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ORA 유전자 다형성과 기분 및 행동의 계절성 변동의 연관성

        김해인,소수정,양희정,송현미,문정호,윤호경,강승걸,박영민,이승환,김린,이헌정,Kim, Hae-In,So, Soo-Jung,Yang, Hee Jung,Song, Hyun Mi,Moon, Joung Ho,Yoon, Ho-Kyoung,Kang, Seung-Gul,Park, Young-Min,Lee, Seung-Hwan,Kim, Leen,Lee, Heon-Jeon 대한수면의학회 2013 수면·정신생리 Vol.20 No.2

        목 적 : 일주기 유전자 다형성이 계절성 기분 장애의 발병 기전과 연관이 있다는 여러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 거주하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RORA (Retinoid-related orphan receptor A)유전자의 다형성과 계절성 변동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신문 광고를 통해 모집한 507명의 지역사회 인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은 Seasonality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SPAQ)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RORA rs11071547 SNP는 PCR을 이용하여 유전자형 분석을 하였다. 여름형은 교란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어, 29명의 여름형은 제외한 총 478명의 대상자를 분석하였다. 계절성군과 비계절성군의 유전자형 분포의 비교는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고, 전반적 계절성 점수(Global seasonality score, GSS)와 RORA rs11071547의 연관성은 ANCOVA로 분석하였다. 결 과 : 연구 참여자 507명 중 12.1%(겨울형 9.3%, 여름형 2.8%)가 SAD에 해당하였다. 계절성군과 비계절성군간의 RORA rs11071547의 유전자형 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반적 계절성 점수(GSS)와 세부 항목인 수면시간, 사회활동, 기분, 에너지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세부 항목 중 체중과 식욕에서는 C 대립유전자 동형접함체군에서 유의하게 점수가 높은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26, p=0.034). 결 론 :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에서 RORA 유전자 다형성이 체중과 식욕의 계절성 변화에 주요한 역할을 하며, 계절성 기분 장애의 감수성과도 어느 정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Several evidence has been suggested that the circadian gene variants contribute to the pathogenesis of seasonal affective disorder.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polymorphism in RORA (Retinoid-related orphan receptor A) gene in relation to seasonal variations among healthy young adults in Seoul, Korea. Methods: A total of 507 young healthy adult subjects were recruited by advertisement. Seasonal variations were assessed by the Seasonality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 (SPAQ).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 in the RORA rs11071547 gene was genotyped by PCR in 507 individuals. Considering summer type as confounding factor, we conducted analysis 478 subjects except 29 subjects of summer type.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of seasonals and non-seasonals. Association between genotypes and Global Seasonality Score (GSS) were tested using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In this sample, the prevalence of SAD was 12.1% (winter type 9.3%, summer type 2.8%).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otyping distribution of RORA rs11071547 between groups of seasonals and non-seasonals. Global seasonality score (GSS) and scores of all subscales except body weight and appetit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 with C allele homozygote and the group with T allele homozygote and heterozygote (p-value 0.138). Scores of body weight and appetit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with C allele homozygot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RORA gene polymorphism play a role in seasonal variations in appetite and body weight and is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to seasonal affective disorder in some degree in the population studied.

      • KCI등재

        수집소비의 동기와 의의

        김해인 ( Kim Hae In ),이준영 ( Lee June Young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현대 소비사회에서 다양하게 등장하는 소비자 유형 중에서 수집소비를 하는 소비자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현재 수집을 하고 있는 20~30대 소비자들 13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 전 행동, 수집 과정, 수집 후 행동으로 구분하였고, 수집소비의 의미를 분석, 도출하여 연구 결과를 범주화하여 정리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로서 첫째, 수집 전 행동에 있어서 수집품 정보 탐색이 내·외적으로 이루어지며 수집행위 시 비의도적 동기로 시작했으나 점차 의도적 구매로 전환되고, 수집품 구매 시 적절하게 구매예산의 상한선을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집과정에서는 수집을 하는 소비자들이 과거, 현재, 미래에 모두 수집을 했거나 또는 할 것이라는 수집의 관성적인 특성을 보였고, 수집품 구매 시 긍정적인 감정과 태도를 표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수집 이후 행동에서는 보유효과 등의 심리 때문에 수집품을 버리는 등의 처분을 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수집에 의미에 있어서 수집물들은 기억과 추억을 기록하는 대상물인 동시에 나를 위한 가치소비로서 여겨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수집소비는 다양한 소비욕구가 다층적으로 나타나는 행위임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소비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취미와 취향이 보다 세분화되어 가고 있는 소비문화의 변화 속에서 수집소비자에 관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ehavior of consumers who purchase items specifically for personal collections among the various types of consumers emerging i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consumers in their 20s or 30s who were carrying out collection activities. Based on the output of the interviews, consumer behavior was divided into pre-collection behavior, the process of collection, and post-collection behavior. The meanings of collection-oriented consumption were analyzed and obtained,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outlined through categoriz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pre-collection behavior, the subjects unintentionally started collection activities along with their internal and external searches for information on items for collection, but they gradually moved towards intentional purchases and set appropriate upper limits for their consumption budgets. Second, in the process of collection, the consumers who were collecting showed the inertial characteristic of collection that they had collected in the past and were collecting currently and would continue to collect in the future, and they also expressed positive emotions and attitudes during the purchase of items. Third, in terms of the post-collection behavior, they did not dispose of their collections due to psychological reasons, such as the endowment effect. Fourth, regarding the meaning of collection, the consumers perceived their collections as objects recording their memories and reminiscences, as well as valuable consumption for themselves. Moreover, collection-oriented consumption was found to be a multilayered act that reflected various consumption needs. This study helps understand both the universal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collection-oriented consumption and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collection-oriented consumers, amid changes in consumption culture in the form of further segmentation in consumer hobbies and tastes.

      • KCI등재

        광장시장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탐험 패키지 서비스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해인(Kim, Haein),박현서(Park, Hyunsuh),박소희(Park, Sohee)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1

        연구배경 : 국내 시장문화의 활성화를 위해 젊은 층에게 전통시장은 단순한 먹거리 촌이 아니라 올바른 시장의 인식 개선을 통해 시장에 대한 신뢰성 있는 잠재고객으로 발전될 수 있도록 문화체험형 서비스를 제안하고자 했다. 연구방법 : 연구의 구성은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위해 PSS의 주요 활용 방법과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연구하고, 광장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디자인의 과정을 4D(Discover-Define-Develop-Deliver) 프로세스 과정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Discover단계에서는 데스크리서치와 현장리서치를 병행하며 자료 수집을 위한 설문조사와 Peer shadowing과정을 거쳐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Define단계에서는 Stakeholder map를 활용하여 이해관계자를 나열한 후 2명의 Persona를 도출하였다. 이후, 시나리오 기법을 통해 퍼소나별 경험을 Journey map으로 시각화 하였고, Develop단계에서는 E3 value 분석과정을 거쳐 키워드를 분류하여 Context Activity Modeling 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Deliver단계에서 Prototype 제작 후 실험대상을 통해 Role-playing을 진행하고 Service blueprint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 PSS와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국내 시장에서 다양한 체험 콘텐츠를 창출하고 이를 새로운 서비스와 결합해 광장시장 활성화를 위한 맞춤형 탐험 패키지 서비스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또한, 비즈니스 콘셉트 모델을 구축해 서비스가 안정적으로 도입될 기회를 제안하였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먹거리에 치우쳐있던 고객들이 체험이라는 접근을 통해 다양한 전통문화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코스형식을 선택할 수 있게 하여 SNS에 의한 수동적 경험에서 벗어나 능동적 경험을 할 수 있게 해준다. 나아가 이러한 결과는 미래의 광장시장의 잠재고객 양성에 기여할 것이다. Background : To enable young people to the cultural traditions of the domestic market, the market has to offer a cultural experience-based services to be developed into a reliable prospects for the market, not just in villages through improved food market in the right. Methods : Configuration of the research is in progress to study the major advantage the method of PSS business model fo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by configuring the process of service design for the activation of the Plaza Mayor in 4D (Discover - Define - Develop - Deliver) process. Discover the steps and parallel desk research and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Peer shadowing process for data collection. Define the steps to take advantage of the Stakeholder map was drawn after the three Persona listed the stakeholders. Since then, the experience spread by cattle through the scenario technique was visualized Journey map, Develope the steps to group your keywords through the E3 value analysis processes were analyzed Context Activity Modeling. Finally, we proceed through the Prototype Role-playing subjects in post-production stage and derive Deliver Service blueprint. Result : PSS and services through the design process, we propose a customized service package designed to explore for creating a wide range of experience in the domestic market and enable content to Plaza Mayor in conjunction with this new service. Also it proposed an opportunity to the service may be introduced reliably build a business model concept. Conclusion : These results allow you to experience the diverse cultural traditions of customer service through access to the food they were biased experience. In addition, the course is selectable out of the passive type experience due to allow SNS to the active experience. Furthermore,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positive prospects for the future market square.

      • KCI등재후보

        자유학기제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해인(Kim, Haein),최인지(Choi, Inji),신형진(Shin, Hyoung-jin)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9 No.2

        이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실효성을 경험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대구광역시에서 진로탐색 중점 모형으로 자유학기제를 운영한 한 개의 중학교와 동일한 학군에서 유사한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졌지만 자유학기제를 실시하지 않은 또 다른 중학교를 표본으로 선택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2001년에 개발하고 2012년에 수정・보완한 진로성숙도 검사를 활용하여 자유학기제가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통제변수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성별, 자아정체감 등의 개인 관련 변수와 부모의 교육수준과 소득 등의 가정 관련 변수와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등의 학교관련 변수를 포함시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인 진로성숙도를 태도, 능력, 행동 등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전반적으로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모든 통제변수를 투입한 모형에서는 자유학기제의 실시가 진로성숙도의 행동 영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본 연구의 한계와 의의 또한 논의 및 결론에서 검토되었다. Utilizing Career Maturity Inventory(CMI) develop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KRIVE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a newly introduced educational policy known as Free Learning Semester(FLS). We adopt a quasi-experimental design in which two middle schools in Daegu area are compared. From multi-variate regression results -where three different dimensions of career maturity are set respectively as an outcome variable- we found that those who experienced FLS generally shows a higher score in CMI. After controlling for individual, family, and school factors, a positive effect of FLS on CMI disappeared in the dimensions of ‘attitude’ and ‘competence’ but remained only in the realm of ‘behavior.’ The implications of important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왕실 혼례 음식의 제례적 성격과 혼례의 의미 고찰

        김해인 ( Kim Hai-yin ) 한국여성사학회 2016 여성과 역사 Vol.0 No.25

        본고에서는 조선시대 왕실 혼례의 특징과 의미를 드러내는 한 방법으로 혼례 음식에 나타난 제례적 성격에 집중하여 혼례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조선이 전범으로 삼은 중국 의례서를 검토하였다. 중국의례서의 동뢰 절차에 사용되는 음식으로는 채소 절임, 젓갈, 말린 물고기, 국, 곡식, 희생 등이 제시되는데, 이것은 희생, 해저(?菹), 포과(脯果), 곡식, 고기국의 다섯 가지로 구성되는 제례 음식에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교배례에서 부부가 세 번 술을 마시고 안주를 먹는 과정이 제례의 삼헌(三獻) 절차에 비교될 수 있고, 매 술잔의 술을 마실 때마다 좨주(祭酒)하는 절차가 있다는 점과 음식을 담는 그릇도 제기(祭器)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혼례의 절차와 음식은 제례와 공통점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혼례가두 남녀의 결합일 뿐 아니라 조상을 섬기고 대를 잇는다는 의미에서 제례와 의미가 상통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보인다. 그런데 조선 왕실의 혼례 음식을 살펴보면 중국 의례서에 제시된 모습과는 차이가 있다. 조선의 혼례 음식은 유밀과나 실과 등이 올라간 다과상과 지짐이나 탕 등이 포함된 식사 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중국 의례서와의 차이는 조선왕실의 혼례 음식은 고려 이래의 전통 방식을 따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상차림 또한 조선의 왕실 제사인 속제 상차림과 유사점을 보이며, 교배례에서 세 번 술을 마시거나 좨주(祭酒)하는 형식은 같으므로, 제례의 형식을 벗어난 것이 아니라 조선의 제사 전통이 반영된 것으로 읽어볼 수 있다. 요컨대 조선시대 왕실 혼례는 원칙적으로 의례서에 규정된 절차와 형식을 따르되 그 음식에 있어서는 조선식의 변용이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여전히 중국의 예서에서처럼 음식에 제례의 특징이 남아있다. 따라서 전통시대의 혼례는 제례와 유의미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food in royal wedding ceremonies during the Joseon(Choson) Dynasty by comparing wedding ceremony food with sacrificial ritual food. Because Chinese old ritual classics had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standards in East Asian ritual history, the first section starts with a review of Chinese old classics. From the many steps in traditional weddings, the procedure called Dongnoe meaning `sharing the sacrifice` is when the bride and groom greet each other and share wine and food,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main `wedding ceremony` from today. Because the sacrifice was considered a crucial medium to connect humans to heaven, sacrifice had been used for ritual from ancient times. From an analysis of the food used in Dongnoe, two features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dding ceremony and sacrificial ritual. First, the food in wedding ceremony was similar to sacrificial ritual. Second, the same utensils were used both in wedding and sacrificial ceremonies. However, wedding ceremony food during the Joseon(Choson) Dynast y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Chinese rituals. Although both forms of ritual contained an element of sacrifice, the Korean wedding ceremony share d common vernacular ritual food from the Joseon(Choson) Dynasty. As a result, food in royal weddings had certain similarities with sacrificial ritual food. This relation comes from ancient thought that a wedding is not only a meeting of spouses, but also the connection of the past and the future,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the bride in providing a successor to the family.

      • KCI등재

        초등교사의 그림책 추천 기준에 대한 연구

        김해인 ( Hae In K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4 한국어문교육 Vol.16 No.-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그림책을 어떠한 기준으로 추천하는지를 알아본 연구이다. 연구 문제는 1) 그림책을 읽은 뒤 초등교사가 각 그림책을 얼마나 추천하는지, 2) 초등교사가 그림책을 추천하는 기준은 무엇인지로, 이를 초점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83명의 초등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교사들은 주어진 그림책을 읽은 뒤 읽은 그림책을 초등학교 1-2학년에게 추천할 것인지, 그 여부와 그 이유에 대해 응답하였다. 교사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도서 추천 과정에서 다양한 요인들을 골고루 고려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그림책의 내용과 특징에 따라 유연하게 추천 기준을 적용하고 있었으며, 독자 요인, 교육적 활용 등을 모두 고려하여 그림책을 추천하였다. 특히, 교사들은 독자를 강하게 염두에 두고 그림책을 추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그림책의 독자 연구와 그림책 추천 기준에 대한 더 복합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studied the criteria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ir recommendation of picture book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 how much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nt to recommend the picture book to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after reading it, b) what are their criteria in their recommending the book. Survey based on these research questions were provided to 83 Elementary school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ad provided picture books and answered the questions whether they would recommend the picture book to the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and the reason(s) on their recommendation. The result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dered various factors in their recommendation of picture books. They had flexible criteria in recommending pictured books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features of the picture book, reader respons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cused on readers when they recommended picture books.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studies on readers of picture books and criteria of recommendation on picture books are needed.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 독자 유형에 따른 독서 실태 분석

        김해인 ( Kim Haei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2 한국어문교육 Vol.39 No.-

        이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의 독서 실태를 살펴보고, 베이비붐 세대가 독자 유형에 따라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베이비붐 세대 독자의 현황에 대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통해 은퇴 이후 독서 지원을 대비하고, 더 나아가 향후 인구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변화에 알맞은 성인 교육, 노인 독서 정책의 수립과 실행을 위한 방향 설정에 도움을 얻고자 한다. 연구 결과 베이비붐 세대는 다른 세대에 비해 비교적 양극화된 독자 정체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각 독자 유형에 따라 최종 학력의 분포에 차이가 있었다. 또, 베이비붐 세대 독자의 특징은 다른 세대에 비하여 독서에 대해 높은 가치를 두고 있으며, 학령기에는 독서량이 매우 낮았으나 오히려 20대 이후 독서량이 가장 높아졌다는 특징이 있다. In this study, the reading statu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s of readers. Through this, the study intended to prepare for support for the baby boom generation after retirement in terms of reading, and to get help i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dult education and reading policies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social changes due to an aging popul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baby boomers showed a polarized reader identity compared to other generations.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according to the types of read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readers are as follows: They place a higher value on reading compared to other generations, and the reading amount is low when they are at school age, but it reaches highest once they are over 20.

      • KCI등재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매개된 관음증이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해인(Kim, Haein),한은경(Han, Eun Kyung)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4

        타인의 행위를 엿봄으로써 쾌락을 얻는 관음증은 미디어의 발달에 따라 소셜 미디어 이용자에게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행동 양식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를 통한 관음증, 즉 매개된 관음증이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상대적 박탈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매개된 관음증으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이 현대인의 구매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실제 인스타그램 유저의 콘텐츠를 이미지로 제시하여 국내 20∼40대 331명에게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매개된 관음증과 상대적 박탈감 그리고 구매 행동의 관계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매개된 관음증은 충동구매, 동조 소비, 과시적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 박탈감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상대적 박탈감은 인스타그램 이용자의 매개된 관음증이 동조 소 비, 과시적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Voyeurism, which is to obtain pleasure by peeping into acts by other people, has become one of general behavioral styles among social media user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edia.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oyeurism via media or mediated voyeurism on the relative deprivation of Instagram users and the effects of relative deprivation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modern people via mediated voyeurism.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conducted an online survey with 331 people in their twenties, thirties or forties, presenting the content images of actual Instagram users to them. The study analyzed relations among the mediated voyeurism, relative depriva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Instagram users with a structural equation and found that their mediated voyeurism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impulse buying, consumer conformity, and conspicuous consumption. The analysis results of mediating effects of relative deprivation show that it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 of mediated voyeurism on their consumer conformity and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us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purchasing behavior.

      • KCI등재

        국어 교과서의 시각 자료 활용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조사 연구

        김해인 ( Haein Kim ),김경환 ( Kyunghwan Kim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1

        이 연구는 186명의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시각 자료 활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시각 자료의 제시 형태·목적·유형에 따라 중학생들이 정서적·인지적 활용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시 형태에 따라 활용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학생들은 참여형 시각 자료를 이해와 기억에 많이 활용하였다. 둘째, 목적에 따라 활용에 차이가 있었다. 학생들은 내용 이해를 목적으로 하는 시각 자료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유형에 따라 활용에 차이가 있었다. 학생들은 흥미·동기를 갖기 위하여 사진·그림을 활용하는 한편, 심화된 이해와 추론을 위해서는 차트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학생들이 교과서의 시각 자료를 명확하게 ‘학습 자료’로 인식하고 있으며, 능동적 독자이자 주체적 학습자로서 시각 자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perception of second-year students at middle school in relation to how they use visual materials presented in their Korean textbooks.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students use the visual materials differently depending on how the materials are presented. Second, how the visual materials are used was influenced by purposes. Third, the types of the visual materials had effects on how the students use the materials. In the light of what have been learned above,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students do regard the visual materials in their textbooks as ‘learning materials’ and that as an individual reader and an independent learner as well, the students have been using the visual materials in diverse way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such materials.

      • KCI등재

        성인 전환형 애독자의 유형과 특성 분석

        김해인 ( Kim Haein ),이수진 ( Lee Soojin ),이순영 ( Lee Soonyou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3 한국어문교육 Vol.43 No.-

        이 연구는 성인기에 독서 동기와 빈도가 높아져 애독자로 전환된 이들의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성인 전환형 애독자의 비율은 전체 성인 응답자(1,003명) 중 4.2%(42명), 성인 애독자(163명) 중에서는 25%였다. 이들의 독서 태도, 수준, 환경은 다른 성인 집단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생애독서그래프에 근거하여 확인된 성인 전환형 애독자의 유형은 세 가지(지속 상승형, V자 상승형, 상승 후 유지형)였다. V자 상승형이 과반으로 가장 많았고, 세 집단의 독서 이유와 독서장애요인은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인 전환형 애독자의 ‘전환 시기’는 20대에서 60대 이후까지 다양하나, 20대 때 전환된 비율(42.9%)이 가장 높았다. 전환 계기는 ‘독서를 권하는 인적/물리적 환경, 시간적·경제적·심리적 여유, 삶과 직업에서의 필요, 독서의 가치와 효용 인식’이었다. 독자 전환은 여러 요인의 복합적 작용이었고, 특히 독자개인이 오랜 경험과 성찰을 통해 독서의 가치를 재인식한 결과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dult converts to habitual readers(ACHR). This study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ACHR was 4.2% of all adult respondents.. Second, three types of ACHR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lifelong reading graph(continuous ascending, V-shaped ascending, and maintenance after rising). The V type was the most common. Third, the conversion period varies, but conversion rate was the highest in the 20s. The condition/reason for conversion was the human/physical environment for reading, the time, economic and psychological leisure, the need for life and occupat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and utility of reading. The conversion was a complex action of these factors, and it was the result of the reader's re-recognition of the value of reading through long experience and refl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