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육교사의 성공적인 수업에 대한 의미와 조건 탐색

        송주연,나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1

        본 연구는 성공적인 수업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을 파악하여, 성공적인 수업이란 어떤 수업이며 그 조건은 무엇인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에 소재한 A재단의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7명에게 개방형 질문을 실시하고, 질문을 실시한 대상자 중 5명을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보육교사들이 인식한 성공적인 수업은 활동 간 연계가 이루어진 통합적인 수업,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가 있는 수업, 의미있는 학습을 지원하는 수업, 창의성이 발휘되는 수업이었다. 둘째, 보육교사들이 인식한 성공적인 수업의 조건은 아이들의 요구와 흥미 파악, 교사 자신의 수업 경험 축적, 수업에 대한 반성 및 자기성찰, 그리고 철저한 준비와 계획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장 보육교사의 실제적인 경험과 자료를 분석하여 획득한 결과로, 기존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인식이나 유치원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 결과가 성공적인 수업 실현을 위한 기초자료 및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을 키우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child care teachers about successful teaching in an effort to shed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pursued by the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7 child care teachers in employer-supported child care centers in the Seoul area, which were employed by a foundation. An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teachers, five of the 27 teachers also took part in an interview.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ild care teachers perceived that successful teaching should include integrative, well-articulated activities, further young children’s spontaneous and active participation, assist them in doing significant learning and help preschoolers to exert their creativity. Second, the conditions for successful teaching that the child care teachers pointed out were figuring out the individual needs and interests of preschoolers, accumulated teaching experience, reflection and self-examination, and preparation and thorough plann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pave the way for the reform of teaching based on practical knowledge and to provide down-to-earth, authentic information on how to realize successful teaching.

      • KCI등재

        외상성 경막외 출혈 이후 발생한 인지장애에 대한 한방치료 1례

        송주연,김영지,김학겸,홍승철,박송원,안립,정지천 대한한방내과학회 2019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40 No.5

        Objectives: After epidural hemorrhage, sequelae may cause cognitive impairments, such as attention, memory, and performance disturbances. This case study reports on the use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a patient with cognitive impairments after a traumatic epidural hemorrhage. Methods: During the 46-day hospitalization perio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s, including Sunkihwalhyul-tang-gamibang, Ukgan-san-gajinpibanha Granule, Kyungohk-go, acupuncture, and cupping, were administered. The degree of cognitive impairment was measured based on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 (MMSE-K), Modified Barthel Index (MBI), and correct answer ratio. Results: After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the MMSE-K score increased from 13 to 19 and the MBI score increased from 63 to 71. The patient’s conversations in daily life also proceeded more smoothly than before hospitalization, and the correct answer ratio rose. Conclusion: This case reports the improvement of cognitive impairment after traumatic epidural hemorrhage in response to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reatment; further study is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수업 변화에 대한 교직 이수 대학생들의 인식

        송주연,홍광표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수업 변화에 대한 교직 과목 이수 대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교직 과목 이수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19 이후 수업의 변화는 수업 유형 변화와 수업 특성 변화 두 가지로 구성될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업 유형 변화는 다시 온라인 수업 참여형, 온라인 수업 참관형, 면대면 회귀형, 과제 회피형, 종합적 하이브리드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업 특성 변화는 교수자의 역할이 지식중심・과정중심・결과중심에서 감성중심・수업준비 중심으로 변화할 것으로 보았다. 또한 유사시 언제든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이 가능할 것이며, 데이터를 중심으로 학습자 중심형 수업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코로나-19 이후 변화하게 될 수업의 양태를 예견하고 이를 사전에 준비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냉장돈육 가공공정 온도와 시간에서의 Wild-type Salmonella spp.의 성장특성 및 예측모델

        송주연,박경진,김용수,홍종해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3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28 No.1

        This study presents the influence on growth properties determined using a novel predictive growth model of wild-type Salmonella spp. KSC 101 by variations in the temperature and time during cut packaging in cold,uncooked pork meat. The experiment performed for model development included an arrangement of different temperatures (0oC, 5oC, 10oC, 15oC, and 20oC) and time durations (0, 1, 2, and 3 hours) that reflect actual pork-cut and packaging processes. No growth was observed at 0oC and 5oC, whereas some growth was observed at 10oC, 15oC, and 20oC, with a mean increase of only 0.34 log CFU/g. The growth observed at 20oC was more robust than that observed at 15oC,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However, compared with PMP (Pathogen Modeling Program), the wild-type Salmonella spp. KSC 101 showed a more rapid growth. We used the Gompertz 4 parameter equation as the primary model, and the exponential decay formula as the secondary model. The estimated R2 values were 0.99 or higher. The developed model was evaluated by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and predictive values, and the values were in agreement with the ± 0.5 log CFU/g, although the RMSE (Root mean square error) value was 0.103,which indicates a slight overestimat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developed predictive growth model would be useful as a tool for evaluating sanitation criteria in pork cut-packaging processes. 본 연구에서는 멸균처리공정이 없는 돈육 포장공정을 대상으로 작업장에서 직접 분리한 야생균주인 Salmonellaspp. KSC101를 작업장의 온도와 시간을 주요 변수로 하여, 이들 현장에서의 Salmonella spp. KSC101의 성장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수학적으로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돈육포장공장 현장을 반영하여 온도는 0, 5, 10,15, 20oC로, 시간은 0, 1, 2, 3시간으로 하였으며, 0oC와5oC에서는 성장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10oC, 15oC, 20oC에서는 약간의 성장이 있었으나 증가수준은 평균 0.34 logCFU/g정도였고, 20oC에서 성장율이 더 높았으나 15oC와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p < 0.05). 하지만 PMP와 비교시 야생균주인 Salmonella spp. KSC101의 성장이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1차모델은 Gompertz 4 parameter식을, 2차 모델은 Exponentialdecay식을 이용하여 성장예측모델을 개발하였으며, R2값은0.99이상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모델에 대한 검증으로RMSE를 이용하였으며, 값이 0.103으로 양(+)의 방향으로약간 초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종적으로 실험값과 예측값이 ± 0.5 log cfu/g 내에서 일치하고 있어, 본연구에서 개발된 모델은 추후 냉장돈육 포장공정에서 위생관리기준 설정에 대한 과학적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교사가 인식한 교사효능감과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송주연 한국보육학회 2015 한국보육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teacher efficacy and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ir teaching flow.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37 early childhood teachers. Their teacher efficacy,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ching flow were evaluat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PASW 18.0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impact of the variabl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flow according to the type of instruction, academic credential, license, and their career. Second, teacher efficacy and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ade an approximately 34% prediction of teaching flow.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actual help to understand teaching flow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also to prepare foundation of suppor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한 교사효능감,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부산, 울산, 경남에 소재한 공, 사립 유치원 교사 437명이며, 자료분석은 PASW 18.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수몰입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수몰입의 상관관계는 모든 하위영역에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효능감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설명력은 34%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몰입을 이해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며, 이러한 교사의 몰입을 지원하는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