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밀론 대학생 성격검사(MCCI)의 교차 타당화 : 교대생을 대상으로

        이문향(Lee, Mun-Hyang),박우람(Park, Woo-Ram),홍상황(Hong, Sang-Hwa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대학생 내담자들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MCCI(Millon College Counseling Inventory; Millon, 2006)를 교육대학교 재학생(이하 교대생)들을 대상으로 교차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전국의 9개 교대생, 2~4학년 672명을 대상으로 MCCI와 8가지 타당도 지표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척도의 내적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모두 양호하였다. 구성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수렴 및 변별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MCMI-IV, PAI, PDDS, NEO, IESS, Beck 검사 간 상관을 분석한 결과, MCCI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척도들과 개념적으로 상응하는 타당도 지표와는 비교적 높은 범위의 정적 상관, 상반되는 척도와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대학생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MCCI를 교대생에 적용하였을 때 신뢰성 있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고, 교대생들이 호소하는 심리적 불편감이나 다른 정신건강 문제를 탐색하고 치료적 접근을 모색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ross-validate the Millon College Counseling Inventory (MCCI) (Millon, 2006) that is designed to evaluate college counseling students in a multidimensional manner, with the sample being current students at universities of education. Method: To examine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study administered eight validity indices and MCCI with 672 of the second- through fourth-year students from nin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Results: Results revealed the acceptable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of scales.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onstruct validity, and five factors were drawn. The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MCMI-IV, PAI, PDDS, NEO, IESS, and Beck Scales to test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howed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ach scale of MCCI and conceptually corresponding validity indices, while negative correlations with conceptually opposite scale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MCCI, designed for college counseling students, can be measured accurately and reliably. Moreover, the study suggests that this can be utilized to explore psychological discomfort or other mental health problems that students face, and as a result, to seek a therapeutic approach.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간질수술을 받은 소아 환자의 신경심리학적 결과

        이지훈(Jee Hun Lee),이보련(Bo Lyun Lee),진주희(Ju Hee Chin),서대원(Dae Won Seo),홍승봉(Seung Bong Hong),홍승철(Seung Chul Hong),이문향(Mun Hyang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0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5 No.1

        목 적: 신경심리검사는 간질과 연관된 인지기능 손상의 해부학적 위치를 확인하고 수술 후의 기능에 대한 예측과 평가에 도움이 되어 간질수술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에 유용하다. 저자들은 간질수술 전·후에 실시한 신경심리검사의 특징과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간질수술을 받은 15세 이하의 환자 중 수술 전·후에 신경심리검사를 실시한 환자 28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인구학적인 특징, 간질발작의 임상적 특징, 수술 전 검사, 수술의 범위 및 방법, 신경심리검사 결과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 과 : 28명의 환자 중 남자는 15명, 여자는 13명이었다. 간질발작이 시작된 연령은 평균 84.8개월이었으며, 수술을 받은 연령은 평균 146.5개월이었으며 간질발작의 시작부터 평균 62.4개월 후에 수술을 받았으며, 수술 후 평균 28개월 동안 추적 관찰하였다. 모든 환자는 복합 부분 발작을 하였고, 2명의 환자는 단순 부분 발작을 동반하였으며, 11명의 환자에서 복합 부분 발작이 2차적으로 전신화되었다. 통상적인 전측두엽 및 편도해마절제술을 실시한 환자가 9명, 이와 함께 외측 측두엽이나 측두엽 외의 간질병소를 함께 절제한 경우가 16명, 측두엽 외의 간질병소를 수술한 경우는 3명이었다. 수술 후 간질발작의 예후는 Engel분류에서 Class I(21명), Class II(5명), Class III(1명), Class IV(1명) 등이었다. 신경심리검사에서 손상이 의심되는 해부학적 위치와 다른 수술 전 검사에 의한 국소화는 25명(89.3%)의 환자에서 일치하였다. 15명의 환자에서 평균 16.6개월 간격으로 수술 전과 후에 신경심리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술 전·후의 전체 지능과 언어성 지능은 차이가 없었으나 동작성 지능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1), 수술 연령이 높은 군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37). 수술 후의 검사에서 수술 전에 비하여 언어지능이나 기억력이 다소 향상된 경우는 8명이었으며, 다른 7명의 환자에서는 수술 전과 비슷하거나(2명), 언어적 기억력이나 집중력 등이 저하되는 소견을 보였으며 (5명), 간질수술 후의 Engel 분류가 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37). 결 론: 대상 소아 환자에서 간질수술 전과 후에 지능 지수와 기억력은 저하되지 않았다. 약 50%의 환자에서 전반적인 지능수준, 기억력, 그리고 언어지능 등이 향상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간질발작의 조절이 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 었다. 따라서 간질병소의 국소화가 잘 이루어져, 수술 후 간질발작의 결과가 좋을수록 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과 기억력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With this study, we evaluated the operative and neuropsychological outcomes after epilepsy surgery in children. Methods : We studied the surgical outcomes and the possibly related factors retrospectively b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of 28 patients who underwent epilepsy surgery before the age of 15 years along with the battery of neuropsychological tests. Results : The mean age of seizure onset was 84.8 months, and the mean period at the surgery after the onset of seizure was 62.4 months. Among 28 patients, 15 had complex partial seizures(CPS) only, 11 CPS with secondary generalization, and two simple partial seizures in addition to CPS. The types of the surgery included anterior temporal lobectomy with amygdalo-hippocampectomy(9 patients), extra-temporal or lateral temporal resection with temporal lobectomy(16 patients), and extra-temporal resection(3 patients). Evaluating their surgical outcomes, 21 patients belonged to Engel class I, five to class II, and each one to class III and IV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ull scale intelligence quotient(IQ) and verbal IQ after the epilepsy surgery. However, the performance IQ was higher in the older age group after the operation(P=0.011). When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prognostic groups, the Engel classification after the surgery was the only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P=0.037). Conclusion : The intelligence quotient and memory did not deteriorate after the epilepsy surgery. The overall neuropsychological outcomes improved in about half of the patients. And it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seizure outcomes after the surgery.

      • 1p36 Deletion syndrome Presenting with Various Epileptic Semiologies

        김애리(Ae ree Kim),이지원(Ji own Lee),이문향(Mun hyang Lee),이지훈(Jee hun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15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3 No.4

        본 저자들은 생후 1개월부터 발생한 여러 유형의 발작, 삼킴장애, 발달지연, 소두증 및 형태학적 이상을 보인 남아에서 비교유전체 보합법(array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을 통하여 1p36 결실증후군을 진단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p36 deletion syndrome is the most common telomeric microdeletion syndrome. It is related to various clinical features including neurodevelopmental impairment, seizure, growth retardation, and heart defects. It is also known to have several morphologic features, including deep-set eyes, flat nasal bridge, straight eyebrows and pointed chin. Seizure is common in 1p36 deletion syndrome and its type and natural course is variable. Control of seizure with antiepileptic drugs is variable; however, seizure improves with time in majority of cases. We report a patient presenting with various types of seizure, developmental delay, and morphological abnormality. The patient developed complex partial seizure, infantile spasm, and myoclonic seizure, at the age of 1, 4, and 12 months, respectively.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1p36 deletion syndrome using array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At the age of 15 months, seizure disappeared and development began to progress.

      • SCOPUSKCI등재

        신생아 집중치료를 받은 극소저출생체중아 치료성적의 시기에 따른 변화

        김성신,김문희,심재원,고선영,이은경,장윤실,강이석,박원순,이문향,이상일,이흥재,Kim, Shung Shin,Kim, Moon Hee,Shin, Jae Won,Ko, Sun Young,Lee, Eun Kyung,Chang, Yun Sil,Kang, I Seok,Park, Won Soon,Lee, Mun Hyang,Lee, Sang Il,Lee, Heung J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7

        목 적: 출생 체중 1,500 그램 미만의 극소저출생체중아(very low birth weight infant, VLBWI)의 치료성적은 신생아 집중치료술 향상여부를 모니터 하는 주요한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개원이래 최근 7년간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의 VLBWI 치료성적의 변화양상을 기간별로 관찰 분석하였다. 방 법: 1994년 10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중환자실로 생후 3일 이내 입원한 VLBWI 374명을 대상으로 기간을 나누어(I기 : 이미 성적이 보고된 1994. 10-1996. 9, II기 : 1996. 10-1998. 12, III기 : 1999. 1-2000. 12) 각 기별, 출생체중별, 재태기간별, VLBWI의 발생빈도와 생존율, 유병률 및 생존기간 등에 관해 의무기록지를 통한 후향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생존율은(생존아/총출생 VLBWI)${\times}100$으 로 산출하였고 생존아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생존하여 퇴원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 VLBWI의 발생빈도는 기간별로 차이가 없었고(I기 : 1.3%, II기 : 1.5%, III기 : 1.4%), 생존율은 III기에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출생체중별 생존율에서 III기에서 750 gm 미만군(vs II기)과, 1,250-1,499 gm 군(vs I기)의 향상이, 1,000-1,249 gm 군에서는 II기(vs I기)의 향상이 의미 있었고 최저출생 생존아는 I기 624 gm($26^{+5}$주), II기 667 gm($25^{+6}$주), III기 480 gm($26^{+2}$주)였다. 재태기간별 생존율에서 III기의 25-26주군과 29-30군이 I, II기에 비해 의미 있게 향상되었고 최저출생 재태기간의 생존례는 I기 26주(970 gm), II기 $23^{+5}$주(791 gm), III기 $24^{+1}$주(740 gm)였다. VLBWI의 주요 유병률 중 III도 이상의 심한 뇌실 내 출혈의 빈도가 III기 5%로 I기 13%, II기 10.5%에 비해 의미 있게 감소되었고, 전체 사망 중 7일 이전 사망률이 III기(15.4%)에 I기(55.5%)에 비해 의의 있게 감소되었다. 결 론 : 최근 VLBWI의 생존율이 주요 유병률의 증가 없이 현저히 향상되었고, 특히 26주 이하, 750 gm 미만의 초극소미숙아의 생존율 향상이 두드러졌다. Purpose : The outcomes of infants weighing less than 1,500 gm(very low birth weight infant : VLBWI) reflect recent progress in neonatal intensive care. In this study, we analyzed changes over time in survival rate and morbidity of VLBWIs during the past seven years.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was analyzed for VLBWI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Samsung Medical Center within three days from birth. We compared the outcomes of previous corresponding data(period I : Oct. 1994 to Sept. 1996), with the outcomes of period II(Oct. 1996 to Dec. 1998) and period III(Jan. 1999 to Dec. 2000). Results : As shown in Tables 1 and 3, the distribution of birth weight, gestational age(GA), gender, and inborn admissions did not change during the 7-year study. The overall survival rate of VLBWI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ime(period I : 72% vs period III : 88.3%, P<0.05). Between period I and period II, the birth weight-specific survival rate increased by 23.6%(75% vs 92.7%, P<0.05) for infants 1,000 to 1,249 gm. Between period II and period III, the birth weight-specific survival rate increased three times(20% vs 66.7%, P<0.05) for infants <750 gm. The survivors of lowest birth weight included infants at 624 gm(GA : $26^{+5}$ weeks), 667 gm(GA : $25^{+6}$ weeks) and 480 gm(GA : $26^{+2}$ weeks) in each period. The gestational age-specific survival rate in period III increased significantly in GA 25-26 weeks and 29-30 weeks(vs period I & period II, P<0.05). The survivors of lowest gestational age included infants at GA 26 weeks(970 gm), GA $23^{+5}$ weeks(791 gm) and GA $24^{+1}$ weeks(740 gm) in each period. The incidence of severe IVH(grade III, IV) and the early death rate(< seven days) decreased in period III(vs period I; P<0.05), reflecting improveme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Conclusion : The survival rate of VLBWI continues to increase, particularly for BW < 750 gm, GA < 26 weeks. This increase in survival is not associated by any increase in major morbidities.

      • Successful Treatment of Intractable Hiccups with Benztropine

        김유선(Yoo Seon Kim),유희준(Hee Joon Yu),김재연(Jae Youn Kim),이문향(Mun hyang Lee),이지훈(Jee hun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14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22 No.3

        In general, intractable hiccups are uncommon. Various drugs and interventions have been reported, but there is no consensus on the treatment of intractable hiccups. We report a patient with meningitis and rhombencephalitis who presented with intractable hiccups that were resolved following treatment with benztropine. A 17-year-old boy was admitted to another hospital with a two-week history of fever and headache. A cerebrospinal fluid (CSF) test showed an increased white blood cell (WBC) count (290/μL, monocytes 100%). He was diagnosed with meningitis and treated with ceftriaxone. Two days after admission, hiccups started and lasted for eight days, despite treatment with phenobarbital, diazepam, haloperidol, phenytoin, and chlorpromazine. He was transferred to our hospital for further evaluation and treatment. He was clinically diagnosed with rhombencephalitis based upon the findings of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The fever and headache disappeared one day later. However, the hiccups persisted, despite symptomatic treatment with chlorpromazine, gabapentin, and metoclopramide. The hiccups disappeared after one day of adding benztropine without relapse. Benztropine can be considered in the treatment of intractable hicc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