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수 개시점에 따른 복숭아 ‘천중도백도’의 과실 품질 및 생산성 변화 분석

        이슬기,조정건,정재훈,이동용,한점화,장시형,류수현,김희태,강상현,이슬기 (사)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3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는 노지 복숭아 과원에서 관수 개시점에 따른 복숭아 ‘천중도백도’의 수체 생육, 생리 반응 및 과실 품질과 생산성 변화를 분석하여 적정 관수 개시점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 재료는 전라북도 완주군에 위치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내의 노지 복숭아 시험포(35°49′30.4″N, 127°01′ 33.2″E)에 재식된 7년생 ‘천중도백도’ [Prunus persica (L.) ‘Kawanakajima Hakuto’]를 사용하였으며, 2022년 6월부터9월까지 관수 개시점을 –20, –40, –60, –80kPa로 설정하였다. 주간부 단면적 증가량과 엽면적은 처리 간 통계적 유의차가 없었으나, 신초 길이와 두께는 –80kPa 및 –20kPa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8월에 측정한 광합성률은 –60kPa(17.7 μmol·m-2·s-1), –40kPa(15.6μmol·m-2·s-1), –20kPa(14.5μmol· m-2·s-1), –80kPa(14.0μmol·m-2·s-1) 순으로 높았다. 5월과8월에 측정한 SPAD 값은 –60kPa 및 –40kPa 처리구보다–80kPa 및 –20kPa 처리구에서 낮았다. 수확기는 –20kPa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와 비교하여 3일 빠르게 도달하였다. 과중은 –60kPa(379.1g), –40kPa(344.0g), –80kPa(321.0g), –20kPa(274.9g) 순으로 높았다. 경도는 –20kPa 처리구에서가장 낮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60kPa 처리구에서13.3°Bx로 가장 높았다. 상품과 비율은 –60kPa 처리구에서50.7%로 가장 높았고, –80kPa 처리구에서 23.4%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노지 복숭아 과원에서 관수 개시점을 –60kPa로 설정하는 것이 생산량 및 과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irrigation starting point by analyzing tree growth, physiological responses, fruit quality, and productivity in peach orchards. Seven-year-old ‘Kawanakajima Hakuto’ peach trees were used in an experimental field (35°49′30.4″N, 127°01′33.2″E) located within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located in Wanju-gun, Jeollabuk-do. The irrigation starting point was set with four levels of –20, –40, –60, and –80 kPa from June to September 2022.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crease of trunk cross-section area and leaf area among treatments, shoot length and diameter decreased in the –80 kPa and –20 kPa treatments. The photosynthetic rate measured in August was highest for –60 kPa (17.7 μmol·m-2·s-1), followed by –40 kPa (15.6 μmol·m-2·s-1), –20 kPa (14.5 μmol·m-2·s-1) and –80 kPa (14.0 μmol·m-2·s-1). SPAD value measured in May and August was lower in the –80 kPa and –20 kPa treatments than in the –60 kPa and –40 kPa treatments. The harvest date reached three days earlier in the –20 kPa treatment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he fruit weight was highest in the –60 kPa (379.1 g), followed by –40 kPa (344.0 g), –80 kPa (321.0 g) and –20 kPa (274.9 g). Firmness was the lowest in the –20 kPa treatment. The soluble solid content was highest in the –60 kPa treatment (13.3°Bx).The ratio of marketable fruits was highest in the –60 kPa treatment (50.7%) and lowest in the –80 kPa treatment (23.4%).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setting the irrigation starting point at –60 kPa could improve the fruit quality and yield in peach orchards.

      • SBR+MBR 공법을 이용한 고도수처리장치에서 PAC 5를 이용한 응집공정 적용시 영양염류 제거율에 대한 연구

        이슬기,윤영내,서민성,성낙창,정진희,한영립,이승철,최영익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05

        MEPC. 227(64)가 발의되면서 해상에서 선박 배출수의 오염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었다. 특히 T-P에 대하여 유입수 대비 유출수의 제거율을 1.0 mg/L 또는 80%로 제한하고 있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SBR+MBR 공정을 적용하여 시험운전을 진행하였으며, 그에 따른 문헌조사 결과 생물학적 처리만으로 인의 목표 처리효율을 충족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응집제(PAC 5)를 도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PAC 5를 이용한 응집공정 적용시 T-P의 제거율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연구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실험에 사용된 원수는 실험을 위해 자체 제작한 화장실에서 발생된 오수를 사용하였으며 원수의 T-P 농도는 33.215 mg/L로 측정되었다. 실험은 총 3 사이클 동안 진행되었으며, SBR+MBR 공정을 거친 1차 유출수의 T-P 농도 및 제거율의 평균값과 PAC 5를 이용하여 응집공정까지 시행된 2차 유출수의 T-P 농도 및 제거율의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1차 유출수의 평균 T-P 농도는 15.05 mg/L로 유입수 대비 유출수가 70.8%의 제거율로 나타났고, 또한 2차 유출수의 경우 평균 농도 3.47 mg/L로 93.3%의 제거율로 나타났다. 실험을 통해 PAC 5를 적용한 응집공정을 실시하였을 때 T-P 평균 제거율이 22.5%가 상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SBR+MBR 공정을 적용한 고도수처리장치에 있어서 PAC 5를 이용한 응집공정 적용은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EBAX-Graphene oxide(GO) 복합막의 제조와 기체투과특성

        이슬기,강태범,이현경,홍세령 한국막학회 2015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5 No.05

        PEBAX[poly(ether-block-amide)는 soft flexible polyether부분과 hard rigid polyamide 부분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탄소체이다. 부드러운 polyether 부분은 기체투과에 있어 높은 투과도를 제공하고 단단한 polyamide 부분은 기계적 강도가 좋고 기체 선택성 또한 우수하다. GO(Graphene oxide)는 자연계에 널리 존재하는 흑연으로부터 제조되는데 기체투과에 있어 선택적 배리어로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EBAX-GO 복합막을 GO 함량을 달리하여 제조하고 제조된 막의 물리화학적 특성, 기체투과도, 선택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 PEBAX와 열처리 한 Graphene oxide(GO) 복합막의 제조와 기체투과특성

        이슬기,김선희,이현경,홍세령 한국막학회 2015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5 No.11

        PEBAX[poly(ether-block-amide)는 열가소성인 탄소체로 부드럽고 유연한 폴리에테르와 단단한 폴리아마이드의 블록으로 이루어졌다. 두 compounds는 기체 분리막에 있어 필수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폴리에테르는 높은 투과도를 제공하고 폴리아마이드는 기계적 강도가 좋고 기체 선택성도 우수하다. GO(Graphene oxide)는 흑연으로부터 제조하여 재료의 습득이 용이할 뿐 아니라 기체투과에 선택적 배리어로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GO에 열을 가한 뒤, 함량을 달리한 PEBAX-GO 복합막을 제조하고, 제조된 막의 물리화학적 특성, 기체투과도, 선택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 KCI등재

        PTMSP-GO 복합막의 기체분리 특성

        이슬기,홍세령 한국막학회 2018 멤브레인 Vol.28 No.2

        본 연구는 GO (graphene oxide)를 활용한 기체 분리막 연구를 위해 기체투과도가 우수한 PTMSP [poly(1-trimethylsilyl- 1-propyne)]에 GO를 첨가하여 PTMSP-GO 고분자 복합막을 제조하고, N2, CH4, CO2에 대한 투과특성을 연구하였다. PTMSP-GO 복합막의 기체투과는 N2 < CH4 < CO2 순으로 높은 기체투과도 값을 가졌다. N2, CH4, CO2의 기체투과 경향은 GO 함량 0~10 wt% 범위에서 함량이 증감함에 따라 기체투과도가 감소하다가 10~30 wt% 범위에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적은 GO 함량범위에서는 복합막 내에서 GO가 barrier로 작용하여 확산성 감소로 기체투과도가 감소하였고, 일정 함량범 위 이상에서는 계면에 생기는 void로 인해 기체투과도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CO2는 GO의 -COOH에 친화성을 가지고 있어 선택도(CO2/N2)와 선택도(CO2/CH4)는 GO 함량이 증가하면서 점차 증가하는데 선택도(CO2/N2)는 PTMSP-GO 10 wt%에서 10.6로 가장 높은 선택도를 보였고, 선택도(CO2/CH4)는 PTMSP-GO 20 wt%에서 3.4로 가장 높은 선택도를 보였다. 그러나 일정 함량 이상에서 선택도(CO2/N2)와 선택도(CO2/CH4) 모두 감소하였는데 GO 함량이 많아지면서 GO 충진물 간의 응집현상이 심해지고, GO 응집물로 인하여 CO2에 대한 용해도 효과가 낮아져 선택도가 감소되었다. PTMSP-GO 20 wt% 복합막은 PTMSP 단일막보다 증가된 CO2 투과도와 선택도(CO2/CH4)를 보이면서 기체투과 특성이 향상되었다. In this study, PTMSP-GO composite membranes were prepared by the addition of GO (graphene oxide) into PTMSP [poly (1-trimethylsilyl-1-propyne)] having high gas permeability, to study of gaseous membrane using GO. Gas permeation properties for N2, CH4, CO2 were investigated by increasing the amount of GO in the PTMSP. PTMSP-GO composite membranes had higher gas permeability in the order of N2 < CH4 < CO2. The gas permeation tendency of N2, CH4, and CO2 increased as the content of GO increased from 0 to 10 wt%, but the gas permeability decreased as increased from 10 to 30 wt%. In the range of low GO contents, the gas permeability decreased due to the decrease of diffusivity because GO acts as a barrier in the composite membrane, and the gas permeability increased due to the void at the interface above the content range. And CO2 has an affinity with -COOH of GO, the selectivity (CO2/N2) and the selectivity (CO2/CH4) gradually increase with increasing GO content. And the selectivity(CO2/N2) showed the highest selectivity at 10.6 for PTMSP-GO 10 wt% and the selectivity (CO2/CH4) showed the highest selectivity at 3.4 for PTMSP-GO 20 wt%. However, above a certain amount of GO, selectivity (CO2/N2) and selectivity (CO2/CH4) decreased because the coagulation phenomenon between GO was increased and the solubility effect of CO2 decreased. The PTMSP-GO 20 wt% composite membrane exhibited enhanced gas permeation characteristics with increased CO2 permeability and selectivity (CO2/CH4) over PTMSP membrane.

      • KCI등재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stressor-satisfaction relationship: evidence from police officers in Korea

        이슬기,윤태식,이수영 한국행정학회 2015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is relationship.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ree types of job stress – role overload, role ambiguity and bad physical environment – and two sources of social support – supervisor and coworker support.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from a survey of 619 police officers in Korea.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ole ambiguity and bad physical environment are nega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Second, social support has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has no moderating effect. Third, coworker support i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job satisfaction than supervisor support.

      • KCI등재

        문화재 향유 만족도와 가치인식

        이슬기,금현섭 한국예술경영학회 2016 예술경영연구 Vol.0 No.37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재 향유에 따른 만족도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는데 있다. 기존의 문화재 정책이 원형보존에 집중하면서 문화재 자체의 보존·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면 최근의 경향은 문화재 활용 즉, 문화재가 제공하는 문화서비스의 향유라는 점이 중시되고 있다. 문화재 향유가 제고될수록 문화재 보존 및 활용에 대한애착이 형성되고 이를 위한 자발적 노력과 문화재 관리 정책에 대한 수용성 역시배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초점의 전환에도 불구하고 실제 문화재 향유와 관련한 학술적·정책적 논의는 향유기회의 확대와 같이 공급자 시각에서 주도되어 온 경향이 짙다. 본논문은 소비자 시각에서 문화재 향유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향유의 중요한 기준인 만족도 수준과 그 영향요인 탐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더욱이 서비스에 대한만족 여부와 그 수준은 소비자가 해당 서비스에 부여하는 가치인식에 따라 달라질수 있다는 기존 경영학 등 다른 학문분야에서의 연구결과에 착안해 본 연구는 문화재 향유자들이 인식하는 문화재의 가치를 명시적으로 고려함으로써 문화재 향유 만족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재청에서 실시한 「2010 문화유산 향유실태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문화재에 대해 개인이 부여하는 가치를배움의 공간, 정체성 확인 공간, 그리고 관광 및 휴식공간으로 구분하였고, 이러한가치와 다양한 차원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서비스 전달 만족 수준은 국가 정체성 확인 공간으로 인식하는 사람들과 다른 사람들 사이에서, 접근 용이성 만족 수준은 관광 및 휴식 공간으로 인식하는 사람들과 다른 사람들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화재 향유자들이 문화재에 대해 어떤 가치를 부여하는지에 따라 그 향유에서각기 상이한 해석과 재해석이 뒤따르며, 그 결과 만족 차원과 수준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추정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향유자들이 부여하는 문화재의 가치에 따라 향유 경험을 통해 체감하는 만족의 차원과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문화재 관리정책에 있어서 향유자들의 문화재에 대한 태도나 가치인식에 대한 고려가선결적으로 필요함을 제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how individuals’ satisfaction of cultural heritage is affected by the value they attach to it. Until recently, cultural heritage was of itself a priority, with policies primarily aimed at its preservation. However, there has been a renewed interest in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reby stressing the need for managing visitors’ satisfaction. Considering other strands of research, e.g. business, that emphasize the role of perceived value in shaping customer satisfac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tend the discussion by taking into account the various meanings visitors attach to cultural heritage using the 2010 survey on the experience of visiting cultural heritage sites. We classify respondents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perceived values(national identity, education, leisure), and examine how their satisfaction levels differ across various satisfaction dimensions. What we found through the ordered logit regression analysis can be listed as follows, there is a significant gap in satisfaction with service delivery between those who attach an educational value to cultural heritage as opposed to those who view it as a place of reaffirming their national identity. Level of satisfaction in the accessibility dimension also differed considerably, between those who view it as an educational site and those as a tourist attraction. The findings overall suggest that individuals’ perceived value of cultural heritage affects the level of satisfaction they derive from it.

      • KCI등재

        외식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정보가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식 기반 브랜드에 대한 친숙도를 통제하여

        이슬기,김동진 한국외식경영학회 2013 외식경영연구 Vol.16 No.2

        Even though researchers have shown great interests on the effect of negative information about brands and companies, the effect of positive information remains relatively unstudied. This study attempts to study the effects of positive and negative information about Korean restaurant brands on consumer attitudes (i.e., brand image,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from a comprehensive point of view. In doing so, the effect of brand familiarity is controlled as a covariate. The study adopts a reversed-treatment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ith pretest-posttest and the data were collected in Seoul, Busan, and Daegu using non-proportional quota sampling. The results suggest that negative information is more influential than positive information and this phenomenon is more eminent when the brand familiarity is controlled as a covariat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for restaurateur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소비자가 외식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부정적 정보를 접했을 때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된 연구이다. 이러한영향을 조사하는데 있어 선행연구에서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브랜드에 대한 친숙도를 통제하기 위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를위해 한식을 기반으로 하는 브랜드 4개 업체를(놀부보쌈, 본죽, 원할머니보쌈, 채선당) 선정하였으며, 불비례 할당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서울, 부산, 대구 지역에거주하는 20세 이상 외식소비자를 대상으로 총 4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98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한식 기반 브랜드의 긍정적·부정적 정보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 각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영향력은 부정적정보의 경우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브랜드 친숙도를 공변량으로 통제하여 긍정적·부정적 정보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 각각에 유의한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친숙도를 통제한 경우에도 부정적 정보의영향력이 보다 큰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유전체 시대에 반수체 육종의 재발견

        이슬기,김정선,강상호,손성한,원소윤,Lee, Seulki,Kim, Jung Sun,Kang, Sang-Ho,Sohn, Seong-Han,Won, So You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6 식물생명공학회지 Vol.43 No.1

        DNA 염기서열 분석기술의 진보는 많은 근본적인 생명현상을 이해하는데 기여해왔다. 유례없는 저비용에 염기서열을 대량으로 분석을 할 수 있게 되어 단일 규모의 실험실에서도 관심이 있는 종의 신규유전체를 해독할 수 있다. 게다가 유전집단의 전체 염기서열을 편향되지 않은 채 분석하여 무수한 분자마커를 발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집단유전학 연구도 두드러지게 가속화되어 왔다. 그러나 식물의 유전체가 이형접합성, 반복염기서열, 배수성과 같은 복잡한 특성이 있다는 것을 고려해 볼 때 기술이 매우 빠르게 진화함에 따라 적절한 개체 혹은 집단을 확보하는 것이 식물 연구에서 주요한 문제가 되었다. 이러한 난제는 오래되었지만 매우 효율적인 기술인 반수체 육성을 통하여 극복될 수 있을 것이다. 정상적인 개체가 갖는 염색체의 절반을 보유하는 반수체 식물은 주로 자방이나 화분과 같은 배우체 세포를 배양함으로써 빠르게 구축될 수 있다. 뒤이은 반수체 식물의 염색체 배수화는 완벽한 동형접합성을 보이는 안정된 배가반수체를 만든다. 본 논문에서는 반수체 식물을 육성하고 판별하기 위한 고전적인 방법론을 요약할 것이다. 게다가 동원체의 히스톤을 후성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반수체를 유도하는 방법을 설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전체 시대에 반수체 식물의 활용 방안을 유전체 해독과 집단 유전학의 측면에서 논의할 것이다. Advances in DNA sequencing technologies have contributed to revolutionary understanding of many fundamental biological processes. With unprecedented cost-effective and high-throughput sequencing, a single laboratory can afford to de novo sequence the whole genome for species of interest. In addition, population genetic studies have been remarkably accelerated by numerous molecular markers identified from unbiased genome-wide sequences of population samples. As sequencing technologies have evolved very rapidly, acquiring appropriate individual plants or populations is a major bottleneck in plant research considering the complex nature of plant genome, such as heterozygosity, repetitiveness, and polyploidy. This challenge could be overcome by the old but effective method known as haploid induction. Haploid plants containing half of their sporophytic chromosomes can be rapidly generated mainly by culturing gametophytic cells such as ovules or pollens. Subsequent chromosome doubling in haploid plants can generate stable doubled haploid (DH) with perfect homozygosity. Here, classical methodology to generate and identify haploid plants or DH are summarized. In addition, haploid induction by epigenetic regulation of centromeric histone is explained. Furthermore, the utilization of haploid plant in the genomics era is discussed in the aspect of genome sequencing project and population genetic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