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백색광 LED를 사용한 독서등의 최적 색온도에 따른 사람의 시력 변화 연구

        김주현,장원범,이석환,정광교,김동현,김정미,류재준,문성득,이승현,고영수,허산,장미나,정창호,장지호,Kim, Juhyun,Chang, Wonbeom,Lee, Seokhwan,Jung, Kwangkyo,Kim, Donghyun,Kim, Jeongmi,Ryu, Jaejun,Moon, Seongdeuk,Lee, Seunghyun,Ko, Youngsu,Huh, Sa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3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6 No.1

        White light emitting diode (LED) determined the most appropriate color temperature in reading lighting evaluated fatigue degree of eye according to color temperature. The eye fatigue degrees are determined by brightness and color temperature. Therefore, we measured the results of eyes test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lor temperature and brightness. Experiments except for astigmatic corrected visual acuity of 0.8 more and age 20 to 25 years old,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as conducted in 100 patients. And constant illumination conditions, visual acuity was measured by varying the color temperature. The optometry at 10 minutes in the darkroom adapted eye. And then the temperature of $25{\pm}3$ degrees, the humidity was carried out at $50{\pm}5%$. As a result of typical color temperature of white light (5,600 K) has identification of the readability.

      • KCI등재

        공공 임대주택 입주의향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친 요인: 신혼가구를 대상으로

        김주현 ( Juhyun Kim ),안용진 ( Yongjin Ahn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6 국정관리연구 Vol.11 No.3

        현 정부는 신혼가구, 사회초년생 등 젊은 세대의 주거안정을 위해 2017년까지 총 15만호의 행복주택을 전국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기존 공공 임대주택은 저소득 가구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최근 도입된 행복주택은 보다 포용적 관점에서 소득 이외에 다양한 사회 취약계층(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노인계층 등)으로까지 정책 수혜 대상을 확대 적용하고 있다. `2015년도 신혼부부 가구 주거실태 패널조사`에 따르면 공공주택에 입주할 의향이 있는 신혼가구는 48%로 나타났고, 입주의향이 없는 이유로 29.7%가 사회적 인식 때문이라는 결과가 나타났다. 신혼가구의 안정적인 삶의 위해서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고 있지만, 실제 수요계층인 신혼가구는 공공임대주택의 입주를 꺼리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신혼가구의 특성을 반영하여 가구, 주거, 제도, 정책 선호 특성이 공공주택 입주의향에 미친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신혼가구의 안정적인 정주환경 조성을 위한 주택공급 측면의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고 정책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입주의향 인식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맞벌이 가구, 이사경험, 수도권 거주, 주택마련정책, 생활안정정책으로 나타났고,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구주 나이, 학력, 자녀수증가, 총소득증가, 월세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혼가구 공공주택 입주의향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활안정정책의 확대 및 주택정책과의 연계 적용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Korea government has a plan to supply 0.15 million units of public housing for the improvement of housing stability of various types of career starting households till 2017. Unlike the previous public rental housing policy more focused on a low income household, this project potentially targets on vulnerable social groups, such as university students/graduates, newlyweds, and elders, in terms of housing welfare/service. According to the 2015 Newlyweds` National Housing Panel Survey, the percent of the newlyweds with the intention of moving into public rental housing is approximately 48%, and the newlyweds without the intention mostly concern about negative awareness of public housing. While there has much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housing and residential satisfaction on public housing, the mechanism through which the newlyweds as a potential market demander make the decision to live in public rental housing is still questionabl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implication on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for the improvement of settlement environment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the newlyweds to move into public rental housing. Employing the 2015 Newlyweds` National Housing Panel Survey, we found that dual-income, relocation, metropolitan residents, housing policy, and living-supportive policy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intention of moving into public rental housing at the 0.05 level. However, householder age, education, increase in the number of children, increase in gross income, and monthly rent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Therefore, the expansion of living-stabilization and linkage into housing supply policy will be effective in increasing occupancy inten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of the newlyweds.

      •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한글쓰기 교육용 앱 개발

        김주현 ( Juhyun Kim ),남기원 ( Kiwon Nam ),김건영 ( Gunyoung Kim ),배준우 ( Junwoo Bae ),김성석 ( Sungsuk Kim ),장영은 ( Youngeun Ch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5 No.1

        최근 우리 사회에도 다문화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만약 부모가 한국어에 익숙하지 않다면, 그 자녀들도 유아기 한글 학습에 지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문화가정 유아의 특성을 반영한 한글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 초기 단계의 연구 결과물을 담고있다. 즉, 학습 콘텐츠 개발자-서버 관리자-학습자를 위한 시스템을 설계하였고, 지금까지 개발된 한글쓰기 교육용 앱의 초기 버전을 개발 완료하였다.

      • KCI등재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이 귀농정착자들의 귀농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경상북도 상주시를 중심으로

        김주현(Kim, JuHyun),장명준(Jang, Myungjun),조덕호(Cho, Deokho) 한국지역개발학회 2017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9 No.2

        The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tries to provide various services for urban to rural immigrants to enhance quality of life and rural development. Especially, Nok-dong village, Sangju-City, Gyoungsangbuk-do, has been a famous case for its bottom-up approach for rural development with citizen participation. Thu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villagers’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the project for further policies. This study adopts survey methods to estimates the satisfaction of the projects. Then, further it utilize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detailed examination. The key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the improvement of rural life satisfaction is statistically influenced by both physical projects and strategic programs. However, administrative programs negatively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rural life satisfaction. The improvement of rural community satisfaction is statistically influenced by physical programs, environment, and strategic programs respectively. This study provides empirical experiences to comprehend important components for rural development. Particularly, this will contribute to enhance policies for appropriate future rural development Moreover, it will assist to provide policy guidelines for urban to rural immigrants’s life and community satisfaction.

      • KCI등재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초등학생 대상의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김주현 ( Kim Juhyun ),문성환 ( Moon Seonghwa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1

        이 연구는 스토리텔링 기반의 독서와 공학을 융합한 노벨엔지니어링 교수법을 적용해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인공지능의 개념에 대해 보다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학습자 요구 분석과 함께 2015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소프트웨어와 로봇 단원 그리고 이승철, 김태영(2020)이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에서 제시한 초등학생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체계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의 내용 요소와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프로그램 내용에 적합한 도서를 3가지 기준(독자, 텍스트, 문제 상황)에 따라 학교 추천 도서, 전래동화 등에서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자 및 요구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에 대한 아동의 인식을 살펴보면 인공지능과 관련된 경험은 높게 나타났지만 관심과 흥미도는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체로 인공지능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원하는 인공지능 수업 내용은 인공지능의 원리와 프로그래밍으로 조사되었고, 원하는 수업 형태는 실습과 놀이, 활동 중심의 수업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 분석 내용과 교수·학습 내용 분석을 통하여 노벨엔지니어링을 활용한 인공지능 수업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였다. 인공지능 개념, 학습원리, 적용의 3가지 내용 요소를 선정하였고, 이 중 인공지능의 학습원리(지도학습, 비지도학습, 강화학습)에 대해 노벨엔지니어링 수업모델을 적용해 7회기(14차시) 분량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인공지능 교육과 문제해결력 수업모델인 노벨엔지니어링의 융합을 시도했다는 측면에서 다양한 인공지능 교육프로그램 교수·학습 자료 개발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I(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that are easy and fun to learn using Novel Engineering(NE) based on storytelling techniques for the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checking children’s perception of AI through learner and demand survey, we confirmed the students’ needs in AI education. Then we extracted the content elements related to AI through analysis of the software and the robot unit in 2015 revision Practical Arts curriculum. Based on that, we proposed the content elements and methods of the AI education program, and then selected the appropriate books for the contents of the program from school recommended books and traditional fairy tales according to the three criteria(reader, text, problem). The results of this program are as follows. Through learner and demand analysis, we confirmed that students’ experience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was high, but the level of interest was low. However, the perception of AI was positive in general, and the contents of desired AI classes were the principles of AI, and programming of AI. Students also responded that they wanted an AI class focused on practice, play and activity. We proposed the content elements and methods of the AI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the contents in the software and the robot unit in 2015 revision Practical Arts curriculum. For the content elements of AI education program, the concept of AI, the principles of AI, and the application of AI were selected. Among them, we applied the Novel Engineering model to learn the principles of AI(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Reinforcement Learning) and developed an AI education program for 7 sessions(14 lessons). This program could be used as a reference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AI teaching materials in terms of attempting to integrate AI education and problem-solving teaching model Novel Engineering.

      • 환자안전법상 보고시스템의 활성화에 대한 검토 - 광무군왈(廣武君曰), 신문(臣聞): 지자천여(智者千慮), 필유일실(必有一失). (《사기(史記)》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 Even the wise are not always free from error. -

        김주현 ( Juhyun Kim )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의료·과학기술과 법센터 2015 연세 의료·과학기술과 법 Vol.6 No.2

        2015.1.28. 신규제정된 환자안전법이 2016.7.26. 시행될 예정이다. 이는 의료기관에서의 환자안전에 대한 경각심의 증대라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의료사고의 발생을 억제하고 환자의 보호 및 의료의 질을 향상하는데 이바지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진 입법이라고 할 것이다. 환자안전법은 환자 안전 문제에 있어 기존의 개인 중심적 접근론 하에 사후적인 민ㆍ형사상 책임추궁에 초점을 두고 있던 전통적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고, 사전적으로 의료오류(medical error)의 예방을 위해 보고시스템을 통해 각종 오류를 수집ㆍ축적한 후 이를 통해 얻어진 사항을 진료에 반영하여 위해를 예방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이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킨 항공 산업의 역사적 경험으로부터 검증된 시스템이며, 미국ㆍ캐나다ㆍ영국 등 여러 국가들에서 채택ㆍ운영하고 있는 제도이며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 속에서 제정된 법이라고 할 것이다. 환자안전법이 환자안전보호 측면에서 실효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보고시스템을 활성화하는 것이 핵심과제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환자안전법에 대한 개괄적 소개와 함께 환자안전법이 택하고 있는 자율보고시스템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제정안에 포함되어 있었으나 신규제정 당시 삭제된 증거사용금지규정의 필요성에 대해 논증하였다. 자율보고는 성공적인 보고시스템 구축을 위해 WHO가 제시한 요건인 비처벌성ㆍ기밀성ㆍ독립성을 달성하는데 적절한 수단이라고 할 것이며, 증거사용금지규정은 환자안전사고(근접오류를 포함)를 일으킨 보고자에 대해 보고를 촉진시키는 인센티브로서 기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각국의 예에서 증거사용금지규정을 찾아볼 수 있으며, 유사한 시스템인 항공안전보고시스템의 성공에 있어 증거사용금지규정이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증거사용금지규정의 삭제는 적절하지 못했다는 비판을 제기하고자 한다. The Patient Safety Act, which was newly enacted on January 28, 2015, will come into effect from July 26, 2016. This is a legislation that has been made with the purpose of suppression of medical accidents, protection of patients, and improvement of medical quality along with a stream of times that increases the attention to patient safety in medical institutions. Overcoming a limitation of traditional systems which have focused on inquiring into civil and criminal liability after the accident under the existing individual-centered approach when it comes to patient safety, the Patient Safety Act adopts the method which prevents harms by collecting and accumulating various errors through a reporting system for proactive prevention of medical error and reflecting those obtained information in medical treatments. This is the system which has been verified from historical experience of aviation industry that had dramatically reduced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 and is being adopted and operated in various countries such as US, Canada and the UK. Therefore, it can be said the Act have been enacted in this global trend. And the core task is to activate the reporting system in order for the Patient Safety Act to function its effectiveness in terms of protection of patient safety. In this respect, this study presented an overview of the Patient Safety Act, examined the validity of autonomous reporting system which the Act adopts, and discussed the need of prohibition on use of evidence which was eliminated during new enactment although was included in draft. Autonomous reporting is an appropriate means to achieve non punitive characteristic, confidentiality and independency, the requirements WHO presents for establishment of successful reporting system and prohibition on use of evidence is considered to play a role of promoting the report from the reporter who has caused patient safety accident (including near miss). The study aims to criticize that the elimination of prohibition on use of evidence was inadequate in that the prohibition on use of evidence is observed in each country`s example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ccess of aviation safety reporting system, which is a similar system.

      • KCI등재

        노인차별 경험과 자기연령주의(self-ageism)

        김주현(Juhyun Kim),오혜인(Hyein Oh),주경희(Kyonghee Ju)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4

        본 연구는 연령차별을 경험한 노인들이 스스로 부정적 차별 인식을 내면화하는 일련의 과정에 집중하는 연구이다. 노인들이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연령차별의 모습을 규명하고 이같은 차별경험이 ‘자기연령주의(self-ageism)’를 통해서 어떤 결과로 이어지는지를탐색하기 위해 근거이론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노인들은 명시적 차별 뿐 아니라 암묵적 차별에도 반응하는데 이 과정에서 노인의 고통(빈곤, 질병, 무위, 고독)의 강도가 높고 객관적인 차별상황에 속에서 차별대응에 실패한 기억이 강할수록 더욱 높은수준의 자기연령주의를 갖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연령주의’는 나이에 의한 ‘차별’을 당한 노인들이 스스로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내재화함으로써, 현실에서 다양한 거부/분리/멈춤 등의 행동을 통해 삶의 질적 측면에서의 불이익을 감수하는 현상이다. 건강, 제도적지원, 보듬어주는 사람들과 같은 지지적 자원들이 존재하는 경우에 노인들은 보다 적극적인 방식으로 작용/상호작용을 통해 자기연령주의를 극복할 여지를 보이지만, 반면 이러한 자원들의 부족으로 스스로 동기부여하지 못하는 노인들의 경우 자기연령주의로 인한 부정적환류에 갇혀버리게 됨으로서 침체되고 위축된 삶을 살아가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스스로를 동기화(motivation)해서 신체, 인지, 정서, 사회적 반응을 해나가는 것은 매우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므로 분석과정에서 특별히 두 가지 부분, 맥락적 조건과 중재적 조건에 주목하며미시적으로는 노인의 동기화와 회복력(resilience)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였고, 거시적으로는 전 생애주기와 관련한 복지 및건강서비스 체계 보완, 커뮤니티케어를 통한 접근성과 통합성 확대, 인식개선과 차별금지법과 같은 시스템 마련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the perception of negative discrimination among elderly people who have experienced age discriminati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was used to identify the age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the elderly in their daily lives and to explore the consequences of such discrimination through self-ageism.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elderly respond not only to explicit discrimination but also to implicit discrimination. In this process, the stronger the pain of old age (poverty, disease, ignorance, and solitude) and the stronger the memory of failing to respond to discrimin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self-ageism. Self-ageism has internalized the negative image of the elderly, who have been discriminated against by age, resulting in disadvantages in terms of quality of life through various reject/separate/suspension actions in reality. In the presence of supportive resources such as health, institutional support, and caregivers, the elderly have room to overcome self-ageism through more active ways. However elderly people who cannot motivate themselves and they lack these resources, elderly are trapped in negative refluxcaus ed by self-ageism and sustained a depressed and shrinking life. In this state, it is not easy to motivate themselves and make physical,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responses. Therefore, in this analysis, we specifically noted two aspects, contextual conditions and interventional conditions, and proposed programs for synchronizing senior citizens and improving resiliency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and argued for the need to develop systems such as supplementing welfare and health service systems related to the entire life cycle, expanding accessibility and ’age-integration’ through ’Community Care’, awareness improvement and anti-discrimination l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