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급성신우신염과 방광요관역류 환아에서 DMSA신주사의 추적관찰

        오창희,최원규,김지홍,이재승,김병길,Oh, Chang-Hee,Choi, Won-Kyoo,Kim, Ji-Hong,Lee, Jae-Seung,Kim, Pyung-Kil 대한소아신장학회 1998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2 No.2

        목 적 : 99m-TCDMSA(이하 DMSA)신주사는 발열성 요로감염환아 혹은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환아에서 급성신우신염과 신반흔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검사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이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정확성을 기하고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2년 1월부터 1995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 내원하여 발열, 측복부 동통, 농뇨 등의 요로감염 증세 혹은 요 배양검사상 세균이 $10^5/mL$이상 동정된 환아 155명을 대상으로 DMSA신주사, 신초음파 및 배뇨성 요도방광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방광요관역류가 없으면서 DMSA신주사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환아는 29명, 방광요관역류가 있었던 환아는 32명이 있었다. 초기 DMSA신주사상 병변이 발견되었던 환아는 추적검사를 통해 병변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방광요관역류가 있었던 환아는 역류 정도에 따라 DMSA 신주사 및 신초음파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 과 : 방광요관역류 없이 DMSA신주사상 비정상소견을 보였던 29명의 환아는 요로감염 증상이 시작된 지 평균 $7.5{\pm}4.8$일내에 DMSA신주사를 시행하였으며, 평균 $0.99{\pm}0.46$개월에 추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21명 ($72.4\%$)에서는 정상으로 되었고, 3명($10.3\%$)은 병변이 감소하였으며, 5명($17.3\%$)은 병변이 지속되었다. 병변이 남아있는 8명을 3개월내 DMSA신주사를 시행한 결과 2명에서만 병변이 남아있었다. DMSA신주사로 급성신우신염이 확인된 29명중 12명($41.4\%$)이 신초음파에서 이상소견을 보였다. 방광요관역류가 있었던 32명(53역류신장)은 역류정도에따라 Grade $I:25.0\%,\;II:44.5\%,\;III:64.3\%,;IV:92.9\%,\;V:100\%$에서 초기 DMSA 신주사상 이상소견을 보였다. 53역류신장중 전체적으로 DMSA신주사에서 36신장($68.0\%$), 신초음파에서 26신장($49.1\%$)이 이상소견을 보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특히 Grade IV 역류신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 론 : DMSA신주사를 이용한 급성신우신염의 진단은 신초음파검사 보다 유용하며, 초기 DMSA신주사 소견상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 약 8-12주 후 추적검사를 시행하여 변화를 관찰하고 섭취결손 부분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향후 새로운 병소의 출현 혹은 정상화 여부를 보기 위한 추적검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방광요관역류 환아에서 DMSA신주사소견은 방광요관역류의 정도가 심할수록 이상소견을 보일 확률이 높으며 신초음파 검사보다 민감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DMSA renal scan is known as a valuable method for evaluating acute pyelonephritis and renal scar in patients with febrile urinary tract infection or vesicoureteral reflux. We made this study,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use of DMSA renal scan. Methods : 155 children were admitted to the Pediatric Department of Yonsei University, Severance hospital with the symptom of urinary tract infection from January, 1992 to June, 1995. DMSA scan, renal ultrasound and VCUG were performed. One consisted of 29 patients with the diagnosis of acute pyelonephritis without vesicoureteral reflux and the otherconsistedofllpatientswithvesicoureteralreflux. Results : The follow-up DMSA scans at mean $0.99{\pm}0.46$ months after the initial DMSA scans were performed in the 29 children with acute pyetonephritis. 21($72.4\%$) of 29 children showed normal DMSA scans. 8 children with abnormal DMSA scans had follow-up DMSA scans at 2.5 months after the initial scans and 6 of 8 children showed normal DMSA scans. Only 12($41.4\%$) of 29 children showed abnormal renal ultrasound. The data about DMSA scans in 32 children with vesicoureteral reflux showed that there were abnormal DMSA scans in Grade $I;25.0\%$, Grade $II;44.5\%$, Grade $III;64.3\%$, Grade $IV;92.9\%$ and Grade $V;100.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at 36 renal unit ($68.0\%$) on DMSA renal scan and 26 renal units ($49.1\%$) on renal ultrasound showed abnormal finding(P<0.05). Conclusion : DMSA renal scan is more useful than renal ultrasound for the diagnosis of acute pyelonephritis. It is considered that if the initial DMSA scan is abnormal, a follow-up DMSA scan must be performed after 10weeks (8-12weeks) and the change in DMSA scan evaluate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UHD 영상 특성 및 제작 과정 특성에 관한 연구

        오창희(Chang-Hee Oh),정회경(Hoe-Kyung Jung)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실감미디어는 점차 차세대 방송서비스로 구체화되고 있다. 입체적인 사실감, 초고화질로 느끼는 사실감 등을 통해 사용자들의 이용 만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구현되고 있다. 3DTV는 이미 영상 제작이 일반화되어있고 영상 특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으나 UHDTV는 아직 영상 특성 및 제작 특성에 관한 실증 연구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UHDTV 방송서비스로 시행이 가시화된 UHD영상의 특성을 실감미디어의 관점에서 탐색해보고 실제 제작에서의 특성이 어떤 것이 있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현업 전문가 중심으로 UHD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을 테스트하고 이 과정에서 도출될 수 있는 UHD영상 특성 및 제작 특성을 심층 인터뷰를 통해 정리하여 이를 기반으로 효율적인 UHDTV 활성화 전략을 제언하고자 한다. Realistic media has been set as next broadcasting services. A three dimension effect, ultra high definition effect make audience experience of realism through watching TV. The programs for 3DTV are making generally and studying various angles but UHDTV has no empirical study on the quality of picture and production. Therefore in this study I will do empirical study on the quality of picture and production for UHDTV broadcasting service by interviewing of professionals and try to propose of strategy for invigoration of UHDTV.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SCOPUSKCI등재

        소아의 Dieulafoy병 치험 1례

        이의성,오창희,김제우,정기섭,한석주,Lee, Eui-Sung,Oh, Chang-Hee,Kim, Je-Woo,Chung, Ki-Sup,Han, Suk-Joo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1999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Vol.2 No.1

        Dieulafoy's disease, a vascular anomaly mainly in the upper stomach, is a rare but potentially life-threatening cause of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Pathogenesis is still controversial, but the most accepted theory is that a persistent caliber vessel in the submucosa is exposed by a small mucosal erosion leading to massive bleeding. The bleeding site is usually within 6 cm of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in the cardia or fundus of the stomach. The treatment of choice is therapeutic endoscopy or surgery. The age of patients reported is mainly between 50 and 70 years, and patients of pediatric age are extremely rare. We are reporting a 5-year-old male patient who had Dieulafoy's disease which was diagnosed by emergency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Endoscopic finding was a nodular lesion with an adherent clot on the lessor curvature of the stomach 2 cm below the esophagogastric junction. Epinephrine and $Beriplast^{(R)}$ was injected in the lesion. On the second day after endoscopic sclerotherapy, the patient had recurred massive hematemesis and accompanying shock. So we performed gastrotomy and ligation. After the operation, he showed an improved general condition and was discharged at the 12th hospital day.

      • SCOPUSKCI등재

        HBe항원 양성 산모에서 출생한 HBe항원 양성인 신생아의 추적관찰

        박은숙,이해경,오창희,김성구,윤혜선,송원근,이영아,Park, Eun Sook,Lee, Hae Kyung,Oh, Chang Hee,Kim, Sung Ku,Yun, Hae Sun,Song, Won Keun,Lee, Young Ah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6

        목 적 : HBsAg 양성이면서 HBeAg 양성인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에서 출생 직후 HBsAg은 음성이면서 HBeAg 양성이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 법: 1996년 12월부터 1999년 3월까지 HBsAg과 HBeAg이 모두 양성인 산모로부터 출생한 신생아 중에서 HBsAg 음성이면서 HBeAg 양성인 신생아 22명을 대상으로 추적 관찰하였다. 결 과 : 1) 분만 산모의 총 수 4,338명 중 HBsAg 양성은 4.9%(213/4338), HBsAg 양성인 산모에서 HBeAg을 검사한 183례 중 HBeAg 양성은 41.5%(76/183)이었다. 2) HBeAg 양성인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에서 HBeAg 검사를 시행 받은 49례에서 HBsAg 음성이고 HBeAg 양성인 신생아는 36례로 73.5%이었다. 이중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2례에서 태반을 통해 전달된 HBeAg이 2개월 내에 소실된 경우가 7례(31.3%)로 가장 많았으며 90%이상이 12개월 내에 소실되었으며 결국 22례 모두에서 소실되는 소견을 보였다. 단 1례에서 HBeAg은 소실되었으나 6개월에 HBsAg이 양성이었다. 결 론: HBeAg이 양성인 간염 보균산모에서 신생아의 HBeAg은 감염이라기 보다는 태반을 통해 전달되는 산모의 HBeAg으로 일시적인 현상이며 임상적인 문제없이 소실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HBeAg positivity in infants born to HBeAg and HBsAg positive mothers. Methods : The HBeAg status of 22 HBeAg positive, HBsAg negative infants born to HBeAg and HBsAg positive mothers from December 1996 to March 1999 were evaluated by enzyme immunoassay. Results : The number of HBsAg positive carrier mothers was 213(4.9%) out of 4,338 pregnant women. HBeAg was positive in 76(41.5%) out of 183 HBsAg positive mothers. Only 49 infants born to 76 HBeAg positive mothers could be evaluated; 36 infants were HBeAg positive and HBsAg negative. Laboratory follow up was possible in 22 infants. HBeAg disappeared in 7 cases within two months and in 20 cases within 12 months(over 90%). Ultimately, twenty-two babies who were HBsAg-negative and HBeAg-positive became negative for HBeAg, however, one showed HBsAg in follow up of 6 months of age. Conclusion : HBeAg positivity in infants born to HBeAg positive mothers may result from the maternofetal transmission and this HBeAg eventually disappeared without clinical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