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 민족주의 연구의 쟁점과 과제

        강진웅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9 민족연구 Vol.0 No.73

        이 글은 식민경험으로부터 다문화 한국에 이르는 근대성의 역사를 회고하며우리의 민족주의 연구의 현황과 쟁점을 검토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모색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민족주의는 식민경험, 한국전쟁과 국가건설, 분단체제와 권위주의 통치, 탈냉전 민주화와 남북 화해협력, 세계화와 다문화주의라는시대적 격변 속에서 다양한 얼굴을 드러내며 변화해 왔다. 이 글은 단일민족의신화와 현실, 식민주의와 탈식민주의, 민족사학과 근대주의, 민족 정체성과 탈민족주의 및 다문화주의로 이어진 민족 담론의 계보를 분석하면서 21세기 한국 민족주의연구의 쟁점과 과제를 성찰한다. 구체적으로 네이션/민족에 관한 동서양의 개념사적 간극과 한국적 예외론, 단일민족론, 분단체제와 종족적 민족주의, 민족주의와탈민족주의, 다문화 한국과 민족 정체성, 21세기 남북통일과 민족주의라는 논제를다루고 주요 쟁점들을 검토하여 향후 과제들을 제기한다. 이러한 분석과 성찰을통해 끊임없이 재구성되어 온 한국의 민족주의를 성찰하고 21세기의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부응하는 민족주의 연구의 새로운 도약을 모색해 본다.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issues and tasks in the studies of Korean nationalism through introspecting Korean modernity from colonial Korea to multicultural Korea. Korean nationalism has revealed its various faces with the historical changes of Japanses colonialism, the Korean War and state building, divided system and authoritarian rule, post-cold war democracy and south-north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nd go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This article explores the genealogy of the discourse of nation/minjok regarding the myth and reality of a single-race nation, colonialism and post-colonialism, nationalist historiography and modernism, national identity, post-nationalism, and multiculturalism. Specifically, it analyzes the East-West conceptual gap of nation and minjok and Korean exceptionalism, theory of single-race nation, divided system and ethnic nationalism, nationalism and post-nationalism, multicultural Korea and national identity, and the 21st inter-Korean national reunification. By doing so, it introspects Korean nationalism and offers a new perspective of the studies of the 21st Korean nationalism.

      • KCI등재후보

        사상적 연원과 시대적 흐름을 통해 본 시진핑(習近平) 정부의 중화민족주의 강화

        조봉래 ( Cho Bonglae ) 한국민족연구원 2017 민족연구 Vol.0 No.70

        최근 한중관계는 사드를 둘러싼 갈등으로 매우 경색되어 있다. 또한 시진핑정부는 중화민족주의를 점점 강화하고 있다. 중화민족주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몇 가지 연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중국전통의 중화사상으로 일종의 문화 우월감을 바탕으로 한 민족관념인데 이는 종족주의와 다른 것이다. 두 번째는 서양문명을 받아들이며 형성된 근대적 민족주의 관념이다. 1840년 아편전쟁 이후 중국의 위기는 중국의 지식인들로 하여금 `구망`의 길을 모색하게 했다. 서양의 `사회진화론`을 널리 받아들여 근대적인 민족관념을 형성했다. 세 번째는 쑨원의 `삼민주의`이다. 신해혁명당시 쑨원의 주요목적은 `멸만흥한`이었지만 신해혁명이 끝난 후 소수민족까지 모두 포함하는 민족주의를 강조하게 되었는데, 현대 `중화민족`의 개념은 쑨원이 정립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넷째, 마오쩌둥의 `민족해방사상`이다. 마오쩌둥은 근대적 민족관념을 계승·발전 시켰는데 그는 중화민족은 바로 중국의 신민주주의혁명의 주체라고 생각했다. 항일전쟁 후 그의 `민족해방사상`은 중국혁명 과정에서 큰 역할을 했다. 개혁개방 이후 `중화민족`은 국가 발전의 동력과 주체가 되었다. 이 시기 중국의 경제는 매우 빠르게 발전했고, 국제적인 지위는 올라갔지만 새로운 모순들도 생겨났다. 이에 중국 정부는 애국주의를 강조해서 인민들을 단결시킴으로써 모순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중국공산당의 제 18차 전국대표대회 이후 시진핑은 `중국몽`이라는 지도사상과 중요한 집정이념을 제출했다. 시진핑은 `중국몽`을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하는 것으로 중화민족의 근대 이후의 가장 위대한 꿈”이라고 정의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시진핑정부는 중화민족주의를 강화하려 하는 것이다. Recently, the dispute over the placement of THAAD(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let the South Korea-China relations worsen. And what`s more , President Xi Jinping and the Chinese government continues to strengthen the Chinese Nationalism. The Chinese Nationalism has its several ideological origin and it changed with the times. The first is the traditional Sinocentrism, which based on cultural superiority complex. It refers to the historical ideology that China is the cultural center of the world. The second is “modern Chinese nationalism” that imported from the West. The Darwinian evolutionism introduced in China in 1890s had a great intellectual impact on the formation of modern Chinese nationalism. The third origin is “the three-peoples principles” of Sun Wen. After Xinhai Revolution, Sun Wen emphasized the Chinese nationalism that include all minority race. Sun Wen pioneered the “modern Chinese nationalism” concept. The fourth origin is the “thought of the national liberation” of Mao Zedong. He inherited and develped modern Chinese nationalism. He judged that every Chinese nation is must be an agent of “the New Democratic Revolution”. After Anti Japanese War, his “thougt of the national liberation” played a major role in Chinese revolution. After “the reform and openness policy”, Chiese nation is be a power and an agent of Chinese economic development. During this time, Chinese productive capacity advanced quickly. But also China met with a new difficulty. Chinese government groomed the “Patriotism” to solve a new problem. President Xi Jinping presented strategic planning objective which called “Chinese Dream” at the 18th National Congres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 Chinese Dream is about Chinese prosperity, collective effort, socialism, and national glory.

      • KCI등재후보

        외국인 학부생 대상 교양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항목 분석 연구

        장미정 ( Jang Mijung ) 한국민족연구원 2017 민족연구 Vol.0 No.69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들이 교양 한국어 교재 텍스트에서 어떠한 문화 항목을 접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 반영할 수 있는 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대상은 외국인 학부생들이 수강하는 교양 한국어 강의에서 사용되는 4종의 교재였다. 문화 항목 분석의 기준은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에서 제시된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의 문화 범주를 변형한 것이었다. 분석 결과 4종의 교양 한국어 교재에서는 한국 사회, 한국의 예술과 문학, 한국인의 생활, 한국인의 가치관, 한국의 문화유산, 한국의 역사, 외국인의 한국생활의 순으로 문화 항목이 비중을 두고 다루어지고 있었다. 교양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문화 항목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재에서 학교생활에 대한 문화 항목이 보다 중점을 두고 다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범주의 문화 내용이 다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한국인의 입장에서 본 문화만이 아니라 외국인의 입장에서 본 문화 항목 또한 제시될 필요가 있으며, 전통 문화의 경우 학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비계 역시 제시되어야 함을 밝혔다. 아울러 교재에서는 문화 항목에 대한 정보뿐 아니라 문화를 향유함에 있어 비판적 사고를 키우며, 상호문화주의적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활동이 제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Korean learners through analyzing cultural items in the college Korean textbooks. And so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ultural education for academic Korean textbooks. The objects of the analysis are four types of textbooks that are used by academic Korean learners in the College Korean courses after entering the university.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modification of the cultural categorie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model presented in the second stage of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ized model for international availabi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ultural items in the textbooks were dealt with in the order of Korean society, Korean art and literature, Korean life, Korean values, Korean cultural heritage, Korean history and foreigner`s life in Korea.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at cultural items about school life need to be treated more sufficiently in academic Korean textbooks and various categories of cultural contents should be addressed. In addition, it emphasized that cultural items should be presented not only from local people`s viewpoint but also from foreigners` viewpoint. And that it needs to include traditional cultural items along with the scaffolding to aid the learner`s understanding. It also suggested that the textbook should not only provide information on cultural items but also provide activities which can raise critical thinking in enjoyment of the culture and enhance intercultural competence.

      • KCI등재후보

        한국의 영상자료를 이용한 언어,문화 교수 방안

        김남경 ( Nam Kyeong Kim ) 한국민족연구원 2015 민족연구 Vol.0 No.64

        최근 한국 언어 교육 중심에서 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동시에 학습한다는 것은 한국어를 좀 더 정확하고 능숙하면서 흥미롭게 습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고급 학습자가 한국 언어 능력 향상의 한계에 부딪혔을 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한국 문화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이다. 본 논의는 이러한 점에서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동시에 가르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의 문화를 담고 있는 영상 매체를 이용하여, 한국 영상자료가 가진 문화적 요소와 언어적 요소를 어떻게 구조화하여 가르칠 수 있을지에 대한고려를 바탕으로 한다. 다시 말해, 기존의 영상자료를 활용한 교육에서 문화의 내용을 부수적으로 다루었다면, 이 글에서는 언어와 문화를 좀 더 대등한 비중으로 다룰수 있는 자료제작의 방법이나 교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문화가 내재해있는 교육 자료는 그것으로서 좋은 문화 교육이 되겠지만, 학습자에게 문화감각의 흥미를 일깨우고, 지속적인 관심과 사고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고 다양한자료를 구조화하여 제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based on consideration of how to structuralize and teach cultural and linguistic elements of Korean video materials. This intends to survey making-material or teaching methods which can cover language and culture with equal weights. When making teaching materials of language and culture, a subject must highlight cultural side, as well as have attraction and educational values. Therefore, these make it possible to educate language and culture simultaneously with efficiency. For the purpose of conducting fusio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successfully, this study propose a (teaching) plan organized as (1) presenting materials which expose Korean culture (2) supplement materials related with culture (3) advanced reading materials related with culture (4) instances of speaking and writing activities using relating knowledge about culture. Educational materials themselves in which culture inheres can be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However, tasks are required to structuralize and present selected matrials efficiently, for the sake of awakening interests for cultural feelings and attracting continual attention and thinking.

      • KCI등재후보

        일계인(日系人)의 민족차별 경험과 민족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임영언 ( Yim Young Eon ),최석신 ( Soug Shin Choi ) 한국민족연구원 2015 민족연구 Vol.0 No.61

        이 연구의 목적은 일본 귀환 일계인의 민족정체성 형성과 유형을 고찰하는데 있다. 19세기중반 하와이로 떠난 일본인들은 20세기 초기 남미브라질로 향했다. 당시 일본인 이주자들은 농촌지역 출신의 데카세기(돈벌이) 노동자들이 대부분이었다. 일본인들이 본격적으로 이주한지 1세기가 지난 20세기 말, 일본산업구조의 변화와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1990년 이후 브라질에서 일본으로 일계인 노동자약 30만 명이 귀환하게 되었다. 이들 가운데 2008년 전 세계적인 금융위기를 계기로 약10만 명 가량이 브라질로 귀국하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일계인들은 민족정체성의 재편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 연구는 일계인의 민족정체성 형성과 재편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일계인 노동자의 브라질 귀환에 대하여 리먼쇼크의 경제적 위기로 인한 실업문제가 가장 큰 원인이라는 것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민족차별에 따른 민족정체성의 재편 과정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도일 전 브라질에서는 모국신화에 따른 일본인의 정체성을 지향하고 도일 후 일본에서는 일본사회의 민족차별경험으로 일계인의 정체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결과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일본인 정체성’, ‘일계인 정체성’, ‘제3의 혼합형정체성’을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분석결과 일계인들은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의 인식이 강할수록 일계인으로서의 민족정체성의 인식도 강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일계인의 민족정체성은 브라질에서 일본인 정체성이 강하지만 점차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 경험으로 일계인으로서의 정체성, 혹은 혼합형 정체성을 자각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일계인들이 일본사회에서 민족차별에 따른 사회적 적응실패를 경험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일본정부가 일계인의 일본정착을 위한 일관된 이민정책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me return Nikkeijin’s ethnic identity formation and type.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Japanese people departed to Hawaii and then in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they headed to South American Brazil. In Dekasegi most of lowlanders and labor workers were Japanese emigrants from rural areas.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after 100 years of migration there were changes with industrial structure of low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of Japanese. From second half of 1990 approximately 300,000 of Nikkeijin which lived in Brazil returned back to Japan. Because of financial crisis in 2008 they had opportunity to comeback. Approximately 100,000 people returned back to Brazil. This study is examining closely cause of these Nikkejin``s ethnic identity formation and reconfigu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Nikkeijin’s ethnic identity intends Japanese``s identity in Brazil and intended Nikkeijin``s identity to distinction experience of Japanese society in Japan. Second,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Nikkeijin``s ethnic identity intended Japanese identity , Nikkeijin identity, Mixed type identity etc. Third, according to correlation analysis, Nikkeijin is encountering ethnic distinction on Japanese society, was expose that nikkeijin``s identity is strong.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Nikkeijin means failure of social acculturation by ethnic distinction on Japanese society. Also, it is disproving that Japanese government is not establishing immigration policy for Nikkejin``s Japanese adaptation.

      • KCI등재

        중국의 한국어 문법 사전 용례에 대한 언어문화 분석 -≪ 한국어실용어법사전(韓國語실用語法詞典) ≫의 용례를 중심으로-

        이화숙 ( Hwasook Yi ) 한국민족연구원 2015 민족연구 Vol.0 No.64

        이 글의 목적은 중국에서 편찬한 한국어 문법 학습 사전, ≪韓國語실用語法詞典≫ 에 수록된 용례를 언어문화라는 관점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韓國語실用語法詞典≫에는 910여 개의 조사와 어미, 접사 등의 문법 형태가 표제어로 수록되어 있다. 표제어에는 단어와 구 그리고 문장 형태의 용례가 제시되어 있는데, 문장의 형태로 제시된 용례는 약 4,612이다. 특히 문장으로 제시되어 있는 용례 중에는 특수한 정치 사회 문화적인 내용을 반영하는 것이 있다. 이 글에서는 ≪韓國語실用語法詞典≫의 용례 중에서 중국 조선족의 사회 문화적인 장면을 반영하는 용례를 구분하여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韓國語실用語法詞典≫은 중국의 조선족 연구자에 의해 집필되었다. 사전이 집필자의 언어 직관과 문화적 배경에 영향을 받는 만큼, ≪韓國語실用語法詞典≫에는 조선족 사회의 문화적 배경이 반영될 수밖에 없다. ≪韓國語실用語法詞典≫의 용례에 대한 언어문화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과거 중국에서 조선족 사회가 형성되는 데에는 기반이 되었던 농경문화가 용례를 통해 반영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개혁개방 이후 활발히 성장하고 있는 중국의 경제적인 면모도 용례에 반영되어 있었다. 이 밖에 북한에서 사용하는 문화어의 영향으로 보이는 용례들이 있었는데 전쟁과 전투 혹은 통일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고 있었다. ≪韓國語실用語法詞典≫의 용례는 한국어로 기술되어 있지만, 그 내용은 중국 조선족 사회의 문화와제도를 표현한 것이 반영되어 있었다. 이 글은 중국에서 발간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반영된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고 나아가 한국어 교육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amples of Korean grammar dictionary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published in China in the perspective of language culture.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contains entries in grammar forms of about 910 particles, affixes, and so on. Entries are presented in the form of words, phrases, and sentences. Examples in the sentence form are about 4,612. Expecially, some examples presented in the sentence form reflect specific political, socio-cultural contents. The study analyzed the examples reflected the socio-cultural scenes of Korean Chinese from the examples of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is written by the Korean Chinese researcher in China. A dictionary is reflected by author``s language perspective and cultural background, so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is reflected by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of Korean Chinese. The analysis result of language culture on the examples of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are as in the following. At first, it is reflected in the examples of the agriculture based on forming Korean Chinese society in China. After China``s economic reform, actively growing China``s economic aspects are reflected in the examples. Besides, there are some examples influenced by cultural words using in North Korea which are reflected the contents on the war, the battle and the unification. The examples of ≪Korean practical grammar dictionary≫ are written in Korean, but the contents are reflected the culture and the system of Korean Chinese in China. This study expects to understand the cultural background reflec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 published in China, as well as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후보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 교재 분석 및 학습자의 한국 문화 인지도와 요구 조사를 중심으로

        기시카나코 ( Kishi Kanako ) 한국민족연구원 2017 민족연구 Vol.0 No.69

        본 연구는 일본 대학교 한국어 수업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항목을 선정하여 한국문화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여 포함된 문화 항목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인지도와 요구를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 대상 교재는 주로 일본 대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합교재 총 15권이며, 이 교재들에서 수집된 문화항목을 국내에서 개발된 국제통용한국어교육표준모형의 문화 항목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등급보다 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문화에 대한 언급이 많았으며 반대로 기본적인 초급 문화 항목인데도 교재에 제시되지 않은 항목도 있었다.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인지도와 요구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일본 대학교에서 한국어 강좌를 수강 중인 학습자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내용을 분석한 결과 많은 초급 교재에 제시된 문화항목인데도 불구하고 인지도가 낮게 나타난 항목들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요구 분석 결과 일본인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문화 항목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었다. 본고를 통해 밝힌 연구 결과는 향후 일본 대학교에서의 한국문화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적절한 문화항목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basic data for selecting Korean culture education aspect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s of the Japanese university. In this regards, we analyzed the Korean textbooks and examined the cultural aspects included. In addition, it was sought to clarify the recognition and the requirements of Japanese learners of Korean culture through the questionnaire. The textbooks which shall be analyzed consisted of 15 integrated textbooks mainly used at the Japanese universities. The cultural aspects collected from these textboo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culture aspects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model developed in Korea.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re were many references to the culture that ranked higher than the grade. On the contrary, there were some aspects that were not presented in the textbook although they were basic elementary culture aspec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cognition and requirements of Japanese learners regarding Korean culture, a survey was executed for 190 learners participating in Korean lectures at Japanese universiti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aspects with low awareness even though they were presented in many elementary level textbooks. Also, it was able to examine the cultural aspects preferred by Japanese learners through of the requirement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suggest that it will be significant basic data for the selection of suitable cultural aspects and teaching method of Korean culture for Japanese learners universities in future.

      • KCI등재후보

        동북의 조선족사회와 국내 지자체의 민족문화예술교육 협력

        임영상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13 민족연구 Vol.0 No.54

        오늘날 동북 조선족사회는 산재지구는 말할 것도 없이 집거지구인 연변주조차 절대다수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때문에 '도시사람' 조선족이 함께 만나 같은 민족임을 확인하고 민족의 전통문화예술을 공유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 프로그램이 중요해졌다. 그리고 이는 집거지구는 지역정부가, 산재지구는 조선족문화관이 주체가 되는 각종 명절행사와 민족문화제 혹은 계절축제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에 행사 때마다 빠질 수 없는 민족의 전통문화예술을 표현할 수 있는 인재양성을 육성하고 새로운 전통문화를 만들어가는 일이 조선족사회의 과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런데 한민족의 전통문화예술인 만큼, 동북 조선족사회가 한국의 협력을 받는 것은 필요하면서도 중요한 일이다. 이런 점에서 심양시조선족문화예술관과 전남 진도의 소리가마예술단의 협력 사례는 다른 조선족문화관에서 참고할 만하다. 정기적으로 동북 조선족사회를 방문하여 재능기부를 할 수 있는, 전남 진도의 소리가마예술단과 같은, 문화예술단체가 다행히 한국사회에서는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2012년 목단강시의 경박호민속문화축제에 경남 창녕의 양산줄다리기보존회가 협력한 것도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는데, 문제는 소리가마예술단처럼 해마다 방문, 목단강시지구 조선족사회와 협력할 수 있느냐이다. 영안시의 유두문화제 또한 진도의 소리가마예술단, 창녕의 양산줄다리기보존회 등과 같은 문화예술단체와의 협력 맺기가 필요하다. 또한 광주시교육청과의 협력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는 (재)광주문화재단과 동북 조선족사회의 교류, 협력사업은 조선족학교와 조선족문화관을 아우를 수 있는 사례로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동북3성 조선족학교의 교장 및 교원 30명을 한국 광주로 초청해 문화예술교육연수를 실시하고, 한국의 교육연수단일행 13명이 심양시교육연구원을 방문하여 120명의 심양시조선족중소학교 문화예술교육 교사연수를 대상으로 2일간의 중국현지연수를 진행한 점이다. 여기에서 광주문화재단의 동북 조선족 사회와의 교류·협력사업의 지역적인 범위와 방식이 필자에게는 관심이다. 국내의 모든 지자체(특히 16개 광역시)가 동북 조선족사회의 민족문화예술교육에 반드시 협력해야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다만, 국내의 지자체와 문화 재단(경우에 따라서는 문화원까지)이 동북3성(내몽골 포함)을 지역별로 나누어 조선족사회의 민족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두 주체, 조선족학교와 조선족문화관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교류와 연구사업을 수립하고 제도화해야 할 시점이기 때문이다. 특히 문화사업에서 문화산업 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조선족문화관의 경우, 한국사회와의 협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물론 한국사회의 협력은 단순한 전통예술교육 연수에 그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중국정부의 예산을 받아낼 수 있느 ㄴ조선족문화관마다 특색을 갖춘 콘텐츠22)를 개발해야하는 데에도 한국의 전문가집단이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길림성 유하현 경기촌 사람들에 대한 조사와 연구에 집중해온 경기문화재단의 경우, 경기도 교육청이 동북 조선족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교류와 지원사업에 나서고 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경기촌 사람들의 삶을 기록하는 일도 마무리할 필요가 있고 조선족사회의 문화중심인 연변(용정)의 문화관과의 협력도 시도 ...

      • KCI등재후보

        인터뷰를 활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연구

        김용현 ( Yonghyun Kim ) 한국민족연구원 2015 민족연구 Vol.0 No.64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을 두어 외국인 학습자들의 학문적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돕고 있다. 그러나 문법 수업, 학문적 글쓰기 수업, 발표나토론 등의 제한적인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수업이 주로 개설되어 있어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은 단지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에만 목표를 두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종합적인 사고력에도 중점을 두어야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 고른의사소통 능력을 배양할 수 있고 사고력 및 과제 수행 능력을 기를 수 있고 한국어의 구어와 문어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인 및 한국 문화 등에 대한이해의 폭을 확장시킬 수 있으며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훌륭한 수업 도구인 인터뷰를 활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실제교육에 적용하기에 앞서 우선 인터뷰의 개념과 한국어교육에서의 인터뷰 활용의 의의를 살펴보았으며 인터뷰 단계 모형과 수업 내용을 설계한 다음 학문 목적 한국어 교수요목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제 수업에 활용하였는데 그 결과 학습자들은 의사소통 능력, 사고력 및 과제 수행 능력 등의 대학 수학 기초 능력의 향상을 가져왔으며 한국인 사고방식의 이해, 구어와 문어의 차이 이해, 문법 및 어휘의 학습 등에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method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using interview for KAP learners. Education utilizing interview can cultivate more communication skills and help students improve the ability to think and perform better in academics. In addition, KAP learners can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written and spoken Korean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actively in class. A KAP syllabus was suggested to achieve these designed models of interview stage. This syllabus stated clearly the content of the classes and the role of both teacher and learner. It is divided into three steps: pre-interview, interview and post interview, as suggested on the actual syllabus. As a result, KAP learners have improved their communication skills, ability to think and perform better in academics. Furthermore, they said that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using interview helps to comprehend the way Koreans think,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written and spoken Korean, and to learn vocabulary and grammar. This study is significant on that it is the first study of Korean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using interview for KAP learner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because it comes with an actual KAP syllabus.

      • KCI등재후보

        소수민족의 새로운 민족문화의 형성과 정체성 -일본 홋카이도 아칸아이누고탄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숙 ( Kim Misook ) 한국민족연구원 2017 민족연구 Vol.0 No.69

        소수민족의 인권과 문화 보호에 관한 국제적인 움직임과 여론은 그들의 삶과 정체성에도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하지만 문화의 다양성 측면에서 접근하면서 소수민족을 `그 지역에 존재하고 있는 타문화를 가진 소수집단`으로 바라보고 있는 시선들이 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민족문화는 긴 시간 동안 주변의 다양한 요소들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형성되고 소멸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하나의 민족문화로 천천히 자리를 잡아간다. 하지만 현재에는 경제적인 측면이 개입되면서 해당 민족문화(전통문화)를 이미지로 한 상품(관광상품)으로 새롭게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민족문화의 변화 중 소수민족의 자립을 목적으로 만들어 지고 있는 새로운 민족문화의 생성과 유지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정체성의 변화와 문제점(시사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아칸아이누고탄에서는 새롭게 형성된 민족문화가 생계를 위한 경제적인 기반과 자기 정체성을 드러내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아이누와 무관한 사람들의 아이디어와 지원이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들은 아이누 민족의 전통보다도 아이누의 이미지로 관광객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정체불명의 상품들을 만들어내고 있다. 물론 이것은 소수민족의 홍보나 이해를 돕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아이누 민족의 전통문화의 의미와 형태는 점점 변질되고 있다. 즉 당사자인 아이누인들에게 잘못된 전통문화의 전수(계승)로 인한 민족 정체성의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International movements and public opinions about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culture in minorities influence their lives and identities. In view of approaching to cultural diversity, it is realistically increasing that people think minority is `a minor community with disparate cultures that are present in the area`. This document looks into the process of creation and maintenance of new ethnic culture generated for the purpose of self-support, connected with the change in national identity of Akan Ainu Kotan(AAK) in Hokkaido. Unfortunately, people unassociated with the Ainu have played a pivotal role to having creating unidentified products referenced to the only the imagery of Ainu other than its culture just for attraction of the tourists but needless to say, other perspectives view this positive as it is supporting to create an opportunity to introduce minorities and help understand of its culture to the outsiders. But the meaning and form of the cultural shift of Ainu is becoming gradually changed by it. In result, this case shows that a new national culture created through commercializing with a source of ethic culture is related to weakening the national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