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이식을 받은 산모로부터 출생한 소아의 성장상태

        기미나,육진원,김지홍,김병길,문장일,김순일,김유선,박기일,박용원,Ki Mina,Yook Jinwon,Kim Ji Hong,Kim Pyung-Kil,Moon Jang Il,Kim Soon Il,Kim Yu Seun,Park Kiil,Park Young W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00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4 No.1

        서 론 : 신이식을 받은 산모들은 이식 후 면역억제제 사용과 더불어 고혈압, 임신중독증, 감염등이 동반되어 임신의 고위험군으로 알려져 왔으며, 일반 임산부보다 태아 발육 부전 및 저체중아의 출산 확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산모로부터 출생한 환아들의 출생시의 상태 및 그후의 성장 발육 상태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으므로, 본 연구는 신이식 산모로부터 출생한 소아의 평가와 그후의 성장 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6월까지 연세의료원에서 신이식을 받은 총 1822명중 여자가 561명이었으며 그중 54명이 임신하였다. 그중 출산한 산모 28명 및 이들에서 태어난 환아 29명(남아 16명, 여아 13명)을 대상으로 하여 산모의 임신시 연령, 이식후 임신까지의 기간 및 병력, 임신에 따른 신기능의 변화, 임신중의 합병증의 발생 빈도 등에 대해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고, 이 산모들로부터 출생한 소아의 출생시의 상태 평가 및 현재 성장과 발육 상태등을 조사하였다. 결 과 :산모의 신이식 시행 당시 평균나이는 $27.7{\pm}5.6$세였고, 출산당시 평균나이는 $30.3{\pm}3.8$세로 이식후 임신까지의 평균기간은 $35.9{\pm}23.2$개월 이었다. 신 이식을 받은 산모들은 모두 면역억제제 치료중이 있으며, 임신전부터 15명($52\%$)은 혈압약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임신중에는 14명($48\%$)이 복용하였다. 임신 3기경 12명($41\%$)의 산모에서 임신 중독증이 동반되었다. 이외 임신기간중 14명($48\%$)에서 요로감염, 1명에서 양수 과소증이 있었다. 산모의 임신 전$\cdot$후의 평균 혈청 Cr치는 의미있는 변화는 없었다. 대상아의 평균 재태연령은 $36.3{\pm}3.0$주, 출생시 체중은 $2230{\pm}600gm$, 신장은 $45.1{\pm}3.6cm$, 두위는 $31.38{\pm}2.62cm$이었다. 출생당시 전체 환아중 14명($48\%$)이 자궁내 발육 지연이었고, 저출생 체중아는 18명($62\%$), 극소 저출생 체중아는 2명($7\%$)이었으며, 37주 미만의 미숙아는 15명($52\%$)이었다. 대상아의 현재 연령에서 평균 신장 표준편차 점수(Height SDS)는 $0.29{\pm}0.91$이었고, 평균 체중 표준편차 점수는 $0.62{\pm}1.34$이었다. 각 연령군에서 Height SDS가 -1.5이하인 저신장의 경우가 연령이 1세인 환아에서 1명 나타났으며, 대부분 현재 연령에서 정상범위에 속하였다. 대상아의 병력상 1명에서 소변 검사상 잠혈이 발견되어 신조직 검사를 시행하여 양성 재발성 혈뇨로, 다른 1명은 결절성 경화증으로 외래 추적 관찰중이며, 1명은 생후 50일째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결 론 : 출생시 저체중아의 발생율이 $62\%$로 높았으며 조산율도 $52\%$로 높았으나 유산율에 있어 인공유산을 제외한 경우 자연 유산이 $5.6\%$로 낮은 빈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들 산모로부터 태어난 환아를 현재 연령에서 신장분포를 평가하였을 때 $96\%$가 정상범위로 정상적인 성장 형태를 취하고 있었고 1명만이 저신장 소견을 보였다. 저신장을 보였던 1명은 현재 나이가 1세이므로 추후 저신장증 여부는 추후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로 미루어 철저한 건강관리와 산전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성공적인 임신이 가능하며 조산 및 저체중아 일 빈도는 높으나 일단 출생 후 추척 관찰한 결과 정상 산모로부터 태어난 아이와 차이 없이 정상 성장, Purpose: Pregnancy in transplanted mother is considered as a high-risk pregnancy, and significant incidences of prematurity and low-birthweight(LBW) infants have been report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utcome of pregnancy in transplanted mothers and to evaluate the current growth status in their children. Patient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54 pregnancies in 40 kidney recipients until June 1999. Outcomes of pregnancy were reviewed and assessment of the current growth status in children was performed. Results: 54 pregnancies in 40 recipients were identified; 22 ended in termination of pregnancy because of unwanted pregnancy or therapeutic purposes. And of the other 32, 29 livebirths resulted in 28 recipients. The mean age of conception was $30.3{\pm}3.8$ years, with a mean interval from transplantation to conception of $35.9{\pm}23.2$ months. All patients were maintained on immunosuppressive regimens. Incidence of drug-treated hypertension(HTN) prior to pregancy was $52\%$, HTN during pregnancy, $48\%$; preeclampsia, $41\%$; urinary tract infection, $48\%$; oligohydramnios $4\%$; and no rejection during pregnancy and up to 3month post delivery. Of the 29 liveborn infants, prematurity(<37wk) occurred in $52\%$, LBW(<2500g) in $62\%$, VLBW(<1500g) in $7\%$ and $48\%$ born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IUGR). Mean gestational age was $36.3{\pm}3.0\;wk$; a mean birthweight, $2.23{\pm}0.6\;kg$; a mean birth-height, $45.1{\pm}3.6cm$. Current mean height standard deviation score (height SDS) was $0.29{\pm}0.91$ and mean weight SDS was $0.62{\pm}1.34$. Only one child($4\%$) under 1 year of age was below 10 percentile in height. Most of children had no medical problems except for 4 children; cleft palate(1), tuberous sclerosis(1), essential hematuria(1), and one child expired due to sepsi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similar incidence of premaure birth($57\%$) and low birth weight infants($62\%$), but lower incidence of spontaneous abortion($5.6\%$) was observed and compared to other studies. Postnatal growth in majority of children($96\%$) achieved catch-up growth before 1 year. Present study supports a more optimistic view of pregnancy in renal transplant mother and normal growth in their children.

      • KCI등재

        In Vitro Inhibition of Helicobacter pylori Growth and of Adherence of cagA-Positive Strains to Gastric Epithelial Cells by Lactobacillus paraplantarum KNUC25 Isolated from Kimchi

        기미,김사열,홍일화,박진규,Kyung-Sook Hong,Ae-Ri Ji,정규식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Journal of medicinal food Vol.13 No.3

        Lactobacillus paraplantarum KNUC25 strain was isolated from overfermented kimchi, a Korean traditional food. The strain had a broad antimicrobial activity spectrum, from Gram-positive to Gram-negative bacteri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ctivity of L. paraplantarum KNUC25 against Helicobacter pylori strains. Judged by a disc agar diffusion method, the anti-H. pylori activity existed in the cell-free supernatants (CFSs) of KNUC25. The mean diameters of growth inhibition by 10, 30, and 60μL of a 15-fold concentrated CFS per disc were 11.2, 17.7, and 23.7mm, respectively. The neutralized CFS lost its anti-H. pylori activity, suggesting that acidic pH in CFS may be responsible for the anti-H. pylori activity. Adherence was determined by urease activity of H. pylori adhered to gastric epithelial cell line AGS cells after co-incubation of AGS cells with CFS and H. pylori strain ATCC43504 (s1m1vacA/cagA+), ATCC51932 (s2m2vacA/cagA−), or SS1 (s2m2vacA/cagA+) in vitro followed by three washes by means of centrifugation with saline. Adherence of ATCC43504 or SS1 to AGS cells was reduced by about 70% after a 30-minute incubation with 30μL of a 15-fold concentrated KNUC25 CFS, whereas that of ATCC51932 to AGS cells was not. The results show KNUC25 CFS is effective in inhibiting the growth of H. pylori, which is related to pH and the adherence of cagA-positive H. pylori to gastric cells.

      • 개인 기록물 소재 아리랑 자료 검토

        기미양(Ki, Meeyang) 아시아강원민속학회 2021 아시아강원민속 Vol.36 No.-

        본 논문은 개인 기록물 소재 아리랑 자료 7종을 통해 기록전승 실상을 살피는데 목적을 두었다. 7종의 기록물은 17세기 말로부터 1970년대까지의 개인 기록물이다. 4종은 문집류, 3종은 일기류이다. 이들 기록물 소재 아리랑 자료는 단편적이지만 기록 시점의 아리랑 전승 상황을 알려 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문집류 소재 아리랑 자료는 한문 기록 2종, 한글 기록 1종, 일본어 기록 1종이다. 이들은 19세기말 아리랑 자료로 ‘의병아리랑’ 상황, 19세기말의 세태를 반영한 상황, 강원도 정선지역에서 전승되는 아리랑 시원설 자료, 1930년대 일본 음악계의 아리랑 인식, 그리고 충북지역 논농사 일노래로 불린 아리랑 상황을 알 수 있다. 일기류 소재 아리랑 자료는 궁중에서 임금과 왕비가 아리랑을 즐긴 정황, 동시대 일반 군인도 아리랑을 즐겼다는 정황, 그리고 일제강점기말 영화 ‘아리랑’ 제1편의 20여 년 이상의 재상영 실상을 확인했다. 특히 특정 시기의 아리랑 상황을 알려주는 자료를 주목했다. 하나는 14세기말 ‘고려말’ 시원설에 자료이고, 다른 하나는 19세기 말 ‘경복궁 중수기 발생설’에 대한 자료이다. 이들을 통해 19세기 말과 1960년대 아리랑에 대한 역사를 주목했다는 아리랑담론 실상을 확인했다. 한편 본 논문에서 살핀 7종의 자료들은 판소리 중에서 ‘춘향가’가 구비전승과 함께 기록 전승의 길을 걸었듯이, 민요에서는 아리랑이 구비전승과 함께 기록전승의 형태를 갖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ality of record-breaking through seven types of Arirang data based on personal records. Seven kinds of records are personal records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1970s. Four types are literary collections and three types are diaries. Arirang materials based on these records are fragmentary, but the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inform the transmission status of Arirang at the time of the record. Arirang data based on literary collections are two types of Chinese records, one type of Korean record, and one type of Japanese record. They can learn about the “Uibyeong Arirang” situa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situation reflecting the situation in the late 19th century, Arirang’s original story handed down in Jeongseon, Gangwon-do, Arirang’s perception of Japanese music in the 1930s, and Arirang’s situation which was called a rice paddy farming song in Chungcheongbuk-do. Arirang data, based on the type of diary, confirmed the situation in which the king and queen enjoyed Arirang in the court, the situation that even contemporary ordinary soldiers enjoyed Arirang, and the re-screening of the first film Arirang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particular, I paid attention to data indicating the Arirang situation at a specific time. One is data on the theory of the late Goryeo Dynasty at the end of the 14th century, and the other is data on the theory of the occurrence of the re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rough them, they confirmed the reality of Arirang’s discourse that they paid attention to the history of Arirang in the late 19th and 1960s. On the other hand, just as Chunhyangga walked the path of record transmission with oral tradition among pansori, the seven types of data examined in this paper were found to have the form of record transmission along with oral tradition in folk songs.

      • 『매천야록(梅泉野錄)』소재 ‘아리랑’기사에 대한 소론(小論)

        기미양 ( Ki Mee-yang ) 세명대학교 지역문화연구소 2012 지역문화연구 Vol.11 No.-

        조선 말기 순국지사이며 시인인 황현(1855-1910)의 『매천야록』에 수록된 기사 세 편에는 1894년 아리랑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첫 기사에는 ‘아리랑타령’(阿里娘打令)으로 기록하고, 그 노래의 성격에 대해 ‘새로 생긴 고운 노래’ 즉, 신성염곡(新聲艶曲)이라고 했다. 또한 광대패들에게 아리랑 경창을 하게 하여 잘 하는 자에게는 상을 주었다고 했다. 두번째 기사에는 창덕궁 내에서 고종과 명성후가 광대패의 아리랑을 즐겼고, 광대패가 부른 노래 한 소절(각편)을 “오다가다 만난 정 즐거워라(來路去路逢情歡)/ 죽으면 죽었지 헤어지기 어렵더라(死則死兮難舍旃)”라고 기록했는데, 좌객 일부는 아리랑을 ‘잡된 소리’(雜調)라고도 했다. 세 번째 기사는 명성후가 지나치게 과분한 답례품을 광대패에게 하례하였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상의 세 가지 기사문에서 아리랑의 정체성을 도출하기 위해, 동시대를 묘사한 『한양가』와 민요자료를 대비하고 동일 제보자로 추정되는 가주서(假主書) 이최승의 제보를 구술사적(口述史的) 맥락에서, 다음과 같은 아리랑의 실상과 특성이 확인되었다. 첫째는 이 기록이 명시적으로 ‘아리랑’이란 명칭을 쓴 것으로는 첫 기록이라는 점, 둘째는 수록된 사설은 1912년 총독부가 조사한『俚謠·俚諺及 通俗的讀物等 調査』에 의하면 아리랑의 각편이라는 점, 셋째는 아리랑의 성격을 ‘새로 생긴 아름다운 노래’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잡된 노래’라는 부정적인 평가가 함께 했다는 점, 넷째는 이 같은 유행상을 통해 경복궁 중수 7년을 계기로 통속민요 또는 잡가로 성격 전환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서 『매천야록』소재 세 편의 기사를 19세기 말 아리랑 자료로 지표화(指標化) 하였다. The patriotic martyr and poet of late Chosŏn Hwang Hyŏn (1855-1910), He mentioned information on Arirang in his book “Maech‘ŏnnyarok” of Arirang article. In the first article 'Arirang Taryung' record, and the nature of the song is 'a newly created beautiful song'. 'In other words, He called Arirang a “Sinseongyeomgok(beautiful song of new sounds)”. Also the book also says that the King had wandering artists to perform “Arirang”, and awarded prizes to the best performers. Maech‘ŏnnyarok records that King Kojong and queen Myŏngsŏng-hwanghu enjoyed the Arirang performance at Ch‘angdŏkkung palace. Another article says that when the artist sang “it is of delight to meet you on my way of coming and leaving / I'd be rather be dead than to have us be separating”” some of the spectators commented “this song is crude (indecent song)”. According to the fourth article, Queen Myŏngsŏng hwanghu gave the artists excessive remuneration. To derive the identity of Arirang from the above 3 records, we contrasted a description of the same era in 『Hanyang-ga』and other material on folk song, and looked into a temporary night guard's testimony, whose name was Lee Choiseung and is suggested to be the information source of both materials, in a oral biographical context. From this, we confirmed the following Reality and Characteristics of Arirang. The first fact is that the above 3 articles are the first written records that use the title 'Arirang.' The second fact is, that according to the report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of 1912, the words “to meet you is happiness, when the death comes it’s hard to part” are the verse from Arirang song. The third fact is that Arirang song was positively estimated as a “a newly created beautiful song”, but also negatively estimated as a “coarse song”. Fourth, such situation of performance shows that the 7 years of reconstruction was a transition point for Arirang and earned the characteristics of a folk song or Japga. Thus, the 3 articles in “Maech‘ŏnnyarok” were used as indices for historical material on Arirang of the late 19th century.

      • KCI등재

        梅泉野錄 소재 ‘아리랑’기사의 실상과 의미

        기미 한국민요학회 2012 한국민요학 Vol.36 No.-

        The patriotic martyr and poet of late Chosŏn Hwang Hyŏn (1855~1910), He mentioned information on Arirang in his book “Maech‘ŏnnyarok” of Arirang article. In the first article ‘Arirang Taryung’ record, and the nature of the song is ‘a newly created beautiful song.’ In other words, He called Arirang a “Sinseongyeomgok(beautiful song of new sounds)”. Also the book also says that the King had wandering artists to perform “Arirang”, and awarded prizes to the best performers. Maech‘ŏnnyarok records that King Kojong and queen Myŏngsŏng-hwanghu enjoyed the Arirang performance at Ch‘angdŏkkung palace. Another article says that when the artist sang “it is of delight to meet you on my way of coming and leaving / I’d be rather be dead than to have us be separating”” some of the spectators commented “this song is crude (indecent song).” According to the fourth article, Queen Myŏngsŏng hwanghu gave the artists excessive remuneration. To derive the identity of Arirang from the above 3 records, we contrasted a description of the same era in 「Hanyang-ga」 and other material on folk song, and looked into a temporary night guard's testimony, whose name was Lee Choiseung and is suggested to be the information source of both materials, in a oral biographical context. From this, we confirmed the following Reality and Meaning of Arirang. The first fact is that the above 3 articles are the first written records that use the title ‘Arirang.’ The second fact is, that according to the report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of 1912, the words “to meet you is happiness, when the death comes it’s hard to part” are the verse from Arirang song. The third fact is that Arirang song was positively estimated as a “a newly created beautiful song”, but also negatively estimated as a “coarse song.” Fourth, such situation of performance shows that the 7 years of reconstruction was a transition point for Arirang and earned the Meaning of a folk song or Japga. Thus, the 3 articles in “Maech‘ŏnnyarok” were used as indices for historical material on Arirang of the late 19th century. 조선 말기 순국지사이며 시인인 황현(1855~1910)의『매천야록』에 수록된 기사 세 편에는 1894년 아리랑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첫 기사에는 ‘아리랑타령’(阿里娘打令)으로 기록하고, 그 노래의 성격에 대해 ‘새로 생긴 고운노래’ 즉, 신성염곡(新聲艶曲)이라고 했다. 또한 광대패들에게 아리랑 경창을 하게 하여 잘 하는 자에게는 상을 주었다고 했다. 두번째 기사에는 창덕궁 내에서 고종과 명성후가 광대패의 아리랑을 즐겼고, 광대패가 부른 노래 한 소절(각편)을 “오다가다 만난 정 즐거워라(來路去路逢情歡)/ 죽으면 죽었지 헤어지기 어렵더라(死則死兮難舍旃)”라고 기록했는데, 좌객 일부는 아리랑을 ‘잡된 소리’(雜調)라고도 했다. 세 번째 기사는 명성후가 지나치게 과분한 답례품을 광대패에게 하례하였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상의 세 가지 문헌자료에서 아리랑의 정체성을 도출하기 위해, 동시대를 묘사한「한양가」와 민요자료를 대비하고 동일 제보자로 추정되는 가주서(假主書) 이최승의 제보를 구술사적(口述史的) 맥락에서, 다음과 같은 아리랑의 실상과 의미가 확인되었다. 첫째는 이 기록이 명시적으로 ‘아리랑’이란 명칭을 쓴 것으로는 첫 기록이라는 점, 둘째는 수록된 사설은 1912년 총독부가 조사한 「俚謠․俚諺及 通俗的 讀物等 調査」에 의하면 아리랑의 각편이라는 점, 셋째는 아리랑의 성격을 ‘새로 생긴 아름다운 노래’라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잡된 노래’라는 부정적인 평가가 함께 했다는 점, 넷째는 이 같은 유행상을 통해 경복궁 중수 7년을 계기로 통속민요 또는 잡가로 성격 전환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서 「매천야록」 소재 세 편의 기사를 19세기 말 아리랑 자료로 지표화(指標化) 하였다.

      • KCI등재

        생물 유기분자 유도 실리카 합성실험을 통한 생체내 유무기 복합체 형성이해

        기미,민기하,백승필 한국생물공학회 2019 KSBB Journal Vol.34 No.4

        The discovery of the principle molecules involved in biosilicification both in diatoms and sponges brings out a new paradigm for silica synthesis at environmentally benign conditions. Here we introduce the biosynthetic method of silica using organic molecules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First, the biosilica synthesized was assessed through both a colorimetric method for quantification of silica and structural analysis by SEM image observation. Next, facile immobilization of an enzyme was demonstrated. Specifically, bovine carbonic anhydrase II (bCAII) was efficiently immobilized within silica matrix by simply adding itself to the reaction mixture containing polyamines and tetramethyl orthosilicate in phosphate buffer, obtaining 97% immobilization to initial amount of bCAII. The immobilized bCAII retained 40% of initial activity at 90℃ whereas free form did less than 10% of initial activity at 70℃ and the total yield from the 5 times reuses of immobilized bCAII was twice that of free bCAII. This experimental content that is hard to find in general biology or biochemistry lab could contribute to students' interest in knowledge expansion and application of new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