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나라 청소년의 수면시간 및 질과 체질량지수와의 관련성

        김소희,김유숙,장영희,박종,류소연,Kim, So-Hui,Kim, Yu-Suk,Jang, Young-Hee,Park, Jong,Ryu, So-Yeon 한국학교보건학회 2012 韓國學校保健學會誌 Vol.25 No.1

        Purpose: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relation between the sleep duration and quality of adolescents and their body mass index. Methods: The study used data obtained through the 2009 online survey on adolescents health behaviors, targeting a total of 75,06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39,612 of male students and 35,454 of female students). We first performed t-test, ANOVA and Scheffe's test and then the potential variables which was possibly related to the body mass index are determined from the tests. Using the potential variable, we perform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ally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and quality of sleep. Results: As a result, the 39.8% of male students and the 46.5% of female students most frequently respond that the sleep duration was less than 6 hours, and 36.4% of male students and the 45.3% of female students respond that the quality of sleep was not good enough. The body mass index of both the male and the female students portionally decreases to their sleep duration, but the better quality of sleep makes their body mass index higher. Conclusion: In conclusion, the body mass index has some notable relationship with the sleep duration and quality for adolescents. It is advised to consider the sleep duration and quality in the business plans for adolescents in order for the prevention of their body mass index.

      • 15년간(1991~2005년) 우리나라 소아에서 분리된 폐구균의 혈청형 분포의 변화

        김소희,송은경,이준호,김남희,이진아,최은화,이환종,Kim, So-Hee,Song, Eun-Kyung,Lee, Jun-Ho,Kim, Nam-Hee,Lee, Jin-A,Choi, Eun-Hwa,Lee, Hoan-Jong 대한소아감염학회 2006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3 No.2

        목 적 : 폐구균 단백 결합 백신이 개발되었지만 이에 포함되는 혈청형은 7가지로 한정되어 있어, 지역별 주요 폐구균 혈청형의 분포에 따라 백신의 유용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아에서 분리된 폐구균의 혈청형의 분포를 분석하고 지난 15년간 시기에 따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1년 1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 환자의 각종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폐구균 465균주의 혈청형을 quellung reaction으로 결정하였고, penicillin 감수성은 oxacillin 디스크 확산법으로 검사하였다. 연구기간은 1991~1995년(I분기), 1995~2000년(II분기), 2001~2005년(III분기) 등 3개의 분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 과 : 465균주의 주된 혈청형은 19F(22%), 23F(18%), 19A(10%), 6B(8%), 14(7%), 6A(7%), 9V(5%) 등이었고, 전체 균주의 79%이었다. 60개월 미만 연령군의 침습성 감염 검체에서 분리된 101균주에서의 주된 혈청형은 혈청형 23F(21%), 14(17%), 19F(15%), 19A(11%), 6B(10%), 6A(7%), 9V(7%) 등으로 총 70%이었다. 전체 균주에서 I, II, III의 각 분기별 혈청형 분포는 백신 혈청형에 포함된 혈청형 19F, 14가 감소하는 추세이었고, 교차 반응 혈청형에 포함된 혈청형 6A, 19A가 증가하는 추세이었다. 침습성 감염 균주에서 폐니실린 내성률은 백신 혈청형에서 92.6%, 교차 반응 혈청형에서 75.0%로 높았으나, 비백신 혈청형에서는 34.4%로 낮았다. 결 론 : 최근 15년간 소아의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폐구균의 혈청형은 주로 19F, 23F, 19A, 6B, 14, 6A, 9V 등이 가장 흔하였고, 최근에 혈청형 19A, 6A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혈청형 19F와 14가 감소하였다. 향후 백신 사용과 관련하여 국내 폐구균 혈청형의 분포에 관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 The prevalence of serotypes can be changed with respect to age of the patients, regions and times of the surveillan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s in serotype distribution of pneumococcal isolates from Korean pediatric patients. Methods : Four hundred and sixty five strains of S. pneumoniae were isolated from various clinical specimens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during a 15 year-period, from 1991 to 2005, were subjected to serotype and penicillin susceptibility. The study period was divided into three 5 year-periods, 1991~1995(period I), 1996~2000(period II), and 2001~2005(period III). Results : Common serotypes were 19F, 23F, 19A, 6B, 14, 6A and 9V in decreasing orders of frequency, and these 7 serotypes accounted for 79% of total 465 strains. In the serotype distribution of invasive infection isolates from children <60 months of age, similar serotypes accounted for 70% of 101 strains. In total strains, the proportion of serotype 19A and 6A increased, while that of serotype 19F and 14 decreased. The majority(75~92%) of vaccine types and cross-reactive types from invasive infection isolates was penicillin-resistant, whereas 34.4% of non-vaccine types was penicillin-resistant. Conclusion : Distribution of serotypes of S. pneuomoniae isolated from Korean children has changed significantly over the last 15 years. The surveillance for pneumococcal serotypes should be continued to monitor changes in serotype distribution which are essential for the establishment of pneumococcal vaccine policy.

      • KCI등재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미세플라스틱 급성 노출에 따른 혈액성상 및 혈장성분의 변화

        김소희,김가현,김지수,김준환,전유현,조재황,김석렬,김대희,Kim, So-Hee,Kim, Ga-Hyun,Kim, Ji-Su,Kim, Jun-Hwan,Jeon, Yu-Hyeon,Cho, Jae-Hwang,Kim, Seok-Ryel,Kim, Dae-Hee 한국환경생물학회 2021 환경생물 : 환경생물학회지 Vol.39 No.3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mean weight 66.7±7.1 g; mean length 19.2±0.9 cm) in a bio-floc environment were exposed to microplastic (PE: polyethylene, size 40-48 ㎛) at 0, 4, 20, 100, 500 and 2,500 mg L<sup>-1</sup> for 96 hours. No P. olivaceus deaths were observed following microplastic exposure. In the plasma components, calcium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with magnesium following microplastic exposure. Gluco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over 100mg L<sup>-1</sup> at 48 hours and 20mg L<sup>-1</sup> at 96 hours.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over 20mg L<sup>-1</sup> after 48 hours, wherea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otal protein content. In enzymatic plasma components, the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was significant decreased by microplastic expos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acute exposure to microplastic induces blood physiological changes in P. olivaceus. 본 실험에서 미세플라스틱의 노출은 넙치의 혈액학적 성상인 hemoglobin 및 hematocrit 수치의 유의적인 감소를 유발하였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의 노출은 넙치 혈장 무기성분인 calcium, 유기성분인 glucose 및 cholesterol, 효소성분인 AST의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바이오플락 환경에서 미세플라스틱의 노출이 어류의 혈액생리에 영향을 주며 독성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일반 해수와 바이오플락 환경으로 각각 양성한 넙치를 이용하여 사육환경의 변화에 의한 미세플라스틱 노출영향의 차이에 대해서도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어종에서 종별 미세플라스틱의 농도 연구에서 미세플라스틱 노출에 따른 종별 독성영향비교평가를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바이오플락 환경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응집은 미세플라스틱의 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Choi et al. 2020), 향후 연구에서 철저한 모니터링과 함께 다양한 미세플라스틱 독성에 미치는 요소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SCOPUSKCI등재

        생달나무 잎 추출물 유래 항염 및 항산화 활성 성분

        김소희,김정은,이남호,Kim, So Hee,Kim, Jung Eun,Lee, Nam Ho 대한화학회 2021 대한화학회지 Vol.65 No.1

        본 연구에서는 생달나무 잎 추출물 및 용매 분획물의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고 유효성분을 분리하여 화학구조를 동정하였다. RAW 264.7 세포를 이용한 분획 시료의 NO 생성 억제 활성 실험 결과, EtOAc 분획물이 세포 독성 없는 농도에서 NO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EtOAc 분획물이 iNOS 단백질의 발현 및 전염증성 사이토카인(TNF-α, IL-1β)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 실험 결과, EtOAc 분획물이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EtOAc 분획물의 활성 성분을 규명하기 위해 컬럼 크로마토그라피를 수행하여 5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4S,5R)-4-hydroxy-5-isopropyl-2-methylcyclohex-2-enone (1), methoxy-(3,5-dimethoxy-4-hydroxyphenyl)ethanediol (2), afzelin (3), nicotiflorine (4), narcissin (5). 화합물 1-5는 모두 생달나무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분리 화합물에 대한 항염 활성 실험 결과, 화합물 1, 3, 4 및 5는 세포 독성 없이 NO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화합물 1은 염증 매개인자인 TNF-α, IL-1β, IL-6의 생성 억제 활성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생달나무 잎은 항염 및 항산화 효과를 갖는 의약품 및 화장품 관련 천연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extract of Cinnamomum yabunikkei leaves were investigated for the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their active constituents were identified. In the anti-inflammatory tests using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the ethyl acetate (EtOAc) fraction inhibite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without causing cell toxicity. In addition, the EtOAc fraction reduced expression of iNOS protein and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1β). Upon the anti-oxidative studies by DPPH and ABTS+ radicals, potent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observed in the EtOAc fraction. Five phytochemicals were isolated from the extract of C. yabunikkei leaves; (4S,5R)-4-hydroxy-5-isopropyl-2-methylcyclohex-2-enone (1), methoxy-(3,5-dimethoxy-4-hydroxyphenyl)ethanediol (2), afzelin (3), nicotiflorine (4) and narcissin (5). As far as we know, compounds 1-5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In the anti-inflammatory tests for the isolates, compound 1, 3, 4 and 5 were determined to decrease NO production without causing cell toxicity. Furthermore, compound 1 reduced expression of iNOS protein and exhibited potent inhibitory activitie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1β, IL-6).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extract and isolated compounds from C. yabunikkei leaves could be potentially applicable as natural source for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 ingredients.

      • KCI등재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자녀양육효능감의 관계에서 배우자 지지의 영향

        김소희,노윤구,Kim, So Hee,Noh, Yoon Goo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018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24 No.2

        Purpose: To identify the effects of spous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among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Methods: The sampl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75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in Gyeongsangnam-do.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3.0. Results: (a)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culturative stress, wherea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with spousal support; (b) spousal suppor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ve stress and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Conclusion: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spousal support decreases the negative effects of acculturative stress on sense of parenting competence. Therefore, we need to find ways to strengthen spousal support for married Vietnamese immigrant women.

      • KCI등재
      • KCI등재

        중소규모 국제스포츠이벤트의 관람동기,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의 관계: 쇼트트랙 월드컵을 중심으로

        김소희 ( Kim So-hee ),이원재 ( Lee Won-jae ) 한국융합과학회 2021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0 No.4

        연구목적: 그간의 관람소비행동 관련 연구는 프로스포츠 또는 대규모 국제스포츠이벤트에 집중되어 왔으며, 국내에서 매년 다수의 중소규모 국제스포츠이벤트가 개최됨에도 이들에 대한 관련 연구는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이 연구는 중소규모의 국제스포츠이벤트의 관람동기, 관람만족 및 재관람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ISU 쇼트트랙 월드컵을 관람한 관람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 가설 및 모형 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 그 결과, 관람동기 중 대리 성취감과 심미적 요인, 선수의 신체적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은 관중들의 관람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대리 성취감을 제외한 심미적 요인과 선수의 신체적 기술, 사회적 상호작용은 재관람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서, 관람동기와 재관람의도 관계에서 관람만족은 이들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중소규모 국제스포츠이벤트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마케팅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While a number of spectator behavior researches on professional sport events and big-sized International Sport Events (ISEs) including the Olympic Games and the FIFA World Cup, researches on small and medium-sized ISEs are not as many as the other two.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pectator motives, spectato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in the context of the small and medium-sized ISEs. Methods: To this end,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he spectators of the 2017 International Skating Union (ISU) Short Track World Cup in Seoul. The data of the 288 spectators were analys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vicarious achievement, aesthetics, and quality of physical skill of the athletes positively effected on spectator satisfaction and those factors except vicarious achievement had positive impact on intention to revisit. In addition to that, it revealed that spectator satisfac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tator motives and intention to revisit. The results can be referenced by the medium and small-sized ISE organizers to effectively plan marketing activities.

      • KCI등재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위한 수학 문장제 교수,학습 전략에 대한 일반학급 교사들의 인식 및 사용 현황

        김소희 ( So Hee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8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9 No.2

        이 논문에서는 학습장애 위험군 아동을 위한 일반학급 교사의 일차적 중재와 관련, 수학문장제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및 교수·학습전략 사용 현황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분석, 보고하였다. 서울 및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에 대한 수학 문장제 교수의 필요성, 문장제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 다양한 교수·학습전략의 사용 및 효과정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일반학급 교사들도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지도하기 위해 전략과 기술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문장제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는 언어이해력을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하였으며, 문장제 지도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중에서는 교사가 그림을 이용하여 교수하는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번 조사 결과를 토대로각 전략의 현장 적용 측면에서 고려할 점과 제안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current practice of mathematical word problem solving instruction for students at-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LD). The survey data gathered from 133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regarding the importance of word problem solving to the students, the extend to which the teachers use and perceive each instructional method/strategy for teaching word problem solving to students with LD.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many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competence for teaching the students.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reading comprehens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students successfully solving word problems. They also reported that, among the methods and strategies listed, instruction using drawings made by the teacher was the strategy the most useful and the most effectiv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ome strategies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scordance between the extend to use and the perceived effectiveness. Issues and implications regarding the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환경조형물이 도시공간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김소희 ( Kim So-hee ),서혜옥 ( Seo Hye-ock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2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8 No.-

        본 연구는 경제발전과 성장으로 도시민의 삶의 방식이 변화하면서 삭막해진 도시환경을 개선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문화예술의 진흥을 위해 설치된 환경조형물이 도시의 정체성과 구성원의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자 한다. 미술장식으로서 조형물이 아닌 도시공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공공성을 지닌 예술작품으로서 환경조형물이 도시공간과의 조화를 이루어 도시공간의 정체성 형성과 도시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서울의 대표적인 도시공간인 광화문, 동대문, 청계천, 서울숲에 설치된 환경조형물을 선정하고 분석하여 각 도시공간에서 환경조형물의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빌딩 공간이며 복합문화공간인 광화문과 동대문, 자연상태공간인 청계천과 서울숲에 설치되어 있는 환경조형물은 도시민의 문화적 소양을 함양시키는데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지역의 고유한 역사와 공동체를 연구하여 제작된 조형물은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서울시뿐만 아니라 각 지자체에서의 정체성이 있는 환경조형물 제작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imed to explore the impact of environmental sculpture install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promote culture by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 that has become desolate as urban residents' lifestyle have changed due to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formation of the identity of urban space and the effect of environmental sculpture on urban residents in harmony with urban space as work of art that directly affect urban space rather than sculpture. Environmental sculpture installed in Gwanghwamun, Dongdaemun, Cheonggyecheon, and Seoulforest, which are representative urban spaces in Seou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nvironmental sculpture installed in Gwanghwamun and Dongdaemun, which are building space and complex cultural space, and Cheonggyecheon and SeoulForest, which are natural state space, They are influencing the cultivation of cultural literacy of urban residents. However, sculpture made by studying the unique history and community of the region are insuffici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duce environmental sculptures with identity not only in Seoul but also in each local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