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정학교육과거버넌스: 성균관대 국정관리대학원의 사례

        김성태,유민봉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07 국정관리연구 Vol.2 No.2

        국내 · 외적 환경은 상호 영향을 주며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지식기반사회와 최첨단 기술의 발달로 인한 디지털 경제시대 도래는 세계화를 가속화 시키고 있으며, 민주주의와 다원화를 중심으로 하는 정치적 환경변화와 경제성장을 통해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킴으로써 문화복지와 관련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동시에 정부 중심의 전통적 통치 시대를 벗어나 전문성을 가진 이해관계자들과의 협력을 통한 국정관리 시대로 변화하면서, 국내 행정 환경도 세계환경과 맞물려 중앙 중심이 아닌 지방화, 분권화가 대두 되었으며, 동시에 행정환경의 투명성 증대에 대한 압력이 증가하였다. 국내 교육행정 역시 환경의 변화로 인해 세계화에 걸 맞는 인재를 필요로 하면서 기존 인재상의 변화를 초래하였으며, 대학교육의 패러다임 역시 거버넌스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이에 대한 교육내용과 방법에 있어 신속한 대응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ood Governance를 위한 국제기구들이 제시하는 공통기준으로서 책임성, 투명성, 참여, 법, 효과성, 대응성, 미래비전 미래예측 등에 대한 중요성을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동시에 국내 · 외 대학사례 분석을 통해서는 문제해결과 실무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실사구시를 중시하는 경향과 행정실무의 증요성이 강조되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전문가 활용을 통한 관-학, 산-학 연계가 강화되어야 함은 필수적인 전제 조건이며, 이는 차세대 핵심 엘리트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이 이러한 부분을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여야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교육방식도 현장에서 활용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강의 중심에서 토론(debate) · 협상(negotiation) · 합의(consensus)에 이르는 과정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아가야 함을 보여 준다.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은 새로운 변화와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2004년 3월 설립되었으나 이제 국제적 환경변화와 국내 환경변화, 그리고 해외와 국내의 사례의 주요 시사점, 특히 Good Governance 가 지향하는 준거틀 등을 고려한 비판적 성찰을 바탕으로 미래 발전 방향을 새로이 모색하여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국정관리대학원은 실사구시형 인재를 배출하기 위한 교육을 중심으로 국제화와 정보화 그리고 거버넌스 환경변화에 따른 빠른 대응성을 통해 전문성을 가진 교육을 지향 할 수 있도록 현재의 교육내용과 방식이 많은 보완을 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법과 적용의 중요성, 투명성과 책임성에 바탕한 윤리관련 교육, 미래비전과 미래예측에 기반한 국가미래전략 역량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 KCI등재

        연구비 관리제도 평가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아사쿠라 토시오(朝倉敏夫) ( Asakura Toshio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6 국정관리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비 투자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연구비 관리제도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음에 주목하고, 대표적 연구비 관리제도인 연구비 중앙관리 실태 조사의 평가결과(2013년)를 분석하였다. 이후 연구관리 전문기관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실시하여 시사점 및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먼저 2013년 실태조사 분석결과 연구비관리 전담조직, 연구윤리 규정, 인건비, 여비 및 간접비 규정은 평가에 참여한 대부분의 기관에서 구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진흥 프로그램, 연구자 만족도조사, 연구 성과관리 전문가 등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구비 관리를 위한 외형은 갖추어 졌으나 내실은 부족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전문가 대상 AHP 분석결과 제재조치/인센티브, 인건비 집행, 외부정기감사, 전산시스템 등으로 연구비관리 정책의 우선순위가 나타났다. 이는 전문기관에서는 연구비 관리에 있어 사후관리를 보다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라할 수 있다. 한편, 분석결과 한 가지 유의할 점은 비록 중요도의 우선순위는 있지만 어느 특정 항목이 월등하게 중요한 것이 아니라 15개 항목이 전반적으로 유사한 중요도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는 연구비 관리에서 사후 모니터링이 상대적으로 보다 중요하지만 진행 관리와 사전 인프라 구축도 중요하다는 인식이 반영된 것이라 하겠다. This research gives notice to the rapidly growing importance of research funds management system, as the investment research funds for government R&D Project have consistently increased. Furthermore, this research interprets and analyzes the result of evaluating research funds in 2013, a representative research cost control system. Finally, this study implements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o agencies in charge of managing the funds for research and then attempts to suggest solutions on the management policy. First, most institutions that participate in this survey maintain these regulations: dedicated organizations, research ethics regulations, labor costs, travel expenses, and overheads. However, several regulations lists such as research promotion programs, research experts’ performance satisfaction surveys, and research experts’ management are relatively inadequat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research funding must ensure ‘internal’ stability of the system. Next, a policy priority shows in order based on the result from AHP: enforcements/incentives, implementing labor costs, regularly outside audits, and computer systems. Priority shown implies that research institutions put the highest value on the follow-up management. Another thing to note is that fifteen indicators’ lists show a similar importance over all, although a priority exists. This result reflects that the follow-up management of research funding is relatively more important, but the progress management and the advance infrastructure cannot easily ignored, either.

      • KCI등재후보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관리체계가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백승현 ( Sunghyun Baek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4 국정관리연구 Vol.9 No.1

        과학기술분야 출연(연)은 기술유형에 따라 기초기술연구회와 산업기술연구회로 관리체계가 구분·운영되었지만, 2014년 7월부터 양 연구회를 통합하여 단일 관리체계가 출범하게 된다. 하지만, 단일 연구회를 통해 기관 경영상의 효율성을 제고하더라도, 출연(연)의 기술유형 특성에 부합하는 성과극대화를 위해 관리·운영방식에서는 차별화가 필요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R&D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 요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출연(연) 지배구조를 중심으로 하는 관리체계와 R&D 투입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관리체계에 따라 R&D 성과의 유형과 그 영향요인들이 다르게 나타났다. 기초기술연구회 소관기관은 SCI 논문실적이, 산업기술연구회 소관기관은 특허출원·기술료수입에서 더 많은 성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R&D 성과 영향요인으로서 관리체계가 갖는 영향력도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Chow 검정을 통해서 R&D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관리체계에 따라 구조적인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향후 연구회 통합을 통해 출연(연) 관리업무의 중복을 피하고 효율성을 제고하며 기관 간 융합연구를 활성화하는 등 관리체계 통합의 장점을 살리되, R&D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각 출연(연)이 개발하는 기술의 유형에 따른 세부목표와 중점연구영역에 따른 세부 관리방법의 구분이 요구된다.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for science and technology have been categorized and managed in two groups based on the technology types. The two governance systems, Korea Research Council for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ISTK) and Korea Research Council for Funda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KRCF), are expected to be integrated by July 2014. The management efficiency will be enhanced by the unified managing system, however, it is still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management methods based on the technology types in order to improve the R&D outcomes. In this study, the governance systems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the R&D input factors have been analyzed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types of R&D outcome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are different for different governance systems. The influence of the governance system has been shown to be large and the result of Chow test proves that there also exists the structural difference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R&D results for different governance systems. The planned integration of the research councils has a number of advantages such as minimization of repetitious management works, improvement of efficiency, and acceleration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important and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particular research objectives based on the technology types and the specific management methods based on the focused research area.

      • KCI등재후보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간 협력적 재난관리 방안 연구: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양기근 ( Gi Geun Yang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0 국정관리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효율적 재난관리를 위한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간의 협력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최근 재난의 발생 빈도와 피해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재난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체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재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간의 협력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보다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간의 협력이 잘 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일본의 재난관리체계에 대한 분석을 하였고, 이를 통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다만, 연구의 범위를 협력적 네트워크가 필요하거나 되고 있는 전 범위로 넓히지 않고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간의 재난관리의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요인들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데 한정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방정부와 중앙정부간 재난관리 역할의 재조정 및 명확화, 지방-중앙정부간의 재난관리 거버넌스 구축, 재난관리 조직의 위상 및 재난관리의 전문성 제고, 재난관리 조직 간의 신뢰 및 네트워크 구축 등의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plan of collaborative disaster management between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Recently, as increasing disaster-frequency and the extent of the damage, we calls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Especially, we have to establish collaborative disaster management between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for effective disaster managemen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his paper deals with the Case of Japan focusing on intergovernmental relations. The major findings and result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s roles mod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disaster management between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Second is establishment of disaster governance between local and central governments. Third is vice president office of local government as a clearinghouse and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of disaster management. Fourth is building of trust of intergovernmental relations and network.

      • KCI등재

        < 기획특집 > 국정관리연구 10주년 기획: 지속 가능한 사회와 국정관리 : ARUW 세계대학평가기제의 효율성에 관한 실증연구

        신현대 ( Hyeondae Shin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5 국정관리연구 Vol.10 No.3

        1980년대 이후 영·미를 시작으로 나타난 신공공관리론에 의한 공공부문의 개혁으로 인하여 전통적인 관리방식에서 성과주의로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고 1990년대 이후에는 신공공관리가 확대되면서 시장원리 및 경쟁체제가 모든 부분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학평가도 인증제평가에서 기관별로 순위를 내는 순위평가체제로 전환되었다. 2000년 이후에는 세계대학평가의 순위평가체제가 더욱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세계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순위평가로는 2003년 최초로 실시한 중국 상하이 자이퉁 대학(Jiao Tong University)의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이하 ARWU), 영국의 QS가 시행하고 있는 World University Ranking, 영국 Times Higher Education, 스페인의 Webometrics, 네덜란드 Leiden, 대만의 HEEACT 등이 있다. 이에 세계대학평가기관인 중국상해교통대학의 ARWU 평가체제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최신의 상대적 효율성 평가기법인 DEA/AP를 적용하여 그 대응방법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새로운 대학평가모델 제시를 통하여 세계대학평가체제의 발전과 대학 경쟁력강화를 위해 평가항목별 개선사항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Paradigm of higher education is Changing and restructuring education system in universities around the global. World university ranking has been evaluated with the result of one of the excellence rating for Global Education in Korea University. We can consider by applying to empirical analysis of the world such as the University of Shanghai Jiaotong University ARWU and DEA/AP relative efficiency evaluation method. The first analysis examined top 20 by region that showed to occupy the entire United States and British universities except the University of Tokyo and occupied approximately 20% Asia / Oceania / Africa in the portion of the world`s Top 500. Second, the name of the college raised above 43 countries. in the world Top 500. Third,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RWU ranking index showed that 92% correlation with number of papers published Nature and Science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priority indicators. ARWU ranking of the last three years reported in regular sequence that have correlation between the indicators that N&S-> HiCi-> Award-> Alumni-> PCP-> PUB. Fourth, seen through the DEA / AP model of the 48 universities within top 100 of ARWU, five university colleges found 100% effective Group. Fifth, showed that the correlation very lowed that have ARWU ranking with DEA/AP ranking. But DEA/AP and PCP showed 0.571 (57.1%) correlation scale that means DEA model can be seen as an evaluation mechanism.

      • KCI등재후보

        공공기관의 관리역량이 조직 혁신에 미치는 영향

        조희진 ( Heejin Cho ),이정욱 ( Jungwook Lee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1 국정관리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공공기관의 관리역량과 혁신 활동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관리가 중요하다(management matters)’는 공공관리 분야의 기본적 명제에도 불구하고 관리역량이 혁신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혁신을 위한 관리역량을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성과관리, 변화대응관리, 네트워크관리로 파악하였고 이들이 세 가지 형태의 혁신 활동, 즉 혁신의 도입 및 운영, 근로자 주도 혁신 활동, 제품·서비스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노동연구원의 ‘2005 사업체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혁신의 도입 및 운영에는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성과관리가, 근로자 주도 혁신 활동에는 변화대응관리가, 그리고 제품 및 서비스 혁신 활동에는 변화대응관리와 네트워크관리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다양한 관리영역에서 충분한 역량이 개발·확보될 때에 조직 내 혁신 활동을 보다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서로 다른 혁신활동은 서로 다른 종류의 관리역량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혁신활동별로 추진 전략을 다르게 구성해야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capacity and innovation in public organizations. Despite the widely accepted notion in public management that "management matters," few empirical studies have investigated how innovation activities are affected by management capacity. Viewing management capacity as consisting of four components including strategic human resources management (SHRM), performance management, proactive change management, and network management, this study analyzed how each component relates to three aspects of innovation: innovation adoption-implementation, employee-initiated innovation, and product-service innovation. Regression analyses of the data from the 2005 Workplace Panel Survey reveal that innovation adoption-implement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HRM and performance management; that employee-initiated innovation is positively related to proactive change management; and that product-service innov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roactive change management and network management. These results, altogether,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managerial capacity is a critical condition for successful innovation in public organizations. One important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different aspects of innovation are associated with different components of managerial capacity, which indicates that different strategies are needed for different innovation activities.

      • KCI등재

        국정성과 측정에 관한 연구의 동향

        공동성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06 국정관리연구 Vol.1 No.1

        국가간 비교연구를 위한 국정성과 측정 및 평가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많은 문제점을 않고 있다. 객관적 자료의 부족, 주관적 평가의 신뢰성 문제, 국가간 비교를 객관적으로 할 수 있는 전문가의 부족, 경제적 선진국에 대한 관대화 경향 등을 대표적 문제점으로 들 수 있다. 따라서 국가간 비교 및 서열화는 참고자료로서의 역할은 할 수 있지만, 한 나라의 국정 및 국정성과를 평가하는 준거가 되기에는 아직 미약하다. 이러한 국가간 비교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개개의 국가는 자국의 효과적 국정관리를 위해 자체적으로 좀 더 과학적인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놈문의 1차적 목적은 국정성과 측정에 관한 국가간 비교연구 및 국내연구의 동향을 정리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초연구는 개별 연구들의 장단점과 한계를 분석하고 국내외 국정성과 측정결과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제고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한국의 경우 국정성과를 측정하는 연구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인가를 모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 치매노인의 치매예방관리에 관한 구조화 분석: 제3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을 중심으로

        최인규 ( Inkyu Choi ),유근환 ( Keunhwan Yoo ),박지은 ( Jieun Park ),장광현 ( Kwanghyun Chang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8 국정관리연구 Vol.13 No.4

        최근 우리나라의 국가의 중요한 정책가운데 치매관리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관리의 사업내용을 파악하고 효과적 관리를 위한 향후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경증치매 관리를 포함한 현장의 복잡한 정책상의 문제에 대한 관련전문가들의 전체 인식구조화를 통해 본질적 문제의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그 단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치매예방관리의 활성화 요인 도출 및 유형화 하였다. 둘째, DEMATEL을 활용하여 주요 치매관리 활성화요인들 간 인과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제3차 치매예방계획를 대상으로 운영 활성화 요인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향후 치매예방관리 운영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13개의 치매예방관리 활성화 요인들의 관리방안 설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치매예방관리 활성화 요인으로 최우선적인 5가지는 치매환자 가족 간병부담을 위한 재정, 치매예방 실천 방법, 간병비 사회적 지원, 치매환자 재가 및 시설 돌봄 지원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국가치매관리정책에 대한 구체화 및 다부처 통합을 위한 연계 및 조정체계를 구축하고 발전적이고 효과적인 정책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importance of national policy for managing dementia has been increasing.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contents of dementia management in local government in Korea in terms of effective management of dementia patients, and proposed future improvement tasks. For this purpose, the DEMATEL method, one of the structural model methodologies, is used to understand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omplex problems (tasks) existing in the management field of the mild demented elderly in the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ommunity-centered dementia prevention and management issues associated with mild demented elderly people in the community? Second, what kind of consciousness structure do people have about the real problems of providing care for the dementia diagnosis care for people with mild dementia related work? Third, what is the difference in perceptual structure between the dementia management policy, planning, and budget allocation to provide direct service in the field in order to reduce the burden of care for family members with dement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subjects of national dementia management policy, to establish integration, linkage and coordination system with medical services, to formulate policy for dementia, We also proposed the ne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to establish effective policies.

      • KCI등재

        주민자치와 로컬 거버넌스 사례 연구: 고양시 자치도시 실험을 중심으로

        오수길,이춘열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8 국정관리연구 Vol.13 No.2

        최근 ‘협력적 거버넌스’나 ‘협치’에 관한 논의는 거버넌스 개념의 도입 초기에 비해 로컬 거버넌스 현장에서 좀 더 강조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거버넌스 논의는 몇 가지 민관협력사업의 차원을 넘어 국정이나 시정 전반의 가장 기본적인 가치와 수단으로서 통치 차원으로 이해되며 발전하고 있다. 2010년 1월 30일의 ‘고양무지개연대’에서부터 설계된 고양시의 협치경험은 독특한 측면이 있다. 이 연구는 고양시의 주민자치, 시민참여, 로컬 거버넌스를 분석하여 영향 요인들을 찾아내고 시사점을 발굴함으로써 현실성 있고 실효성 높은 참여 자치와 협치시스템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민선5기와 6기 고양시는 ‘자치도시’를 선포함으로써 최근 한국에서 ‘풀뿌리자치’, ‘동네자치’, ‘마을자치’, ‘생활자치’ 등과 연계되는 자치 공동체를 지향해왔다. 이 연구는 그 과정을 2011-2012년의 기반확립기, 2013-2014년의 확산기, 그리고 2015-2016년의 정체기 등으로 구분하여 각 위원회의 내용과 추진과제, 그리고 주요 참여자 인터뷰를 바탕으로 분석, 정리하였다. 주민자치를 바탕으로 하는 로컬 거버넌스의 활성화는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정치적 거버넌스일 필요가 있다. 새로운 거버넌스의 설계가 시장의 리더십에 따라 그 방향이 바뀌고 이것이 거버넌스 실패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이 연구는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또한 각 정책영역이나 분야별 거버넌스 구조의 작동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메타 거버넌스의 중요성에 대한 확인이기도 했고, 역설적으로 시민사회의 역량 구축의 필요성을 이야기하고 있기도 하다.

      • KCI등재

        < 기획특집 > 국정관리연구 10주년 기획: 지속 가능한 사회와 국정관리 : 노동시장 내 여성고용평등과 출산율의 관계 연구 -OECD 18개 국가를 대상으로

        민연경 ( Younkyoung Min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5 국정관리연구 Vol.10 No.3

        본 연구는 노동시장 내 여성고용평등과 출산율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2000년부터 2007년까지 OECD 18개 국가를 대상으로 집적시계열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행정·관리직 여성비율, 남성 대비 여성소득비율, 여성 취업률, 성평등 가치관 변수가 출산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반면 전문직 여성비율, 여성파트타임 비율은 출산율에 음(-)의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대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OECD 국가들은 노동시장 내 여성고용의 불평등문제를 해소함으로써 비교적 높은 수준의 출산율을 유지하고 있다. 둘째, 일-가정 양립이 가능하며, 여성의 노동권과 모성권을 보호받기 위해서는 단순히, 비정규직 파트타임 근무가 아닌 정규직을 기반으로 한 탄력근무제, 압축근무제와 같은 다양한 근로시간 유연화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자녀 출산 및 양육의 역할이 여성의 몫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전반적으로 여성에 대한 성역할 가치관을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fertility rate and the equal employment using time series 2000~2007 data of 18 OECD countries with pooled time series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female legislators rate, senior officials and managers rate, ratio of estimated female to male eared income, female employment rate, values on gender equality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fertility rate. But female professional and technical workers rate, female part time rate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fertility rate. Policy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of female equal employment of OECD countries has an effect on increasing fertility rate. Second, the fertility rate of non-regular or part-time female workers is lower than that of regular female workers because non-regular or part-time female worker`s working environment was negative. This result suggests that regular or full-time female worker`s the flexibility of working hour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and makes work-family reconciling. Third, we can conclude that improving value on female gender role in labour market is required to raise fertility rate in our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