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馬)을 매개로 한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에게 미치는 심리적 효과

        우경희,이종환,곽호완,장문선,배대석 한국재활심리학회 2017 재활심리연구 Vol.24 No.2

        최근 해외에서는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말(馬)을 매개로 한 심리치료(EAP/EFP)에 대한 효과 검증과 프로그램 개발, 표준화를 위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말(馬)을 매개로 한 심리치료(EAP/EF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역아동센터 청소년들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 그리고 문제행동에 미치는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역아동센터에서 28명의 청소년을 모집하여 참여의사를 밝힌 14명을 실험집단에 나머지 14명을 대기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은 8주동안 매주 1-2회, 총 12회가 실시되었다. 참가자들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프로그램 전, 후 그리고 4주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속해있는 지역아동센터의 담당선생님을 통해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TRF)을 동일한 시기에 사전, 사후,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말(馬)을 매개로 한 심리치료(EAP/EFP) 프로그램 참가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교생활적응력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한국판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교사용(TRF)에서 대부분의 문제행동 하위척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말(馬)을 매개로 한 심리치료(EAP/EFP) 프로그램의 치료적 효과를 검증하여 아동·청소년을 위한 대안적인 치료 접근법으로써 제안하고자 하는데 있다.

      • KCI등재

        바른체형 운동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의 자율신경계와 평형성 및 요통지수에 미치는 영향

        우경희,양정옥,이중숙 대한운동학회 2014 아시아 운동학 학술지 Vol.16 No.2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Autonomic Nervous System and Balance, VAS betwee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fter upright body type exercise program of 12 weeks with 16 female students VAS 5 and over in M middle school. [METHOD] The Analysis tool for verifying this study was pai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The results were computed as the purpose of study and verified at a=.05(the level of significance). [RESULT] Degree of LF Norm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from 0.37±0.13 to 0.50±0.14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Degree of HF Norm has shown a significant decrease from 0.63±0.13 to 0.50±0.14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The change of LF/HF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from 0.64±0.33 to 1.11±0.52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The change of Static Balance has shown a significant increase from 19.22±16.84 to 29.35±410.13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The change of Dynamic Balance has shown a significant decrease from 79.69±791.85 to 48.19±899.45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The change of VAS has shown a significant decrease from 7.25±2.38 to 4.5±2.45 in experimental group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5). [CONCLUSION] Upright body type exercise program considered to effect the improvement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balance, Static and Dynamic Balance and the reduction of degree of VAS in middle school girls VAS 5 and over. It was suggested that upright body type exercise program with improvement and prevention for the youth proved body imbalance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imbalance. [서론] 이 연구는 자율신경계, 평형성, 요통지수를 측정하여 바른체형 운동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B광역시 북구 소재 M중학교에 재학생 중 시각적통증지수(눈감고 한발서기)를 활용하여 요통지수가 5 이상인 여중생 16명을 선정한 후 운동군과 통제군으로 분류하여 12주간 바른체형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운동군에서 바른체형 운동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 교감신경 비율이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p<.05). 운동군에서 바른체형 운동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실시 후 부교감신경 비율이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p<.05). 운동군에서 실시 전보다 실시 후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정도는 운동군에서 실시 전보다 실시 후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바른체형 운동프로그램이 여중생들의 자율신경계의 안정과 항상성 부조화를 개선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정적 평형성(눈뜨고 외발서기)과 동적 평형성 향상에도 도움을 주었고 요통지수 개선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소장내시경으로 진단한 공장의 선근종 1예

        우경희,장현주,박수희,고동희,최민호,계세협,이진,최영희,민선정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1 No.1

        서론: 선근종(Adenomyoma)은 비교적 드문 양성 종양으로 췌장 이소성(heterotopia)의 한 형태로 알려져 있으며, 미분화된 상피조직과 평활근 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담낭에 발생하지만 간외담관, 십이지장, 소장 등의 소화기관에서 소수의 증례가 보고 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특이 적 증상 없이, 악성종양 등의 수술 후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설사와 상복부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소장내시경으로 진단한 공장의 선근종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본론: 42세 여자 환자가 내원 2일전부터 시작된 복통과 설사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과거 력과 가족력에서 특이 사항은 없었고 음주와 흡연력도 없었다. 내원 시 활력징후는 안정적이었고, 신체검사에서 상복부 압통이 있었으나, 반발통은 없었고 장음은 항진되어 있었다. 말초혈액검사에서 백혈구 4,700/mm3, 혈색소 11.0 g/dL, 혈소판 189,000/mm3이었고, 생화학검사에 서 총단백 6.9 g/dL, 총빌리루빈 0.4 mg/dL, AST 26 IU/L, ALT 18 IU/L, BUN 15.1 mg/dL, creatinine 0.6 mg/dL, 아밀라제 46 IU/dL였고, 대변 잠혈반응검사는 양성이었다. 위와 대장내시경검사에서 특이 사항은 없었다. 복부 CT검사에서, 공장에 약 1 cm의 조영 증강되는 결절성 병변 이 발견되어 소장내시경을 경구로 시행하였다. 유문부로부터 50 cm 떨어진 근위부 공장에 약 1 cm 크기의 정상점막으로 덮이고 황색을 띠며 부분적으로 혈관의 확장을 보이는 점막하 종양이 관찰되었다. 내시경 초음파에서는 점막하층에 위치한 저에코 병변으로 유암종 등 점막하 종양이 의심되었고, 조직검사에서 미분화된 관구조물이 관찰되었다. 복강경하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1 cm 크기의 종양은 점막근판, 점막하 층, 고유근층을 포함한 조직으로, 일부에서 췌장조직이 관찰되었고 미분화된 상피조직과 평활근의 증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에서 CK-7 양성, CK-20 음성, SMA 양성, PAS 양성, Alcian blue 양성으로 선근종으로 진단하였다. 환자는 수술 이후 증상 없이 외래에서 추적관찰 중이다.

      • KCI등재

        바른체형운동 지도가 정신장애인의 우울감 및 폐활량에 미치는 효과

        우경희(Kyung-Hee Woo),양정옥(Jeong-Ok Yang),이중숙(Joong-Sook Lee),이범진(Bom-Jin Lee),김의숙(Eui-Suk Kim),정숙희(Sook-Hee Jung),곽이섭(Yi-Sub Kwak) 한국생명과학회 2016 생명과학회지 Vol.26 No.10

        본 연구는 바른체형운동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폐활량 및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경북 P시에 거주하고 정신장애 판정을 받았으며 정신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참여한 피험자에게 연구목적과 내용을 설명하였고, 연구 참가동의서를 받은 19명을 최종 선정하여 10명은 운동군, 9명은 통제군으로 분류하여 12주간 바른체형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폐활량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PEF (최대호기속도)와 FEV1/FVC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가 바른체형운동 적용 후에 증가하여 호기기능이 유의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바른체형운동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운동군의 우울감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우울정도의 감소폭이 통제군보다 운동군에서 훨씬 크게 나타나 바른체형운동이 정신장애인의 우울감 정도의 감소에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특수성으로 인한 표본 수의 한계로 인해 통계적 검증의 한계가 명확히 존재함을 고려하여 참여자들의 주관적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질적분석(qualitative research)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참가자 중 동의하는 사람에 한해 심층적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참여자들이 표현하는 내용의 의미단위를 검토하여 분류하고 세분화하는 작업을 통해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으로 바른체형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장애인들의 우울감 정도가 줄어든 것을 알 수 있었다. 우울감의 변화과정은 ‘변화의 시작’,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 ‘신체적 건강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신체적 건강증진’, ’신체적 기능의 회복’, ’부정적인 습관(자세)의 변화’, ’우울감의 감소’, ’할 수 있다는 자신감’, ’미래에 대한 희망’과 같은 3개의 주제와 6개의 하위 주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바른체형운동이 정신장애인들의 신체적 건강증진을 위해 심폐지구력을 높여 신체적 건강증진을 도모할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정신적 우울감의 감소에도 효과성을 높여 정신적 건강증진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해서는 보급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regular Upright Body Type Excercise on posture, muscle strength of leg, lung capacity and depressio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recruited from B mental health center (5 years and more mental illness patients, n=19) located in P city. For the exercise group, They were carried out the Upright Body Type Excercise Program during 8 weeks (60 min/time, 3 times/week).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Exercise group (n=10) and Control group (n=9). And also, they were agreed with consent forms before the experiments.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Through the upper body type exercise,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PEF and FEV1/FVC in the trained group. And also, there was much improved in depression level in the trained group. The change of melancholy feeling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because of limitations of sampling size due to the peculiaritie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in consideration of the limit of statistical validation exists clearly, intended to better understand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attendees, qualitative analyzing(qual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parallel. It was conducted a deep interview only person accepted among program participants, thematic analysis, subject analysis tasks to be subdivided by classifying by considering the semantic units of what participants expressed, was thus carried out. It found that the degree of melancholy feeling of mental disorders who participated in the Upright Body Typed Exercise Program was reduced. The course of the experience of change in depression appered the three subjects and six sub-themes such as “the start of the change”, “interest of the program”, “recognition of the need of the body`s health”, “physical health promotion”, “recovery of physical function”, “negative change of habits (attitude)”, “reduction of sense of depression”, “confidence that it is possible to”, “hope for the future”. Therefore, upper body type exercise is much helpful in lung capacity and mental health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So, this type of exercise mostly needed in the people with mental illness group than the other group for the quality o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