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생명과학Ⅰ 탐구 활동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송윤지,정은영 한국생물교육학회 2023 생물교육 Vol.51 No.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apply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he inquiry activities of Life Science I using smart devices. This study analyz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inquiry activities provided in the textbooks for material development and topics of activities, and smart education tool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en, these materials were applied in class of 81 students in the 11th grade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perceptions of inquiry activities using smart devices. The topics of activities were as follows: ‘Making a bacteriophage model’, ‘Making a sarcomere model’, ‘Making a brain model’, ‘Determining blood type with an antigen and antibody model’, and ‘Analyzing human karyotype’. For the smart education tools, ‘Tinkercad’, ‘Mentimeter’, and ‘Padlet’ were used. At the beginning and final of the class, students were made to solve quizzes or confirm their answers with Mentimeter. In the middle of the class, students did some inquiry activities with Tinkercad and uploaded the results to the Padlet to share their ideas.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interested and engaged in active participation. In addition, they expressed the positive response toward the level of difficulty and the usefulness of the materials in learning Life Science I. It is expected that it might be helpful to students to have an interest and understanding in Life ScienceⅠ class by using the materials with smart devices.

      • KCI등재

        일부 종합병원 급식소 위생관리 항목에 대한 중요도-수행도 분석

        송윤지,배현주,Song, Youn-Ji,Bae, Hyun-Joo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perceived sanitation management for general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given to 168 hospital dietitians in the Seoul-Incheon, Gyeonggi-do,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65 questionnaires from total questionnaires were usable and the response rate was 38.7%.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ackage program (version 20.0) for t-test, ANOVA,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ccording to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for 26 items, the importance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erformance score for 22 items. In addition, the results of IPA showed the following areas as improvement priorities: handling foods on working table and management of distribution temperature. In conclusion, the performance level of prerequisite programs applying to the hospital foodservice needs improvement, especially cross-contamination prevention and temperature control for distribution. Additionally dietitians should be educated about sanitation management items that perceived to be less important than the others.

      • KCI등재

        병원 급식소와 영양사의 특성이 HACCP 선행요건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송윤지,배현주,Song, Yoon-Ji,Bae, Hyun-Joo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6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2 No.1

        병원 급식소 선행요건 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서울 경인, 대구 경북지역에 위치한 종합병원 규모 100병상 이상 병원 급식소 총 65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통계처리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위탁으로 운영하는 경우에 비해 작업환경관리(p<0.01), 폐기물관리(p<0.05), 세척 소독관리(p<0.05)에 대한 중요도 평가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개인위생관리 영역의 중요도 평가점수는 300병상 미만인 경우가 300병상 이상인 경우에 비해 중요도 점수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또한 영양사의 조리과정 감독시간이 3시간 이상인 경우가 3시간 미만인 경우에 비해 폐기물관리에 대한 중요도 점수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선행요건 수행도 총점을 종속변수로 하고 선행요건 수행도 총점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분석된 영양사의 경력과 조리과정 감독시간, 직무만족도와 병원 급식소의 허가 병상 수와 위생기기 보유율 등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5.9%였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10.172, p<0.001). 회귀분석 결과 선행요건 수행도에는 '영양사의 직무만족도(p<0.001)'와 '위생기기 보유율(p<0.05)'이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병원 급식소 선행요건 관리 수행도 향상을 위해서는 영양사의 직무 만족도 향상을 위한 근무조건 개선과 함께 위생관리에 필요한 기기의 적정 확보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factors that influence prerequisite program (PRP) performance of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s given to 65 dietitians working in general hospital with ${\geq}100beds$. Importance score of sanitary management for the self-operated establishm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act-managed in the areas of working environment management (p<0.01), waste management (p<0.05), clean disinfection management (p<0.05). Performance score of hospitals with ${\leq}300bed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hospitals with ${\geq}300beds$ in personal hygiene management (p<0.05). Moreover, importance score of dietitians spending ${\geq}3hours$ on inspection tim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ieticians spending ${\leq}3hr$ in waste management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PRP performance scor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dietitian's career (p<0.05), number of submitted beds (p<0.05), cooking process inspection time (p<0.05), dietitian's job satisfaction (p<0.01), and holding rate of utensil and equipment (p<0.05). In additi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ietitian's job satisfaction (p<0.001) and holding rate of utensil and equipment (p<0.05)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rerequisite program performance. In conclusion,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 to increase dietitian's job satisfaction and securing of utensils and equipments are high priorities for improvement of PRP performance.

      • KCI등재

        시간 정보 처리 기능이 아동의 문법 발달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2학년과 3학년을 대상으로

        송윤지,김소연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1 No.2

        We investigated whether temporal processing can explain language development in school-aged children. Specifically, we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functions and Temporal or Spatial Working Memory (SWM or TWM) functions in 2nd and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performed SWM and TWM tasks, as well as standardized WM tests in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V. The Language Scale for School-Aged Children (LSSC) was conducted to evaluate language functions. Third grad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bilities in SWM, TWM, and the grammar domain of language function. Further,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WM can explain significant variances in language functions measured by LSSC in all participants, after ruling out the effects of age, SWM, and general WM functions. Notably, for the third grader, the grammar domain was significantly explained by temporal processing functions measured by TWM,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SWM, age, and general WM functions. In sum, our study demonstrates a novel finding that temporal processing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language development, especially in the domain of grammar in school-aged children. 본 연구는 시간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언어 능력 중 문법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2학년과 3학년 아동(만 7-9세)을 대상으로 시간 정보 처리 및 공간 정보 처리를 평가하는 시간 순서 작업 기억과 공간적 작업 기억 과제를 실시하였다. 또한 WISC-Ⅳ의 숫자, 순차연결, 산수 소검사를 시행하여 참가자들의 표준화된 작업 기억 지표를 측정하였다. 더불어 참가자들의 언어 능력 평가를 위하여 학령기 아동 언어 검사(LSSC)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시간 순서 작업 기억 과제와 공간적 작업 기억 과제의 정확성과 언어 능력 중 문법 영역에서 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회귀분석 결과, 시간 순서 작업 기억의 수행 능력이 언어 능력을 설명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아동의 언어 능력을 의미 영역, 문법 영역, 화용/담화 영역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3학년 참가자의 시간 순서 작업 기억의 수행 능력이 언어 능력 중 문법 영역을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참가자의 연령과 작업 기억 능력을 통제하였을 때에도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간 정보 처리 기능이 초등학교 2학년과 3학년 아동의 언어 발달, 특히 3학년의 문법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새로이 규명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시간 정보 처리가 언어 기능 발달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문법 영역의 발달을 설명할 수 있는 기능임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제4집단의 퍼포먼스 : 범 장르적 예술운동의 서막

        송윤지(Song, Yunji)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6 美術史學 Vol.- No.32

        본 논문은 1970년에 활동한 한국 최초의 종합예술집단인 제 4집단의 퍼포먼스 작업에 나타난 범 장르적 성격에 주목한 연구다. 제 4집단은 미술가로서 전위적 태도를 보여 왔던 김구림의 주도로 정찬승, 정강자 등이 모여 결성한 것으로, 연극, 음악, 영화, 패션, 종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공동 퍼포먼스를 기획함으로써 ‘총체예술’을 추구하였다. 특히 당시 연극계에서 팬터마임 전문극단으로 활동하던 ‘에저또’의 참여가 두드러짐에 따라, 제 4집단의 퍼포먼스는 연극의 형식을 수용한 연극적 퍼포먼스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였다. 우선, 제 4집단은 행인들에게 특별한 지령과 소도구를 배부하거나 특정 장소를 마치 연극의 무대처럼 설정함으로써 다수의 대중을 행위주체로 변모시켰다. 예술의 관조자였던 관람자가 직접적으로 예술행위를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이러한 퍼포먼스 방식은 삶 속에서의 예술적 체험을 통해 고정관념을 타파하려는 제 4집단의 기본 취지에 따른 것으로, 관객의 자발적 참여가 원활하지 않은 한국 사회의 정서적 풍토에서 관객참여예술을 효과적으로 실현하는 방법이었다. 제 4집단의 퍼포먼스에 나타나는 또 다른 특징은 몸(body)의 주체 또는 몸의 물리적인 움직임 자체에 주목하기보다 신체적 행위가 함축하는 메타포가 더욱 중시되었다는 점이다. 제 4집단의 퍼포먼스는 연극의 ‘극본’처럼 막으로 구성된 역할극의 형식을 보이는 한편 팬터마임처럼 대사를 배제하고 몸짓을 통한 의미전달에 목적을 두었다. 이는 제 4집단의 철학적 토대인 ‘무체사상(無體思想)’의 가시적 표출로, 주체로서의 ‘나’를 상실한 한국 사회의 독재체제를 은유한 것이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4집단은 장례행렬이라는 설정을 통해 이동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임으로써 ‘정해진 무대’라는 연극적 요소의 한계를 확장하였다. 또한 의도에 부합하는 이동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일상적인 장소들이 갖는 의미가 교차되면서 새로운 의미로 재탄생하게끔 하였다. 이러한 퍼포먼스를 통해 제 4집단은 구태의연한 기존 예술계의 타파와 외래문화로부터의 독립을 주장하면서 현대성과 전통성이 공존하는 자생적 문화예술로의 진보를 꾀하였다. 이처럼 제 4집단은 배우, 관객, 극본, 무대 등 연극의 전통적인 구성요소를 수용하면서도 그것을 다시 해체하고 전복시킴으로써 탈장르적 전위예술로서의 퍼포먼스 형식을 완성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일상적인 장소에서 퍼포먼스를 펼침으로써 대중들에게 예술과 현실을 재인식시키고자 하였다. 이는 한국에서 하나의 예술운동으로서 자생적 퍼포먼스를 정립하고자 하는 시도였으며, 예술의 사회적 발언이라는 현대미술의 과제를 실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비록 지속적인 활동을 이어가지는 못했지만 제 4집단의 이러한 작업은 이후의 한국 퍼포먼스의 발전에 다각도로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This paper is a study focusing on the pan-genre characteristic shown in the performance works of the 4th group, a Korean primary composite art group active in 1970. The 4th group was organized around avant-garde artists with Kim Gu-rim, Jung Chan-seung and Jung Gang-ja making up the main members from various fields such as play, music, movie, fashion and religion, and pursuing "total art" through joint performances. Especially by collaborating with "Ejeotto", a professional pantomime troupe in the theatrical world at the time, the 4th group’s work became known as dramatic performances that accommodated formal elements of theatre in abundance. Firstly, the 4th group distributed special directives and stage properties to passersby or established a specific place like the stage of a play to appoint a majority of the public to role of main actor. The methods utilized to attract and convince the audience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was in compliance with the basic purport of the 4th group aimed at breaking down fixed ideas through artistic experiences in life and was an efficient way to realize audience participation in art of a Korean social and emotional climate in which the audience"s voluntary participation could not be expected. Another feature of the 4th group’s performances was that they focused on metaphor contained by physical behavior rather than pay attention to the subjectivity of one"s body or the physical movement itself. the performances of the 4th group featured role playing composed of acts like a play "script" and on the other hand, carried out the purpose of excluding speech and communicating through gestures like a pantomime of Ejeotto. This was a visual exposure of the "intangible idea" that was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e 4th group and was also a metaphor for the dictatorship of Korean society that excluded the idea of "myself" as a subject. Lastly, the 4th group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funeral march, displaying a moving performance to expand the limitations of the theatrical element of a "defined stage." In addition, by selecting a moving route in compliance with a specific intention, the significance of common places were made to intersect for their recreation as new meanings. Through this performance, the 4th group claimed the overthrow of the previous outdated art world and independence from foreign cultures and tried to search for a way to advance to a form of spontaneous art where modernism and tradition co-existed. As such, the 4th group accommodated the traditional components of play such as actor, audience, script and stage but dismantled them to complete the performance type as crossover avant-garde art. Moreover, it attempted to make the public realize art and reality by displaying performances in common places. This was an attempt to establish spontaneous performances as an art movement in Korea and the practice of modern art"s assignment of social speech of art. Even though consistent activities could not be performed, the works of the 4th group were encouraging in that it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Korean performance.

      • KCI등재

        종합병원 급식소의 HACCP 선행요건 관리 수행도 평가

        송윤지(Song, Yoon-Ji),배현주(Bae, Hyun-Joo) 한국영양학회 2016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9 No.1

        병원급식소의 HACCP 선행요건 수행 실태를 분석하여 병원급식소 특성을 고려한 선행요건관리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자 종합병원 규모의 병원 급식소 총 65곳의 급식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선행요건 7개 관리영역 중 영업장관리 영역의 수행도는 선행요건 평가판정그룹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적합 그룹 (85점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p < 0.001). 위생관리 (p < 0.001), 제조·가공·조리 시설·설비관리 (p < 0.001), 용수관리 (p < 0.001), 보관·운송관리 (p < 0.05) 영역의 수행도는 ‘부적합’ 그룹 (70점 미만)이 ‘적합’이나 ‘보완’ 그룹(71점 이상 84점 이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조사대상 병원급식소와 영양사의 일반 특성에 따른 선행요건관리 평가 결과에 대한 차이 분석 결과 서울·경인지역이 대구·경북지역에 비해 선행요건 관리가 ‘적합’으로 평가된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 < 0.01). 또한 선행요건 판정그룹에 따른 급식시설 구비율은 ‘적합’ 그룹이 ‘부적합’ 그룹에 비해 3조 싱크 (p < 0.01), 대용량 오븐 (p < 0.01), 대형 에어컨 (p < 0.01), 보온고 (p < 0.01), 보냉고 (p < 0.05), 해동전용 냉장고 (p < 0.05), 위생장화 소독고 (p < 0.05) 등 총 7개 항목의 구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병원 급식 품질 개선을 위해 HACCP을 빠른 시일 내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선행요건 관리 항목이 준수되어야 하며, 이에 앞서 병원 급식소의 운영 특성을 고려한 선행요건 관리 기준과 HACCP 관리 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prerequisite-program performance of the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 and develop measures for improvement of prerequisite-program performance.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administered to 168 hospital dieticians in the Seoul, Incheon, Gyeonggi-do, Daegu, and North Gyeongsang areas. Out of total questionnaires, 65 questionnaires were usable and the response rate was 38.7%.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program (ver 20.0) for χ<SUP>2</SUP>-test and one-way ANOVA.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prerequisiteprogram evaluation, the percentage of ‘appropriate’, ‘needs to be improved’, and ‘inappropriate’ was 44.6%, 47.7%, and 7.7%, respectively. The score for the ‘inappropriate’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appropriate’ group or ‘needs to be improved’ group on the food safety management (p < 0.001), preparation facility management (p < 0.001), water management (p < 0.001), and storage·transportation management (p < 0.05) parts. Holding rate of foodservice facility and equipments in the "appropriat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others on convection oven (p < 0.01), air conditioner (p < 0.01), three-compartment sink (p < 0.01), hot-holding equipment (p < 0.01), cold-holding equipment (p < 0.05), exclusive thawing refrigerator (p < 0.05), and sterilizer for sanitary shoes (p < 0.05) items. Conclus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hospital foodservice, foodservice managers and HACCP specialists should develop and implement a prerequisiteprogram and a HACCP pl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

      • GOCI-Ⅱ를 이용한 괭생이모자반 이동 예측 연구 : 황해 해역 중심

        송윤지(Yun Ji Song),박영빈(Yeongbin Park),유정미(Joung Mi Ryu),김태호(Tae-ho Kim)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21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0

        최근 국내 연안으로 괭생이모자반, 해양쓰레기 등의 유해성 부유물질이 유입되고 있다. 이러한 부유물질의 이동경로는 주로 해류와 바람에 의해 결정되며, 유입된 부유물질은 해양환경과 어업·선박항행 등 인간의 활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이러한 부유물질 분포 현황을 파악하고, 이동경로를 예측하는 것은 대응활동 계획수립에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괭생이모자반을 대상으로 인공위성 영상과 모델 예측자료를 이용하여, 황해에서 우리나라 서해·남해 해역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예측하고 그 정확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괭생이모자반 분포현황 및 예측결과 비교를 위해서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생산하는 괭생이모자반 분포현황 산출물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이동 외력으로 동일 기관의 유동장 및 바람 예측자료를 사용하였다. 공간 일치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DBSCAN기법과 convex hull알고리즘을 이용하였으며, 24 시간 예측 결과 약 95% 이상의 예측 정확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괭생이모자반 대응계획 수립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harmful floating material such as Sargassum horneri and marine waste flow into coast of Korea. The route of these floating material is mainly determinded by currnet and winds, and the floating material directly affect the marine environment and human activities such as fishing and ship navigation. Consequently, identifying the distribution status of these materials and predicting routes are essential for planning response activities. In this study, by using satellite images and model prediction data about current and wind, we predict the distribution and entry route of Sargassum horneri to South Sea and Yellow Sea. And after prediction we estimate the accuracy of prediction result. In order to compare the real distribution status and prediction results of the Sargassum horneri, the distribution data of Sargassum horneri made by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 were used, and the current and wind forecast data made by same institution were used as the movement external force. We use DBSCAN method, convex hull algorithm and Ranked Reliability table to evaluate the spatial consistence and the result show accuracy above 95% in 24-hour predi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fully used in establishing a response plan for Sargassum horneri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