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유가공산업(乳加工産業)의 에너지 소비양상(消費樣相)에 관한 조사연구

        윤영호 한국낙농학회 1983 韓國酪農學會誌 Vol.5 No.3

        A survey on the energy consumption status of seven dairy processors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assess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nergy consumption in dairy processing industry in this coun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A total amount of 227,124 million ㎉ (0.95 PJ) of energy was consumed by 6 dairy processors, for the treatment and processing of 401,550 tons raw milk, which is equivalent to 566 ㎉ (2.4 MJ) per ㎏ of raw milk consisting 454 ㎉ of thermal energy and 112 ㎉ of electrical energy, in 1982. The trend of energy consumption during the period of last five years showed twenty percent less energy was used in 1982 than in 1978 for the treatment of unit weight of raw milk; a remarkable reducing tendency has been observed in the consumption of thermal (fuel) energy and a slight increasing tendency in the use of electrical energy. 2. Energy requirements for the production of three major dairy products showed that 169 ㎉ (0.71 MJ) of thermal energy and 55 ㎉ (0.23 MJ) of electrical energy were required for the treatment of ㎏ market milk, 2,378 ㎉ (9.95 MJ) and 265 ㎉ (1.1 MJ) for powdered milk, 129 ㎉ (0.54 MJ) and 112 ㎉ (0.47 MJ) for liquid yoghurt in 1982. 3. The energy use indexes of seven dairy processors in 1982 have been calculated for the comparative assessment of energy consumption efficiency. Four processors out of seven showed minus index in the use of thermal energy, whereas a great discrepancy was found in the consumption of electrical energy ranging from -8.4% to 360%, which bespeaks the need for better organized and efficient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on the part of dairy industry.

      • KCI등재

        가정의학 전문의와 암 전문의의 암성 통증 관리에 관한 지식과 태도

        윤영호,이기헌,허대석,김시영,허봉렬,박상민,손기영,정소연,홍영선 대한가정의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6 No.7

        Knowledge and Attitudes of Family Physician and Oncologist toward Cancer Pain Management in Korea 연구배경: 본 연구는 일차의료를 담당하는 가정의학 전문의와 암 전문의 간의 암성 통증 치료에 관한 지식과 태도 조사를 통해 암성 통증 관리 장애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법: 대한암학회의 회원 중에서, 실제 암환자 진료를 담당하고 있는 800명과 가정의학회 전문의 2,200명에게 마약성 진통제 처방에 대한 지식(13문항) 및 태도(6문항), 개인적 경험, 교육의 적절성과 장애 요인 등을 평가하는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결과: 설문을 발송한 대한암학회 전문의 800명 중 147명(18.4%)이 응답하였으며 가정의학회 전문의 2,200명 중 388명(17.6%)이 응답하였다. 암성 통증 관리의 지식에 대한 영역에서 응답자들은 특히, 마약성 진통제에 의한 호흡억제의 가능성, 마약성 진통제의 부작용에 대한 내성, 천장효과, 중독의 위험성, 보조 진통제의 사용 등에 대한 지식이 상당히 부족하였다. 다수의 의사들이 통증관리의 중요성, 통증 정도의 평가 주체, 치료에서의 우선 순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중독에 대한 염려, 최대 용량의 초기 투여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두 집단을 비교하였을 때, 가정의학 전문의가 암 전문의에 비해 지식의 13개 질문 중 9개 질문, 태도의 6개 질문 중 4개 문항에서 부적절한 지식과 태도를 보였다. 인구학적 변수와 암성 통증 환자의 진료 경험 등의 변수들을 보정하였을 때에는 혼돈의 부작용의 내성에 대해서만 암 전문의가 유의하게 높은 지식을 보인 반면, 항우울제의 진통효과에 대해서는 오히려 가정의학과 전문의가 더 바람직한 지식을 보였다. 또한, 가정의학 전문의가 통증 정도 평가의 주체와 치료에서 암성 통증 관리의 우선 순위에 대해서는 더 바람직한 태도를 보였다. 응답자 대부분이 암성 통증 치료의 의과대학 교육(94.0%), 전공의 수련(82.9%), 연수강좌(80.4%)가 적절치 못하다고 하였다. 암성 통증 관리의 장애요인에 대해서는 통증 관리에 대한 의사들의 불충분한 지식(66.3%), 부적절한 통증 평가(50.5%), 마약성 진통제 처방의 주저(42.7%) 등 의사측 요인과 전문적인 방법에 대한 접근성 부족(54.4%), 진통제에 대한 지나친 규제(44.3%), 다양한 진통제의 부족(39.2%) 등의 구조적인 요인들이 지적되었다. 결론: 다수의 의사들이 암성 통증 관리에 대해 상당한 지식 부족과 마약처방에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암성 통증 관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의사들에게 지식과 태도에 대한 포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 KCI등재

        표업(表業)의 본질에 대한 고찰Vasubandhu)와 상가바드라(Saghabhadra)의 해석을 중심으로-

        尹煐鎬 한국불교학회 2007 韓國佛敎學 Vol.48 No.-

        Vijñapti-karma means expressed[vijñapti] action[karma] toward outside, in here bodily-karma and verbal karma among the three karma i.e. bodily-vijñapti-karma and verbal-vijñapti- karma applies in this case.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t views how to define the essence of vijñapti-karma among many schools. In this treatise the writter have considered the essence of vijñapti-karma among that different views centering on Saṃghabhadra and Vasubandhu’s interpretations, whose the representative master of Sarvastivadin and Sautrantika sharply have opposed to each other over the whole field of Philosophy. Samghabhadra is opposed to the view regarding cetana(volition) as the essence of vijñapti-karma in Sarvastivadin’s position, and he regard doer’s bodily state[form] and verbal state[verbal sound] of the moment that the fundamental path of karma(根本業道) is achieved as it. It is premised Sarvastivadin’s peculiar standpoint that cause and effect continuity of karma want to explain through the theory of ‘the three periods exist(adhvatrayam asti)’, ‘vijñapti’, ‘acquisition’(prapti) in here However Vasubandhu is opposed to Sarvastivadin’s view of the vijñapti-karma and criticize. It is because, for example, the form regarded the essence of bodily-vijñapti-karma is not exist as an atom under peculiar Sautrantika’s view of material but only temporary establish differences arrangement of the color Sautrantika recognized as the own unique character of material. The positive reason, however, which Vasubandhu is opposed to Sarvastivadin’s view of the vijñapti-karma, is premised Vasubandhu’s plain purpose that cause and effect continuity of karma want to explain through the theory continuity and evolution and distinction of cetana seeds on the basis of regarding cetana as the essence of vijñapti-karma. 표업(表業)은 외부로 표출된[表] 행위[業]로 일컫는 것으로, 여기에는 3업 가운데 신업과 어업, 즉 신표업과 어표업이 해당된다. 하지만 이 표업의 본질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부파들 사이에는 이견(異見)이 존재한다. 여기서는 그와 같은 이견들 가운데 교학전반에 걸쳐 가장 첨예한 대립을 했던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와 경량부(經量部)의 대표적 논사라 할 수 있는 상가바드라(Saghabhadra)와 바수반두(Vasubandhu)의 해석을 중심으로 표업의 본질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상가바드라는 유부의 입장에 서서 표업의 본질을 의지[思]로 간주하는 견해에 반대하며 근본업도(根本業道)가 성취되는 순간의 행위자의 신체적 형태(形色)와 언어적 형태(言聲)를 그 본질로 간주한다. 여기에는 업의 인과상속을 ‘三世實有’, ‘無表’, ‘得’ 이론을 통해 설명하고자하는 유부 특유의 관점이 전제되어있다. 하지만 바수반두는 이러한 유부의 표업관에 반대하며 그 비판을 전개하는데, 예를 들면 유부가 신표업의 본질로 간주하고 있는 형색(形色)은 경부 특유의 색법관에 근거할 때 극미(極微)로서 실재하는 것이 아니며 그것은 경부가 색의 자상(自相)으로 인정하고 있는 현색(顯色)의 배열[安布]의 차별을 가립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바수반두가 유부의 표업관을 비판하는 보다 적극적인 이유에는 표업의 본질을 사로 간주한 터 위에 업의 인과상속을 ‘思種子의 相續과 轉變과 差別’ 이론을 통해 설명하고자하는 바수반두의 뚜렷한 목적이 전제되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