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 지역 흡연자들의 금연클리닉에 인식 및 기대정도

        민순 ( Soon Min ),김혜숙 ( Hye Sook Kim ),김경미 ( Kyoung Mi Kim ),하윤주 ( Yun Ju Ha ),김은아 ( Eun A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2

        본 연구는 G시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지역주민 중 흡연자를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금연클리닉에 대한 활용실태 및 인식과 기대정도를 조사하여 금연클리닉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방안을 파악하여 금연 실천율을 높이고 국민건강증진에 가여 하고자 연구되었다. 그라나 흡연자의 급연클리닉 인식과 기대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비교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본 연구결과만을 중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대상지의 금연클리닉 이용관련특성을 빈도별로 파악한 결과, 금연클리닉을 다녀 볼 생각이 전혀 없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67.5%였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금연 필요성에 대해 인식이 이미 인지된 상태라고 간주함 때 이러한 결과는 금연 필요성의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금연클리닉에 대한 정보부족이 원인이라 생각하고 홍보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금연클리닉에 다니는 어떤 혜택을 응답한 경우가 71.7%였고, 금연클리닉을 주도적으로 국가가 예산을 들여 이 사업을 하는 줄 알고 있는지에 관한 질문에 모른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54.7%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금연클리닉의 정보를 제공하고 홍보할 수 있는 대중매체 등과 같은 구체적 방법들을 마련하여 금연 클리닉의 적극적인 홍보와 정보를 제공해야 할 젓으로 생각된다. 금연에 실패한 흡연자도 다시 등록시켜 금연실천 성과와 관련된 결과들로 도출되어야 하며, 재등록 횟수가 높을수록 금연 성공률이 낮다고 보고한 Song,Ju와 Kyung (2008)의 연구 결 과에서처럼 활용실태를 파악하여 신규등록자뿐만 아니라 재등록 자에 대한 관리방안도 같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러 한 조사들이 선행됨으로 금연클리닉의 높은 성공률과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본다. 금연클리닉의 가장 적합한 장소로는 직장 근처 47.4%, 보건소 20.3%, 공공기관 15.5% 정도로 나타났는데, 이는 Ha (2008) 의 연구에서 군대 내 외부 보건소에 의한 이동 금연클리닉이 효율적인 군병원 금연정책 및 금연교육의 종류 중의 하나로 선정 한 결과와도 비슷한 결과이다. 사회에서 직장은 흡연 전파의 장소일 뿐 아니라 금연 확산의 요지이기도 하므로 직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금연교육도 중요한데, 국내외 연구 중 직장근로 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7-10% 정도(Hyun & Jung, 2002)로 저조한 편이다. Lee (2004)의 연구에서도 학교 내 금연상담실 설치하여 금연을 유도하기 위한 실천프로그램을 제시한 결과와 비슷한 결과로써 대상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과 근접 성을 고려하여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보건소 같은 한정된 장소 보다는 대상자 중심의 운영방식으로 대상자가 있는 곳(산업장, 대학교 등)으로 직접 방문하여 홍보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금연클리닉을 처음 접하게 해준 매체로는 방송이 36.8%, 친 구와 이웃이 20.1% 순으로 나타나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가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대중매체를 통해 금연클리닉에 대한 메시지를 전혀 접한 적이 없거나 모른다고 응답한 경우가 61.6% 정도로 높은 결과로 나타나 적극적인 홍보 방안이 간구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Cho와 Song (2006)은 금연동기 에 따른 금연성공률이 TV, 라디오, 인터넷 등 광고를 통해 금연클리닉 등록동기를 갖은 경우에 금연성공률이 가장 높았다는 결과를 고려할 때 다른 무엇 보다 대중 매체를 통한 홍보의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금연클리닉 인식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 중 먼저 연령에서는 다른 연령에 비해 60대가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Kim Kim, Park, Kim과 Koo (2007)는 큰로자 건강증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건강증진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볼 때 나이가 들수록 자신의 건강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게 되는 경향과 함께 60대가 상대적으로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어 대중매체를 접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직장 생활을 주로 하는 30대,40대,50대의 인식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직장 출퇴근이 잦은 교통의 요 지에 현수막이나 대중교통 수단에 홍보 문구를 삽입하는 방안을 적용해 보는 방법도 효과적 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직장 단위의 이동클리닉에서 직장 내 함께하는 금연문화 조성과 동시에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교육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자가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정도가 가장 높았다. Choi와 Lee (1994)의 연구에서 근로자의 가정과 연계한 가정통선문, 전화상담, 유인물 제공 등의 지지기반 구축 방법이 금연프로그램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볼 때, 이는 가족 은 각 구성원의 건강 상태에 강한 유대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족성원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정보전달이 다른 곳 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 졌으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가족성원의 인구 분포가 가장 많은 학교에서 보건소 금연클리닌에 대한교육 과 함께 유인물 등이 배포된다면 가족성원으로의 전달력과 그 효과도 더 할 수 있을 것이다. 거주 지역에서는 남구와 서구에서 금연클리닉 인식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나머지 지역인동구, 북구와 광산구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주택이 분산된 타 구역과는 달리 지역 특성상 남구가 아파트 밀집지역이 많아 정보공유가 더 쉽게 일어난 것으로 사료되며, 각 구별로 활동 중인 보건소 금연클리닉 에 대한 홍보사업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의 결과와 비교하여, 금연클리닉 인식정도와 금연 성과에서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지 추후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다. 직업과 관련한 금연클리닉의 인식 정도는 서비스직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전문직 사무직 순이었는데, 이는 서비스직 같이 근무 장소가 자유로운 직업군에서는 금연클리닉에 대한 홍보 및 정보를 더 많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기 때문일 것이라 사료되고, 전문직 및 공무원, 사무직 같이 근 무 장소가 한정되고 유동성이 없는 작업일수록 금연클리닉에 대한 정보전달이 늦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직업과 직종에 따라 차별화된 홍보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가 운동과 등산과 걷기를 즐겨하는 군의 금연클리닉 인식 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수영, 골프 순이었는데, 이는 Hwang (2008)이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운동실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증진 실천의지가 높아진다는 것과 비교할 때 몸을 많이 사용하며 운동 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운동 유형별로는 등산과 걷기는 장시간 동행자들과 함께하거나 쉼터에서 무리 지어 운동하면서 서로 정보전달에 더 효과적이었으리라 사료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금연클리닉 기대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로 볼 때 먼저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Kim 등(2007)의 연구결과에서 미혼보다 기혼 의 경우 건강증진 활동 실천율이 높은 것과 비교해 볼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가족 내에서 흡연자의 위치가 가장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가장의 건강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책임감, 이미 알려진 간접흡연 피해와 함께 가족성원들의 지지로 인하여 금연클리닉에 대한 기대가 상승한 것으로 사료된다. 종교는 천주교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불교, 기독교, 종교가 없는 경우 순이었는데, 이는 종교의 유무에 따라 금연클리닉에 대한 기대와 관심 정도로 보이며,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적극적으로 금연을 실천해야 하는 의무를 가짐으로 기대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2005년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종교를 가진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이 넘는 53%에 달한다고 보고되었는데 어떤 종교이든 종교적 특성상 그 종교 안에서 신앙을 함께 하는 사람들끼리 신앙적 공동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공동제의 금연을 지지하는 분위기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각 종교단체 단위별로 금연클리닉에 대한 활용방안을 적극 홍보하여 인식정도를 높이는 것도 고려해야 할 방안으로 여겨진다. 여가 운동은 골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다음으로 등산, 수영, 걷기, 운동을 하지 않는 군 순이었는데, 이는Hwang (2008)의 여가 운동을 즐기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당연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 것이라 한 결과와 유사한 결과로 고급 스포츠를 함으로 좀 더 얻어지는 것이 클 것이라는 기대와 관심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expectancy, cognition, and work condition among smokers with respect to the smoking cessation clinic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over 503 smokers aged 30 yr and in five districts of G city. The researcher and assistants personally visited homes and workplaces of the participants between November 20 and November 30, 2008 for the survey. Results: The subjects learned to smoke from their friends and started smoking when they were 15 out of curiosity. They smoked more than one cigarette every day. With respect to cognition, 67.5% of the subjects had no intention to utilize smoking cessation clinics, and 71.7% were unaware of their benefits. Those with a high level of cognition regarding smoking cessation clinics were generally in their 60s, married, residents in the Southern and Western Districts, service or technical workers, and hikers. The expectancy for the clinic was high among those who were married, Catholics, and golfer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smoking cessation may be achieved by increase-ing the level of cognition and expectancy among smokers. In this regard, providing information and implementing positive publicity campaigns targeting families, places of worship, and workplaces may be beneficial.

      • SCIESCOPUSKCI등재

        인공모델막에 대한 Polyene 계 항생물질의 영향 ( 2 )

        김경미,손동환,유병설 ( Kyoung Mi Kim,Dong Hwan Sohn,Byung Sul Yu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1990 BMB Reports Vol.23 No.1

        The effects of water soluble derivatives of polyene antibiotics, amphotericin B methyl ester (AME) and nystatin methyl ester, on the osmotic behavior of sterol-containing liposomes were investigated. The activity of polyene methyl esters on different sterol-containing liposomes as a function of sterol contents was observed. Cholesterol, ergosterol and 7-dehydrocholesterol were incorporated to egg phosphatidylcholine/dicetyl phosphate liposomes, which showed a good osmotic stability. When polyene derivatives were added to liposomes containing ergosterol, the osmotic stability was disturbed at final concentration of 6.45×10^(-5)M. Cholesterol-containing liposomes were not affected by these antibiotic solutions of the same concentration. 7-Dehydrocholesterol-containing liposomes have shown the intermediate sensitivity to AME when compared with cholesterol- and ergosterol-containing liposomes. Selectiveactivity on ergosterol-containing liposomes was also observed for nystatin methyl ester at a higher concentration above 2.31×10^(-4)M.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E is more potent than nytatin methyl ester and that the selectivity of polyene antibiotics for fungi is due to a stronger interaction of polyenes with ergosterol than with cholesterol.

      • KCI등재

        청각자극의 세기에 따른 노인의 인지 반응시간 분석

        김경미,장문영,홍은경,Kim, Kyeong-Mi,Chang, Moon-Young,Hong, Eun-Kyoung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2007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Vol.5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the cognitive reaction time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auditory stimuli in older people and to differentiate the cognitive reaction time between older people and adults. Method: 49 subjects consisted of 32 older people and 17 adults. Cognitive reaction time was assessed with Simple Auditory Reaction of Foundation I in PSS CogReHab.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by using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to the intensity of auditory stimuli.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older people regardless of sexual distinction in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in adults.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lder people who got a job or not in 90 dB of auditory stimuli. 4. The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to the intensity of auditory stimuli in older people was slower than ad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between older people and adults in 70 dB of auditory stimuli. 5. The mean of cognitive reaction time to the intensity of auditory stimuli in older people did not have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lastic abilit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lowing of the cognitive reaction time in auditory stimuli to aging in older people. Therefore, applying silver industry and development of equipment for older people may maintain independent life.

      • KCI등재후보

        IMO 최근 의제 동향 및 한국의 IMO 활동현황

        김경미,조익순,Kim, Kyoung-Mi,Cho, Ik-Soon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5 No.2

        국제해사기구(IMO)에서 검토되는 의제들은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으면, 내용도 목적기반선박건조기준(GBS), 선체보호도료의 성능기준개발(PSPC), 선박장거리위치추적제도(LRIT) 등 세부적인 사항까지도 국제적인 표준화를 도모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IMO 각 위원회의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 및 활동현황을 조사 분석해 본 결과, A그룹 이사국 지위에 맞는 역할 수행이 아직 미흡하고 정부의 IMO 대응능력을 지속적으로 뒷받침 할 연구지원 인프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은 국가차원에서 국제해사동향에 정책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절실히 인지하여야 하며, 국제해사정책을 주도할 수 있는 국내외 인프라 완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IMO is treating various and numerous agenda with time, and the contents of agenda have been tending to achiev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for details of technology, for example GBS(Goal based new ship construction standards), PSPC(Performance Standards of Protective Coating), LRIT(Long-Rang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of Ships), etc. This paper presents the latest agenda trend of IMO committees and analyzes the ROK's activities in response to IMO committees. In the result of analysis, ROK lacks in performance ability as a A-category council member as well as infrastructure to support the government activities in IMO continuously. Therefore, ROK should be conscious of policy approaches to international maritime tendency and needs to complete the internal/external infrastructure which leads the international maritime policy.

      • KCI등재후보

        진료재료의 관리개선을 통한 운영재고 절감 방안

        김경미,박지혜,Kim, Kyoung Mi,Park, Jee Hye 한국의료질향상학회 2013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9 No.1

        Research Problem: 45-65% of all medical supplies in hospital are used in operating rooms. Medical supplies in operating rooms are difficult to manage in general because many of them are frequently used and come in a variety of types. Purpose: Our aim was to strive for user-friendliness and reduce the inventory through efficient management of medical supplies stocked in operating rooms. Medical Facility: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Quality Improvement Activity: On the last day of each month, we checked the inventory of medical supplies in all operating rooms by identifying the amount of medical supplies in each room, warehouse, and OCS, identified problems, and presented the ways to improve. Improvement Outcome: We increased the number of post-processing medical supply items by 8%, and reduced the inventory cost by 15% through improved management of medical supplies.

      • KCI등재SCOPUS
      • KCI등재후보

        여성주의적 독법으로 본 김려의 여성 인식과 시적 형상화

        김경미(Kim Kyoung-Mi) 한국여성연구소 2008 페미니즘 연구 Vol.8 No.1

        이 글은 김려의 『담정유고(?庭遺稿)』에 수록된 작품을 여성적 인식과의 연관적 관점에서 조명한 것이다. 한문학은 남성중심적으로 구축된 한문학 갈래이지만 ‘재사유(Rethinking)-재독(Reperusal)-재평가(Revaluation)’의 과정을 밟는다면 여성주의적 시각으로 살필 수 있는 텍스트가 적지 않다. 김려의 한시는 주로 하층 민중여성들을 대상으로 대중적 삶의 현장을 포착했다는 소재의 특성 때문에 북한 학계에서 먼저 활발하게 연구되었다. 그의 확대된 시적 관심은 여성을 중심제재로 하여 독립된 인격주체로 주목하면서 여성 현실의 이면까지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작가가 사회의 실상과 진실에 접근하기 위해 시정의 세태에 초점을 두면서 의식의 공간화를 시도했던 글쓰기 정신에서 연유한 것이다. 성별이나 사회적 신분에 의해 차별되고 배제됨으로써 정당하게 자리잡지 못했던 이들에게 주목하면서 여성 인식을 적극적으로 구도화하는 작업은 우리의 문학공간에 동력을 부여할 뿐 아니라 여성문학적 자산을 한층 풍요롭게 가꾸어 나간다는 의미를 갖는다. 김려는 불평등하고 모순된 사회 구조 속에서 여성에의 이해와 애정을 심화시켰고, 진일보한 문학적 실천을 했던 인물로 해석된다. 당대의 사회역사적 맥락 속에서 여성주체에 주목하면서 그 의미망을 포착하고자 했던 작가정신은 진전된 여성의식의 구현이라고 평가된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ignificance of Kim Lyo's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s of feminism. Kim Lyo, a poet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on Dynasty, vividly portrayed various aspects of human life a considerable portion of which he had experienced in person and presented the idea of human equality in a very practical way. Kim Lyo had close and sincere relationships with many of those from lower class of the society, sometimes fell in love with some of them, and went through a certain period of life in exile. This enabled him to give a very realistic and dynamic description of what the common people's lives were like at that time. Furthermore, through very close and loving human relationships which, regardless of his social status, he had with other people of various classes, he reached a realization that every human being, including a woman, is created equal and precious. This paper pays a special attention to Kim Lyo's poetic embodiment of his view of women, especially his idea of women's chastity and women's emotions, as is shown in the poems of Damjung Anthology. It examines a variety of aspects of his characterization of women and the issue of how practically he embodied his perception of women in his literary works. Kim Lyo tried to deepen his understanding and love of people of different classes and gender within a non-equalitarian and self-contradictory social structure. In relation to the issue of women, this rightly leads to a far advanced perception of women. And Kim Lyo rendered a beautiful literary embodiment of it in Damjung Anthology.

      • KCI등재

        한중일 인문 전통의 활용과 전망 -21세기 실학의 모색-

        김경미 ( Kyoung Mi Kim ) 한국민족연구원 2014 민족연구 Vol.0 No.59

        The Practical Learning (sirhak) school of the East Asia three countries is characterized by richness in understanding human beings. The proposals by the sirhak scholars in the fields of norms and institutions, reforms in livelihood matters and legal system, and moral maturity reflect the changes in relations between social members and subjective individuals. Their social reform proposals represent the intellectual growth of subjective individuals living through the Choson dynasty. The sirhak scholars, while humanizing human beings as subjective actors, continued to seek for the answers to what constitutes human beings. Moreover, they tried to observe and define humans in light of their mutual relations rather than as self-entity. The sirhak scholars were toward constructing subjective view of human beings based on the self-awareness to foster spirits of humanism. They illustrated human beings devoted ethical behaviors and social harmony, and had a belief in sociability and reciprocity in human existence. Therefore, their first task was to transform themselves before advancing to bring any innovation to the society and culture of their age. Traditional humanities in the 21 century may look for ways how to achieve harmonious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natural worlds, and how to gain ideologies and ethics needed to preserve human subjectivity. To get inspirations for conducting these tasks, we may turn to the revival and reinterpretation of the humanistic tradition of Korea, China and Japan based on the Practical Learning. Newly oriented tendency of the Practical Learning of Korea aims at seeking ways how to realize fully human dignities and values as well as how to live an aesthetics life. In such study, it may be hoped that a new paradigm of ‘life-centered humanities’ can be created to reconstruct new relations not only among human beings but also between human and nature. The rediscovery of the Practical Learning of these three East Asian countries will prove to be useful in producing new perspectives to understand the humanistic tradition of Korea, and also in creating a practical philosophy required by the future.

      • KCI등재

        과학과 평가 영역간의 중요도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경미(Kyoung Mi Kim),김성원(Sung Won Kim) 한국과학교육학회 200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2 No.3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s focused on breeding an independent and creative Korean who will lead the age of globalism and information in the 21st centur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xisting assessment methods in order to develop higher thinking abilities such as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 Although teachers have been aware of this necessity, they have realized that it is difficult to improve the current assessment methods. In this study, we selected some assessment domains on science learning with literature reviews and case analysis. In addition, we calculated the degree of its importance by the use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e suggest a direction for improving the present assessment domains on science learning on the basis of the research. Inquiry, cognitive, creative, and affective domain among assessment domains seemed to be listed in order of importance. Moreover, problem-identifying, hypothesizing, and inquiry-planning appeared to be the highest in the degree of importance among sub categorie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urrent school assessment system which is focused on cognitive domain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델파이조사를 활용한 육아종합지원센터 양육지원 사업 평가지표 개발

        김경미(Kim, Kyoung-Mi)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9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19

        본 연구는 델파이조사를 활용하여 육아종합지원센터에서 구현되는 정부의 양육지원 사업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유아교육․보육 관련 정책 및 평가 전문가, 현장 전문가 총 10인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2018년 4월 2일부터 5월 6일까지 3차에 걸친 델파이 설문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육아종합지원센터 양육지원 사업 평가지표는 4개 영역(운영관리, 프로그램 및 서비스, 지역사회연계, 평가 및 환류), 14개 요소, 40개 항목으로 도출되었다. 특히 운영관리 영역의 ‘수요자 확대’, ‘시설 및 환경’, ‘직원 전문성’ 요소, 프로그램 및 서비스 영역의 ‘양육자 교육’ 요소, 지역사회연계 영역의 ‘지역 특성 반영’, ‘지역 자원 연계’ 요소에 포함된 항목에서 높은 타당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평가지표는 향후 육아종합지원센터의 양육지원 사업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효율적인 사업 수행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index for a governmental childcare support policy in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a Delphi survey and to verify its validity. A three-round Delphi questionnaire survey from April 2, 2018 to May 6, 2018, was undertaken by a panel of 10 policy and evaluation exper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As a result of the study, four evaluation areas (Operation Management, Programs and Services, Community Connection, and Evaluation and Feedback), 14 evaluation factors, and 40 evaluation items were derived. Especially, ‘Expansion of consumer demands’, ‘Facilities and environments’, and ‘Professionality of officers’ in an operation management area, ‘Fosterer education’ in programs and services area, and ‘Reflec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and ‘Connection with local resources’ in a community connection area show high validity. The evaluation index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more systematically manage the childcare support projects in Support Centers for Childcare in the future and to develop efficient project pract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