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술총회상정 단체표준(안) 요약보고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1992 TTA소식 Vol.4 No.6

        한국통신기술협회의 제5차 기술총회가 11월 24일(화) 대한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열려 5건의 단체 표준(안)과 2건의 기술보고서(안) 등에 대한 심의를 하였다. 800MHz대 주파수 공용통신 표준(안)을 포함한 5개 표준(안)에 대한 심의를 거친 결과 이들 모두 TTA단체 표준으로 채택키로 확정하였으며 단체 표준으로 채택된 이(안)은 다시 국가권고표준(안)으로써 전기통신 표준심의회에 제안하도록 하는 것에 대해서도 승인하였다. 또한 ''ISDN과 PSTN간의 연동 기술보고서(안)''과 ''데이터 전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PSDN과 ISDN간의 연동 기술보고서(안)''에 대해서도 기술보고서로서 채택할 것을 의결하였다. 이날 기술총회에 상정된 단체 표준(안)은, 1. 협대역 ISDN 화상전화기를 위한 $\cdot$p$\times$64kbit/s에서의 시청각 서비스를 위한 비디오코덱 표준(안) $\cdot$음성주파수의 펄스부호 변조(PCM) 표준(안) $\cdot$64kbit/s 내의 7KHz 음성부호화 표준(안) $\cdot$64kbit/s내의 7KHz 오디오 코덱의 사용에 대한 시스템 측면 표준(안) 2. 패킷 교화 공중데이터망의 비동기형 단말장치 접속 표준(안) 3. 그룹 4 팩시밀리 기능 표준(안) 4. 800MHz대 주파수 공용통신 표준(안) 5. 코드없는 전화기 표준(안) 등이며, 이들 표준(안)과 기술보고서(안)에 대한 발표내용을 간략히 요약 게재한다.

      • `99 제정 정보통신단체표준 (TTAS)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1999 TTA저널 Vol.62 No.-

        정보통신 표준화 운영규정 제8조(의결), 제9조(투표단위), 제10조(우편투표), 제30조(제안표준안의 채택), 제35조(표준의 채택 등)와 정보통신 표준화 지침 제6조(표준안의 검토 및 심의)에 의거한 제13차 정보통신표준총회(`99. 3. 31$\~$`99. 4. 15) 서면의결이 실시되어 총 16건의 정보통신 단체표준이 제정되었다. 이번에 제정된 16건의 단체표준은 전송기술분야 9건, 단말기술분야 1건, 전파방송기술분야 3건, 전산망기술분야 3건으로 새로이 제정된 정보통신 단체표준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Special Theme_ICT 접근성 향상 - ICT 접근성 향상

        최두진,Choe, Du-Jin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011 TTA저널 Vol.137 No.-

        정보통신기술(ICT)은 우리 일상생활에 너무나 깊숙이 스며들어 이제 정보통신기술 없이는 행정서비스, 경제활동, 사회참여, 문화활동 등을 향유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는 시대로 접어들었다. 정보통신기술에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정보격차 (Digital Divide)가 경제격차와 사회문화적 격차를 유발하여 사회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궁극적으로 사회통합을 저해할 가능성이 크다. 정보통신 접근성(ICT Accessibility)은 신체적, 인지적 제약으로 정보통신기기나 서비스에 접근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이나 고령자가 일반인과 차별 없이 정보통신의 유용성을 향유할 수 있도록 정보통신기기나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보장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들에 비해 정보통신 접근성을 위한 법 제도적인 출발이 늦었지만, 최근 수년간 관련 법률의 제정, 정보통신 접근성 보장을 위한 지침 및 표준의 제정 등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하여 빠른 속도로 선진국 수준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 '금융자동화기기 접근성 지침' 등 12개에 이르는 표준을 제정한 바 있으며, 정보통신 보조기기의 개발 보급, 관련 전문인력 양성 및 교육 홍보 등을 통해 정보통신 접근성 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앞으로도 모바일 시대, 디지털 융합의 스마트 시대에 대응하여 다양한 정보통신기기 및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표준 제정, 관련 기술의 연구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모든 사람이 정보화의 혜택을 누리는 디지털 통합 (Digital Inclusion) 시대를 열어나가야 할 것이다.

      • `99 제/개정 정보통신단체표준(TTAS)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1999 TTA저널 Vol.65 No.-

        정보통신 표준화 운영규정 제8조(의결), 제9조(투표단위), 제10조(우편투표), 제30조(제안표준안의 채택), 제35조(표준의 채택 등)와 정보통신 표준화 지침 제6조(표준안의 검토 및 심의)에 의거한 제15차 정보통신표준총회(`99. 9. 1 $\~$ `99. 9. 15)서면의결이 실시되어 16건의 정보통신단체표준이 제정되고 2건이 개정되었다. 이번에 제/개정된 18건의 단체표준은 공통기반분야 2건, 단말기술분야 3건, 통신망기술분야 7건, 정보보호기술분야 6건으로 새로이 제/개정된 단체표준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90년대 통신분야의 기술전망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1992 국제전기통신표준화소식 Vol.25 No.-

        최근 수십년간 세계는 정보화 시대를 향해 큰 걸음을 내딛고 있다. 다양한 기능을 갖춘 인쇄매체, 무선, TV, 데이터 프로세싱 및 통신분야는 경제와 사회에 보다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통신 기술 진보의 영향은 매우 결정적이다. 새로운 기반 기술의 발전과 기존 기술의 계속적인 향상은 통신서비스의 범위를 크게 확대하였고 통신의 편리함과 효율을 극대화하여 음성, 문자, 데이터, 영상 등을 망라하는 어떤 종류의 정보도 전세계적으로 교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정보에 대한 수요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90년대에는 첨단 기능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면 결과적으로 저렴한 가격과 우수한 성능으로 미래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광대역/ATM기술에 기반한 지능형 통합 네트워크로 귀결될 것이다.

      • `99 제/개정 정보통신단체표준 (TTAS)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1999 TTA저널 Vol.63 No.-

        정보통신 표준화 운영규정 제8조(의결), 제9조(투표단위), 제10조(우편투표), 제30조(제안표준안의 채택), 제35조(표준의 채택 등)와 정보통신 표준화 지침 제6조(표준안의 검토 및 심의)에 의거한 제14차 정보통신표준총회(`99. 6. 3)가 개최되어 32건의 정보통신 단체표준이 제정되고 1건이 개정되었다. 이번에 제/개정된 33건의 단체표준은 서비스 및 통신망운용기술분야 2건, 신호방식 및 망간접속기술분야 25건, 전산망 기술분야 6건으로 새로이 제/개정된 단체표준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전자정보전송의 합법적통합구조 가능성(통신개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1992 국제전기통신표준화소식 Vol.23 No.-

        본 보고서는 주로 통신망 및 방송국과 같은 정보제공 기관을 상호 연겨라는 정보구조의 전반적인 개념적 구조를 소개하고 설명합니다. 그리고 사용자의 관점에서 제공된 정보처리 서비스와 사업의 제휴관계가 2차원의 맵 형태로 표현되며, 그 맵과 연관된 맥스웰의 전자기 방정식과 방송서비스 등을 사용하여 통신 서비스에 적용하였습니다. 전자정보전송의 합법적 통합구조와 ''국지적이나 공공의 정보망''의 전개를 위한 연구대상을 제안하고 설명하였습니다. 그리고, 현재 통신과 방송에 관련된 법규들을 간략하게 조사하였습니다.(일본의 경우를 중심으로)

      • (원제: '표준을 읽는 방법-통신망 표준의 의미를 생각한다') NIKKEI COMMUNICATIONS(97.11.17자)표준화 특집에서 - 정보통신표준화의 의미와 중요성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1998 TTA저널 Vol.55 No.-

        통신망의 신기술이 계속하여 등장하는 가운데 `표준`의 역할이 다시 클로즈업되고 있다. 정보통신제품의 특징이야말로 표준의 구현자체에 있기 때문이다. Vendor가 타사보도 먼저 최신 표준을 실제로 적용 완료하는 가장 효과적인 길은 자사의 독자기술을 표준화해 버리면 된다. 표준화를 둘러싼 치열한 경쟁으로 인하여 ''첨단기술을 싼값으로 널리 보급시키는'' 표준본래의 목적 조차도 외면 당하기 쉬운 경향이다. 표준화란 무엇인가? 표준의 가치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그 구체적인 사례와 증언을 토대로 아래와 같이 세 개의 부로 나누어 각 사항들을 점검해 본다. 제1부에서는 사실표준과 공식표준의 특징과 그 실태를 알아보고 제2부에서는 현재 계속 확산되어 가고있는 국제표준쟁탈전의 현장을 보고하고, 시장원리의 파도에 흔들리고 있는 표준화활동의 실태를 밝힌다. 제3부에서는 표준화활동의 제1선에서 활약하는 기술자의 증언 등을 토대로 ''표준''에 대한 환상과 진실을 알아본다.

      • 정보통신 표준화위원회 활동소식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1997 TTA저널 Vol.52 No.-

        정보통신 표준화위원회 조직이 정보통신표준총회(''97. 7. 3)에서 전산망 및 정보보호 분야 등을 포함해 새롭게 변경되었다. (본문 20p 참조) 본 고에서는 이번호부터 신규 위원회조직에 따라 원고를 작성하였으며, 명칭변경 또는 폐지된 연구위원회 및 실무작업반은 원고 뒷부분에 게재하였다.

      • 제7차 기술총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1993 TTA소식 Vol.5 No.6

        협회는 표준화 최고 의결기구인 기술총회 제7차 회의를 지난 11월 24일 한국통신연구개발단 세미나실에서 갖고 단체표준 39건과 기술총회 운영세칙 개정(안) 그리고 ''94년도 표준화 과제(안)을 의결하였다. 기술총회 위원과 분과위원회 위원 등을 포함하여 50여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협회 문영환 사무총장은 국내 통신기술의 발전을 위해 노고를 아끼지 않으신 여러 위원들의 노고를 치하하며, 국제표준화 활동의 적극 참여는 통신산업의 국제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산$\cdot$학$\cdot$연 전문가 여러분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꾸준한 노력을 다시 한번 당부하였다. 이번 총회는 최상일 기술총회 의장의 선언으로 개회되어, 장명국 표준화2국장의 TTA표준 제정절차 소개와 국가권고표준 신청에 대한 결과보고가 있었으며, 각 위원회별로 제출한 TTA 단체표준(안)에 대한 실무위원장들의 요약보고에 따른 의제 토의활동에 들어갔다. 본고에서는 제7차 기술총회 의결안건으로 제안된 단체표준(안), 기술총회 운영세칙(안) 및 ''94년도 표준화과제 승인(안)과 ''93년도 표준화 추진현황 내용을 간략히 소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