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기시간변동 및 용량을 고려한 대중교통 통행배정모형

        김진환,김동선,김지현,Kim, Jin Howan,Kim, Dong Sun,Kim, Ji Hyun 대한토목학회 2014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4 No.5

        최근, 환승시스템 구축 및 통합 교통체계, 스마트폰 보급 등으로 인한 실시간 대중교통 정보제공이 가능해 지면서 이용자들의 대중교통 경로선택이 유연해지고 있어 미리 수단을 정하고 통행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맞춰 경로를 선택하는 특성으로 변해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4년부터 시행된 대중교통 요금통합에 따라 이용자가 경로를 선택함에 있어 저항을 느끼지 않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이용자들의 경로선택은 대중교통 용량에 따른 혼잡으로 인해 대기시간이 증가 될 경우 달라진다. 이러한 이용자의 노선경로 선택이 대중교통 시스템에서의 혼잡에 따른 대기시간에 영향을 받지만 기존 전통적인 모형으로 묘사하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하며 이와 관련된 기초연구 역시 부족한 상황이다. 용량과 상관없이 주어진 모형에 의해서 수요를 추정하는 기존 모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승용차 통행배정에서 사용되는 링크 통행비용함수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실질운행횟수의 이원화된 변수를 설정하여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수리모형상의 제약식을 완성하였다. 모형의 검증으로 신규직결노선 도입과 돌발상황에 따른 각각의 시나리오 예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적용하고 그에 대한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용량초과에대한 통행량은 배정되지 않았으며, 대중교통시스템 용량이 초과할 경우에도 초과된 수요의 경로전환으로 통행량이 안정적으로 배정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이 대중교통 시스템에서 혼잡 등으로 인해 변동되는 대기시간에 따라 이용자의 경로선택이 유연해지는 현실을 반영 할 수 있는 선행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the passengers are likely to decide their route on impulse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public transport system, and real-time information system. Especially, public transport fare integr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2004 makes them not to have resistance about changing the modes or routes and their route choice is most effected by the degree of congestion. Assignment model have limitations to describe route changes by congestion.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a link cost function used in road assignment and Effective frequency is introduced to describe the passengers' behavior when the capacity of public transport is over and the waiting time variation. Two situations, new transit line operation and accident, are set up to validate the model, as a result of the transit assignment by this model, the traffic on networks is not over the capacit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of help to reflect the various behaviors in transit assignments.

      • KCI등재

        건기 조건의 사면 안정 해석과 관련된 문제점 고찰 및 대안

        김진환,백용,권오일,박재우,Kim. Jinhwan,Baek. Yong,Kwon. O-Il,Park. Jae-Woo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1

        우리나라의 사면 설계 기준안전율은 건기조건과 우기조건으로 구분하여 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기 기준안전율은 1.5, 우기시 1.2~1.3으로 되어 있다. 현재 제안하고 있는 동일 사면에 대한 건기, 우기 설계 기준안전율의 조건은 몇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사면 설계 조건의 문제점을 파악해보고자 사면안정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임의의 사면에 대해 건기시 기준안전율과 우기시 기준안전율을 계산하였으며 보강 공법을 적용하여 안정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국외사면 설계 조건을 조사하여 우리나라의 조건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건기, 우기로 구분하여 사면안정해석을 수행할 경우, 우기 안정해석 결과가 기준안전율에 만족할 경우, 건기 안정해석 결과는 항상 기준안전율을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현재 안정해석 조건에 문제가 있음을 지시하며 건기시 안정해석을 제외하는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Safety factors used in slope design is divided into wet and dry condition. In general, a safety factor of 1.5 is used for the dry condition and 1.2~1.3 is used for the wet condition. Unfortunately the application of safety factor for the wet and dry condition for the same slope has some problems. Slope stability analysis programs were used to determine problems in the slope design conditions. St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and reinforcements to calculate safety factor for the wet and dry condition of arbitrary slope. Slope designed conditions use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hen slope stability analysis for the wet and dry condition is performed separately, it was determined from the result of the study that the safety factor for the dry condition is always satisfied when the safety factor for the wet condition is satisfied. This shows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e condition of stability analysis that is currently used and modifications must be made except the dry conditions analysis.

      • KCI등재

        분산 모바일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재생 버퍼 수준에 기반한 동적 대역폭 할당 기법

        김진환,Kim, Jin-Hwa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7 No.6

        In this paper, we propose a scheme for dynamic allocating network bandwidth based on the playback buffer levels of the clients in a distributed mobile multimedia system. In this scheme, the amount of bandwidth allocated to serve a video request depends on the buffer level of the requesting client. If the buffer level of a client is low or high temporarily, more or less bandwidth will be allocated to serve it with an objective to make it more adaptive to the playback situation of this client. By employing the playback buffer level based bandwidth allocation policy, fair services can also be provided to the clients. In order to support high quality video playbacks, video frames must be transported to the client prior to their playback times. The main objectives in this bandwidth allocation scheme are to enhance the quality of service and performance of individual video playback such as to minimize the number of dropped video frames a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fair services to all the concurrent video request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is compared with that of other static bandwidth allocation scheme through extensive simulation experiments, resulting in the 4-9% lower ratio of frames dropped according to the buffer level. 분산 모바일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의 재생 버퍼 수준에 기반하여 통신망 대역폭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기법이 본 논문에서 제시된다. 이 기법에서 비디오 요청을 서비스하기 위해 할당된 대역폭의 양은 요구한 클라이언트의 버퍼 수준에 따라 결정된다. 즉 클라이언트의 버퍼 수준이 일시적으로 낮아지거나 높아지면 재생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더 많은 대역폭 또는 더 적은 대역폭이 할당되는 것이다. 또한 재생 버퍼 수준 기반 대역폭 할당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들에게 공평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고품질의 비디오 재생을 지원하기 위해서 비디오 프레임들은 반드시 재생 시간 전까지 클라이언트에 전송되어야 한다. 이 대역폭 할당 기법의 주목적은 전송이 중단되는 프레임의 수를 최소화하여 비디오 재생 성능과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진행되는 모든 비디오 요청 작업을 공평하게 서비스하는 것이다. 제시된 기법의 성능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다른 정적 대역폭 할당 기법과 비교 분석되었으며 프레임의 전송중단율은 버퍼수준에 따라 약 4%에서 9% 정도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태그 경로 및 텍스트 출현 빈도를 이용한 HTML 본문 추출

        김진환,김은경,Kim, Jin-Hwan,Kim, Eun-G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12

        웹 페이지에서 필요한 텍스트를 정확하게 추출하기 위해 본문이 존재하는 곳의 태그와 스타일 속성을 웹 크롤러에 명시하는 방법은 웹 페이지 구성이 변경될 때마다 본문을 추출하는 로직을 수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전 연구에서 제안한 텍스트의 출현 빈도를 분석하여 본문을 추출하는 방법은 웹 페이지의 수집 채널에 따라 성능 편차가 크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의 출현 빈도뿐만 아니라 웹 페이지의 DOM 트리로부터 추출된 텍스트 노드의 부모 태그 경로를 분석하여 다양한 수집 채널에서 높은 정확도로 본문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In order to accurately extract the necessary text from the web page, the method of specifying the tag and style attributes where the main contents exist to the web crawler has a problem in that the logic for extracting the main contents. This method needs to be modified whenever the web page configuration is chang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text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text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y had a limitation in that the performance deviation was large depending on the collection channel of the web page.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of extracting texts with high accuracy from various collection channels by analyzing not only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ext but also parent tag paths of text nodes extracted from the DOM tree of web pages.

      • KCI등재

        빈도 분석을 이용한 HTML 텍스트 추출

        김진환,김은경,Kim, Jin-Hwan,Kim, Eun-Gyu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5 No.9

        최근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웹 크롤러를 이용한 텍스트 수집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수많은 태그와 텍스트로 복잡하게 구성된 웹 페이지에서 필요한 텍스트만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웹 크롤러에 빅데이터 분석에 필요한 본문이 포함된 HTML태그와 스타일 속성을 명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HTML태그와 스타일 속성을 명시하지 않고 웹 페이지에서 출현하는 텍스트의 빈도를 이용하여 본문을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수집된 모든 웹 페이지의 DOM 트리에서 텍스트를 추출하여 텍스트의 출현 빈도를 분석한 후, 출현 빈도가 높은 텍스트를 제외시킴으로써 본문을 추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과 기존 방법의 정확도 비교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Recently, text collection using a web crawler for big data analysis has been frequently performed. However, in order to collect only the necessary text from a web page that is complexly composed of numerous tags and texts, there is a cumbersome requirement to specify HTML tags and style attributes that contain the text required for big data analysis in the web crawler.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of extracting text using the frequency of text appearing in web pages without specifying HTML tags and style attributes. In the proposed method, the text was extracted from the DOM tree of all collected web pages,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text was analyzed, and the main text was extracted by excluding the text with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Through this study,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verified.

      • KCI등재

        무선 LAN에서 MPEG-4 비디오 전송을 위한 대역폭 할당과 실시간 통신 스케쥴링 기법

        김진환,Kim, Jin-Hwa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5 No.5

        통신망 대역폭은 비디오 서비스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중의 하나이다. 무선 LAN에서 MPEG-4 비디오의 서비스 품질 요건을 보장하면서 전송에 필요한 대역폭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이 본 논문에서 제시된다. 고품질의 비디오 재생을 위해서 비디오 프레임들은 재생 시간 전까지 클라이언트에 전송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본 논문의 실시간 통신 스케쥴링 기법은 프레임의 중요도에 따라 우선순위가 설정된 프레임을 전송한다. 제시된 기법은 MPEG-4 비디오 전송시 프레임 크기에 따라 변동되는 작업부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종료시한 내에 전송되는 프레임의 수를 최대화하면서 종료시한 이후 전송이 완료된 프레임의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제시된 스케쥴링 기법의 성능은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다른 기법과 비교 분석된다. Network bandwidth i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impact the cost of a video service. In this paper we propose approaches to reducing the bandwidth requirement for transporting MPEG-4 video traffic over wireless LANs while guaranteeing a required level of quality of service(QoS). To support high quality video playbacks, video frames must be transported to the client prior to their playback times. A real-time transmission scheduling is used for this purpose, which transmits each frame assigned with a priority according to its importance. It addresses the challenge for a scheduling algorithm that efficiently handles the changing workloads of MPEG-4 video traffic. The goal of our research is to maximize the number of frames that are transported within their deadlines while minimizing the tardiness of frames that missed their deadline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is compared with that of similar service mechanisms through extensive simulation experiments.

      • 절토사면 현황자료를 이용한 충청도 관내 위험지구 결정

        김진환,구호본,이종현,윤천주,Kim. Jin-Hwan,Koo. Ho-Bon,Rhee. Jong-Hyun,Yoon. Chun-Joo 한국방재학회 2008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1

        KICT has been carried out inventory research on the cut slopes of national roads. Inventory research results are basic data using cut slope management system. Inventory data are classified by general status, cut slope characteristics and inspector opinion. Inventory data are utilized to figure out dangerous slopes and decide survey ranking of detailed safety diagnostication. This paper drew the distribution area of dangerous cut slopes using inventory data in Chungcheongdo, and verified efficiency on distribution area of dangerous cut slopes by comparing occurrence frequency of real collapsed cut slopes.

      • 국내논문검색서비스를 이용한 '냉증'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김진환,장희재,황덕상,이진무,이창훈,이경섭,장준복,Kim, Jin-Hwan,Jang, Hee-Jae,Hwang, Deok-Sang,Lee, Jin-Moo,Lee, Chang-Hoon,Lee, Kyung-Sub,Jang, Jun-Bock 대한한방체열의학회 2011 대한한방체열의학회지 Vol.9 No.1

        Purpose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study of cold hypersensitivity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and to direct for future research. Methods : We searched for papers which had used cold hypersensitivity in korean journals. Results : 25 papers were found. 10 papers were associated with characteristics of cold hypersensitivity. 8 papers were associated with case study. 5 papers were associated with diagnosis. 2 papers were associated with research for treatment effect. Conclusion :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old hypersensitivity in various fields. But evidence is not enough, so more research will be needed.

      • KCI등재

        Calcium Aluminate Phosphor Supported $TiO_2$ Nanoparticles

        김진환,강석민,류호진,Thube, Dilip R.,Kim, Jin-Hwan,Kang, Suk-Min,Ryu, Ho-Ji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9 資源 리싸이클링 Vol.18 No.4

        희토류 원소를 기반으로한 알루미늄산 형광체에 담지된 산화티탄은 졸겔방법 으로 제조되었다. 이렇게 제조된 산화티탄 나노입자의 재료물성을 분석하기 위해 XRD, FT-IR, DRS UV-Vis, TEM 측정을 실시하였다. 형광체에 담지된 산화티탄 입자의 소결 전후의 XRD분석결과는 600도 이상의 온도에서 아나타제에서 루틸로 상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600도 이상의 온도에서 지속적인(장시간) 열처리 후에도 형광체에 담지된 산화티탄이 결정화도가 높은 아나타제로 존재 하는 것은 형광체 지지체와 담지된 산화티탄의 서로 다른 결정입계에 의하여 결정성장과 상변화에 필요한 치밀화가 억제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DRS측정결과 형광체에 담지된 산화티탄은 산화티탄이 없는 형광체에 비하여 보다 긴 장파로 쉬프트한 것은 밴드갭 에너지의 환원을 나타낸다. 이러한 형광체에 담지된 산화티탄의 FT-IR 스펙트럼은 피크의 위치가 더 높은 파수로 이동하였다. 이것은 산화티탄 입자와 지지체 사이의 공유결합이 관계하기 때문 이라 판단된다. TEM 이미지는 형광체 지지체에 다른 입자 크기로 담지되어 있는 산화티탄의 분산, 결정화 및 입자 형상을 나타낸다. Rare earth based calcium aluminate phosphor ($CaAl_2O_4:Eu^{2+}$, $Nd^{3+}$) supported $TiO_2$ nanoparticles are synthesized by using sol-gel method, which are further characterized using powder X-ray diffraction (XRD),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diffuse reflectance UV-Visible spectroscopy (DRS UV-Vis)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he XRD pattern of as-prepared and sintered phosphor supported $TiO_2$ does not show the tendency to change the crystal structure from anatase to rutile phase up to $600^{\circ}C$. This indicates that the phosphor support might inhibit the densification and crystallite growth by providing dissimilar boundaries. The diffuse reflectance spectral (DRS) measurements showed shift towards longer wavelength indicating reduction in the band-gap energy as compared to free $TiO_2$. The FT-IR spectra of phosphor supported $TiO_2$ nanoparticles show shift in the peak positions to lower wavelengths. This indicates that the $TiO_2$ nanoparticles are not free, but covalently bonded to the phosphor support. TEM micrographs show presence of crystalline and spherical $TiO_2$ nanoparticles (8 - 15 nm diameter) dispersed uniformly on the surface of phosphor.

      • KCI등재

        화학환원법(化學還元法)을 이용(利用)해 제조(製造)한 20% Pt/C 캐소드 촉매(觸媒)의 열처리(熱處理)에 따른 산소환원반응(酸素還元反應) 평가(評價)

        김진환,강석민,류호진,Kim, Jin-Hwan,Kang, Suk-Min,Thube, Dilip.R.,Ryu, Ho-Ji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9 資源 리싸이클링 Vol.18 No.5

        The 20% Pt/C catalysts were synthesized using the chemical reduction method for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cathode and were heat-treated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300 to $600^{\circ}C$.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of the catalysts was evaluated using the electrochemical measurement.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of the heat-treated Pt/C at $300^{\circ}C$ had high catalytic activity and the oxygen reduction reaction current of that was 2 times than that of non-heat treatment catalyst.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nge of the crystallinity and particle size by heat treatment could increase the catalytic activity.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용 캐소드 촉매로서 화학환원법을 이용하여 20% Pt/C 제조하고 다양한 온도($300-600^{\circ}C$)열처리하여 산소환원반응을 평가하였다 $300-400^{\circ}C$에서 열처리한 20% Pt/C가 높은 산소환원반응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300^{\circ}C$에서 열처리한 촉매를 0.6V에서의 정전위를 측정한결과, 열처리하지 않은 촉매에 비해서 산소환원 반응 활성정도가 2배 높게 나타났다. TEM 및 XRD 분석을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열처리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백금 입자 크기가 커지고 결정화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산소환원반응 활성을 위한 백금의 입자 크기와 결정화도가 $300^{\circ}C$에서 최적화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