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심리운동이 발달지체유아의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정진희,이숙정 한독심리운동학회 2018 심리운동연구 Vol.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tervention of psychomotricity and language expression abilities of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3 infants with developmental delays aged 6;6 years on average in special kindergarten school in Seoul. As for experimental design,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adopted in relation to the language expression abilities, and the baseline, intervention and retention stages were carried out according to that. The language expression abilities(utterance, connection of contents and creative expression) were measured separately based on the four picture cards-test in each session. Results: First, through the intervention of psychomotricity, the utterance, the connection of contents and the creative expression of the 3 infants with were improved. Second, the Improved language expression abilities of them were maintained during the retention period. Conclusions: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infants in the play through internal motivation, granting of autonomous decision-making, the repetitive success experience have led to increased self-efficacy and confidence of the infants. Furthermore,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psychomotric activities suitable for the infant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language expression. Therefore, we need to carry out more physical activit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enable infants to regain their success experience and confidence through teachers' receptive attitudes and positive feedback. 연구목적: 심리운동 놀이 중재와 발달지체유아의 언어표현력(어절수, 내용의 연계성, 창의적 표현)간의 기능적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서울시 소재 A특수유아학교 유치반에 재원 중인, 평균 생활연령 만 6;6세 발달지체유아3명을 대상으로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 연구를 진행하였고, 기초선과 유지기간의 자유놀이및 중재 기간의 심리운동 중재 후에 각 회기별 놀이상황에 대한 그림카드 4장을 매 회기마다 새로제작하여 대상유아의 언어표현력을 어절수, 내용의 연계성, 창의적 표현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1. 심리운동 중재를 통해 발달지체유아 3명의 언어표현력의 하위항목인 어절수, 내용의연계성, 창의적 표현 모두 향상하였다. 2. 중재 종료 후 유지기간에도 대상유아들의 향상된 언어표현력이 유지되었다. 결론: 발달지체유아가 내적 동기를 통해 놀이움직임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중재환경을 조성하고, 자율결정권 부여, 반복적인 성공 경험을 통해 자기효능감과 자신감 상승을 유도한 점, 나아가심리운동의 기본원리 및 유아들의 발달수준에 적합한 신체놀이활동을 구성, 운영한 점 등이 대상유아들의 언어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발달지체유아 교육현장에서신체움직임 활동을 적극 실행하며, 교사의 수용적 태도와 긍정적 피드백을 통해 유아가 성공경험과자신감을 회복하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설문대 할망 창조 여신설 검토

        정진희 제주학회 2019 濟州島硏究 Vol.51 No.-

        It is a widely acknowledged idea tha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a female giant featured in folktales of Jeju Island, indicates the goddess who created Jeju Island. A small number of scholars, however, have presented counterarguments. This article reflects upon the validity of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the old woman of Sŏlmundae” as the goddess of creation by reexamining a number of materials that have been used to support such an understanding. First, I argue that in the folktales that scholars have been using to support tha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was believed to separate heaven and earth and created Jeju Island, the subject of separation and creation in those tales is in fact no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but different character. Second, scholars argue tha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has been recognized as a goddess since the Chosŏn period by suggesting that the term “sŏnma 詵麻” mentioned in A Record of Drifting across the Sea 漂海錄(1771) by Chang Han-chŏl indicates “the old woman of Sŏlmundae.” I argue that such a suggestion is not verifiable. Third, existing studies acknowledge the records of shamanistic rites transcribed by Chang Chu-gŭn and Yi Sŏng-jun as the evidence supporting the idea tha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was traditionally the object of ritual rite for the mountain spirits. My examination of those two materials, however, reveals that they do not specifically indicate “the old woman of Sŏlmundae” as the object of rite. I argue, in sum, that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tha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is the goddess of creation is not verified sufficiently by the remaining documents. That does not mean tha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is not definitely the goddess of creation. The records transcribed by a Japanese scholar, Izumi Sēich(泉靖一), can be used as supporting evidence for the idea of “the old woman of Sŏlmundae” as the goddess of creation. It also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old woman of Sŏlmundae” is not an indigenous goddess of Jeju Island but a goddess of foreign origin.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idea of “the old woman of Sŏlmundae” as the goddess of creation calls for more investig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제주 설화 속 여성 거인 ‘설문대 할망’이 제주도의 창조 여신이라는 주장은 현재 학계의 보편화된 통설이다. 그러나 이에 대한 소수의 반론이 없지 않은바, 본고는 ‘설문대 할망 창조 여신설’을 뒷받침해 온 몇 가지 근거를 재검토함으로써 학술적 입론으로서의 정합성을 따져 보았다. 설문대 할망이 천지를 분리하고 제주 섬을 창조했다는 근거로 제시된 설화 각편에서 분리와 창조의 실제 주체는 설문대 할망이 아니라 별개의 인물이고, 조선 시대 설문대 할망이 여신으로 믿어졌다는 근거로 제시되어 온 장한철의 『표해록(漂海錄)』에 기록된 ‘선마(詵麻)’는 설문대 할망과 동일 인물이라는 근거가 미흡하며, 설문대 할망이 산신굿의 제향 대상이었다는 근거로 제시되곤 하는 장주근 채록의 무가 자료와 이성준의 조사 자료는 두 자료 모두 설문대 할망이 의례의 대상임을 분명하게 제시하고는 있지 않음을 지적했다. 마지막으로, 여성 거인 창세신이 주변 민족 신화에서도 일반적으로 나타난다는 입장은 오키나와의 사례가 반례가 될 수 있음을 들었다. 이에 따라, 설문대 할망이 제주의 창조 여신이었다는 학술적 입론은 정설로 자리하기에는 논리적 근거가 충분치 않다고 보았다. 그렇다고 해서 본고의 결론이 설문대 할망이 창조 여신이 아니라는 데 이르지는 않는다. 이즈미 세이치(泉精一)가 채록한 자료는 ‘설문대 할망 창조 여신설’의 한 근거가 될 가능성이 있다. 한편 이 자료는 설문대 할망이 제주의 토착신이 아니라 외래신(外來神)이었을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고는 ‘설문대 할망 창조 여신설’이 정설이 되려면 더 많은 논의가 필요함을 주장하고, 설문대 할망 설화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다각도로 진행되어야 함을 구체적 과제와 함께 제안하였다.

      • KCI등재

        Atomic Force Microscope 와 공초점 Dark-field 분광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크기의 단일 Au 나노입자에서의 플라즈몬 광 산란 분광 연구

        정진희,김지현,김정용 한국물리학회 2012 새물리 Vol.62 No.12

        The phenomenon of plasmon resonance that occurs on metal nanoparticles has many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areas of optoelectronics and photochemistry. We obtained the spectrum of light scattered from a single Au nanparticle and observed the spectral changes with varying nanoparticle sizes as, measured by using atomic force microscopy. To observe the light scattered from Au nanoparticles, we used dark field microscopy with total internal reflection. A Au nanoparticle with a diameter of 80 nm showed a resonance wavelength around at 520 nm, and a Au nanoparticle with a diameter of 100 nm showed one at 600 nm. The redshift of the resonance wavelength with increasing Au nanoparticle size was was consistent with the FDTD simulation results. Atomic Force Microscope 와 공초점 dark-field 분광기술을 이용하여단일 Au 나노 입자로부터 산란된 빛의 분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다양한 크기의 Au 나노입자의 크기와 산란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지름이 80 nm, 100 nm인 두 Au 나노 입자는 각각 520 nm와 600 nm의플라즈몬 공명 진동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이 Au 나노입자의 크기가 커질수록 공명진동수에 해당되는 파장이 길어지는 현상은FDTD를 이용한 컴퓨터 모의실험 결과로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이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진희,권오영,김석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1

        본 연구는 점차 심각해지는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현상에 주목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으로서 부모양육방식과 학교생활적응의 주효과를 살펴봤다. 아울러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청소년 여가활동의 중요성을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함께 확인했다. 이를 위해 2016년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데이터 중 중학생 2,342명, 고등학생 2,378명의 원자료(raw data)를 가공해 분석했다. 연구결과, 중·고등학생 간에는 부모양육방식 및 학교생활적응, 여가활동 만족도, 휴대전화 의존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휴대전화 의존과는 유의한 음(-)의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감독과 학습활동은 휴대전화 의존에 있어 중·고등학생 모두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각 변수들과의 관계에서 여가활동 만족도는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This study focused on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adolescents, and we examined the effects of parenting style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on mobile phone dependency. In addition, we confirmed the importance of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through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raw data of 2,342 middle school students and 2,378 high school students of KCYPS data in 2016.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in parenting style, school life adjustment,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and mobile phone dependency level. Second, all independent variable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obile phone dependency. Third, parent supervision and learning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due to mobile phone dependency. Fourth,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partially moderated in relation with each 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a method to prevent the dependence of mobile phones on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