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적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민요교육의 방향

        김민하 한국민요학회 2017 한국민요학 Vol.49 No.-

        This thesis aims to explore and examine the directions of Korean folk song education that can promote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 among subject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of 2015. The meaning of music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 was studied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s presented in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ose presented in the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of 2015. The directions of Korean folk song education were also discussed by structuraliz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to implement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 through three stages:understanding,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The directions of Korean folk song education for cultivating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 were sought and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understanding stage,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cultural traditions by dealing with both the musical and literary styles of traditions connoted in Korean folk songs and traditional lifestyles of our nation. Second, in the acceptance stage, folk songs with abundant cultural values should be selected to embrace the values of community cultures connoted in Korean folk songs and it is necessary to present activities for internalizing good life values through folk songs. Third, in the participation stage, it is necessary to prepare plans that will allow students to cultivate their willingness to engage in social participation as transmitters of Korean folk songs. As the way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it was proposed to encourage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activities regarding the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folk songs and to encourage them to be willing to apply the cultural values of Korean folk songs as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The basic ability to understand and perform national folk songs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cultivating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s through Korean folk song education. It is also required to interpret the cultural values of Korean folk songs, apply them to ways of solving social problems, and express them musically. In this respect, it is believed that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s can be all the better cultivated when those competences presented in the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of 2015 are collectively expanded.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it is important to boost research on the ways to cultivate music subject competences collectively through Korean folk song education. 본고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 역량 중 ‘문화적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민요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공동체 역량과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문화적 공동체 역량의 의미를 고찰한 후, 문화적 공동체 역량에 담긴 음악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또한 문화적 공동체 역량을 구현하기 위한 교수․학습을 ‘이해, 수용, 참여’의 3단계로 구조화하여 이에 따라 민요교육의 방향을 논의해 보았다. 본고에서 모색한 문화적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민요교육의 방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해’ 단계에서는 민요에 담긴 음악적․문학적 양식의 전통,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삶의 모습의 두 가지를 함께 다루어 우리 문화의 전통을 전반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수용’ 단계에서는 민요에 담긴 공동체 문화의 가치를 수용할 수 있도록 문화적 가치가 풍부하게 내재된 민요를 선정해야 하며, 민요를 통해 바람직한 삶의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참여’ 단계에서는 민요 전승 주체로서 사회 참여 의지를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민요의 전승 및 발전에 관한 문제에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 민요를 활용하여 사회 문제 해결에 동참할 수 있는 학습자 양성을 제안하였다. 민요교육을 통해 문화적 공동체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해서는 민요를 이해하고 연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이 우선적으로 전제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민요의 문화적 가치를 해석하여 문제 해결 과정 속에 그것을 활용하고, 이를 음악적으로 표현해 내는 능력도 요구된다. 이런 측면에서 문화적 공동체 역량은 음악과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역량이 통합적으로 신장될 때 보다 잘 함양될 수 있다. 따라서 민요교육을 통해 음악 교과 역량을 통합적으로 함양시킬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그림책에 나타난 실루엣 일러스트레이션의 표현과 의미에 관한 연구

        김민하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3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4 No.37

        본 연구는 실루엣 일러스트레이션을 표현기법으로 적용한 어린이 그림책에서 실루엣 표현이 가지는 의미를 제시하는데 있다. 예술에서 실루엣은 그림자극과 같은 놀이, 포스터 디자인, 설치작품을 통해서 활용되고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어린이 그림책에 나타난 실루엣 일러스트레이션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루엣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한 문헌적 고찰을 통해 의미를 명확히 한다. 둘째 로 실루엣 일러스트레이션이 적용된 어린이 그림책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서 의미를 분석 후 도출하였다. 그림 책 사례는 어린이 그림책에서 실루엣 일러스트레이션이 두드러지게 표현된 대표적인 작품으로 이수지의 <그 림자 놀이>, 나탈리 디에테를레의 <할머니의 요술모자>, 브루노 무나리(Bruno Munari)의 <까만 밤에>, <안 개 속의 밀라노>,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의 <문제가 생겼어요>, <학교 가는 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1960년대의 브루노 무나리 그림책부터 현재까지 대표적인 실루엣 표현기법을 사용한 그림책을 살펴본 결과 실루엣 일러스트레이션은 초현실주의와 같은 환상을 표현하는데 효과적이며 부르노 무나리의 작품에서 실루 엣 일러스트레이션은 트레싱지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겹쳐진 실루엣 형태는 3차원의 조형성을 예술적으로 표 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실루엣의 모호한 형태로 인하여 보는 이의 시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보여줄 수 있 어 상상력을 발현시키는데 충분한 지각형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This term of silhouette has set up and used in the study of the art, philosophy and humanities. The form of silhouette in the art has been used as shadow play. poster design, animation and installation art. A research has been launched combining the literature review and investigations on case studies. To clarify the concept of silhouette, a wide range of historical literature review were conducted and the additional research has been performed on the case studies of the children books in terms of silhouette illustration. The report is to propose a meaning and potential use of the silhouette illustration on the picture book. This study analyses six picture books which are <shadow play>, <Grandmother's magic hat>, <Nella notte buia>, <The circus in the mist>, <The ploblem is happend>, and <The way to schools> that are paticularly well-expressed in terms of silhouette illustration in picture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significant findings in those books that are uses silhouette illustration. The silhouette illustration can give children fantasy like surrealism and have formative and artistic characteristic with tracing paper in the book, <The circus in the mist>. At last the silhouette illustration in children book is shown as tool of imagination for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구현을 위한 국악 창작교육의 과제

        김민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3 국악교육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reative domain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examine the patterns of change, and provide perspectives on the challenges to be addressed in implementing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reative domain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this study summarizes the challenges for creative education in Korean music as follows. First, with the addition of the creative domain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which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creative education, the task was set as ‘emphasiz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goals for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In this context, two objectives were proposed: ‘cultivating musical thinking through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and ‘enhancing the capacity as composers capable of expressing the improvisational nature of Korean music.’ Second, as Korean music elements were not explicitly sta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instead, comprehensive criteria related to musical elements were provided in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the task was set as ‘materializing Korean music creative activities related to musical elements.’ Third, in light of the explicit inclusion of achievement standards pertaining to notation and the emphasis on notation education in the creative area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systematizing notation education for Korean music creation’ was set as a task.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presenting the challenges and perspectives of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In order to ensure that the value of Korean music as a source of creative inspiration continues to be utilized in the changing currents of time and that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fulfills its role in reaching the goals of music education, related discussions should be more advanced. 본 연구는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창작 영역을 분석하여 변화 양상을 검토하고, 국악 창작교육을 구현함에 있어 해결해 나가야 할 과제와 이에 대한 관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창작 영역 분석에 근거하여 설정한 국악 창작교육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창작 영역을 신설하여 창작교육의 의미를 강조함에 따라 ‘국악 창작교육의 목표 설정을 통한 교육적 의미 강조’를 과제로 설정하고, 이에 대해 ‘국악 창작교육을 통한 음악적 사고력 함양’, ‘국악의 즉흥성을 표출할 수 있는 창작자로서의 역량 제고’의 두 가지 목표를 제안하였다. 둘째,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국악 관련 요소를 성취기준에 명시하지 않고 음악 요소와 관련된 성취기준을 포괄적으로 제시하는 방식을 취함에 따라 ‘음악 요소와 관련된 국악 창작 활동의 구체화’를 과제로 제시하였다. 셋째,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창작 영역에서 기보법에 관한 성취기준을 명시하고 기보법 교육을 강조함에 따라 ‘국악 창작을 위한 기보 교육의 체계화’를 과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앞서 국악 창작교육의 과제와 그에 대한 관점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변화하는 시대 흐름에도 국악이 창작의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지속되고 음악교육의 목표에 도달하는 데 국악 창작교육이 그 역할을 다 해나갈 수 있도록 이에 대한 논의를 진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악기 음색 학습의 현황과 개선 방향

        김민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1 국악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국악 감상교육에서 국악기 음색 학습이 지니는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고, 국악기 음색 학습 현황에 나타난 문제와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악기 음색 학습의 교육과정 근거를 살펴보 았다. 또한 ‘음악 요소와 개념’과 관련된 학년군별 성취기준을 근거로 음색 학습을 구체화할 때의 방향성을 목표, 내용, 방법, 평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둘째, 선행연구와 설문조사를 토대로 국악기 음색 학습의 의미를 ‘국악의 선율적 특징과 형식의 이해, 소리의 어울림과 조화의 원리 터득, 국악에 관심을 갖게 하는 기초적인 활동, 국악의 선호도를 결정하는 요소, 적극적인 국악 감상자, 향유자를 만드는 토대’가 된다는 측 면에서 고찰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를 분석하여 국악기 음색 학습의 현황과 문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악기 음색 학습의 체계가 미비하고, 국악기 음색 학습을 위한 기초 악곡이 부재함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접근성이 미비하고, 평가 내용이 음색을 구별하는 기능에 편중되어 있는 문제가 드러났다. 넷째,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국악기 음색 학습에 관한 지식과 활동 범주를 설정하 고, 국악기 음색 학습을 위한 초등교육용 악곡을 개발․수록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더불어 국악기 음색 학습의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음악교과서가 콘텐츠를 안내해줄 수 있는 플랫 폼으로서의 기능을 해야 하며, 음색 학습과 관련된 ‘지식, 기능, 태도’의 종합적인 평가 방향 을 설정해야 함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educational meaning of learning the tones of Korean musical in Korean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and to present the problems shown in the current state of tone learning and ways to improve i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was analyzed to examine the basis of the curriculum for instrumental tone learning. The direction of specifying tone learning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grade cluster associated with ‘music elements and concepts’ was reviewed in terms of goals, content, methods, and evaluations. Secon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surveys, the meaning of Korean musical instrument tone learning was considered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melodic characteristics and forms of Korean music, learning the principles of harmony and balance of sound, basic activities that make students interested in Korean music, factors that determine one’s preference for Korean music, and the foundation to nurture active appreciators of Korean music and those who enjoy it. Third, the problems shown in the current state of Korean musical instrument ton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pointed out that the system of learning the tones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was insufficient and that there were no basic music pieces for learning the tones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There was also a problem that students lacked accessibility to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and that the evaluation contents were biased toward the tone discrimination skill. Fourth, in order to improve these problems, it was proposed that knowledge of Korean musical instrument tone education and categories of activitie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at music pieces appropriate for elementary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included. In addition, it was mentioned that music textbooks should function as a platform to guide content in order to enhance accessibility to learning the tones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and set a comprehensive direction for evaluation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related to learning the tones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 KCI등재

        인쇄 매체와 디지털 매체 그림책의 인터랙션 연구

        김민하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5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6 No.42

        디지털미디어 시대에 인터랙션, 즉 쌍방향 미디어가 중요한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프린트 그림책과 디지털 그림책으로 분류하여 각 매체별그림책에서의 인터랙션을 살펴본다. 프린트 그림책에 서의 인터랙션과 디지털 그림책에서의 인터랙션으로분류하여 감각적 경험을 기반으로 분석한다. 앱북(App Book)과 같은 인터랙티브 디지털 그림책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형태로 제공되며 태블 릿PC를 통해 보여줘 종이그림책이 지니는 기본적인 정보 전달뿐만 아니라 종이그림책 매체에서 제한 적인 멀티미디어 기반의 인터랙티브 특징을 가진다. 앱북의 인터랙션 요소는 팝업북, 플랩북 매체의 특성과 같이 유아에게 수동적으로 읽는 책이 아닌 경험 을창출할 수 있도록 보고 만지고 느끼는 책으로 접근하게 한다. 이러한 특성은 일반적인 애니메이션 그 림책과 차별화되는 특징으로 시각, 청각, 촉각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유아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있으며 유아용 콘텐츠 개발을 위한 좋은 매체가 될수 있다. 디지털미디어 시대에 디지털 그림책과 함께 프린트그림책이 같이 공존하는 그림책 시장에서 매체별 그 림책에서의 인터랙션 효과를 살펴본 후 이를 기반으로 제작 시 인터랙션을 활용한다면 감성발달과 정 서함양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an analysis onthe picture book and digital picture book thatinvolves an interaction each its own. It can beseen that this approach has implied sometrends of contemporary picture book in termsof the interaction as a part of printable anddigital picture book. Even in the digital picture book, it hasbeen republished recently in the form of theinteractive digital media such as App book. App book in application is read through tabletPC. This is able to deliver interactivecharacteristic based on the restrictedmultimedia of picture book as well asfundamental information. App Book'sinteractive factor allows the children to see,touch, and feel a book by helping them inactive experience instead of simple passiveaction of reading. These are differentiatedcharacteristics from general animation picturebook and can be influential in terms of visual,audible and tactile way, providing a positiveeffect in the course of children development. Therefore, it can play a good role as mediumin improving the educational contents forchildren. The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investigate the interaction on children’s bookof the agreements of printable book and digitalbook in this era and also provide a guide lineon production that utilizes the interactionelements to contribute a fostering of emotionand an emotional development.

      • KCI등재

        국어과와 연계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 구현 방안-전래동요를 중심으로-

        김민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7 국악교육연구 Vol.11 No.2

        This study aims to find a way to link with Korean language arts when implementing a ‘pleasant life’ curriculum with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rough analyzing the patterns of songs in thematic, integrated textbooks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s and Korean language arts textbooks, it is found that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re used as a material for reali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two academic subjects. It is also found that the pattern of us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s in each subject based on each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there are common teaching-learning activities such as singing and playing in accordance with the musical and playful qualities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his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usability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s a linking material of the two subject curricula. Secondly, as the 2015 revised ‘pleasant life’ curriculum proposed ‘aesthetic emotion competency,’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as subject competencies, teaching-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raditional children’s songs in the thematic, integrated textbooks are found to correspond to these competencies. Since the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has covered various Korean language functions that are required to effectively teach these contents, the needs of linking ‘Korean language arts subject’ and ‘pleasant life’ subject are recognized. For this, the study sets the needs of linking Korean language arts subject and ‘pleasant life’ subject as ‘cultivation of aesthetic emotion competency through integrated acquisition of expressive methods’, ‘cultivation of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through imitation and creation’, and ‘cultivation of communication competency through collaborative play activities’. Thirdly, in order to find a plan for a linked class between Korean language arts and ‘pleasant life’ us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he study reconstructed step-by-step activities of an expression and play centered learning model in ‘pleasant life.’ Then, it abstract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Korean language arts subject, from listening, speaking, writing, and literature areas, which could be linked with the step-by-step activities. Based on this, a linked class curriculum was presented. In order to cultivate ‘creative convergence talents’ pursu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gradual changes must be made from classroom instruc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paper can be used in gradually improving the direction of ‘pleasant life’ class. 본고는 전래동요를 활용하여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을 구현할 때 국어과와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고에서 논의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2학년 통합교과 주제별 교과서와 국어교과서의 전래동요 수록 양상을 분석한 결과 전래동요는 두 교과의 성취기준을 구현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교과에서 전래동요를 활용하는 양상은 교과 특성에 기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래동요가 지니고 있는 음악적․놀이적 특성에 따라 노래 부르기, 놀이하기와 같이 공통적인 교수․학습 활동도 나타났다. 이를 통해 두 교과 교육과정의 연계 소재로서 전래동요의 활용 가능성을 파악해 볼 수 있었다. 둘째, 2015 개정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에서는 교과 역량으로 ‘심미적 감성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의 세 가지를 제시하였는데, 주제별 교과서의 전래동요 관련 교수․학습 활동 중에는 이 역량에 부합하는 내용들이 발견된다. 국어과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데 요구되는 다양한 국어 기능들을 다루고 있어, 국어과와 ‘즐거운 생활’과의 연계 수업의 필요성을 찾을 수 있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어과와 ‘즐거운 생활’과 연계 수업의 필요성을 ‘표현 방법의 통합적 습득을 통한 심미적 감성 역량 함양’, ‘모방과 창조를 통한 창의적 사고 역량 함양’, ‘협력적 놀이 활동을 통한 의사소통 역량 함양’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셋째, 전래동요를 활용한 국어과와 ‘즐거운 생활’의 연계 수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전래동요 교수․학습의 특성을 고려하여 ‘즐거운 생활’과의 표현 놀이 중심 교수․학습 모형의 단계별 활동을 재구조화 하였다. 그리고 각 단계별 활동과 연계할 수 있는 국어과 성취기준을 듣기․말하기, 쓰기, 문학 영역에 걸쳐 추출한 후,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연계 수업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교실 수업에서부터 점차적인 변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즐거운 생활’과 수업의 방향을 점차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본고의 연구 내용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의 효과 분석

        김민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6 국악교육연구 Vol.10 No.1

        This study aims at constructing Korean music activities related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3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conducting social studies lessons linked with Korean music and then analyzing educational effects of those lessons. The followings are three main subjects for the research inquiry: First, changes in students' interests in social studies lessons through linking them with Korean music. Second, students'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lessons and patterns of participation in those lessons. Third, changes in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For this, social studies lessons lined with 10 Korean music lessons were given for 108 third graders of 'S' elementary school. The result showed that the social studies lessons linked with Korean music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raising the students’ general interests in social studies and they also effectively worked for increasing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ocial studies lessons and the level of the class participation. Additionally, the social studies integrated with the Korean music helped the students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 Korean music into a more positive direction. To organize students' experience in a way that they can read culture through Korean music and find it in cultural phenomena ultimately agrees with convergent education. From that aspect,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on utilization of Korean music for other lessons. Additionally, efforts should be made to continuously secure the possibility that Korean music will be effectively used for other academic fields through verifying its effects.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을 국악과 연계하여 실행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이 지니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문제는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을 통한 사회과 수업에 대한 흥미 변화, 사회과 수업에 대한 이해도와 참여도의 양상, 국악에 대한 인식 변화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S초등학교의 3학년 학생 총 108명을 대상으로 10차시 분량의 국악을 연계한 사회 수업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은 학습자들의 사회과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사회과 수업의 이해도와 참여도를 높이는 데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더불어 국악교육의 측면에서도 ‘국악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국악을 통해 문화를 읽어 나가고, 문화 현상 속에서 국악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학습자들의 경험을 조직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융합교육과 맞닿아 있다. 이런 측면에서 앞으로 타 교과 수업에서의 국악의 활용에 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전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그에 대한 효과 검증을 통해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국악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계속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