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rean guidelines for postpolypectomy colonoscopic surveillance: 2022 revised edition

        김수영,곽민섭,Soon Man Yoon,정윤호,Jong Wook Kim,Sun-Jin Boo,Eun Hye Oh,Seong Ran Jeon,Seung-Joo Nam,Seon-Young Park,Soo-Kyung Park,전성란,Dong Hoon Baek,Mi-Young Choi,Suyeon Park,Jeong-Sik Byeon,Hyung Kil Kim,Jo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22 Clinical Endoscopy Vol.55 No.6

        Colonoscopic polypectomy i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incidence and mortality of colorectal cancer (CRC). Premalignant polyps discoveredduring colonoscopy are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achronous advanced neoplasia. Postpolypectomy surveillance is the most important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advanced metachronous neoplasia. A more efficient and evidence-based guideline for postpolypectomy surveillance isrequired because of limited medical resources and concerns regarding colonoscopy complications. In these consensus guidelines, an analytic ap-proach was used to address all reliable evidence to interpret the predictors of CRC or advanced neoplasia during surveillance colonoscopy. Thekey recommendations state that the high-risk findings for metachronous CRC following polypectomy are as follows: (1) adenoma ≥10 mm in size;(2) 3 to 5 (or more) adenomas; (3) tubulovillous or villous adenoma; (4) adenoma containing high-grade dysplasia; (5) traditional serrated adeno-ma; (6) sessile serrated lesion (SSL) containing any grade of dysplasia; (7) serrated polyp of at least 10 mm in size; and (8) 3 to 5 (or more) SSLs. More studies are needed to fully comprehend the patients most likely to benefit from surveillance colonoscopy and the ideal surveillance intervalto prevent metachronous CRC.

      • KCI등재

        키르키스스탄 촌아슈 지역 화강섬록암질암 및 사질원 퇴적암의 지화학적 특징

        김수영,지세정,박성원,Kim, Soo-Young,Chi, Sei-Jung,Park, Sung-W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1 자원환경지질 Vol.44 No.4

        연구지역의 조구조 위치는 북부 천산지괴 남단의 이식쿨 미세지각 연변부 봉합선 북부에 위치한다. 지구조적으로는 카지흐 만곡조산대에 속한다. 암층은 알타이드 조산복합대 이전의 대륙지각이나 대륙호 및 화산호에 발달되는 고 지각 (Paleo- continent) 조각들과 지각 퇴적물의 부가복합체(Accretionary complex)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대부분 후기 원생대 및 고생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아시아 조산대의 마그마 활동은 고 생대 초부터 화강암류가 관입하기 시작하여 고기-테티스 해양(Paleo-Tethys ocean)의 소멸과 함께 시베리아 지괴 (Siberia- Kazakhstan 미세대륙)와 타림-북중국 지괴의 대륙 충돌기(期)인 후기 데본기에서 전기 석탄가까지의 기간 동안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 기간에 키르기즈스탄의 광화작용이 집중적으로 일어났는데 주로 조산운동과 관련된 금광화작용(Orogenic gold deposit)과 섭입작용과 관련된 반암 동광화작용 및 스카론 광화작용이다. 촌아슈에 분포하는 화강암류의 암석지화학 특징은 전술한 섭입작용과 관련된 도호(Island arc)나 화산호(Volcanic arc)의 화학적 특정을 갖는 영역에 해당한다. 이들은 대부분 과알루미나(per -aluminous) 내지 메타알루미나(metaluminous) 계열의 암체들로서 동시 혹은 후 충돌 마그마호에서 유래된 특정을 보이고 있다. 촌아슈 광구지역의 지질은 캠브리아기에서 오도뷔스기의 해양 분지에서 형성된 육성 화산퇴적물로 구성된 Sokolot suite, Ashuairyk suite 층과 석회석, 이질암 등으로 구성된 캠브리아기의 Turgenaksuu suite 및 오도뷔스기의 Tashtambektan suite로 형성되었다. Pangea 육괴와 Angarida 대륙 충돌 단계인 중기 고생대에는 내해(內海) 퇴적층인 석탄기의 투룩층군(Turuk Stratum)이 형성되었다. 사암과 이질암은 해양 도호(島弧)나 활동성 대륙 연변부 환경에서 퇴적된 층으로 분류된다. 이 지역의 동 광화대 모암이 되고 있는 관입암체로는 석영섬록암-몬조섬록암-섬록암과 토날라이트-화강섬록암 계열의 암석이 있다. 촌아슈 광구에는 주로 적철석으로 되어 있는 철산화대가 광범위하게 발달하고 있다. 이 철산화대는 타쉬탐백토르스크 섬록암 복합체와 상부 리피안기와 캠브리아기의 변성 및 퇴적암 층군의 NE와 NW의 공액구조나 산포상으로 분포한다. 동 광화작용은 철 광화작용 이후 섬록암의 카리 변질작용과 규화작용 및 탄산염화 작용을 수반하면서 전기 타쉬탐백토르스크 섬록암 복합체 및 상부 리피안기와 캠브리아기의 변성 및 퇴적암 층군에 망상 또는 산포상의 열수 세맥군으로 배태된다. Chon-Ashuu copper mining claim area is located, in terms of the geotectonic setting, in the northern part of the suture line which is bounded with the marginal part of Issik-kul micro-continent on the southern part of North Tien-Shan terrane. The geological blocks of Chon-Ashuu districts belong to the southern tip of Kazakhstan orocline. The rock formation of this area are composed of the continental crust or/and arc collage and the paleo-continental fragments-accretionary wedge complex of pre-Altaid orogenic materials. ASI(Alumina Saturation Index) of Paleozoic plutonic rocks in Chon-Ashuu area belong to the peraluminous and metaluminous rocks which were generated from fractional crystallization of Island and volcanic arc crusts in syn-post collisional plate. The geology of the ChonAshuu area consists of upper Proterozoic and Paleozoic rock formations. According to Harker variation diagrams for Chon-Ashuu arenaceous sedimentary rocks, the silty sandstone of Chon-Ashuu area showing the mineralogical immaturity were derived from Island arc or the marginal environments of active continent in Cambro-Carboniferous period. Numerous intrusive rocks of Chon-Ashuu area are distributed along north east trending tectonic structures and are bounded on four sides by the conjugate pattern. The most common type of the plutonic rocks are granodiorite and monzodiorite. According to the molecular normative An-Ab-Or composition (Barker, 1979), the plutonic rocks in Chon-Ashuu area are classified into tonalite - trondhjemite - granodiorite (TTG) series which are an aggregation of rocks which is the country rock of copper mineralization, that are formed by melting of hydrous mafic crust at high pressure.

      • KCI등재

        일산 소재 초등학생의 굴절이상도와 비구면계수 관계

        김수영,최정훈,박영훈,장봉순,마기중,이영춘,Su Young Kim,Jeong Hoon Choi,Young Hoon Park,Bong Soon Chang,M,S Ki Choong Mah,Young Chun Lee 대한안과학회 2008 대한안과학회지 Vol.49 No.8

        Purpose: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refractive error, corneal asphericity, and axial length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One hundred eleven eyes from 56 subjec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underwent cycloplegic refraction corrected to the spherical equivalent. Axial length was measured, and corneal topography was performed. Corneal asphericity was assessed using eccentricity (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rmula Q=-e2. The relationship among spherical equivalent, asphericity, and axial length was determined using a linear regression model. Results: Subjects were between 8 and 12 years of age (mean, 9.99±1.33). The average spherical equivalent was -1.38±2.08D (-7.13~2.63D), the average axial length was 23.84±1.17 mm (20.10~26.37 mm), and the average corneal asphericity was -0.29±0.10 (-0.55~-0.07). An increase in myopi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 increase in axial length (p<0.0001). The degree of myopia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rneal asphericity (p=0.019). An increase in axial length was related to an increase of negativity in asphericity (p= 0.012). Conclusions: An increase in myopia was correlated with an increase in axial length. As the degree of myopia and axial length increased, corneal asphericity became more prolate. A longitudinal study with more subjects is required to validate these results. J Korean Ophthalmol Soc 49(8):1317-1322, 2008

      • 터보 부호 개발 동향 분석

        김수영,강군석,곽지혜,박세경,Kim, S.Y.,Kang, K.S.,Gwak, J.H.,Park, S.K.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0 전자통신동향분석 Vol.15 No.4

        1993년 Shannon 한계에 근접하는 우수한 성능을 가진 터보 부호가 발표된 이후 그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지만, 한편으로는 반복 복호의 복잡도와 이로 인한 복호 지연을 고려할 때 실제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의문 역시 함께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터보 부호를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되었으며, 현재는 터보 부.복호기를 구현한 제품들이 시장에 등장한 상태이다. 특히 위성통신시스템에서의 적용을 위한 노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곧 그 구현을 앞두고 있는 IMT-2000 시스템에서도 터보 부호는 일부 서비스에서 활용될 예정 등으로 앞으로 그 활용도는 급격히 늘어날 전망이다. 터보 부.복호기를 한 칩에 구현한 제품들도 이미 출시되어 있는 상태이다. 터보 부.복호기를 하드웨어로 구현한 제품들은 크게 길쌈 터보 부호를 사용한 것과 블록 터보 부호를 사용한 것으로 양분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상용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있는 터보 부호의 특징과 성능을 분석한 내용을 기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임농복합경영을 통한 북한의 새로운 산림관리 변화연구

        김수영 ( Kim Soo-young ),박소영 ( Park So-young ),박경석 ( Park Kyung-seok ) 평화문제연구소 2016 統一問題硏究 Vol.28 No.2

        본 연구는 북한 국토환경보호성과 스위스개발력청(SDC)이 경사지관리프로그램(SLM)을 새로운 산림관리방식으로써 북한에서 `임농복합경영` 을 어떻게 적용하여 발전시키고 확산 되었는가를 고찰하는 을 목적으로 하였다. 990년 이후 지속된 자연재해로 북한산림은 황폐화와 식량난, 경제난이 2000년대까지 지속되었다. 김정은 정권 이후 산림황폐화로 인한 자연재해가 점차 심각해지면서 북한은 본격적으로 산림복구를 위한 정책을 진행하였으며 그 일환으로 산림의 불법 경작 문제 해소와 유휴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는 사업으로 `임농복합경영` 을 도입하였다. 현재 북한에서 진행되고 있는 임농복합경영 사업은 다음과 같은 성과를 거두었다. 먼저 임농복합경영방법은 북한의 산림조성 방법의 하나로 정착되었다. 특히 김정은 정권 이후 임농복합경영방식은 `산림복구 10개년 계획` 의 주요정책으로 자리 잡았으며, 산림관리기구의 변화까지 가져왔다. 또한 임농복합경영 방법을 확대하기 위해 북한은 임농복합경영을 한 대상지 선정과 적용 가능 수종 및 수종에 따른 기술 등에 대한 연구 사업을 확대하였다. 이를 해 대학 내 관련 강의개설은 물론 산림전문가를 대상으로 해외연수를 실시하는 등 전문가 양성사업도 함께 진행하고 있다. 사업의 성과가 주민들의 참여에서 나오는 만큼 대상지의 이용권 및 수확물분배 등 산림관리와 경영에서의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또한 대상지의 주민토론회 및 기술교육 등 주민의 참여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진행되고 있다. This research is focused on how the DPRK Ministry of Land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wiss Agency for Development and Cooperation(SDC) applied and enhanced the developing Agroforestry Program to North Korea. Agroforestry Program, as part of it, has been introduced to resolve illegal farming in woodlands and surplus of labors problems. The Agroforestry Program conducted in the DPRK has got following achievements from then on. It makes Agroforestry Program as one of the settled methods of reforestation in the DPRK. Especially, Agroforestry Program has played a major role in a series policies of`the 10 year plan for reforestation`conducted since Kim Jong-un`s regime. In addition, in order to push for the application of Agroforestry Program, DPRK government has expanded research projects of selecting appropriate agroforestry sites, finding applicable tree species, and developing appropriate technologies of relevant species. Furthermore, forest experts training program has been introduced by offering relevant courses in universities and overseas training. Also, with the application of Agroforestry Program, the inhabitants has benefited a lot from getting the land-use right and distribution right of the harvest from the land.

      • 포스터 전시 : 위장관 ; 공장 장간막에 발생한 림프관종 1예

        김수영 ( Soo Young Kim ),박효진 ( Hyo Jin Park ),최성우 ( Sung Woo Choi ),김정환 ( Jung Hwan Kim ),이상인 ( Sang In Lee ),박인서 ( In Suh Park )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02 No.-

        림프관종은 95%이상에서 두경부와 액와부에 호발하며, 복강내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병으로 성인에서는 그 발생빈도가 극히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장간막에 발생하는 림프관종의 임상양상은 최근들어 복통을 동반한 경우가 88%에 이른다고 하며, 과거에는 장간막 낭종과의 감별이 힘들었으나 최근 전산화단층컴퓨터촬영, 초음파검사 등의 발달로 수술전에 장간막 림프관종을 진단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확진 및 가장 좋은 치료방법은 낭종의 외과적 절제로 연

      • SCOPUSKCI등재

        김치에서 항균활성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김수영(Soo Young Kim),김종두(Jong Doo Kim),손지수(Ji Soo Son),이시경(Si Kyung Lee),박갑주(Kab Joo Park),박명수(Myeong Soo Park)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4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야생형 유산균을 분리·동정하기 위하여 김치에서 480종의 유산균을 분리하였으며,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P. aeruginosa, B. subtilis에 대한 항균활성을 agar diffusion 법을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이들 중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균주 340종에 대하여 multiplex PCR과 API 50CHL Kit을 이용한 생화학적 특성검사 및 16S rDNA sequencing을 통해 Lb. plantarum 169균주, Lb. fermentum 20균주, Lb. paracasei spp. paracasei 2균주, Lactobacillus 속 2균주와 Pediococcus 속 15균주를 동정하였다. 이들 균주 중 Lb. fermentum의 경우는 프로바이오틱스로서의 활성이 보고되고 있는 균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otal 480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five kinds of kimchi, and their antibacterial activity was tested against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Bacillus subtilis, and Pseudomonas aeruginosa using an agar diffusion assay. Among them, 340 isolates showed a halo on MRS agar against one or more indicator strains, which were identified using multiplex PCR, an API 50CHL kit, and a 16S rDNA sequence analysis. As a result, 169 Lactobacillus plantarum, 20 Lactobacillus fermentum, two Lactobacillus paracasei ssp. paracasei, two Lactobacillus sp., and 15 Pediococcus sp. were identified. This may be the first report on the isolation of antibacterial Lactobacillus fermentum from kimchi.

      • KCI등재

        Complete genome sequence of a plant growth-promoting bacterium Pseudarthrobacter sp. NIBRBAC000502772, isolated from shooting range soil in the Republic of Korea

        Min-Kyu Park,Yeong-Jun Park,김민지,김민철,Jerald Conrad Ibal,강기웅,이규대,Setu Bazie Tagele,권혁준,강명석,김민하,김수영,신재호 한국미생물학회 2020 미생물학회지 Vol.56 No.4

        Pseudarthrobacter sp. NIBRBAC000502772 is a Gram-positive, aerobic, rod-shaped, auxin-producing bacterium that was isolated from the soil of a shooting range in Hongcheon,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whole genome of the strain is 4,803,563 bp in length, with 65.01% G + C content and 4,450 genes. The strain contains genes related to auxin biosynthesis and heavy metal resistance.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o contain genes related to denitrification of nitrite and nitrat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청보리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항염 및 미백활성 연구

        박채훤 ( Che Hwon Park ),박장호 ( Jang Ho Park ),민선영 ( Seon Young Min ),김경민 ( Kyungmin Kim ),김수영 ( Suyeong Kim ),박영진 ( Young Jin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9 대한화장품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는 청보리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항염활성 및 미백 활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청보리의 용매별 분획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13.58 ∼ 40.06 mg GAE/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67 ∼ 13.67 mg CE/g으로 확인되었다. 청보리 용매 분획물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평가한 결과 클로로폼 분획물 400 μg/mL 처리 시 대조구인 ascorbic acid (30 μM)와 유사한 DPPH 라디칼소거능이 확인되었다. RAW 264.7 세포를 대상으로 한 NO생성 억제 활성 평가에서는 클로로폼 및 헥산 분획물이 대조구인 quercetin (15 μM)과 유사한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클로로폼 분획물 100 μg/mL 처리 시 IL-6, iNOS 및 COX2 유전자의 발현이 대조구 (lipopolysaccharide 1 μg/mL)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함이 확인되었다. 청보리 용매 분획물 중 클로로폼 분획물은 RBL-2H3 세포의 β-hexosaminidase 탈과립, IL-4 및 IL-13 유전자의 발현을 유의한 수준으로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청보리 용매 분획물은 tyrosinase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며, 헥산 분획물 50 μg/mL 및 클로로폼분획물 100 μg/m은 유의한 수준으로 B16F10 세포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청보리가 항염 및 미백 활성을 가지는 효과적인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ion, and whitening effect of Hordeum vulgare L. extracts and their fractions.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fractions were varied from 13.58 to 40.06 mg GAE/g and 7.67 ∼ 13.67 mg CE/g, respectively. Among the three fractions(chloroform, hexane, and water), 400 μg/mL of the chroloform fraction showed similar antioxidant activity to ascorbic acid (30 μM) against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The chloroform and hexane fractions inhibited the NO production of RAW 264.7 cells similar to quercetin (15 μM) and the chloroform fraction of 100 μg/mL significantly reduced IL-6, iNOS and COX2 gene expression. Additionally, the chloroform fraction inhibited β-hexosaminidase degranulation, IL-4, and IL-13 gene expression in RBL-2H3 cells. All of the fractions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the hexane fraction at 50 μg/mL and the chloroform fraction at 100 μg/mL significantly inhibited melanin production of B16F10 cell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H. vulgare L. can be used as an effective cosmetic ingredient having anti-inflammation and whitening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