had done by Bong-Soo, the main character. The murder is explained not by the logical cause and effect but by the thought of shamanism and character-narrator's narration. Otherwise, The Umbrellas Of Cherbourg doesn't pursue the zenith of a tragedy. It is ruled by real principle, also it pursues the esthetics of moderated grief. The Chirrupper Of A Magpie is a fiction which is narrated by a first person narrator, otherwise The Umbrellas Of Cherbourg is a musical film. So the differences of media make the difference of the esthetics and the heartstrings' horizon of readers and audiences. The external images have a large territory of uncertainty, so the analogical inference of the images' meanings are due to audiences. But every character of The Chirrupper Of A Magpie is represented by the narration of Bong-Soo, the first person narrator. It is not a real but a figure which is existed in a each notion. Kim Dong-Lee has known for not only Korean's features but also universality of the archetypal thoughts. But there are few studies to see the works by Kim Dong-Lee in the respect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comparative culture. So this thesis is the first step to see the works by Kim Dong-Lee in the respect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comparative culture.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hat to see the literature as it is in the boundary of culture including history, philosophy, society and so on. Knowing the cultural differences of between the Korean War and The Battle Of Algeria enriches the meanings of the two texts. 김동리의 작품세계에서는 현실세계에 대한 절망적 인식과 초월적 힘 앞에서 패배하는 인간의 왜소함이 많이 드러난다. 김동리는, 인간의 힘을 과신하고 진보를 낙관한 근대적 사유의 반대편에 섰으며 또한 한국적 사유와 문화에 천착했다. 그리고 한국적 사유와 문화에 대한 천착은 세계문학 속에 한국 문학을 위치 짓고자 하는 열망으로 연결되었다. 김동리가 세계문학 속의 한국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증명해보고 싶어 했다면 여기서 필요한 것이 비교문학 그리고 비교문화 관점에서의 연구이다. 그리고 그의 작품들에서 빈번하게 등장하는 신화적 상징과 원형들은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연구할 때 이전까지의 연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의미들을 풍부하게 드러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지금까지의 연구와는 다른 시각에서 김동리의 작품 세계를 분석하고자 하며, 분석 대상 텍스트는 김동리의 대표작 중 하나인 「까치소리」(1966)와 자크 드미 감독의 프랑스 영화 <쉘부르의 우산>(1964)이다. 두 텍스트는 동시대 다른 문화에서 배태된 작품들로서 유사한 모티프와 상징들을 공유한다. 또한 두 텍스트 모두 유사한 소재들을 통한 비극적인 정서를 담고 있으면서도 비극의 질감과 밀도가 매우 다르며 전혀 다른 결말을 향해 갔다. 본 논문에서는 소재와 모티프와 주제적 유사함 그리고 동시대라는 배경으로부터 이러한 차이를 만드는 텍스트 내적 요인들과 더불어 그 기반이 되는 문화적 차이를 고찰하려 했다.「까치소리」에서 주술적 속신으로 상징되는 초자연적 힘 앞에 패배하는 인간의 모습이 형상화 되어 신화적인 세계관을 구축했다면, <쉘부르의 우산>에서는 합리성에 근거한 타협이라는 현실적인 세계관을 형상화 했다. 그리고 이런 차이의 기반에 작가와 감독의 세계관이 자리하고 있으며 그 세계관은 동시대 한국과 프랑스의 다른 문화적 맥락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본론의 2장에서는 모티프와 주제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했으며 이러한 유사성과 차이점이 형성하는 각각의 텍스트의 세계관을 고찰했다. 또한 3장에서는 매체와 장르의 다름에 따른 서술기법의 차이와 그로 인해 파생되는 미학의 스펙트럼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텍스트의 내재적 차이뿐만 아니라 텍스트와 상호영향 관계에 있는 문화적 맥락을 보다 정치하게 드러낼 수 있었고, 김동리 문학을 비교문학 비교문화의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도 발견할 수 있었다. 「까치소리」에서는 거대한 운명의 힘 앞에 처절하게 패배하는 인간상이 형상화 되었고 그 비극적인 결말을 이끌어낸 가장 시초의 근원은 한국적 속신에 있었다. 따라서 그것은 근대적 의미에서의 인과관계 논리와는 상관이 없다. 한국의 60년대는 근대화와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기였으나 지나치게 빠른 근대화와 산업화는 문화지체현상을 가져왔으며, 사람들의 의식은 전근대와 근대의 과도기에 머물러 있었다. 작가 김동리는 의도적으로 근대성에 저항했으며 그것은 한국의 신화적 상상력을 찾아 고대로 회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반면 60년대 프랑스의 지성들은 자유주의의 물결 속에서 진보에 대한 낙관과 미래에 대한 희망을 표출하고 있었다. <쉘부르의 우산> 역시 전쟁이라는 시대적 배경에 의해 희생되는 인간 개인의 슬픔과 고통이 스며들듯이 형상화 되었지만 전반적인 분위기...

      • KCI등재

        쉼터 청소년과 길거리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 : 폭력피해경험(victimization)을 중심으로

        이채원,노혜련,이종익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4 청소년상담연구 Vol.12 No.2

        This study compared street youths with runaway adolescents in shelters to see if they differed in their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It focused particularly on their experiences of victimization and the factors predicting victimization. A total of 150 runaway adolescents were recruited from the streets and various shelters for runaways located in Seoul. Results suggest that adolescents in shelters were significantly less victimized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s in the streets. Victimization was related to income, family structure, child abuse, and family pathology. After these factors were controlled, the difference between street youths and shelter youths was still significant.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들 중 청소년 쉼터 등의 보호를 받고 있는 청소년과 길거리에서 배회하고 있는 청소년들 이 어떻게 다른 심리사회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가출청소년들이 가출생활 도중 경험하 는 각종 폭력피해경험에 초점을 두고 이러한 폭력피해경험과 관련된 심리사회적 특성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 지,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이 쉼터 청소년과 길거리 청소년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가출청 소년 쉼터 및 보호시설에 거주하는 가출청소년과 길거리에서 배회하고 있는 가출청소년을 각각 임의표집하여 총 15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변수로는 폭력피해경험의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는 가출관련 특성, 가족배경요인, 비행정도와 가출 후 평균수입 등을 측정하였다. 분석방법은 쉼터청소년과 길거리청소년의 비교를 위하여 t-test와 χ2 검증을 사용하였고 폭력피해경험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시행 하였으며, 다른 변수의 통제 후에도 쉼터 거주 여부에 따라 폭력피해경험에 차이가 나타는지를 보기 위하여 다 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가출관련 특성에 있어서 쉼터청소년들이 길거리청소년에 비하여 만성적 가 출의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쉼터 청소년들의 가출후 폭력피해경험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는 다른 변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영화 <미나리>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의 문제적 징후들과 내포된 담론들

        이채원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7

        The movie Minari, known as the autobiographical migration narrative of the Korean American director, was well received by Korean audiences and American audiences along with the news of the Korean actor's Academy Award. In this film, the struggle of the family with despair and hope in the exotic and idyllic American landscape is highlighted and the diaspora is romanticized. However, under the premise that the diaspora can never be romantic, this thesis analyzes the hierarchical meanings hidden inside the romanticized diaspora with a critical mind that racism and hatred are not portrayed at all in this film. Through this, we can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American society and Korean society and examine the similar context of American Dream and Korean Dream. The background of Jacob's desire for recognition is the neoliberalism of survival of the fittest and winner-take-all, and assimilationism, the immigration policy of the United States. Jacob actively accepts the values of the United States and tries to break through the difficulties through self-help relief centered on the family rather than accusing the social system of welfare absence. In this process, the masculinity captivated by the desire for recognition falls into the male fantasy of embracing and devoting women. In addition, the admiration of the American film industry for the character of Soon- Za has a lot of room for the otherization of non-white women. Rather than criticizing the American order, the movie actively accepted it and closed the conflict with patriarchal familism, so it was not inconvenient for American audiences as well. Minari, which contains Korean sentiments carved in the American landscape, refers to hope rooted in a strange land, but degeneracy is hidden in that hope. Just as the American Dream contains treachery and despair, so does the Korean Dream. Inside the family love and the American dream and the diaspora romanticized by the movie Minari, there are masculinity and male fantasy that destroy both oneself and others, and ideology of infinite competition for survival of the fittest that goes against civilization to barbarism. Southeast Asian women who migrated to Korea are typified in a similar way, just as Korean women are typified in a way that they are different from contemporary white wome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layers of meaning derived from Minari behind the achievement of the movie Minari and diagnoses the present of American society and Korean society through it.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a meaningful perspective on the analysis of other texts that embody the diaspora. 재미교포감독의 자전적 이주서사로 알려진 영화 <미나리>는 한국 배우의 아카데미상 수상 소식과 함께 한국관객과 미국관객 모두에게 호평받았다. 이 영화에서는 이국적이면서도 목가적인 미국의 풍경 속에서 절망과 희망을 함께 하는 가족의 분투가 부각되며 디아스포라가 낭만적으로 묘사된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디아스포라가 결코 낭만일 수는 없으리라는 전제하에 이 영화에서 인종차별이나 혐오 등이 전혀 묘사되지 않은 것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낭만화된 디아스포라 내부에 숨겨진 중층적인 의미담론들을 찾고자 한다. 이를 통해 미국사회와 한국사회의 현재를 진단한다. 이 영화에서는 제이콥의 인정욕망 배경에 있는 적자생존과 승자독식의 신자유주의와 미국의 이민정책인 동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보이지 않는다. 제이콥은 미국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복지부재의 사회적 시스템을 고발하기보다는 가족을 중심으로 한 자력구제로 난관을 돌파하려 한다. 이 과정에서 인정욕망에 사로잡힌 남성성은 포용하고 헌신하는 여성에 대한 남성판타지에 함몰된다. 미국의 질서에 대한 비판보다는 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며 가부장적 가족주의로 갈등을 봉합하는 방식은 미국 관객에게도 불편하지 않게 다가갈 수 있는 대중영화의 안전한 선택이 되었다. 미국의 풍경 속에 새겨진 한국의 정서를 담고 있는 <미나리>는 낯선 땅에 뿌리내린 희망을 말하지만, 그 희망 속에는 퇴행성이 숨겨져 있다. 아메리칸드림이 배반과 절망을 담고 있듯이 코리안 드림 또한 그러하다. 영화 <미나리>가 낭만적으로 형상화한 가족애와 아메리칸드림과 디아스포라의 내부에 자신과 타자를 모두 파괴하는 남성성과 남성판타지, 문명에서 야만으로 역행하는 적자생존 무한경쟁의 이데올로기가 존재한다. 영화 <미나리>의 성취 이면에 드러나지 않았던 의미의 층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미국사회와 한국사회의 현재를 진단했다는 것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으며 이는 디아스포라를 형상화한 여타 텍스트에 대한 분석에도 유의미한 시각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NCM삼원계 layered소재의 고전압 구동시 표면 안정성을 위한 MnPO<sub>4</sub> 코팅기술

        이채원,손윤국,김창우,오필건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본 연구는, 고용량 고에너지 밀도 리튬이온배터리 양극 소재 개발을 목표로 한다. 기존의 소형 배터리 시장에서 전기차 시장 및 에너지 저장장치의 확대 적용되므로 리튬이온배터리에 많은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해당 연구는 NCM 삼원계 layered 양극물질 소재를 고전압화학에 있어 발생하는 계면의 불안정성을 개선하여 고용량, 고에너지 밀도를 얻을 수 있는양극소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기존의 고전압화 연구에서는, TiO<sub>2</sub>와 Li<sub>2</sub>ZrO<sub>3</sub>와 같은 안정한 산화물을 표면에 코팅하여 양극 표면과 전해액 사이의 계면 불안정성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Ni계 소재 고전압화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그 열화를 단순 지연시키는 연구에 그쳤다. 본 연구는 MnPO<sub>4</sub>를 이용한 새로운 표면처리를 통해 소재 표면에 Mn 농도구배와 Li<sub>X</sub>PO<sub>Y</sub>를 형성한다. 이 표면층은, 근본적으로 계면의 불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환원반응이나 전이금속용출에 의한 부반응이나 구조적 불안정성을 개선해 주며, 뿐만 아니라 이전 연구에서 해결하지 못했던 미소균열에 대한 문제까지 추가로 해결 가능하다.

      • KCI등재
      • KCI등재

        복합문화공간에 나타난 현상학적 공간특성 분석 -M. 메를로 퐁티의 지각의 현상학 중심으로-

        이채원,심혜정,박명선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0 조형미디어학 Vol.23 No.3

        At the age of culture, the modern society is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intrinsic meaning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complex cultural space. The complex cultural space goes beyond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space and connects the life in public with culture and art, and is the space that can satisfy not only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space experiences but also human emotional values. Therefore, this study derives the results by analyzing the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appearing in the complex cultural space reflecting the experiential elements of the phenomenological space,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Merloteau-Ponty of the 'Blue Square' building in the complex cultural space. There is a purpose. For the result of analysis, the upper and lower elements are space/location/place, the depth is the physical experience element, the movement is the movement structure of the space, and the artificial space in the experienced space maximizes the experience effect of the experienced person. And overall, the complex cultural space verified the validity of Merlot Ponti's theory that recreates my existence by grasping the value of the experience through a variety of experiences and experiences in one spa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inuous tasks such as expanding the foundation of phenomenological cultural spaces that enhance human sensibility and developing cultural and artistic contents are required. 현대사회는 문화의 시대로서 복합문화공간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 의미와 그 기능적 특성 대한 관심이 점점 확대되어 가고 있다. 복합문화공간은 공간의 기능적 특성을 뛰어넘어 대중의 삶을 문화예술과 연결하고 다양한 공간 체험의 도구적·기능적인 특징뿐만 아니라 인간의 감성적 가치까지 충족시켜줄 수 있는 공간으로써 그 역할이 광범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블루스퀘어’건축물을 메를로 퐁티(Merleau Ponty)의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현상학적 공간의 체험요소들이 반영된 현상학적 특성과 요소들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복합문화공간에서 상하 요소는 공간·위치·장소, 깊이는 동일한 재료와 형태의 반복, 운동은 공간의 동선구조, 체험된 공간은 인위적 탈 공간이 체험가치를 극대화하는 메를로 퐁티의 현상학적 요소를 찾을 수 있었고, 한 공간에서 복합적으로 다양한 체험을 통해 나의 존재성을 재창조시킨다는 현상학적으로 이상적인 공간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인간의 감성을 향상하는 현상학적 복합문화공간의 기반 확충과 문화예술콘텐츠 개발 등 지속적인 과제가 요구된다.

      • KCI등재

        일인칭 서술에서의 회상의 시학과 영화에서의 변이: 소설 『책 읽어주는 남자』와 영화 <더 리더—책 읽어주는 남자>를 중심으로

        이채원 문학과영상학회 2009 문학과영상 Vol.10 No.2

        The fiction conveying the story of past by the first person narrator has particular poetics. In this case, an event which is witnessed and experienced by the character in childhood is narrated by the adult narrator’s reflective voice. So the poetics of retrospection would be an important narrative device. That is, there would be re-views and re-experiences inevitably, and this would be interpretation and valuation of the event. Therefore, it towards complete meaning and clearness of interpretation. And the audibility of adult narrator’s voice would be expended. In film, there is no narrator’s intermediation which transmits the event of past and mentions of characters. This is a decided factor which makes different esthetics and theme. Also the viewpoint shot in film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erson narration in fiction. While the first person narrator controls over the whole narrative in fiction, the first person narrator becomes one of characters which is focused by camera in film. The audiences of film is affected by this change.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an aspect of the variation by analyzing Der Vorleser by Bernhard Schlink and The Reader by Stephen David Daldry. Der Vorleser is composed of a typical retrospective narration and contains a long story time which extends over almost forty years. It tells the story of the Holocaust through the love story between a woman who had been a guard of the Nazis and a boy who was fifteen years old. It is narrated by the first person narrator. So the first person narrator’s monologue reveals scars of the epoch, the Holocaust. The Reader intends to express passage of a long time and emotions of characters without voice over narration. So the relative importance occupying the first person, Michael is reduced but Hannah who was a guard of the Nazis comes up rise on the surface of the narrative in film. As the result, though both Der Vorleser and The Reader have a same story and a same theme, the influences on reader’s receptions become different. While the first person narrator’s linguistic narration requests to be sharing self and pursues the complete meaning, the composition and completion of meanings attribute to the audience’s portion in film. The fiction conveying the story of past by the first person narrator has particular poetics. In this case, an event which is witnessed and experienced by the character in childhood is narrated by the adult narrator’s reflective voice. So the poetics of retrospection would be an important narrative device. That is, there would be re-views and re-experiences inevitably, and this would be interpretation and valuation of the event. Therefore, it towards complete meaning and clearness of interpretation. And the audibility of adult narrator’s voice would be expended. In film, there is no narrator’s intermediation which transmits the event of past and mentions of characters. This is a decided factor which makes different esthetics and theme. Also the viewpoint shot in film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erson narration in fiction. While the first person narrator controls over the whole narrative in fiction, the first person narrator becomes one of characters which is focused by camera in film. The audiences of film is affected by this change.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an aspect of the variation by analyzing Der Vorleser by Bernhard Schlink and The Reader by Stephen David Daldry. Der Vorleser is composed of a typical retrospective narration and contains a long story time which extends over almost forty years. It tells the story of the Holocaust through the love story between a woman who had been a guard of the Nazis and a boy who was fifteen years old. It is narrated by the first person narrator. So the first person narrator’s monologue reveals scars of the epoch, the Holocaust. The Reader intends to express passage of a long time and emotions of characters without voice over narration. So the relative importance occupying the first person, Michael is reduced but Hannah who was a guard of the Nazis comes up rise on the surface of the narrative in film. As the result, though both Der Vorleser and The Reader have a same story and a same theme, the influences on reader’s receptions become different. While the first person narrator’s linguistic narration requests to be sharing self and pursues the complete meaning, the composition and completion of meanings attribute to the audience’s portion in fi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