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한국에서 분리된 전염성 조혈괴저바이러스의 M 단백질의 유전자 클로닝과 염기서열 분석

        박정민,김현주,문창훈,조화자,차승주,윤원준,박정재,이은희,박명애,손상규,박정우,Park, Jeong-Min,Kim, Hyun-Ju,Mun, Chang-Hoon,Cho, Wha-Ja,Cha, Seung-Ju,Yoon, Won-Joon,Park, Jeoug-Jae,Lee, Eun-Hee,Park, Myoung-Ae,Sohn, Sang-Gyu,Park, Jeon 한국미생물학회 1998 미생물학회지 Vol.34 No.1

        한국에서 분리된 전염성 조혈괴저바이러스(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인 IHNV-PRT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IHNV-PRT의 matrix 단백질인 M1 및 M2를 암호화하고 있는 cDNA를 클로닝하여 이들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M1은 693 bp 크기의 open reading frame을 포함하였으며 이로부터 23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25.9 kDa의 분자량을 가진 단백질이 합성될 수 있다. M2는 588 bp 크기의 open reading frame을 지니고 있으며 19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21.9 kDa의 분자량을 지닌 단백질이 합성될 수 있다. IHNV-PRT의 M1과 M2의 아미노산 서열을 외국에서 분리된 IHNV들과 비교 분석한 결과 M1은 92-93%, M2는 97%의 상동성을 보였다. 이러한 사실은 IHNV의 M 단백질 유전자들은 IHNV의 strain에 관계없이 매우 보존되어 있음을 나타내준다.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 Korean isol ate of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IHNV), IHNV-PRT, we have cloned and analyzed cDNAs coding for matrix protein M1 and M2 of the IHNV-PRT. The Ml gene contained 693 bp open reading frame and encoded a protein of 230 amino acids with a molecular weight of 25.9 kDa. The M2 gene had 588 bp open reading frame, encoding a protein of 195 amino acids with a molecular weight of 21.9 kDa. On the deduced amino-acid sequences, M1 and M2 of the IHNV-PRT were found to be 92-93% (M1) and 97% (M2) identical to those of foreign isolates of IHNV.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 genes of the IHNV are highly conserved among different strains of IHNV.

      • SCOPUSKCI등재

        다단 침전법에 의한 구형 BaMgAl<sub>10</sub>O<sub>17</sub>:Eu 형광체의 제조 및 특성

        박정민,정하균,박희동,박윤창,Park, Jumg-Min,Jung, Ha-Kyun,Park, Hee-Dong,Park, Yoon-Chang 한국재료학회 2002 한국재료학회지 Vol.12 No.11

        A spherical $BaMgAl_{10}$ $O_{17}$ :Eu phosphor has been synthesized by a multi-step precipitation route. In order to successfully synthesize the phosphor with spherical shape, the hydrated-alumina particles should be controlled for spherical shape. In this process, the hydroxypropyl cellulose (HPC) was used as a dispersing reagent. This reag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at the particles were controlled to have the uniform size of sub-micron. The final product prepared by the multi-step precipitation method maintained spherical shape with uniform size of 0.4$\mu\textrm{m}$. It can be seen in X-ray diffraction patterns, formation of the single phase of $BaMgAl_{10}$ $O_{17}$ :Eu phosphor prepared by the multi-step precipitation method at $1350^{\circ}C$. Also, the emission spectra of spherical $BaMgAl_{O}$ $10_{17}$ :Eu phosphor in the present case was compared with those of commercially-available blue phosphor under VUV (Vacuum Ultra Violet) excitation. The luminescence process of the $BaMgAl_{10}$ $O_{17}$ :Eu phosphor is characterized by the $4f^{6}$$5d^1$longrightarrow4f$^{7}$ transition (blue) of the $Eu^{2+}$ ion acting as an activating center and the maximum luminescence intensity was obtained by reduction treatment at 145$0^{\circ}C$.

      • KCI등재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일대의 암석 열물성 특성 연구

        박정민,김형찬,이영민,송무영,Park, Jeong-Min,Kim, Hyoung-Chan,Lee, Young-Min,Song, Moo-Yo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7 자원환경지질 Vol.40 No.6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일대에서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의 총 712개의 암석을 채취하여 열물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로 화성암의 평균 열전도도는 3.58W/m-K, 변성암은 4.16W/m-K, 퇴적암은 4.53W/m-K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화강암과 편마암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에 대한 열물성 값을 보면 화강암의 열전도도는 2.13-5.87W/m-K의 범위를 가지며, 평균 열전도도는 3.57W/m-K, 편마암은 2.26-6.67W/m-K의 범위를 가지며, 평균 열전도도는 3.945W/m-K이다. 화강암의 평균 열확산율은 $1.43mm^2/sec$, 비열은 0.914J/gK, 편마암의 평균 열확산율은 $1.55mm^2/sec$, 비열은 0.912J/gK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같은 암석의 열전도도 값의 범위가 큰 이유는 암석의 구성광물, 이방성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We made 712 thermal property measurements on igneous,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 samples from Gyeonggi-do, Gangwon-do and Chungchung-do, Korea. The average thermal conductivities of igneous,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s are 3.58W/m-K, 4.16W/m-K and 4.53W/m-K, respectively. Thermal conductivity of granite and gneiss are 2.13-5.87W/m-K and 2.26-6.67W/m-K, with average values of 3.57W/m-K and 3.945W/m-K, respectively. The average of thermal diffusivities are $1.43mm^2/sec\;and\;1.55mm^2/sec$, respectively; the average of specific heat values are 0.914J/gK, 0.912J/gK for granite and gneiss samples, respectivel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a rock type generally have a wide range because it depends on various factors such as dominant mineral phase, micro-structure, anisotropy, and so on.

      • KCI등재

        네트워크 트래픽 특성을 이용한 개인정보유출 탐지기법

        박정민,김은경,정유경,채기준,나중찬,Park, Jung-Min,Kim, Eun-Kyung,Jung, Yu-Kyung,Chae, Ki-Joon,Na, Jung-Cha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4 No.3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개인정보의 유출은 다양한 사이버 범죄를 야기하며 개인정보의 상품화로 프라이버시의 침해가 증가하므로 개인정보의 유출을 탐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네트워크의 트래픽 특성을 기반으로 한 개인정보 유출 탐지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실제 대학망에서 정상 상태의 트래픽을 수집하여 트래픽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이 자기유사성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개인정보의 유출을 시도하는 악성코드의 사전정보수집단계를 모사한 비정상적인 트래픽에 대하여 정상 트래픽에서의 자기유사성과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이상을 조기 감지할 수 있었다. In a ubiquitous network environment, detecting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might cause severe problem such as impersonation, cyber criminal and personal privacy violation.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 detection method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based on network traffic characteristic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traffic character of a real campus network shows the self-similarity and Proposed method can detect the anomaly of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by malicious code.

      • 신기술 신소재/해외기술 - 신기술동향: 식품의 기능 또는 독성

        박정민,Park, Jungmin 한국식품연구원 2013 食品技術 Vol.26 No.1

        글로벌동향브리핑(GTB)에서는 100여명의 국내 외 과학기술 전문가가 농림 수산, 생명과학, 보건 의료 등 19개 주제로 해외 과학기술동향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식품분야의 연구주제를 선정해 최신 해외과학기술 주요동향을 요약하여 재정리 하고자 한다. 과학기술정책의 패러다임이 생산성,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에서 삶의 질, 복지 등 사회적 기여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식품의 기능은 다른 측면에서는 식품의 독성이기도하다. 이번 호에서는 지난 시기 발표된 식품의 기능과 함께 독성이라는 측면에서의 연구결과를 다루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주형법으로 제조된 Gd<sub>2</sub>O<sub>3</sub>:Eu<sup>3+</sup> 적색 형광체의 나노입자 분산 및 형상제어

        박정민,반세민,정경열,최병기,강광중,김대성,Park, Jeong Min,Ban, Se Min,Jung, Kyeong-Youl,Choi, Byung-Ki,Kang, Kwang-Jung,Kim, Dae-Sung 한국재료학회 2017 한국재료학회지 Vol.27 No.10

        $Gd_2O_3:Eu^{3+}$ red phosphors were prepared by template method from crystalline cellulose impregnated by metal salt. The crystallite size and photoluminescence(PL) property of $Gd_2O_3:Eu^{3+}$ red phosphors were controlled by varying the calcination temperature and $Eu^{3+}$ mol ratio. The nano dispersion of $Gd_2O_3:Eu^{3+}$ was also conducted with a bead mill wet process. Dependent on the time of bead milling, $Gd_2O_3:Eu^{3+}$ nanosol of around 100 nm (median particle size : $D_{50}$) was produced. As the bead milling process proceeded, the luminescent efficiency decreased due to the low crystallinity of the $Gd_2O_3:Eu^{3+}$ nanoparticles. In spite of the low PL property of $Gd_2O_3:Eu^{3+}$ nanosol, it was observed that the photoluminescent property was recovered after re-calcination. In addition, in the dispersed nanosol treated at $85^{\circ}C$, a self assembly phenomenon between particles appeared, and the particles changed from spherical to rod-shap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article growth occurs due to mutual assembly of $Gd(OH)_3$ particles, which is the hydration of $Gd_2O_3$ particles, in aqueous solvent at $85^{\circ}C$.

      • KCI등재

        Towards the Theory of CEO Leadership: A Conceptual Model based on Charismatic,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박정민,송윤아,류기현,이재은,Park, Jung Min,Song, Yun Ah,Ryu, Ki Hyun,Lee, Jae Eun The Korean Society of Business Venturing 2013 벤처창업연구 Vol.8 No.1

        리더십은 경영학을 비롯한 많은 학문분야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있는 주제 중 하나로 여러 학자들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리더십 연구가 진행되어져 왔다. 특히, CEO를 대상으로 하는 리더십 연구에서 많은 선행연구들은 CEO의 리더십 그 자체보다는 기업의 성과에 밀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CEO의 행동 특성에 보다 큰 관심을 두었기 때문에 CEO 리더십 그 자체의 이론적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는 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CEO의 리더십 특성이 어떻게 조직수준에서 구축될 수 있는지를 규명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CEO의 카리스마 리더십의 정도가 커지며, 다각화된 기업의 CEO에게는 변혁적 리더십이 필요하지만, 다각화수준이 높지 않은 기업의 CEO에게는 거래적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것을 논리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은 CEO 리더십의 특성이 기업의 환경적 특성에 따라 달라져야 함을 이론적으로 제시함으로서, CEO 리더십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실제 기업의 CEO들에게 유용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eadership is one of the most widely explored subjects in the field of management. A variety of papers on leadership, however, still have insufficient aspects to reveal the theoretical logic about the CEO leadership itself. Such research, especially focused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end to concentrate on the CEO's behavior rather than leadership because CEO's behavioral trait as an explanatory variable is useful to connect with firms' performance. Our purpose is to show how the characteristic of CEO leadership can be buil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For a detail, the larger the firms' size, the greater the degree of CEO's charismatic leadership. The larger the degree of a firm's diversification, the greater the degree of the CEO'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less the degree of a firm's diversification, the greater the degree of the CEO's transactional leadership. This theoretical paper on CEO leadership suggest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EO should be adaptable to the changing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al environments.

      • KCI등재

        가공식품과 육가공품의 트랜스 지방산 함량 조사

        박정민,지원구,김은정,박다정,신진호,심순미,서형주,장은재,강덕호,김진만,Park, Jung-Min,Ji, Won-Gu,Kim, Eun-Jung,Park, Da-Jung,Shin, Jin-Ho,Shim, Soon-Mi,Suh, Hyung-Joo,Chang, Un-Jae,Kang, Duk-Ho,Kim, Jin-Man 한국축산식품학회 2007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에서 트랜스 지방산 함량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서울 지역에서 수거한 도넛류 28종, 빵류 18종, 냉동생지류 4종, 팝콘류 2종, 그리고 육가공품 중에서 햄류, 너겟류, 소시지류 및 베이컨류 각각 1종씩을 선택하여 총 8종류의 56종의 시료를 분석하였다. 도넛류, 빵류, 냉동생지 및 팝콘류는 chloroform-methanol(CM) 추출법에 의하여 조지방을 추출하였으며 햄, 소시지, 너겟 및 베이컨류의 육제품은 산분해법을 이용하여 조지방을 추출한 후 gas chromatography(GC)에 의해 트랜스 지방산 함량을 분석하였다. 도넛류의 총 지방중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0-3.3%이며 베이커리에서 원료에 마가린과 버터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 페스츄리의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0.2-5.8%로서 제조시 제품성상과 제조회사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났다. 냉동생지의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0.2-6.3%로서 시료 간 가장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이는 수입산 냉동생지 사용여부에 기인된다고 사료된다. 팝콘류에서는 총 두 제품 중 한 제품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또 다른 제품에서는 5.8%의 높은 트랜스 지방산 함유률을 나타내었다. 육가공품에서의 트랜스 지방산 함량은 햄류, 너겟류 그리고 소시류에서 각각 0.1%로 낮은 수준으로 조사되었으며 베이컨류에서는 트랜스 지방산이 불검출 되었다. Small amounts of trans fatty acids exist naturally in beef and dairy foods. Also, they can be produced in the process of partial hydrogenation to manufacture shortning or margarine. They can provide a better palatability and shelf life. According to the recently studies, trans fatty acids can raise health risk such as heart diseases and coronary artery diseases. They can also increase low-density lipoprotein (LDL) cholesterol and decrease high-density lipoprotein (HDL) cholesterol in the blood plasma, therefore increasing the risk of atherosclerosis and diabet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otal lipids and trans fatty acids (TFAs) content in processed foods and meat products. The analysis of trans fatty acids was performed in 28 samples of donuts, 18 samples of bakeries, 4 samples of frozen doughs, 2 samples of popcorns, and 4 samples of meat products (ham, sausage, nuget, and bacon). Total lipids in processed foods and meat products were extracted by chloroform-Methanol method and acid digestion, respectively. They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using a SP-2560 column and flame ionization detector. The amounts of TFAs per 100 g of foods were 0-3.3% (0.74% on average) in donuts, 0.2-5.8% (1.18% on average) in bakeries, 0.2-6.3% (1.93% on average) in frozen doughs, and 0-5.8% in popcorns. Meat products such as ham, sausage, and nuget analyzed 0.1% of TFAs, respectively and trans fatty acids in bacon were not detected.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of TFAs in processed foods was widely ranged from O% to 6.3% according to manufacturers and types of products, whereas the content of TFAs in meat products ranged from 0% to 0.1%.

      • KCI등재

        한국의 암석 열물성

        박정민,김형찬,이영민,심병완,송무영,Park, Jeong-Min,Kim, Hyoung-Chan,Lee, Young-Min,Shim, Byoung-Ohan,Song, Moo-Young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9 자원환경지질 Vol.42 No.6

        본 연구에서는 남한일대에서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의 총 2511개의 암석을 채취하여 열물성을 측정하고 각 암종별로 일반적인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의 평균 열전도도는 각각 3.10W/m-K, 3.76W/m-K, 3.54W/m-K 이다. 화성암의 암석 분류에 따라 심성암, 반심성암, 화산암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평균 열전도도는 3.16 W/m-K, 3.26 W/m-K, 2.77 W/m-K이다. 퇴적암에서 쇄설성 퇴적암 보다 비쇄설성 퇴적암의 열전도도가 비교적 높은 분포를 보이고 있다. 측정된 암석의 시대별 열전도도는 고생대가 중생대 보다 높은 나타나며, 이는 높은 열전도도를 갖는 구성 광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암석의 공극률은 열전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며 퇴적암의 경우 공극률이 증가할 수록 열전도도는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암석의 열전도도와 열확산율은 선형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화성암, 변성암, 퇴적암의 선형 회귀분석 상관계수는 각각 0.775, 0.855 0.876로 높은 값을 보인다. We made 2511 thermal property measurements on igneous,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 samples from Korea. The average thermal conductivities of igneous,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s are 3.10 W/m-K, 3.76 W/m-K, and 3.54 W/m-K, respectively. Igneous rock can be classified into pluton, hypabyssal rock, and volconic rock; the average thermal conductivities of those rock types are 3.16 W/m-K, 3.26 W/m-K, and 2.77 W/m-K, respectively. Nonclastic sedimentary rock has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clastic sedimentary rock. Thermal conductivity of Palezoic era rock is higher than Mesozoic era rock, because dominant mineral cont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termination of thermal conductivity. Thermal conductivity of rocks is influenced by porosity. Therefore thermal conductivity of sedimentary rocks generally decreases with increasing porosity. Thermal conductivity and thermal diffusivity show linear correlation, its correlation coefficient of igneous,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s are 0.775, 0.855, and 0.876, respectively.

      • 신기술 신소재/해외기술 - 신기술동향: 비만과 식품

        박정민,Park, Jungmin 한국식품연구원 2012 食品技術 Vol.25 No.3

        글로벌동향브리핑(GTB)에서는 100여명의 국내 외 과학기술 전문가가 농림 수산, 생명과학, 보건 의료 등 19개 주제로 해외 과학기술동향을 소개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식품분야의 최신 해외과학기술 주요동향을 요약하여 재정리 하고자 한다. 지난 3개월뿐만 아니라 글로벌동향에서는 다수의 비만 관련 연구결과가 제시되었다. 비만과 함께 당뇨 등의 대사성질환에 대한 연구까지 포함하면 전세계의 관심을 보여주듯 가장 많이 다뤄진 주제라 판단된다. 하여 이중에서 식품과 관련있거나 참고할 만한 11개의 기사를 선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