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사법인특성과 회계정보가치관련성의 관계

        이재은,윤재원 한국세무학회 2014 세무와 회계저널 Vol.15 No.2

        Recent regulatory changes in accounting and audit practice are attending to audit qualityimprovements and investors’ perceptions thereon, which is now moving to identification of auditquality indicators and their disclosures to assist the investors’ evaluation of audit quality. Traditionalaudit researches and practice literature provide discussions on audit firm characteristics to be usedas possible audit quality indicators. Specifically, Big 4 firm, auditor’s industry expertise, (abnormal)audit hours and audit fees could be included as representative audit quality indicators covered bythe previous literature. Audit firm characteristics are comparable to client characteristics alsocovered by other audit researches (Hermanson et al. 2007;Lawrence et al. 2011, etc.). Morerecently, Hermanson et al. (2007), Kim and Cheon (2010), and Lee (2012), among others, focusedon audit firm characteristics identified by the regulator’s inspection reports or quality control reviewresults. Furthermore, the European Union (EU)(Article 40 of the EU 8th Company DirectiveDirector) has already established a registration to require audit firms auditing public companieslisted in the EU jurisdictions to file and disclose transparency reports to provide the investors withinformation about the audit firm’s quality controls, operation results and various audit qualityinformation. Similar regulations for Korean audit firms are established in 2003 from when Koreanaccounting firms should file annual reports with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Subjects underlying all these discussions and development is related to a traditional controversyabout definition of audit quality;recent literature and academic researches are beginning to covervarious aspects of audit quality. e.g. the Advisory Committee on the Auditing Profession(ACAP)(2008),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Securities Commission;IOSCO)(2009), Bedardet al. (2010), and Francis(2011) discuss feasibility of such audit quality indicators. They alsopresented various examples of audit quality indicators classified in terms of input vs. outputmeasures or audit firm-level vs. engagement-level indicators. Specifically, the IOSCO illustratedvarious audit quality indicators and the related groupings of categories. With regard to the auditquality indicators, Francis (2011) explained that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to know if this kind of aggregated information can tell us something about audit quality, and said that the IOSCOreport is just a list which are not rigorously investigated. We are to fill this gap. We identify ten audit firm characteristics for the experimental variables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Hermanson et al. 2007;Kim and Cheon 2010;Lee 2012), andinvestigate their relationship with value relevance of earnings focusing on two aspects. First, wesee whether value relevance of audited accounting information are different according to auditfirm characteristics which the previous studies reported they are associated with good (or bad)audit quality. Second, the investors are likely to consider the auditor characteristics more seriouslyin their investment decisions after regulatory changes that the FSS began to attend to thecharacteristics during its review of audit firm’s quality control systems in 2007;we examinewhether such regulatory change has impacts on value relevance of earnings according to the auditfirm characteristics. We used Ohlson (1995) model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udit firmcharacteristics on value relevance of audited accounting information. In the model, controlvariables of size, leverage, return on assets, and year, industry and audit firm dummies areincluded in the models to mitigate potential effects of selection bias. Our results generally indicate that investors perceive positively (negatively) incremental valuerelevance of audited earnings information according to audit firm characteristics generally relatedto g... 선행연구(Hermanson et al. 2007;김문철․전영순 2010;이재은 2012)에서는 감사인의 품질관리에 관련된 인적자원관리 특성을 나타내는 감사법인특성이 감사품질과 관련이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조사한 감사법인특성과 감사품질의 관련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인식차이를, 순이익 가치관련성의 체계적 차이 유무를 통해서 실증조사한다. 실증조사 결과, 투자자는선행연구에서 양호(불량)한 감사품질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한 감사법인특성에 대해서 대체로 긍정적(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사법인특성을 주목하게 한 금감원 품질관리감리제도의 시행 전․후를 비교한 결과, 감사법인특성들에 따른 순이익 가치관련성은 동 제도의 시행이후 유사한 방향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였다. 다만 제도시행 전․후 변동의 유의수준과 항목별로다소 낮게 나타났다. 이는 투자자들도 선행연구에서 보고한 방향(긍정 또는 부정적)과 유사하게 감사법인특성이 감사품질과 양 또는 음의 관계가 있다고 인식함을 나타내며, 제한적이기는 하지만이러한 인식은 회계감독제도의 변화에 따라 더 강화된 측면이 있다.

      • 지식사회에서의 민족공동체 형성조건으로서 남북한 IT협력의 제도화 모색 : 거래비용접근을 중심으로

        이재은,김은정 韓國政策硏究院 2003 한국정책논집 Vol.3 No.-

        본 논문은 지식사회에서의 민족공동체라는 상이한 체제의 결합을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한 현실적 방안으로 거래비용 관점에서 남북한의 IT협력의 제도화를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북한의 통신서비스, 인터넷, IT정책 등의 변화를 파악하고 남북한간의 IT협력 유인에 대한 규명을 기초로 바람직한 협력형식, 협력분야, 협력전략, 협력기초, 협력핵심내용 등을 파악해 보았다. 남북한 IT협력의 제도화는 북한의 IT관련 고급인력과 남한 IT산업인프라의 결합을 가능하게 할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각 분야의 교류 협력의 촉매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나아가 IT분야에서의 협력 제도화는 남북한간에 놓인 다양한 장애요인을 제거하고 미래에 보다 효과적이고 적합한 형태의 통일과 민족공동체의 형성에 드는 거래비용을 낮추는 데 유용할 것이며 국가의 통일정책이나 IT정책 등에 많은 시사점을 줄 것임을 제시하였다. 이와 동시에 남북한 IT협력이 보다 좋은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남북한간의 정치적 문제와 남북한을 둘러싸고 있는 국제적 정치현안의 선결 혹은 동시적 해결이 요구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개정 회계기준 관련 회계오류의 발생과 내부통제 및 외부감사인 기능의 관련 : 기업회계기준서 제15호 및 적용의견서 06-2 개정을 중심으로

        이재은 韓國公認會計士會 2010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2 No.-

        Korea Accounting Standards Board(KASB) published the revised SKAS No. 15, Investments in Associates, and KAI Opinion 06-2, Deferred Income Taxes on Investments in Subsidiaries, Associates and Interests in Joint Ventures, in March and February 2008, respectively, saying that these changes are to have the standards for equity-method accounting under Korean GAAP consistent with the “one-line consolidation” concept in accounting theory. Since these changes are related to the complicated accounting of equity-method investments and deferred income taxes, and are announced in the timing of the first quarter book closing process, it was not easy for the Korean companies to properly understand the standard changes and to correctly and timelily report the change effects in the first quarter financial reporting. We find that, out of 259 companies having reported accounting changes in the second quarter of 2008, 164 companies or 63% restated or corrected the first quarter accounting change disclosures; this represents that large number of Korean public companies have failed to properly and timelily report the accounting changes in the first quarter 2008 financial reporting.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improved through two processes by which accounting errors are detected and corrected: (i) the internal financial statement preparation process and (ii) the external assurance process. i.e. accounting errors could be identified and corrected by both of financial statement preparation and assurance processes. (The “assurance process” represent the function that external auditors provide assurance on the financial statements by expressing (audit or review) opinions, in the material respects, which improves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cess.) The former is affected by the company's internal control effectiveness such as its self-closing capability and external regulation on the company's internal control system. The latter is affected by external assurance (audit or review) function's involvement. The accounting errors included in the final reporting in the first quarter of 2008 of Korean public companies represents that such company's and auditors' processes failed to detect them before finalization of filing of quarterly report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errors in responding to accounting standard changes are associated with the error firm's internal control effectiveness or external auditor function availability. Under the context of the risk model perspectives discussed above, an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hypotheses for error firm characteristics have been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internal control effectiveness would be associated with less accounting errors(larger size [or corporate governance] and more stringent external regulations on the company's internal control [i.e. general internal control standards vs. small-medium size company internal control standards] were used as the proxy of internal control effectiveness). Second, external auditor's review would decrease accounting errors. For testing of this hypothesis, it was assumed that the error would decrease if the first quarter financial statement disclosure was subject to the external auditor's re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generally show that the internal control effectiveness and the external auditor's review have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accounting errors, and seriousness of the errors as well. These findings are generally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nd provide certain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company's competency to adopt complicated accounting standards. Certain recommendations could be derived from the implications; which include (i) extension of mandatory external review for quarterly reports, (ii) private accountants for IFRS reporting by large-sized companies or financial institutions, (iii) improvement of professional capability of firms and accounting firms, and (iv) commitment by participating parties (reporting companies, auditors and accounting firms, and regulators) to adhere to the global level accounting practice This study has contributions by identifying control weakness firms related to company's self-closing capability and by finding the effects of the company's internal control and external auditor's involvement (review function) to properly apply the complicated accounting standards, as revised, to their own financial reporting through the Korean companies' experiences of errors in reporting accounting standard change effects in the first quarter of 2008. Such control weaknesses or accounting errors under the context of company's capability of proper accounting and financial statement preparation have never been identified by the previous researches. Also, certain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regarding how to support companies' own capability to adopt new accounting standards; it would have practical implications for Korean companies, auditors and regulators to prepare for initial adoption of IFRS in 2011. 한국회계기준원은 2008년 초 기업회계기준서 제15호(지분법)와 회계기준적용의견서 06-2를 개정하였다. 이 내용은 “one-line consolidation”이라는 회계이론적 인식에 부합하도록 지분법 회계기준을 개정한 것이다. 이 개정 회계기준들은, 내용이 복잡한 지분법과 이연법인세에 대한 것이라는 점과 개정시기가 2008년 초였다는 점 때문에 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2008년 1분기 결산에 반영하기가 쉽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은 2008년 2분기(반기) 사업보고서에 지분법 회계변경을 공시한 전체 상장기업 중 63%가 1분기 지분법 회계오류를 수정한 것에서 실제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분기공시자료의 신뢰성에 대한 우려가 상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회계기준의 개정 등 급격한 회계환경의 변화에 기업이 신뢰성 있게 대응하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회계오류가 발생한 후 궁극적으로 재무제표에 오류가 포함될 위험은 기업의 정보생산과정과 감사인의 검증과정을 통해 발견됨으로써 감소한다. 기업의 정보생산 과정은 자체결산능력과 외부규제 등 내부통제 효과성의 영향을 받고, 감사인의 정보검증 과정은 외부감사(검토) 기능(실시여부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공시된 재무제표에 회계오류가 포함된 것은 이러한 과정들이 오류를 발견하는데 실패했음을 나타낸다. 즉, 2008년 초의 지분법 회계오류 발생 상황은 회계기준 개정에 따른 회계오류 발생위험을 회계정보 산출과정과 회계정보 검증과정이 예방하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개정회계기준 적용시 회계변경 관련 회계오류 발생과 기업의 내부통제 및 외부감사인 기능의 관련성에 대하여 실증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규모나 모범규준 유형 등 기업의 내부통제 효과성을 강화하는 변수와 외부분기검토 실시 등 외부감사인 기능은 대체로 회계오류의 발생 및 오류내용의 심각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기업의 정보생산과정 요소와 감사인의 검증과정의 요소가 회계오류 발생을 줄일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과 대체로 일관성이 있다. 본 연구는 위 조사결과에 기초하여 새로운 회계기준의 시행과정에서 기업의 결산능력 제고를 위하여 고려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분기공시자료에 대한 외부감사인 검토 확대, 상장기업이나 금융기관 등에 대한 IFRS 결산지원 회계법인(private accountants) 방식의 도입, 기업·회계사·회계법인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지원방안, 각 참여주체들의 글로벌스탠더드 적용의지 등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공식적인 내부통제 취약점 보고나 감사받은 재무제표상 오류수정 보고 자료를 사용한 선행연구들은 파악하지 못했던 기업의 자체결산능력 관련 내부회계관리제도 취약점을 2008년의 지분법 회계오류 발생 사례를 통하여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분기검토여부와 기업의 자체결산능력 측면의 표본 특성까지 조사 대상에 포함함으로써, 기업의 회계정보 생산과정과 외부감사인의 검증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의 상호관계를 실증조사하고, 국제회계기준(IFRS)의 전면도입을 앞두고 복잡한 회계기준 적용에 대한 기업의 결산능력 제고 측면에서 고려할 시사점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가장 큰 차이가 있다.

      • 1930년대 기교주의 논쟁과 시문학의 주체

        이재은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8 No.5

        이 글은 1935년~36년에 있었던 임화, 김기림, 박용철 사이의 ‘기교주의’에 관한 논쟁을 시문학의 주체에 관한 논쟁으로 재독하여 문학사에서 꾸준히 촉발되어 온 시문학의 정치성에 관한 논쟁의 원형과 맥락을 재구명해보려는 시도이다. 앤터니 이스톱에 따르면 시는 특정한 독자에게 읽혀지고 그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는 담론이다. 기교주의 논쟁은 담론에 대한 담론으로서 이 논쟁의 분석을 통해 시라는 담론을 구성하는 세 요소, 언어, 이데올로기, 주체에 대한 의견의 차이를 드러내고 그들이 의도한 정치성에 대해서 논할 수 있을 것이다. 문학의 정치성은 이데올로기를 매개하지만 그것은 작가의 의도에서 계속해서 미끌어지는데, 기교주의 논쟁은 또한 바로 그러한 미끄러짐의 지점을 보이는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의도된 정치성은 의도치 않은 영역을 형성하고 이탈하는데, 이는 시인의 시론에서 설정된 ‘예상된 독자’로서의 존재와, 이른바 ‘기교’라는 어휘로 설명된 ‘시의 언어-기표’와의 관계로부터 비롯한다. 이때 독자는 작품의 외부에서 작품의 방향과 경향을 결정짓는 존재라는 점에서 ‘주체’이며, 미지의 존재로서 결정적으로 작품을 시인이 의도한 정치성으로부터 미끌어지게 한다는 점에서 또한 ‘주체’이다. 논쟁의 표면에서 임화, 김기림, 박용철은 각각 프롤레타리아, 개인, 인간을 시문학의 주체로 설정해 놓은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렇게 형성된 주체들과 관련한 문학의 정치성은 다른 이면으로 전개된다. 임화의 ‘내용 우위의 통일’은 단편서사시에서 구현된 사실주의적 경향 및 낭만적 정신과도 연결되는 것이다. 임화가 드러내고자 했던 ‘독자-주체’의 형상으로서 프롤레타리아 계급은 ‘노동자’를 기표로 드러내는 서사를 통해 재현되었다. 동일성의 주체 형상과 계급에 따른 구별 짓기는 독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 “무관심한 미적 판단”의 가능성을 닫아버리는 것이다. 박용철의 시론에서 시인은 ‘유기체’와 같이, ‘물아일체’의 경험을 통해 시의 언어를 창조한다. 또한 시인이 이렇게 대상을 매개하는 작업을 하는 목적은 시인의 존재 증명, 자기목적성에 있다. 이 시론의 주체로서 ‘시인’과 그 시는 숭고한 대상으로 여겨진다. 문제는 근대적 의미의 예술의 숭고함은 예술로서의 삶, 그리고 삶의 예술가라는 이상 혹은 미학적 공동체에 대한 이상을 의미하며 모두 파시즘의 위험한 징후로서 감지된다는 점에 있다. 예술을 대하는 숭고한 의식이 강렬할수록 독자는 소외된다. 김기림은 ‘시인’을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 사이의 유리된 계급이자 계급을 매개하는 역할을 가진 ‘지식인’으로 본다. 이때 ‘객관주의’는 김기림의 시론에서 중요하게 언급되는 시작(詩作)의 원리로서, 시인이 대상을 응시하고 이를 시로 옮기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이는 ‘인간성의 배제’라기 보다는 ‘객관’에의 지향이며 ‘시대 정신’을 추구하고 매개하는 지식인의 사명이다. 김기림은 사회주의자로 변화를 꾀한 초현실주의자 아라공으로부터 출신 계급에 대한 배반자로서 즉 생산기구의 제공자로부터 생산기구를 프롤레타리아트의 혁명의 목적에 적응시키는 지식인의 형상을 본다. 기교주의 비판에서 전체주의 시론으로의 전개는 이와 같이 파시즘에 저항하는 지식인의 형상을 구하는데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김기림은 시의 언어를 시대 정신을 구현하는 대중의 살아 있는 언어에서 구한다. 하지만 1938년에 제시된 그의 바람은 실현될 수 없었다. 조선의 문단은 곧 일제의 총동원체제에 복무하며 국민문학의 시대를 맞게 되기 때문이다. 기교주의 논쟁은 그 후로도 반복 재생산되는 한국 문학사의 주요 쟁점들을 담지한 논쟁으로서, 플라톤이 국가론에서 설파한대로 독자에게 정치성을 갖는, 담론으로서의 시의 성격을 드러내는 텍스트였다. 그러나 본고의 논의는 식민지의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프롤레타리아 혁명이든, 대중 독자의 교양에의 함양이든 언제든 식민지라는 상황 하에 일어난 일이라는 점, 시는 무엇보다도 모국어를 존재 근거로 하는 것이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이 논쟁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모국어를 사용하여 문학활동을 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는 것, 이 논쟁이 일어난 시기가 바로 그러한 상황으로 가는 전초 단계에 일어난, 시인으로서의 불안을 드러내는 텍스트라는 점이 향후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유아의 표상 활동에 나타난 복합양식 문식성 실천 양상 분석

        이재은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2

        This study analyzed practical aspects of multiliteracies expressed in multimodel texts by 5-year old children. A total of 184 texts were collected over 3 months from 27 children. Results suggest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 between writings and pictures, expressed in children’s texts, were mainly classified into two pattern; symmetric relations and complementary relations. The symmetric relations means that children use two modes of representation (text and picture) in order to express the same contents. The complementary relations contains if texts supplement pictures or if pictures supplement texts. Second, multimodality expressed in children’s texts was classified into three patterns; picture division, use of speech bubble and use of Emoticons. Picture division plays a role of positioning modes of representation, speech bubble elaborates texts and pictures, and Emoticons enrich children’s expressed emotion. The results imply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semantic composition and can be used as systematic and useful resources for application of multiliteracies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만5세 유아가 작성한 표상 활동 결과물을 대상으로 하여 복합양식 문식성 실천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약 3개월에 걸쳐 한 학급 27명의 유아로부터 총 184편의 표상 활동 결과물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텍스트에 나타난 글과 그림의 관계는 글과 그림의 대칭 관계, 글과 그림의 상호보완 관계 등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대칭관계는 글과 그림이 같은 내용을 표상하는 경우이고, 상호보완관계는 그림이 글을 보완하는 경우와 글이 그림을 보완하는 경우이다. 둘째, 유아의 텍스트에 나타난 복합양식 유형은 화면 분할, 말풍선 사용, 이모티콘 사용 등 세 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화면분할은 유아가 사용한 표상 양식을 배치하는 역할을 하였고 말풍선은 유아의 글과 그림을 정교화 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이모티콘은 유아의 표현을 더욱 구체화 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이 복합양식 문식 활동의 결과물을 분석한 결과는 유아의 의미 구성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우리나라 재난관리 예산배분의 정책방향

        이재은 국회예산정책처 2014 예산정책연구 Vol.3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some policy directions of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budget allocation for safe society. For accomplishing this purpose, we reviewed major discussions on the significance and process of disaster management, political- economic relationship between budget and disaster management, and some issues and problems of disaster management budget allocation, etc. Based on these review, this article suggested principal policy directions as follows; establishing the comprehensive disaster management budget preparation system, introducing MBF (Management By Fund) method for directing the local government, performing the long-term prevention and/or mitigation centered disaster management budget allocation policy, arranging the standard indices for implementing the disaster prevention and preparedness program in ordinary times, investing the budget for the new disaster type, preparing the effective using methods of disaster management fund, and establishing the flexible budget preparation and implementation system for the efficient recovery, budget allocation for both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 disaster management. 본 연구는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우리나라 재난관리 예산배분의 정책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재난관리의 의미와 과정, 예산과 재난관리의 정치경제적 관계, 재난관리 예산배분의 주요 쟁점과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거쳐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요 재난관리 예산배분의 정책방향은 다음과 같다. 총괄적인 재난관리 예산 편성 체계의 구축, MBF (Management By Fund) 방식의 도입, 장기적인 예방 중심의 재난관리 예산배분 정책 실시, 지방자치단체의 평소 재난관리 예방사업의 집행을 고려한 예산배정 기준 마련, 신종 재난을 위한 예산 투입, 재난관리기금에 대한 효과적인 활용방안, 신속한 복구를 위한 탄력적인 예산 편성 및 집행, 재난관리 예산배분에 있어서 정부부문과 민간부문에 대한 예산배분.

      • KCI등재

        유아 미디어 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이재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6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유아 미디어 교육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유아 미디어 교육 방향에 대 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문헌을 통한 조사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최근 약 10년간 실시되어 온 유아 미 디어 교육에 관한 연구들을 연구내용, 연구방법으로 구분하여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외 유아 미디어 교육 관련 기초연구는 주로 개념 및 내용분석에 대한 연구였고 실천연구는 유아 미디 어 관련 변인을 탐색하는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연구대상은 주로 5세였으나 국외의 경우 더 어린 유아 를 대상으로 하거나 혼합연령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국내보다 더 많이 시도되고 있었다. 연구유형 은 국내외 모두 문헌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국내는 양적연구, 국외는 질적연구가 그 다음 순으로 나타 났다. 국내 자료수집방법으로는 검사, 질문지, 유아의 작품 및 문서수집이 가장 많았고 국외 자료수 집방법으로는 검사와 참여관찰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유아 미디 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그동안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그 추이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유아 미디어 교육의 발전적인 방향 제시에 기여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